KR101599123B1 -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123B1
KR101599123B1 KR1020140015237A KR20140015237A KR101599123B1 KR 101599123 B1 KR101599123 B1 KR 101599123B1 KR 1020140015237 A KR1020140015237 A KR 1020140015237A KR 20140015237 A KR20140015237 A KR 20140015237A KR 101599123 B1 KR101599123 B1 KR 101599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garlic
weight
salt
flame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851A (ko
Inventor
김동청
인만진
김재광
Original Assignee
태안군소금명품화사업단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안군소금명품화사업단,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태안군소금명품화사업단
Priority to KR102014001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1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02Inorganic compounds
    • C11D7/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7/10Sal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르거나 쪼개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미백효과와 보습력 및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송화소금 농가의 소득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에 기여할 수 있는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SOAP COMPOSITION COMPRISING PINE POLLEN SALT}
본 발명은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르거나 쪼개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미백효과와 보습력 및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송화소금 농가의 소득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에 기여할 수 있는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안반도의 천일염은 염도가 낮고 미네랄이 풍부해 김치 등 전통 발효식품을 만드는 데 훨씬 우수한 효과를 보이며, 특히 태안반도는 소나무가 산림의 90% 이상을 차지해 송화소금 생산의 최적지로써, 송화소금은 5월 송화가 염전에 내려앉는 시점에 맞춰 생산하는 것으로 칼슘과 비타민이 풍부해 노화방지와 지방간 해소, 피부미용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소금산업은 소금 자체의 판매에 집중되어 있어, 소금 생산자의 자생력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후속 연계사업 추진이 요구되는 상황이므로 그 방안으로서 송화소금을 활용한 식품 및 제품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무르거나 쪼개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미백효과와 보습력 및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송화소금 농가의 소득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에 기여할 수 있는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흑마늘을 파쇄하여 필터용 자루에 넣는 단계;
(2) 상기 파쇄된 흑마늘이 담긴 필터용 자루를 배출 콕크를 구비한 압력추출기에 넣되, 상기 흑마늘이 건조한 흑마늘일 경우 중량비로 5~20배수의 물을 넣고, 생 흑마늘일 경우 중량비로 1~5배수의 물을 부어 밀봉한 다음 추출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80℃~120℃로 60분~480분 동안 끓여서 흑마늘 추출액을 얻는 단계;
(3) 추출단계 완료 후 압력추출기의 배출 콕크를 개방하여 압력추출기 내부 압력과 대기압 간의 압력차에 의해 압력추출기 내의 흑마늘 추출액을 필터용 자루의 고형물과 분리되어 추출기 밖으로 배출시키는 단계;
(4) 분리되어 배출된 흑마늘 추출액을 가용성 고형분이 30~40 Brix 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5) 흑마늘 농축액을 송화염의 중량 대비 1~9 중량%로 하여 송화염에 첨가하고 혼합기에 넣어 혼합하는 단계;
(6) 상기 흑마늘 농축액과 송화염의 혼합물을 70~80℃에서 2~6시간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하여 20~40 mesh 크기의 흑마늘 송화염을 얻는 단계; 및
(7) 상기 과정을 통해 건조된 흑마늘 송화염을 크기별로 사별하고, 비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 중량% 이상 0.2 중량% 미만이 되도록 비누베이스에 혼합하여 교반하여 균질화한 후, 형틀에 넣고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르거나 쪼개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미백효과와 보습력 및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송화소금 농가의 소득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에 기여할 수 있는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품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한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품사진.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송화소금은 특별한 종류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태안반도에서 생산되어지는 송화소금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흑마늘 농축액과 상기 송화소금을 혼합하여 건조한 흑마늘 송화소금을 사용하는 것으로, 흑마늘 송화소금의 제조과정을 아래와 같다.
(1) 준비단계
재료가 되는 흑마늘을 파쇄하여 자루에 넣고 재료가 밖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재료가 되는 흑마늘은 건조시킨 흑마늘 뿐만 아니라 생 흑마늘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흑마늘의 파쇄의 정도는 파쇄된 흑마늘이 필터기능을 수행하는 자루의 천 구멍을 빠져 나오지 않을 정도일 것이 요구된다.
(2) 추출단계
상기 흑마늘이 담긴 필터용 자루를 통상적인 추출기에 넣고, 물을 부은 후 밀봉한 다음 추출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일정 시간 끓여서 흑마늘 성분을 추출한다.
이때 추출과정에 사용되는 물의 양은 사용되는 재료가 건조한 흑마늘일 경우 중량비로 5~20배수가 적당하며, 생 흑마늘일 경우에는 중량비로 1~5배수가 바람직하다.
추출기는 식물체나 동물체 등의 성분을 추출하는 데 흔히 사용되는 압력추출기이면 충분하고, 추출 온도는 80℃~120℃, 추출시간은 60분~480분, 바람직하게는 120분으로 조정하고 추출기 내의 물이 순환되도록 조정한 후 추출기의 일반적인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되도록 하면 된다.
파쇄한 재료를 필터용 자루에 넣은 후 추출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고온 및 고압으로 추출함으로써 흑마늘에서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 이 후 분리단계에서 추출액과 재료찌꺼기를 쉽고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3) 분리단계
흑마늘 추출액을 흑마늘 고형물로부터 분리하여 수거하는 단계이다. 추출단계 완료 후 사용된 추출기의 배출 콕크를 개방하면 압력추출기 내부 압력과 대기압 간의 압력차에 의해 추출기 내의 흑마늘 추출액이 필터용 자루의 고형물과 분리되어 추출기 밖으로 완전히 배출된다.
이때 자루에 남은 고형물 찌꺼기는 거의 탈수된 상태로 회수되므로 폐기처리하기가 용이하다.
(4) 농축단계
흑마늘 추출액을 농축하는 과정으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가용성 고형분이 30~40 Brix 가 되도록 농축한다.
(5) 흑마늘 농축액과 송화염의 혼합물의 제조
상기 단계 (4)에서 얻은 흑마늘 농축액을 송화염의 중량 대비 1~9 중량%, 바람직하게는 2~4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로 하여 송화염에 첨가하고 혼합기인 V 믹서(V-Mixer)에 넣어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으로 첨가시 첨가에 따른 효과가 극히 미미할 뿐 아니라 10 중량%를 초과하여 흑마늘 농축액을 첨가할 경우에는 케이킹이 발생하여 상품가치를 현저히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6) 건조단계
상기 흑마늘 농축액과 송화염의 혼합물을 건조하여 흑마늘 송화염을 얻는 단계로써, 건조는 자연풍을 이용하거나, 열풍 건조기를 이용할 수 있다(70~80℃에서 2~6시간).
(7) 사별
상기 과정 (6)을 통해 건조된 흑마늘 송화염을 크기별로 사별하고, 바람직하게는 일정 크기의 흑마늘 송화염을 사별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화소금(혹은 흑마늘 송화소금)이 활성성분으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비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 중량% 이상 0.2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어진다. 송화소금의 첨가로 인하여 미백효과와 보습력 및 항균활성이 개선되어지며, 만일 0.0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송화소금의 첨가로 인한 상기 미백, 보습 내지 항균활성에 대한 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0.2 중량% 이상으로 첨가할 경우 무르거나 쪼개짐이 발생하여 상품적 가치가 현저히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이다.
상기와 같이 송화소금은 비누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미백, 보습 내지 항균활성에 대한 개선효과를 제공하지만, 이와 더불어 송화소금이 갖고 있는 특유의 생리활성을 피부를 포함한 인체내에 제공하게 되어 국민건강의 증진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비누조성물은 특별한 한정을 요구하지는 않으며,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송화소금 0.05 중량% 이상 0.2 중량% 미만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누베이스 (예를 들어, 우지와 야자유에 가성소다를 첨가), 향료, 보습제, 기포제 등과 함께 혼합한 것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분쇄한다.
상기 비누베이스는 지방산을 65∼68℃로 가열 용해한 후 820∼87℃에서 알칼리염을 첨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고, 상층부분만을 취하여 진한 소금물로 수회 세척한 후 이를 진공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5%정도가 되도록 하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누베이스로는 지방산계 비누베이스, 합성 계면활성제 비누베이스 또는 상기 지방산계 비누베이스와 합성계면활성제 비누베이스가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지방산계 비누베이스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팜핵유 등에서 선택되는 식물유와 우지, 돈지, 어유 등에서 선택되는 동물 유지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를 알칼리염과 비누화반응을 통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합성 계면활성제 비누베이스로는 소듐라우릴설포네이트, 알킬벤젠설포네이트의 소듐염,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아실글루타메이트의 알칼리금속염 등에서 선택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산계 비누베이스와 합성계면활성제 비누베이스를 각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 조성물은 이외에도 향료, 색소, 살균제, 소염제, 산화방지제, 방부제에서 선택된 것을 적어도 1종 이상 첨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조성을 갖는 비누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압축성형하게 되면 용이하게 비누를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누의 경우 미백효과와 항균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보습효과도 우수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비누의 제조
유지를 하기 표 1의 배합비로 배합하여 60∼70℃로 가열 용해한 후 수산화나트륨(NaOH)을 첨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고, 상층에 뜬 비누로부터 하층에 가라앉는 비누화 반응의 부산물인 물, 미반응 수산화나트륨, 글리세린 층 등을 분리 제거한 다음, 진한 소금물을 1~2회 가하여 비누 속에 있는 잔류 글리세린과 수산화나트륨 등을 제거하여 통상의 비누층을 얻고, 이를 진공 건조하여 수분 함량 13% 내외의 비누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비누베이스 99.2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균질화하고, 여기에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송화소금을 0.1 중량%를 넣고 교반하여 균질화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균질화한 혼합물에 편백나무오일 0.2 중량%, 아쿠아향 0.5 중량%를 첨가하여 10분간 추가교반한 후 원형의 형틀에서 굳히고, 얻어진 비누를 랩핑하고 포장하였다(도 1).
비누베이스 조성
성분 배합비(중량%)
1 증류수 17
2 팜유, 야자유 지방산의 나트륨염 25
3 글리세린 10
4 프로필렌글리콜 9
5 소듐라우릴설페이트 6
6 Sodium Laureth(3mol) Sulfate 6
7 염화나트륨 0.03
8 E.D.T.A-4Na 0.03
9 염화칼륨 0.03
10 스테아린산 2
11 캐스터오일 0.3
12 솔비톨 14.61
13 수산화나트륨 10
합계 100
비누조성물의 성분
원료명 함량(중량%) 비고
비누베이스 99.2 투명비누베이스
송화소금 0.1
편백나무오일 0.2
아쿠아향 0.5
합계 100.0
[실시예 2] 비누의 제조
비누베이스의 조성에 해바라기씨 오일 및 올리브 오일을 더 첨가하고, 편백나무 오일 및 아쿠아향 대신에 유칼립투스오일0.1 중량% 및 오렌지오일 0.2 중량%를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따라 비누조성물(불투명)을 제조하였다(도 2).
[실시예 3] 비누의 제조
송화소금을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한 흑마늘 송화염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에 따라 비누를 제조하였다.
흑마늘 송화소금의 제조:
건조한 흑마늘을 파쇄하여 필터용 자루에 넣고 재료가 밖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한 후, 상기 흑마늘이 담긴 필터용 자루를 통상적인 압력추출기에 넣고, 10배수의 물을 부은 후 밀봉한 다음 추출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90℃에서 120분 동안 가열하여 흑마늘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을 완료한 후 사용된 추출기의 배출 콕크를 개방하여 압력추출기 내부 압력과 대기압 간의 압력차에 의해 추출기 내의 흑마늘 추출액을 필터용 자루의 고형물과 분리시켜 추출기 밖으로 완전히 배출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흑마늘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가용성 고형분이 30~40 Brix 가 되도록 농축하고, 이와 같은 흑마늘 농축액을 송화염의 중량 대비 9 중량%로 송화염에 첨가하고 혼합기인 V 믹서(V-Mixer)에 넣어 혼합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얻은 흑마늘 농축액과 송화염의 혼합물을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7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20~40 mesh 크기의 흑마늘 송화염을 얻었다.
[실험예 1] 성형성
실시예 1 내지 3과 대조군으로 비교예 1(송화소금 0.2중량% 첨가군)의 비누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비교예 1의 비누의 경우 물러지고 깨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상품적인 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확인하여 송화소금은 0.2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2] 미백효과
20, 30 및 40대 여성 각 10인씩 모두 30인을 선정하여 실시예 1 내지 3과 대조군으로 비교예 2(송화소금 무첨가군)의 비누를 배부하고 한달간 사용하도록 한 후 미백효과 여부를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미백효과가 매우 우수하다:5점, 미백효과가 우수하다:3점, 미백효과가 나쁘다:1점, 미백효과가 매우 나쁘다 :0점)
미백효과
구분 미백효과
실시예 1 4.7
실시예 2 4.7
실시예 3 4.9
비교예 3.5
[실험예 3] 보습력
위 미백효과에서 선정된 여성 30명의 시험 대상자의 피부를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비누로 세정한 후 2시간 경과 후 피부 표피의 수분을 수분측정기(Corneometer CM820)로 25℃ 상대습도 35℃에서 실시하였다.
보습력
구분 보습력
사용전 사용후
실시예 1 64 81
실시예 2 65 81
실시예 3 65 83
비교예 65 77
[실험예 4] 항균성
항균성은 널리 공지된 칼프스킨 테스트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다음 균주에 대하여 배양되는 정도를 0점(성장억제력이 없음)에서 4점(완전히 성장을 억제함)까지 5단계로 등급을 표시하여 시험하였다. 이때, 점수가 높을수록 항균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배양과정에서 사용된 균주는 E. coli ATCC 10536와 S.arueus ATCC 9144가 이용되었다.
항균성
구분 항균성
E.coli S.arueus
실시예 1 4 4
실시예 2 4 4
실시예 3 4 4
비교예 2 2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1) 흑마늘을 파쇄하여 필터용 자루에 넣는 단계;
    (2) 상기 파쇄된 흑마늘이 담긴 필터용 자루를 배출 콕크를 구비한 압력추출기에 넣되, 상기 흑마늘이 건조한 흑마늘일 경우 중량비로 5~20배수의 물을 넣고, 생 흑마늘일 경우 중량비로 1~5배수의 물을 부어 밀봉한 다음 추출기 내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80℃~120℃로 60분~480분 동안 끓여서 흑마늘 추출액을 얻는 단계;
    (3) 추출단계 완료 후 압력추출기의 배출 콕크를 개방하여 압력추출기 내부 압력과 대기압 간의 압력차에 의해 압력추출기 내의 흑마늘 추출액을 필터용 자루의 고형물과 분리되어 추출기 밖으로 배출시키는 단계;
    (4) 분리되어 배출된 흑마늘 추출액을 가용성 고형분이 30~40 Brix 가 되도록 농축하는 단계;
    (5) 흑마늘 농축액을 송화염의 중량 대비 1~9 중량%로 하여 송화염에 첨가하고 혼합기에 넣어 혼합하는 단계;
    (6) 상기 흑마늘 농축액과 송화염의 혼합물을 70~80℃에서 2~6시간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하여 20~40 mesh 크기의 흑마늘 송화염을 얻는 단계; 및
    (7) 상기 과정 (6)을 통해 얻어진 20~40 mesh 크기의 흑마늘 송화염을 비누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 중량% 이상 0.2 중량% 미만이 되도록 비누베이스에 혼합하여 교반하여 균질화한 후, 형틀에 넣고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7)에서 흑마늘 송화염과 비누베이스의 균질화한 혼합물에 편백나무오일 0.2 중량%, 아쿠아향 0.5 중량%를 첨가하여 10분간 추가교반한 후 원형의 형틀에서 굳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3. 삭제
KR1020140015237A 2014-02-11 2014-02-11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99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37A KR101599123B1 (ko) 2014-02-11 2014-02-11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37A KR101599123B1 (ko) 2014-02-11 2014-02-11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851A KR20150094851A (ko) 2015-08-20
KR101599123B1 true KR101599123B1 (ko) 2016-03-03

Family

ID=5405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237A KR101599123B1 (ko) 2014-02-11 2014-02-11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300B1 (ko) 2016-02-01 2016-06-03 강근영 달걀 껍질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JP6461410B1 (ja) * 2018-07-12 2019-01-30 株式会社金水 黒ニンニクエキス含有化粧料
CN112029598A (zh) * 2020-09-10 2020-12-04 山东钰财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黑蒜香皂生产工艺及黑蒜提取物和酵素功效作用
KR102355540B1 (ko) 2021-09-08 2022-02-09 오정미 한방 비누 조성물
KR102355539B1 (ko) 2021-09-08 2022-02-09 오정미 당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335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소금을 함유한 화장비누 제조방법
KR100599096B1 (ko) * 2004-05-04 2006-07-13 조준호 피톤치드가 함유된 목욕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4614A (ko) * 2009-02-19 2010-08-27 경남도립남해대학 산학협력단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851A (ko)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123B1 (ko)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CN107348304B (zh) 含有茶多酚和姜黄素的泡腾片及其制备方法
JP2006335698A (ja) 育毛剤
KR20160036900A (ko)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4419B1 (ko)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87089B1 (ko) 생약 추출물 또는 천연 색소가 첨가된 비누 칩을 이용한 맞춤형 수제비누의 제조방법
CN104758231A (zh) 一种石榴籽抗氧化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572067B1 (ko) 꿀벌 화분 조성물
KR101395218B1 (ko)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Anindia Manufacture of solid soap based on crude papain enzyme and antioxidant from papaya
WO2017204409A1 (ko)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
JP2000191513A (ja) アガリクス茸抽出液を含有する皮膚洗浄料
KR20170133830A (ko) 감꼭지를 이용한 미백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미백비누
JP4179981B2 (ja) チオール−s−メチ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口臭発生抑制剤および口臭発生抑制組成物
DE202015106158U1 (de) Knoblauch-Paste
KR101907013B1 (ko) 생약재를 이용한 환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4520547A (ja) 放射能解毒所要時間を短縮できる食品製造方法
KR101952006B1 (ko) 해당화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1523B1 (ko) 함초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661321B1 (ko) 고지혈증 및 비만 예방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1670852B1 (ko) 피부 노화를 개선하는 효능을 보유한 분말 형태의 복합소재 및 상기 소재를 활용한 입욕제
KR102004097B1 (ko) 이미 및 이취를 제거한 마늘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80556B1 (ko) 해삼 유래 사포닌 함유 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2726B1 (ko) 가루녹차를 포함하는 미용 비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