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204409A1 -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 - Google Patents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204409A1
WO2017204409A1 PCT/KR2016/008526 KR2016008526W WO2017204409A1 WO 2017204409 A1 WO2017204409 A1 WO 2017204409A1 KR 2016008526 W KR2016008526 W KR 2016008526W WO 2017204409 A1 WO2017204409 A1 WO 201720440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soap
peel
extrac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85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원성권
배수선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720440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20440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08Water-soluble compounds
    • C11D9/10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scrub soap using persimmon peel and scrub soap by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ducing scrub soap using persimmon peel having excellent anti-oxidation and antibacterial function and exfoliating function and scrub soap by It is about.
  • soaps are hydrolyzed in aqueous solution to show surface activity and lower surface tension to enable stable foam generation and thus have strong detergency.
  • soap is mainly boiled with alkali hydroxide and ester is hydrolyzed by the action of alkali. It is prepared by adding a predetermined flavor and pigment to the saponified and dry solidifying.
  • These soaps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a myriad of functional soaps on the basis of the rapid development of beauty and cleaning technology and various needs of consumers.
  • Most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soaps are soaps that use artificial surfactants or hardeners, and these chemical raw materials are harmful to the skin and may cause skin troubles as well as cause water pollution.
  • persimmon varieties of edible and medicinal value are classified into persimmon and persimmon persimmon.
  • Persimmon is grown mainly in Japan, and persimmon is grown mainly in Korea and China.
  • the persimmon tree a endemic species cultivated in Korea, has been continuously improved to increase the value of persimmon.
  • the types of persimmon tree are Gojong, Qingdao Bansi, Dongxi, Sagok, Danseong, Jangdeung, Huangshi, and Baekbaek. It is cultiva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local tempera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 Persimmon is an alkaline fruit rich in sugar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It is rich in astringent tannins, and the vitamin C content is about 5-20 times higher than apples in the same amount and rich in minerals. Tannins and proanthocyanidins contained in persimmon peel are water-soluble substances and are known for their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bacterial, antioxidant, antitumor and heavy metal removal. It is known to have a genotoxic effect.
  • persimmon Since persimmon is cultivated mainly in Korea, it is used as a raw material because it cannot be used as a raw fruit, but it is mainly used as dried persimmon (over 50% of persimmon production) after peeling persimmon. According to the 2010 Census Bureau survey, Korea produces 390,611 tons, of which the percentage of sweet persimmon is 180,840 tons and 209,771 tons of persimmon is used to make dried persimmons. The amount of persimmon produced in persimmon is expected to be more than 104,886 tons, and the persimmon flesh weight is 84% and the skin weight is 16%. It can be estimated.
  • persimmon peels After producing dried persimmon, a large part of persimmon peel is used as feed or secondary processing. However, most persimmon peels are discarded on the roadside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discarded. hav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scrub soap using a persimmon bark by producing a soap using a persimmon bark, the persimmon bark crushed powder contained in the soap to remove the dead skin of the skin and to perform a scrub function and thereby will b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scrub soap using a persimmon bark that can prevent skin troubles by producing a soap using a persimmon bark excellent antibacterial action and a scrub soap thereb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scrub soap using a persimmon shell and a scrub soap by using a persimmon shell by producing a soap using a persimmon shell, by recycling the used persimmon shell recycled.
  • Scrub soap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ersimmon peel drying the washed persimmon peel, obtaining persimmon extract from the dried persimmon peel, persimmon peel residue after obtaining the persimmon extract
  • a persimmon peel pulverized product by pulverizing, mixing the persimmon peel extract, oil and caustic soda, adding the persimmon peel crushed product to a mixture of the persimmon peel extract, oil and caustic soda and stirred Forming a soap.
  • the persimmon peel extract may comprise 2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 the persimmon peel mill may include 0.5 to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 the persimmon extract may be used in place of purified water.
  • the persimmon extract in the step of mixing the persimmon extract, oil and caustic soda, the persimmon extract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purified water.
  • the persimmon peel extract can be obtained by using a steam distillation method.
  • the oil may be at least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sunflower seed oil, palm oil, argan oil, castor oil.
  • the persimmon shell may be dried by hot air drying in a sterile chamber.
  • the stirring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molding and packing into a mold.
  • Scrub soap using persimmon shell is a scrub agent containing 0.5 to 3% by weight persimmon peel mill, and an antimicrobial agent containing 2 to 30% by weight persimmon peel extrac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ap Include.
  • the persimmon peel pulverized in the soap has a scrub function has the effect of removing the keratin of the skin at the same time with the use of soap.
  • FIG. 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crub soap using persimmon p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scrub soap using persimmon peel and scrub soap by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ducing scrub soap using persimmon peel having excellent anti-oxidation and antibacterial function and exfoliating function and scrub soap by It is about.
  • soaps are mostly soaps manufactured by chemical treatment such as artificial surfactants or artificial hardeners, and these chemical raw materials are harmful to the skin and may cause skin troubles, and may also cause water pollution.
  • natural soaps made using natural materials with less skin irritation are on sale, the materials used in these natural soap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y cost a lot when soaps are made mainly because of herbal ingredients used as medicines.
  • Scrub soap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persimmon peel drying the washed persimmon peel (S100), obtaining a persimmon peel extract from the dried persimmon peel (S200), obtaining the persimmon extract After grinding the remaining persimmon peel residue to obtain a persimmon pulverized product (S300), the step of mixing the persimmon extract, oil and caustic soda (S400), the mixture of the persimmon extract, oil and caustic soda Injecting the persimmon peel crushed into and stirred to form a soap (S500).
  • 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crub soap using persimmon p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Persimmon pee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skin produced after peeling the persimmon, the persimmon peel is washed with water and dried.
  • the type of persimmon used to obtain the persimmon pee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shells from various kinds of persimmons, such as Gojong, Qingdao Banshee, Dungsi, Sagok, Danseong, Jangdeung, Yeolsi and Baekbaek, can be used. have.
  • the washed persimmon peel is dried in a clean room to minimize the contact of the persimmon peel from foreign matter or various bacteria in the air.
  • the drying of the persimmon shell is preferably dried using a hot air drying method, but the drying metho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dried using methods such as natural air drying and spray drying.
  • the step of obtaining persimmon peel extract (S200) is carried out.
  • the hot-air dried persimmon shell is obtained from the persimmon shell by steam distillation.
  • Steam distillation is an economical extraction method because the equipment is simple and can extract a large amount in a short time.
  • Tannin and proanthocyanidin components included in the persimmon peel extract obtained through this step (S200) are water-soluble substances and have antibacterial, antioxidant, anti-tumor and heavy metal removal effects. When manufacturing the skin trouble due to excellent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on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 the persimmon peel extract obtained can be used in place of purified water in the soap manufacturing process.
  • the persimmon peel residue remaining after the persimmon peel extract is pulverized to obtain a persimmon peel pulverized product (S300).
  • the persimmon peel remaining as a residue after obtaining persimmon peel extract using steam distillation is subjected to fine grinding.
  • the persimmon peel mill is then mixed with a mixture of persimmon peel extract and caustic soda, and used as a scrub to remove exfoliation of the skin at the same time as washing with soap.
  • the oil to be used is preferably at least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sunflower seed oil, palm oil, argan oil, castor oil, but the type of oil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il commonly used in the soap production in the art. Can be optionally used.
  • the persimmon peel extract and caustic soda are mixed so that the caustic soda is completely dissolved in the persimmon peel extract.
  • purified water may be used as a substitute for persimmon peel extract mixed with caustic soda, and may also be mixed with caustic soda using a mixed solution of persimmon peel extract and purified water.
  • the persimmon peel extract is preferably added in an amount of 2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 the persimmon peel extract is added to less than 2% by weigh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antibacterial action of the soap is lowered, when the amount is added in excess of 30% by weight the color of the soap is excessively dark and the smell may be undesirable.
  • the mixing ratio with purified water may be optionally add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of the soap.
  • the caustic soda is an essential element in soap production, and the amount of the oil mixed togethe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soap is controlled by fluid control.
  • the soap is mild and the moisturizing power is high.
  • the soap is easily dissipated, and it is preferable to adjust and mix the amount of caustic soda and oil to suit the purpose such as for body and face wash.
  • the persimmon peel pulverized product is added to the mixture of persimmon peel extract, oil and caustic soda, followed by stirring to form a soap (S500).
  • the persimmon peel pulverized product added to the mixture of persimmon peel extract, oil and caustic soda is preferably added to 0.5 to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 the scrub effect of the soap is lowered, it is not preferable, if it is added in excess of 3% by weight may cause an odor is not preferable.
  • the prepared materials are stirred to mix evenly to prepare a soap.
  • the put persimmon pulverized product is a scrub function when using the soap to be able to remove the exfoliation of the skin at the same time as the face wash.
  • natural flavor or artificial flavor may be additionally added to the soap forming step (S500) in order to give a fragrance to the soap according to the use.
  • the soap is put into a mold and molded and packed (S600). After stirring, the soap poured into the mold is preferably cured for 3 to 5 days and the cured soap is cut to a suitable size and then packag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산화 및 항균이 뛰어나며, 피부 각질제거 기능이 있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 껍질을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비누에 포함된 감껍질 분쇄물이 스크럽 기능을 하여 비누 사용시 세안과 동시에 피부의 각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 껍질을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항균작용이 우수한 비누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 껍질을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폐기물로 버려지는 감껍질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
본 발명은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산화 및 항균이 뛰어나며, 피부 각질제거 기능이 있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수용액 중에서 가수분해되어 표면활성을 나타내며 표면장력을 강하시켜 안정된 거품 생성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강한 세정력을 갖춘 것으로서, 주로 유지를 수산화알칼리로 끓이고 에스테르가 알칼리의 작용에 의해 가수분해되면서 비누화된 것에 소정의 향료 및 색소를 첨가하여 건조 고형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비누는 미용, 세정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기반하여 무수히 많은 기능성 비누들이 제품화되어 시판되고 있다. 시판되는 비누의 대다수는 인공계면활성제 또는 인공경화제를 사용하고 있는 비누가 대부분으로서 이러한 화학적 원료는 피부에 유해하여 피부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피부에 자극이 덜한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천연비누들이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시판되는 천연비누에 사용되는 소재들은 대부분이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는 소재들로서, 산지재배의 제약과 식물 자체를 수거하여야한다는 점이 어려우며 경제적으로 부담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식용 및 약용으로 재배적 가치가 있는 감나무의 품종은 크게 단감과 떫은 감으로 분류되는데, 단감나무는 주로 일본에서 재배되고, 떫은 감나무는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주로 재배된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유종인 떫은 감나무는 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개량되어 왔는데, 그 종류는 고종시, 청도반시, 둥시, 사곡시, 단성시, 장등이, 월하시 및 갑주백목 등 으로 각 지역의 기온 및 토양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재배되고 있다.
감은 포도당, 과당 등의 당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과일로서, 떫은맛을 내는 타닌산이 풍부하며, 비타민 C의 함량은 동량의 사과보다 약 5-20배 높고 무기질이 풍부한 과일이다. 감껍질에 포함되어 있는 타닌 및 프로안토사이아니딘(proanthocyanidin) 성분은 수용성의 물질로 항균, 항산화, 항종양 및 중금속 제거와 같은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고, 또한 감껍질의 폴리페놀 성분이 항산화 및 항유전독성(antigenotoxic)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떫은 감은 생과로 이용할 수 없는 특성 때문에 탈삽하여 이용하기도 하지만 주로 감을 박피 시킨 후 건조하여 곶감(떫은감 생산량 중 50% 이상)으로 이용되고 있다. 2010년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감 생산량은 총 390,611톤이며, 그 중 단감의 비율이 180,840 톤이고 대부분 곶감을 만들 때 사용 되는 떫은감이 209,771 톤으로 나타났다. 떫은 감의 생산량에서 곶감으로 활용되어지는 양은 약 104,886톤 이상으로 예상되며, 감 과육의 중량은 84%이고,껍질 중량은 16%로 곶감을 만들 때 버려지는 감 껍질의 양은 연간 약 16,781톤 이상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곶감을 제조한 후 많은 양의 감 껍질의 일부는 사료로 사용 되거나 2차 가공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감껍질은 상당량 폐기되고 있는 실정으로 길가에 방치되어 환경오염 및 악취를 발생시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감 껍질을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상기 비누에 포함된감껍질 분쇄물이 피부의 각질을 제거하여 스크럽기능을 할 수 있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감 껍질을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항균작용이 우수하여 피부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감 껍질을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폐기되고 있는 감껍질을 재활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제조가 가능한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은 세척한 감껍질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감껍질로부터 감껍질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감껍질 추출물 수득 후 남은 감껍질 잔유물을 분쇄하여 감껍질 분쇄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가 혼합된 혼합물에 상기 감껍질 분쇄물을 투입 후 교반하여 비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껍질 추출물은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껍질 분쇄물은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감껍질 추출물은 정제수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감껍질 추출물은 정제수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껍질 추출물은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은 해바라기씨오일, 팜오일, 아르간오일, 피마자오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껍질의 건조는 무균실에서 열풍건조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이 완료된 비누는 성형틀에 넣고 성형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는 비누 총 중량에 대하여, 감껍질 분쇄물을 0.5 내지 3 중량% 포함하는 스크럽제와, 감껍질 추출물을 2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항균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 껍질을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비누에 포함된 감껍질 분쇄물이 스크럽 기능을 하여 비누 사용시 세안과 동시에 피부의 각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 껍질을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항균작용이 우수한 비누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 껍질을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폐기물로 버려지는 감껍질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산화 및 항균이 뛰어나며, 피부 각질제거 기능이 있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인공계면활성제 또는 인공경화제 등의 화학적 처리로 제조된 비누가 대부분으로서 이러한 화학적 원료는 피부에 유해하여 피부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피부자극이 덜한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천연비누들이 판매되고는 있지만 이러한 천연비누에 사용되는 소재들은 대부분 약재로 사용되는 한방재료들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비누제조시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곶감 제조 후 폐기되는 감 껍질을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항균작용이 우수하여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스크럽 기능까지 겸비한 스크럽 비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를 제공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은 세척한 감껍질을 건조하는 단계(S100), 상기 건조된 감껍질로부터 감껍질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S200), 상기 감껍질 추출물 수득 후 남은 감껍질 잔유물을 분쇄하여 감껍질 분쇄물을 수득하는 단계(S300),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를 혼합하는 단계(S400),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가 혼합된 혼합물에 상기 감껍질 분쇄물을 투입 후 교반하여 비누를 형성하는 단계(S500)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세척한 감껍질을 건조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감껍질은 감을 박피시킨 후 생성되는 껍질을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감껍질을 물로 세척한 후 건조한다. 상기 감껍질 수득을 위해 사용되는 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고종시, 청도반시, 둥시, 사곡시, 단성시, 장등이, 월하시 및 갑주백목 등 다양한 종류의 감으로부터 나오는 껍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척을 완료한 감껍질은 공기중의 이물질 또는 각종 균으로부터 감껍질이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무균실에서 건조한다. 상기 감껍질의 건조는 열풍건조방식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건조방법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연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감껍질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S200)를 실시한다. 상기 열풍건조된 감껍질은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감껍질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한다. 수증기 증류법은 설비장치가 간편하고, 단시간에 많은 양을 추출할 수 있어 경제적인 추출방법이다. 본 단계(S200)를 통하여 수득된 감껍질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타닌 및 프로안토사이아니딘(proanthocyanidin) 성분은 수용성 물질로서 항균, 항산화, 항종양 및 중금속 제거 효과가 있어, 상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할 경우 우수한 항균 및 항산화 작용으로 인하여 피부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득된 감껍질 추출물은 비누 제조과정에서 정제수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감껍질 추출물 수득 후 남은 감껍질 잔유물을 분쇄하여 감껍질 분쇄물을 수득하는 단계(S300)를 실시한다.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감껍질 추출물을 수득한 이후의 잔유물로 남는 감껍질은 미세하게 분쇄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감껍질 분쇄물은 이후 감껍질 추출물 및 가성소다의 혼합물과 혼합되며, 비누 사용 시 세안과 동시에 피부의 각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스크럽제로 사용된다.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를 혼합하는 단계(S400)를 실시한다. 상기 사용되는 오일은 해바라기씨오일, 팜오일, 아르간오일, 피마자오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오일의 종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당업계에서 비누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일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S400)에서는 먼저 감껍질 추출물과 가성소다를 혼합하여 가성소다가 감껍질 추출물에 완전히 녹아 혼합되도록 한다. 이때, 가성소다와 혼합되는 감껍질 추출물의 대체제로써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감껍질 추출물과 정제수를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하여 가성소다와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혼합시 감껍질 추출물만을 투입할 경우 감껍질 추출물은 투입되는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30중량%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껍질 추출물이 2 중량% 미만으로 투입되면 비누의 항균작용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30 중량%를 초과하여 투입되는 경우에는 비누의 색상이 과도하게 어두워지고 냄새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감껍질 추출물과 정제수를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할 경우에는 감꼭지 추출물을 2 내지 10 중량%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정제수와의 혼합비는 비누의 사용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가성소다와 감껍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과 상기 오일을 혼합한다. 상기 가성소다는 비누 제조에 있어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이며, 비누의 사용 용도에 따라 함께 혼합되는 상기 오일의 양을 유동적으로 조절하여 혼합한다. 일반적으로 가성소다의 양을 적게 사용하면 비누가 순하고 보습력이 높으나, 과도하게 줄일경우 비누가 산폐되기 쉬워 바디용, 세안용 등 용도에 알맞게 가성소다와 오일의 양을 조절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가 혼합된 혼합물에 상기 감껍질 분쇄물을 투입 후 교반하여 비누를 형성하는 단계(S500)를 실시한다.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가 혼합된 혼합물에 투입되는 감껍질 분쇄물은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껍질 분쇄물이 0.5 중량% 미만으로 투입되면, 비누의 스크럽효과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3 중량%를 초과하여 투입되는 경우에는 냄새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감껍질 분쇄물 투입 후에는 투입된 물질들이 골고루 혼합되도록 교반하여 비누를 제조한다. 상기 투입된 감껍질 분쇄물은 비누 사용시 스크럽 기능을 하여 세안과 동시에 피부의 각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용도에 따라 비누에 향기를 내기 위하여 상기 비누형성단계(S500)에 천연향료 또는 인조향료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상기 교반이 완료된 비누는 성형틀에 넣고 성형하여 포장하는 단계(S600)를 실시한다. 교반 후 성형틀에 부은 비누는 3 내지 5일간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화가 완료된 비누는 알맞은 크기로 자른 후, 포장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세척한 감껍질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감껍질로부터 감껍질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감껍질 추출물 수득 후 남은 감껍질 잔유물을 분쇄하여 감껍질 분쇄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가 혼합된 혼합물에 상기 감껍질 분쇄물을 투입 후 교반하여 비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껍질 추출물은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이 포함되어 있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껍질 분쇄물은 상기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중량%이 포함되어 있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감껍질 추출물은 정제수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껍질 추출물, 오일 및 가성소다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감껍질 추출물은 정제수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껍질 추출물은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수득하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해바라기씨오일, 팜오일, 아르간오일, 피마자오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하나 또는 둘 이상인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껍질의 건조는 무균실에서 열풍건조하여 실시하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이 완료된 비누는 성형틀에 넣고 성형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10. 비누 총 중량에 대하여, 감껍질 분쇄물을 0.5 내지 3 중량% 포함하는 스크럽제와, 감껍질 추출물을 2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항균제를 함유하는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PCT/KR2016/008526 2016-05-26 2016-08-02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 WO201720440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118 2016-05-26
KR1020160065118A KR20170133829A (ko) 2016-05-26 2016-05-26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4409A1 true WO2017204409A1 (ko) 2017-11-30

Family

ID=60412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8526 WO2017204409A1 (ko) 2016-05-26 2016-08-02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33829A (ko)
WO (1) WO2017204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4381A (zh) * 2020-11-18 2021-03-16 美佳亚太投资有限公司 一种柚子白囊微颗粒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483966B1 (ko) * 2022-09-26 2022-12-30 (주)건강생활연구소 폐유 및 착즙고형분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
KR102663855B1 (ko) 2023-09-06 2024-05-07 이수인 단감비누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499A (ja) * 2001-10-10 2003-04-23 Jinesu:Kk 柿の葉粉末を配合した固形石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17981A (ko) * 2002-08-23 2004-03-02 (주)씨앤씨엘티디 감추출물을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JP2004331528A (ja) * 2003-05-02 2004-11-25 Toyo Seikan Kaisha Ltd 柿の果実からβ−クリプトキサンチン成分含有抽出物を製造する方法
JP2007176938A (ja) * 2005-11-30 2007-07-12 Shuzo Nakazono 油混合柿エキスの抽出方法
KR20080059313A (ko) * 2005-10-20 2008-06-26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β-크립토크산틴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 용액 및 상기추출물 용액이 첨가된 음식물, 비누 또는 화장품
KR101506296B1 (ko) * 2013-06-20 2015-03-27 전라남도 배석세포를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499A (ja) * 2001-10-10 2003-04-23 Jinesu:Kk 柿の葉粉末を配合した固形石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17981A (ko) * 2002-08-23 2004-03-02 (주)씨앤씨엘티디 감추출물을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JP2004331528A (ja) * 2003-05-02 2004-11-25 Toyo Seikan Kaisha Ltd 柿の果実からβ−クリプトキサンチン成分含有抽出物を製造する方法
KR20080059313A (ko) * 2005-10-20 2008-06-26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β-크립토크산틴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 용액 및 상기추출물 용액이 첨가된 음식물, 비누 또는 화장품
JP2007176938A (ja) * 2005-11-30 2007-07-12 Shuzo Nakazono 油混合柿エキスの抽出方法
KR101506296B1 (ko) * 2013-06-20 2015-03-27 전라남도 배석세포를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829A (ko)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0028B (zh) 一种鳞毛蕨、无患子天然生物质洗涤剂的制备及其方法
WO2017204409A1 (ko) 감껍질을 이용한 스크럽 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스크럽 비누
CN105238598A (zh) 一种天然酵素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CN105012224A (zh) 一种天然洗发液及其制备方法
CN105238595B (zh) 一种黄秋葵美容皂及其制备方法
CN105802724A (zh) 一种将冷榨油茶籽粕再利用的方法
WO2017204410A1 (ko) 감꼭지를 이용한 미백비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미백비누
WO2020226442A1 (ko)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1587089B1 (ko) 생약 추출물 또는 천연 색소가 첨가된 비누 칩을 이용한 맞춤형 수제비누의 제조방법
CN108203631A (zh) 一种抑菌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KR101064419B1 (ko)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99123B1 (ko) 송화소금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2911815A (zh) 一种牡丹籽油香皂及其制作方法
CN104758231A (zh) 一种石榴籽抗氧化面膜及其制备方法
CN107502490A (zh) 一种驴油肥皂及其制备方法
CN108485851B (zh) 一种茶籽手工皂及制作该茶籽手工皂的工艺
CN103602532A (zh) 一种具有皮肤保健功能的香皂及其制备方法
KR102062822B1 (ko) 탈모개선 비누 첨가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7653107A (zh) 一种栀子美白护肤型手工冷制皂的制备方法
CN107574044A (zh) 一种含火棘果提取物的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04116649B (zh) 一种具有美白功效的小花茉莉油及其制备工艺
CN106675809A (zh) 一种皮革清洗剂
KR20100000279A (ko) 피부세정용 조성물 및 피부세정제
JP4826989B2 (ja) 藍入り石けん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032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032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