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904B1 - 합금강 강관급냉시스템 - Google Patents

합금강 강관급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904B1
KR101598904B1 KR1020150099548A KR20150099548A KR101598904B1 KR 101598904 B1 KR101598904 B1 KR 101598904B1 KR 1020150099548 A KR1020150099548 A KR 1020150099548A KR 20150099548 A KR20150099548 A KR 20150099548A KR 101598904 B1 KR101598904 B1 KR 101598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oling
steel pipe
pipe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수
Original Assignee
장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수 filed Critical 장근수
Priority to KR1020150099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of multiple-track type; of multiple-chamber type; Combinations of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56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characterised by the quenching agents
    • C21D1/613Gases; Liquefied or solidified normally gase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67Quenching devices for spray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84Controlled slow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preheating or cooling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preheating or cooling the charge
    • F27B2009/124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급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열처리부를 경유하며 온도가 상승된 강관으로 저온의 냉각가스를 순환시켜 강관을 급냉시키는 강관급냉이송장치와; 상기 강관급냉이송장치에서 강관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를 저온으로 냉각시키는 냉각가스냉각장치와; 상기 강관급냉이송장치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가스의 공급온도와 냉각가스의 공급량 및 공급속도를 제어하여 강관의 시간대별 급냉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금강 강관급냉시스템{ALLOY PIPE COOLING SYSTEM}
본 발명은 강관급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강관을 분당 100℃이상으로 급냉시키면서 냉각속도와 냉각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강관의 경도와 산포를 조절할 수 있는 강관급냉시스템 관한 것이다.
강관의 제조를 위해서는 강판을 튜브 형태로 가공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강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등록특허 제10-0667173호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강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강판을 튜브 형태로 변형한 후, 접촉면을 전기저항 용접법으로 용접하여 가공하고, 표면의 열처리가 수행된다. 이렇게 열처리가 완료된 강관은 용접 품질의 향상과 내구성 향상을 위해 냉각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 강관의 냉각을 위한 과정을 공개특허 제2010-0117862호 "강관의 냉각장치"와, 등록특허 제10-1194262호 "냉각효율이 향상된 강관 열처리장치"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강관냉각장치들은 냉각수를 이용해 강관을 냉각하는 방법과 냉각가스를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냉각수를 이용해 강관을 냉각하는 경우 냉각수가 강관의 전영역에 고르게 도포되지 않아 냉각수가 접촉되지 않은 부분과 접촉된 부분의 내구성에 차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냉각가스를 이용해 강관을 냉각하는 경우에도 강관을 서냉시키게 되므로 정밀한 경도의 제품을 생산하기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특히, 16Mn, 40Cr, 30Mo와 같은 특수 합금강은 열처리 후 경도가 너무 낮아서 필수적으로 경도를 상승시키는 열처리가 요구된다. 이 경우, 종래 냉각가스를 이용해 서냉시키는 경우 원하는 경도를 얻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냉각가스를 이용해 강관을 냉각하는 경우 고온의 강관과 접촉하여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없어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합금강으로 형성된 강관을 급냉시켜 제품의 경도와 산포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강관급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가스의 송풍량과 유속, 온도 등을 제어하여 강관의 냉각속도와 냉각온도를 시간대별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강관급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가스를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냉각가스의 온도도 제어할 수 있는 강관급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관급냉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은, 열처리부를 경유하며 온도가 상승된 강관으로 저온의 냉각가스를 순환시켜 강관을 급냉시키는 강관급냉이송장치와; 상기 강관급냉이송장치에서 강관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를 저온으로 냉각시키는 냉각가스냉각장치와; 상기 강관급냉이송장치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가스의 공급온도와 냉각가스의 공급량 및 공급속도를 제어하여 강관의 시간대별 급냉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가스냉각장치는, 상기 강관급냉이송장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1차냉각수가 이동되며 상기 강관과 열교환되어 상기 냉각가스를 냉각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냉각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1차냉각수를 냉각하는 복합냉각모듈과; 상기 복합냉각모듈에서 냉각된 1차냉각수가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복합냉각모듈 사이를 순환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냉각수순환펌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냉각모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도가 상승된 1차냉각수가 유동되는 1차냉각수이동관과; 2차냉각수를 상기 1차냉각수이동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2차냉각수공급관과; 상기 2차냉각수공급관과 연결되며 2차냉각수를 상기 1차냉각수이동관을 향해 분사하는 2차냉각수분사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상기 1차냉각수이동관으로 외기를 공급하여 1차냉각수이동관 내부의 1차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냉각가스의 공급경로 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표면에 방열핀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강관급냉이송장치는, 강관을 이송하는 강관이송부와; 상기 강관이송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냉각가스가 유동되며, 상기 강관이송부를 향해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상부가스공급챔버와; 상기 강관이송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냉각가스가 유동되며, 상기 강관이송부를 향해 상기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하부가스공급챔버와; 상기 강관이송부와 상기 상부가스공급챔버 및 상기 하부가스공급챔버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면에 내부냉각가스유입구와 내부냉각가스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내부하우징과; 상기 냉각가스유입구를 통해 상기 상부가스공급챔버와 상기 하부가스공급챔버로 냉각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내부하우징 내부에서 강관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를 회수하여 냉각가스가 순환되도록 하는 가스순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순환부는, 상기 내부하우징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상기 내부냉각가스유입구를 연결하며, 상기 송풍팬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가스를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부냉각가스유입구로 공급하는 가스공급관과; 상기 송풍팬과 상기 내부냉각가스배출구를 연결하며,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상기 강관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강관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를 상기 송풍팬으로 복귀시키는 가스회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을 향해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가스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가스공급챔버는 바닥면에는 상기 강관이송부를 향해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상부가스공급노즐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가스공급챔버의 상면에는 상기 강관이송부를 향해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하부가스공급노즐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가스공급챔버와 상기 하부가스공급챔버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가스공급챔버로 유입된 냉각가스를 상기 하부가스공급챔버로 공급하는 가스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가스공급노즐과 상기 하부가스공급노즐로 배출된 냉각가스는 상기 강관이송부를 따라 이동되는 강관과 열교환한 후 내부하우징의 측면으로 이동된 후 상기 가스회수관을 통해 상기 송풍팬으로 회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가스는 건조 연소성가스(DRY EX-GAS)가 사용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강관을 1분당 100℃ 이상으로 급냉시킬 수 있도록 냉각가스를 송풍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급냉시스템은 저온의 냉각가스를 강관으로 공급하여 강관의 전영역을 고르게 급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강관의 전영역의 경도 산포가 고르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급냉시스템은 냉각가스가 강관의 상부와 하부를 향해 공급되고, 내부하우징의 측벽을 따라 회수되는 경로를 따라 내부가스가 순환된다. 이러한 순환경로를 따라 공급되는 냉각가스의 공급속도와 공급량 및 온도를 조절하여 강관의 온도를 분당 100℃ 이상으로 급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관의 시간에 따른 냉각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희망하는 경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관열처리시스템은 강관과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를 냉각수를 이용해 냉각한다. 이때, 냉각수의 온도와 공급량 및 공급속도를 조절하여 냉각가스의 온도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이 적용된 강관열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이 적용된 강관열처리시스템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의 강관급냉이송장치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강관급냉이송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강관급냉이송장치의 냉각가스의 흐름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강관급냉이송장치의 냉각가스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의 강관급냉이송장치와 냉각수냉각장치의 열교환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을 통해 강관이 급냉될 때 온도변화를 도시한 결과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급냉시스템(30)이 적용된 강관열처리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열처리시스템(1)은 강관을 열처리하는 열처리장치(10)와, 열처리된 강관을 급냉시켜 강관의 경도를 상승시키는 강관급냉시스템(30)과, 급냉된 강관을 서냉시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온도로 냉각시키는 서냉장치(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강관은 다양한 종류의 금속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합금 강관이다. 열처리는 강관의 종류에 따라 어닐링, 노멀라이징, 템퍼링, 담금질이 사용될 수 있다. 열처리장치(10)는 강관의 종류와 열처리종류에 따라 1000℃까지의 온도로 강관을 가열하게 된다.
강관은 열처리장치(10) 내부를 이송하며 열처리되고,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30)으로 이송되며 급냉된다.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30)은 분당 100℃ 이상으로 강관을 급냉시켜 강관의 경도를 상승시킨다. 특히, 시간대별 온도를 정확하게 조절하여 강관의 경도와 산포 분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강관급냉시스템(30)을 경유하며 급냉된 강관은 서냉장치(20)를 경유하며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온도범위로 서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30)은 강관을 이송하며 저온의 냉각가스를 이용해 강관을 급냉시키는 강관급냉이송장치(100)와, 강관급냉이송장치(100)의 냉각가스와 열교환하여 냉각가스가 저온 상태로 강관급냉이송장치(100) 내부를 순환할 수 있게 하는 냉각가스냉각장치(200)와, 강관급냉이송장치(100)와 냉각가스냉각장치(200)를 제어하여 강관의 냉각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도 4는 강관급냉이송장치(100)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강관급냉이송장치(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강관급냉이송장치(100)는 열처리장치(10)와 서냉장치(20) 사이에 배치되어 열처리장치(10)에서 고온으로 열처리된 강관을 급냉시켜 강관의 경도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강관급냉이송장치(100)는 냉각가스를 이용해 강관을 급냉시킨다.
강관급냉이송장치(100)는 외부하우징(110)과, 외부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하우징(160)과, 내부하우징(160)의 내부에 구비되어 강관을 이송하는 강관이송부(120)와, 내부하우징(160)의 내부에 강관이송부(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냉각가스를 강관이송부(120)로 공급하는 상부가스공급챔버(130)와, 내부하우징(160)의 내부에 강관이송부(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냉각가스를 강관이송부(120)로 공급하는 하부가스공급챔버(140)와, 상부가스공급챔버(130)와 하부가스공급챔버(140)를 연결하는 가스연결관(150)을 포함한다.
또한, 강관급냉이송장치(100)는 냉각가스가 내부하우징(160) 내부를 순환하며 강관과 접촉하여 강관을 급냉시키도록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가스순환부(170)와, 가스순환부(170)로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가스저장부(180)를 포함한다.
외부하우징(110)은 가스순환부(170)와 연결되어 저온의 냉각가스(B1)가 내부하우징(160)으로 공급되고,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가 가스순환부(170)로 복귀되도록 한다. 또한, 외부하우징(110)은 강관의 고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외부하우징(110)의 양단에는 열처리장치(10)로부터 강관이 유입되는 강관유입구(111)와, 강관배출구(미도시)가 각각 관통형성된다. 외부하우징(110)의 상면에는 가스순환부(170)의 가스공급관(173)이 삽입되는 가스유입구(115)와, 가스회수관(175)이 삽입되는 가스배출구(117)가 관통형성된다.
내부하우징(160)은 외부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가스공급챔버(130)와 하부가스공급챔버(140)를 수용하여 강관으로 냉각가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내부하우징(1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강관이 유입 및 배출되는 내부강관유입구(161)와 내부강관배출구(163)가 형성된다. 또한, 내부하우징(160)의 상면에는 가스공급관(173)과 결합되는 내부냉각가스유입구(165)와 가스회수관(175)과 결합되는 내부냉각가스배출구(167)가 형성된다.
여기서, 내부강관유입구(161)와 내부강관배출구(163)는 강관유입구(111) 및 강관배출구(미도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내부냉각가스유입구(165)와 내부냉각가스배출구(167)는 외부하우징(110)의 가스유입구(115)와 가스배출구(117)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강관이송부(120)는 열처리장치(10)에서 열처리된 강관(A)을 내부하우징(160)을 따라 이동시키며 냉각가스가 강관의 전영역에 고르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강관이송부(120)는 내부하우징(160)의 높이방향을 따라 가운데 영역에 배치된다. 강관이송부(120)를 중심으로 내부하우징(160)의 상부에 상부가스공급챔버(130)가 배치되고, 하부에 하부가스공급챔버(140)가 배치된다.
강관이송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며 강관(A)을 이송하는 강관이송롤러(121)와, 강관이송롤러(121)를 구동하는 롤러구동부(125)와, 롤러구동부(125)의 구동력을 복수개의 강관이송롤러(121)로 전달하는 롤러전동수단(123)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강관이송롤러(121)는 내부하우징(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강관이송롤러(121)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하부가스공급노즐(141)로부터 공급되는 냉각가스가 강관(A)에 접촉될 수 있게 한다.
이 때, 각 강관이송롤러(121)의 롤러회전축(121a)의 양단은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110) 외부로 일정 길이 노출된다. 롤러회전축(121a)의 양단은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외부하우징(110)와 내부하우징(160)에 지지되고, 일단은 롤러전동수단(123)에 결합되어 롤러구동부(125)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롤러구동부(125)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며 강관이송부(120)의 강관(A) 이송속도를 조절한다.
상부가스공급챔버(130)와 하부가스공급챔버(140) 및 가스연결관(150)은 내부하우징(160)의 내부에 수용되어 강관이송부(120)를 따라 이송되는 강관(A)으로 냉각가스(B1)를 공급한다.
상부가스공급챔버(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가스(B1)가 유동되는 유동공간을 갖는 챔버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가스공급챔버(130)의 바닥면에는 강관이송부(120)를 향해 냉각가스를 배출하는 상부가스공급노즐(131)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가스공급챔버(130)의 상면에는 가스공급관(173)과 연결되어 저온의 냉각가스(B1)를 공급받는 가스유입관(133)이 형성된다. 가스유입관(133)은 내부하우징(160)의 내부냉각가스유입구(165)를 통해 내부하우징(160)의 내부로 삽입된 가스공급관(173)과 연결되어 냉각가스(B1)를 상부가스공급챔버(130) 내부로 안내한다.
여기서, 상부가스공급챔버(130)의 높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유입관(133) 측으로부터 반대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다(h1>h2). 이렇게 상부가스공급챔버(130)의 높이가 공급받는 쪽에서 반대쪽으로 점차 낮아지게 형성되는 것은 냉각가스가 균일한 속도로 상부가스공급챔버(130)의 끝까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부가스공급챔버(130)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냉각가스(B1)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부가스공급노즐(131)을 따라 하부방향, 즉 강관이송부(120)를 향해 배출된다. 배출되는 냉각가스(B1)는 강관(A)과 접촉하며 열교환되어 강관(A)을 급냉시킨다.
하부가스공급챔버(140)는 강관이송부(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하부가스공급챔버(140)는 가스연결관(150)을 통해 상부가스공급챔버(130)로부터 냉각가스(B1)를 공급받는다. 가스연결관(15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151)은 상부가스공급챔버(130)에 연통되게 결합되고, 하단(153)은 하부가스공급챔버(140)에 연통되게 결합된다.
냉각가스(B1)가 상부가스공급챔버(130)로 이동되면 송풍팬(171)의 공급압력에 의해 가스연결관(150)을 따라 하부가스공급챔버(140)로 이동된다.
하부가스공급챔버(140)는 냉각가스(B1)가 유동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냉각가스(B1)를 강관이송부(120)로 배출하는 하부가스공급노즐(141)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가스공급챔버(130)와 하부가스공급챔버(140)의 폭은 내부하우징(160)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A)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가 상부가스공급챔버(130) 및 하부가스공급챔버(140)와 내부하우징(160) 사이의 이격공간을 따라 이동되어 내부하우징(160)의 내부냉각가스배출구(167)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냉각가스(B1)는 상부가스공급챔버(130)의 상부가스공급노즐(131)을 통해 강관(A)의 상부로 배출되고, 동시에 하부가스공급챔버(140)의 하부가스공급노즐(141)을 통해 강관(A)의 하부를 향해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냉각가스(B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스공급챔버(130)와 하부가스공급챔버(14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되며 강관(A)의 전영역에 균일하게 접촉하며 열교환하게 된다.
강관(A)과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는 내부하우징(160)의 측벽 측으로 이동되고 내부냉각가스배출구(167)로부터 인가되는 음압에 의해 내부냉각가스배출구(167)로 배출된다.
여기서, 냉각가스(B1)가 이동되는 속도와 유량 및 온도에 따라 강관(A)이 냉각되는 온도가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가스순환부(170)는 저온의 냉각가스(B1)를 내부하우징(160) 내부로 공급하여 냉각가스(B1)가 강관(A)과 접촉하며 열교환하여 강관(A)을 냉각시키고, 강관(A)과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를 다시 회수하여 온도를 낮추어 내부하우징(160)으로 재공급하는 순환경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가스순환부(170)는 냉각가스(B1)를 내부하우징(160)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압력을 형성하는 송풍팬(171)과, 송풍팬(171)을 구동하는 팬구동모터(172)와, 송풍팬(171)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냉각가스(B1)를 상부가스공급챔버(130)로 안내하는 가스공급관(173)과, 강관(A)과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를 내부하우징(160)으로부터 회수하는 가스회수관(175)과, 가스공급관(173)의 경로상에 배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를 냉각시키는 가스열교환실(177)을 포함한다.
송풍팬(171)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수용관(171a)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팬수용관(171a)은 가스공급관(173)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팬수용관(171a)의 일측은 가스저장부(180)와 연결된다. 가스저장부(180)와 팬수용관(171a)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가스이송관(미도시)으로 연결되고, 가스이송관(미도시)의 경로상에는 가스공급밸브(181)가 개폐되게 결합된다. 가스공급밸브(181)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개폐된다.
가스공급밸브(181)가 개방되고 가스이송관(미도시)을 따라 팬수용관(171a) 내부로 이동된 냉각가스(B1)는 송풍팬(171)의 회전에 의해 가스공급관(173)을 따라 이동된다. 송풍팬(171)은 블로워로 구비되어 가스공급관(173)으로 냉각가스를 공급한다.
한편, 팬수용관(171a)의 하부로 가스회수관(175)이 결합된다. 송풍팬(171)이 회전되면 냉각가스(B1)가 가스공급관(173)을 따라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가스회수관(175)으로 음압이 형성된다. 가스회수관(175)에 형성된 음압이 내부하우징(160)으로 전달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가 송풍팬(171) 쪽으로 회수될 수 있다.
가스공급관(173)은 일단은 팬수용관(171a)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가스공급챔버(130)의 가스유입관(133)과 결합된다. 가스공급관(173)의 관로상에 열교환부(210)가 수용되는 가스열교환실(177)이 구비된다.
가스공급관(173)은 가스이송관(미도시)로부터 새롭게 유입된 냉각가스(B1)와 가스회수관(175)을 통해 회수된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를 함께 이송한다. 가스공급관(173)을 따라 이동되는 새롭게 유입된 냉각가스(B1)와 가스회수관(175)을 통해 회수된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는 열교환부(210)와 열교환을 통해 저온으로 냉각되어 가스유입관(133)으로 공급된다.
가스유입관(133)으로 유입된 저온의 냉각가스(B1)는 강관(A)과 열교환하며 강관(A)을 급냉하고 내부하우징(160)의 내벽면을 따라 이동된 후 가스회수관(175)으로 회수된다. 이 때, 가스유입관(133)을 통해 유입된 냉각가스(B1) 중 가스회수관(175)으로 회수되는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는 일부분이고 나머지는 내부냉각가스유입구(165)와 내부냉각가스배출구(16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가스저장부(180)는 냉각가스를 저장하고 가스순환부(170)로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가스는 저온의 탄화수소계의 연소성가스(DRY EX-GAS)이다. LNG, LPG, 부탄과 같은 탄화수소계의 가스를 적절한 비율의 공기과 혼합하여 연소시키면 수분을 함유한 열(또는 미)분해된 연소 가스가 생성된다. 이 연소 가스를 EX(EXOTHERMIC)-GAS라 한다. 열처리시에 금속을 산화시키는 수분을 탈수 및 제거한 EX-GAS를 DRY EX-GAS라 한다.
본 발명의 냉각가스는 상술한 DRY EX-GAS를 10~25℃의 저온상태로 이동시켜 강관(A)을 급냉시킨다.
냉각가스냉각장치(200)는 강관(A)과 열교환하여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를 다시 저온상태로 냉각한다. 본 발명의 냉각가스냉각장치(200)는 물을 이용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를 냉각시킨다.
냉각가스냉각장치(200)는 강관급냉이송장치(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1차냉각수(D1)를 강관급냉이송장치(100)로 공급하여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와 열교환하여 냉각시킨다. 냉각가스냉각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냉각수(D1)가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210)와, 1차냉각수(D1)가 열교환부(210)와 복합냉각모듈(230) 사이를 순환하도록 구동력을 형성하는 1차냉각수순환펌프(220)와,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1차냉각수(D2)를 냉각시키는 복합냉각모듈(230)을 포함한다.
열교환부(210)는 가스순환부(170)의 가스열교환실(177) 내에 구비된다. 도 8은 열교환부(2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210)는 가스열교환실(177)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열교환부(210)는 내부에 1차냉각수가 유동되는 유동관 형태로 형성된다. 열교환부(210)는 가스열교환실(177) 내부로 이동되는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와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판면에 방열핀(211)이 형성된다. 방열핀(211)은 열교환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는 가스공급관(173)을 따라 가스열교환실(177)로 유입되고, 열교환부(210)와 방열핀(211) 사이로 이동되며 열교환되어 저온으로 냉각된다. 저온으로 냉각된 냉각가스(B1)는 가스유입관(133)을 통해 상부가스공급챔버(130)로 공급된다.
1차냉각수순환펌프(220)는 복합냉각모듈(230)에서 온도가 하강된 저온의 1차냉각수(D1)가 열교환부(210)로 이동하고, 열교환부(210)에서 냉각가스(B2)와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1차냉각수(D2)가 복합냉각모듈(230)로 이동되도록 한다. 1차냉각수순환펌프(220)의 구동력에 의해 1차냉각수는 복합냉각모듈(230)과 열교환부(210)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1차냉각수순환펌프(220)는 강관급냉이송장치(100)와 복합냉각모듈(230)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1차냉각수배출관(215)은 복합냉각모듈(230)과 연결되고, 1차냉각수공급관(235)은 1차냉각수순환펌프(220)와 연결된다.
복합냉각모듈(230)은 냉각가스(B2)와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1차냉각수(D2)를 2차냉각수(W)와 외기를 이용해 냉각시킨다. 복합냉각모듈(230)은 내부에 2차냉각수(W)가 수용되는 하우징(231)과, 하우징(231)의 내부에 배치되며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1차냉각수(D2)가 유동되는 1차냉각수이동관(233)과, 1차냉각수이동관(233)의 상부에 구비되어 1차냉각수이동관(233)으로 2차냉각수(W)를 분사하는 2차냉각수분사관(236)과, 하우징(231) 하부의 2차냉각수저장공간(234)에 수용된 2차냉각수(W)를 2차냉각수분사관(236)으로 공급하는 2차냉각수공급펌프(237)와, 2차냉각수공급펌프(237)와 2차냉각수분사관(236)을 연결하는 2차냉각수공급관(235)과, 하우징(231)의 상부에 구비되어 1차냉각수이동관(233)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냉각팬(239)을 포함한다.
하우징(231)은 내부에 2차냉각수(W)가 수용되는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231)의 가운데 영역에는 1차냉각수이동관(233)이 지그재그형태로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된다. 2차냉각수분사관(236)은 1차냉각수이동관(233)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하부에 2차냉각수(W)를 1차냉각수이동관(233)으로 분사하는 2차냉각수분사노즐(236a)이 복수개 배치된다.
열교환부(210)에서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1차냉각수(D2)는 1차냉각수배출관(215)을 통해 1차냉각수이동관(233)으로 이동된다. 지그재그 형태로 일정길이 형성된 1차냉각수이동관(233)을 따라 1차냉각수(D2)가 이동하며, 2차냉각수분사노즐(236a)로부터 분사되는 2차냉각수(W)와 접촉하여 온도가 하강된다. 또한, 이 때 하우징(231) 상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냉각팬(239)에서 공급되는 외기도 1차냉각수이동관(233)과 접촉하며 열교환을 하여 보다 빠르게 1차냉각수(D2)의 온도가 떨어질 수 있다.
2차냉각수(W)와 외기에 의해 복합적으로 온도가 떨어진 저온의 1차냉각수(D1)는 1차냉각수순환펌프(220)와 1차냉각수유입관(213)을 경유하여 열교환부(210)로 공급된다.
1차냉각수(D1)가 열교환부(210)로 공급되는 온도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즉, 2차냉각수공급펌프(237)를 통한 2차냉각수의 공급량과 냉각팬(239)의 구동을 조절하여 1차냉각수(D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1차냉각수(D1)의 온도조절에 의해 냉각가스(B1)의 온도도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열처리된 합금 강관의 종류에 따라 냉각가스의 온도와 공급속도 및 유량, 그리고 냉각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1차냉각수의 공급량과 유량을 조절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00)는 가스저장부(180)로부터 냉각가스가 송풍팬(171)으로 계속 공급되도록 가스공급밸브(181)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팬구동모터(172)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냉각가스(B1)가 강관급냉이송장치(100) 내부를 순환하는 순환속도를 조절한다. 냉각가스(B1)의 순환속도가 빨라질수록 강관(A)과 냉각가스(B1)가 접촉하는 시간이 길어져 강관(A)의 냉각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이 경우 1차냉각수의 순환속도도 빨라지도록 1차냉각수순환펌프(220)의 구동속도로 조절한다.
이러한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강관(A)은 희망하는 경도에 맞도록 급냉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강관(A)이더라도 급냉하는 속도를 정확하게 조절하여 희망하는 경도를 정밀하게 맞출수 있다. 또한, 냉각가스에 의해 강관을 급냉하게 되므로 종래 냉각수에 의해 급냉시 경도의 산포가 불균일했던 것과 비교할 때, 강관 전영역에 균일한 경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0)는 냉각가스(B1)에 의해 강관(A)을 분당 최소 100℃ 이상 급냉시키게 된다. 경우에 따라 분당 300~400℃까지 급냉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급냉과정에 의해 열처리후 경도가 너무 낮았던 16Mn, 40Cr, 30Mo와 같은 특수 합금강으로 제조된 강관의 경도도 희망하는 수치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급냉시스템(30)을 이용한 강관열처리과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A)은 열처리장치(10)를 따라 이동하며 그에 맞은 열처리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강관급냉이송장치(100)로 강관(A)이 이동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A)은 외부하우징(110)의 강관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고, 내부하우징(160)의 내부강관유입구(161)로 유입된다. 이 때, 내부하우징(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강관이송롤러(121)가 회전하며 강관(A)을 이동시킨다.
이 때, 강관(A)은 열처리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나 통상 700~900℃전후의 고온상태로 이송된다.
가스저장부(180)는 냉각가스를 공급하고, 가스공급밸브(181)가 개방됨에 따라 냉각가스는 팬수용관(171a) 측으로 공급된다. 송풍팬(171)이 팬구동모터(172)에 의해 회전하며, 냉각가스(B1)를 가스공급관(173)으로 송풍한다. 냉각가스는 송풍팬(171)의 송풍압력에 의해 가스공급관(173)을 따라 이동된다.
이 때, 가스공급관(173)의 경로상에 배치된 가스열교환실(177)에서 열교환부(210)와 접촉되면서 냉각가스(B1)는 저온으로 냉각된다. 냉각가스(B1)는 통상 10~25℃ 범위의 저온으로 냉각된다.
저온의 냉각가스(B1)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스공급챔버(130)의 가스유입관(133)을 통해 상부가스공급챔버(130)로 이동된다. 상부가스공급챔버(130)로 이동된 냉각가스(B1)는 상부가스공급챔버(130)의 후단부로 이동되며 상부가스공급노즐(131)을 통해 강관(A)으로 배출된다. 또한, 냉각가스(B1)는 가스연결관(150)을 통해 하부가스공급챔버(140)로 이동되고, 하부가스공급노즐(141)을 통해 강관(A)으로 배출된다.
즉, 강관(A)의 상부와 하부에서 냉각가스(B1)가 함께 공급되면서 고온의 강관(A)을 급냉시킨다. 이 때, 제어부(300)는 강관(A)의 희망하는 경도를 맞출 수 있도록 시간대별 냉각속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냉각가스(B1)의 공급속도와 공급량 및 온도를 조절한다.
동일한 재질의 강관이더라도 냉각되는 속도에 따라 상이한 경도를 나타내므로 해당 강관의 목적에 맞는 경도를 나타내도록 냉각속도를 조절한다.
강관(A)으로 배출되어 강관(A)과 열교환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B2)는 내부하우징(160)의 양측벽을 따라 이동되고, 가스회수관(175)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가스회수관(175)으로 회수되지 못하는 냉각가스(B2)는 내부강관유입구(161)와 내부강관배출구(16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가스회수관(175)으로 회수된 냉각가스(B2)는 송풍팬(171)의 회전에 의해 다시 가스공급관(173)으로 이동된다. 이 때, 가스저장부(180)로부터 계속하여 새로운 냉각가스가 송풍팬(171)으로 공급된다.
새로운 냉각가스(B1)와 회수된 냉각가스(B2)는 가스공급관(173)으로 이동되고, 가스열교환실(177)에서 열교환부(210)에 의해 냉각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210)와 방열핀(211) 사이로 회수된 냉각가스(B2)와 새로운 냉각가스가 이동되면서 열교환부(210)를 따라 이동되는 1차냉각수(D1)와 열교환하여 저온으로 냉각된다.
냉각된 저온의 냉각가스(B1)는 다시 내부하우징(160)으로 공급되어 강관(A)을 급냉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각가스가 연속하여 순환하며 강관을 급냉하게 된다.
한편, 1차냉각수(D1)는 열교환부(210)에서 회수된 냉각가스(B2)와 열교환하면서 온도가 상승된다. 온도가 상승된 1차냉각수(D2)는 1차냉각수배출관(215)을 통해 배출되어 냉각가스냉각장치(200)의 복합냉각모듈(230)로 유입된다. 온도가 상승된 1차냉각수(D2)는 1차냉각수이동관(233)을 따라 이동된다.
이 때, 2차냉각수(W)는 2차냉각수공급펌프(237)에 의해 2차냉각수공급관(235)으로 이동되고, 2차냉각수분사관(236)을 따라 이동된 후 2차냉각수분사노즐(236a)을 통해 1차냉각수이동관(233)으로 분사된다. 2차냉각수(W)가 1차냉각수이동관(233)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1차냉각수(D1)를 냉각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하우징(231)의 상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냉각팬(239)이 구동되면서 1차냉각수이동관(233)으로 외기를 공급하여 1차냉각수(D1)를 냉각하게 된다. 2차냉각수(W)와 외기에 의해 복합적으로 냉각된 1차냉각수(D1)는 1차냉각수순환펌프(220)에 의해 다시 열교환부(210)로 이동되어 회수된 냉각가스(B2)의 냉각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30)을 따라 이송되며 급냉되어 경도가 상승된 강관(A)은 서냉장치(20)를 따라 이동되며 서냉된 후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30)을 따라 이동되며 급냉되는 강관(A)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강관(A)은 직경 50mm의 합급강 소재이다. 그래프의 X축은 시간을 분 단위로 나타내었고, Y축은 온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처리장치(10)에서 열처리과정을 거치며 890℃로 상승된 강관(A)이 강관급냉시스템(30)으로 이동되고, 초기 2분 30초의 시간(Δt1)동안 890℃에서 600℃까지 급냉된다. 그리고, 이후 30초의 시간(Δt2) 동안 600℃에서 493℃로 급냉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강관급냉이송장치(100)에서 강관(A)이 이동되며 분당 100℃ 이상으로 급냉되며 경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급냉이송장치(A)는 냉각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각 시간구간대별 냉각속도를 정확하게 컨트롤하여 희망하는 경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관급냉스템은 저온의 냉각가스를 강관으로 공급하여 강관의 전영역을 고르게 급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강관의 정영역의 경도 산포가 고르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열처리시스템은 냉각가스가 강관의 상부와 하부를 향해 공급되고, 내부하우징의 측벽을 따라 회수되는 경로를 따라 내부가스가 순환된다. 이러한 순환경로를 따라 공급되는 냉각가스의 공급속도와 공급량 및 온도를 조절하여 강관의 온도를 분당 100℃ 이상으로 급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관의 시간에 따른 냉각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희망하는 경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관열처리시스템은 강관과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를 냉각수를 이용해 냉각한다. 이때, 냉각수의 온도와 공급량 및 공급속도를 조절하여 냉각가스의 온도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강관급냉시스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강관열처리시스템 10 : 열처리장치
20 : 서냉장치 30 : 강관급냉시스템
100 : 강관급냉각이송장치 110 : 외부하우징
111 : 강관유입구 115 : 가스유입구
117 : 가스배출구 120 : 강관이송부
121 : 강관이송롤러 121a :롤러회전축
123 : 롤러전동수단 125 : 롤러구동부
130 : 상부가스공급챔버 131 : 상부가스공급노즐
133 : 가스유입관 140 : 하부가스공급챔버
141 : 하부가스공급노즐 150 : 가스연결관
160 : 내부하우징 161 : 내부강관유입구
163 : 내부강관배출구 165 : 내부냉각가스유입구
167 : 내부냉각가스배출구 170 : 가스순환부
171 : 송풍팬 171a : 팬수용관
172 : 팬구동모터 173 : 가스공급관
175 : 가스회수관 177 : 가스열교환실
180 : 가스저장부 181 : 가스공급밸브
200 : 냉각가스냉각장치 210 : 열교환부
211 : 방열핀 213 : 1차냉각수유입관
215 : 1차냉각수배출관 220 : 1차냉각수순환펌프
230 : 복합냉각모듈 231 : 하우징
233 : 1차냉각수이동관 234 : 2차냉각수저장공간
235 : 2차냉각수공급관 236 : 2차냉각수분사관
236a : 2차냉각수분사노즐 237 : 2차냉각수공급펌프
239 : 냉각팬 300 : 제어부

Claims (11)

  1. 강관급냉시스템에 있어서,
    열처리부를 경유하며 온도가 상승된 강관으로 저온의 냉각가스를 순환시켜 강관을 급냉시키는 강관급냉이송장치와;
    상기 강관급냉이송장치에서 강관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를 저온으로 냉각시키는 냉각가스냉각장치와;
    상기 강관급냉이송장치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가스의 공급온도와 냉각가스의 공급량 및 공급속도를 제어하여 강관의 시간대별 급냉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관급냉이송장치는,
    강관을 이송하는 강관이송부와;
    상기 강관이송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냉각가스가 유동되며, 상기 강관이송부를 향해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상부가스공급챔버와;
    상기 강관이송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냉각가스가 유동되며, 상기 강관이송부를 향해 상기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하부가스공급챔버와;
    상기 상부가스공급챔버와 상기 하부가스공급챔버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가스공급챔버로 유입된 냉각가스를 상기 하부가스공급챔버로 공급하는 가스연결관과;
    상기 강관이송부, 상기 상부가스공급챔버, 상기 하부가스공급챔버 및 상기 가스연결관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면에 내부냉각가스유입구와 내부냉각가스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내부하우징과;
    상기 냉각가스유입구를 통해 상기 상부가스공급챔버와 상기 하부가스공급챔버로 냉각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내부하우징 내부에서 강관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를 회수하여 냉각가스가 순환되도록 하는 가스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가스냉각장치는,
    상기 강관급냉이송장치 내부에 냉각가스의 공급경로 상에 구비되며, 내부에 1차냉각수가 이동되며 상기 강관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를 냉각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냉각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1차냉각수를 냉각하는 복합냉각모듈과;
    상기 복합냉각모듈에서 냉각된 1차냉각수가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복합냉각모듈 사이를 순환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냉각수순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냉각수의 온도, 공급량 및 공급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가스의 공급온도를 제어가능하고,
    강관의 온도를 분당 100℃ 이상으로 급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급냉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냉각모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도가 상승된 1차냉각수가 유동되는 1차냉각수이동관과;
    2차냉각수를 상기 1차냉각수이동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2차냉각수공급관과;
    상기 2차냉각수공급관과 연결되며 2차냉각수를 상기 1차냉각수이동관을 향해 분사하는 2차냉각수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급냉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상기 1차냉각수이동관으로 외기를 공급하여 1차냉각수이동관 내부의 1차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급냉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냉각가스의 공급경로 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표면에 방열핀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급냉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순환부는,
    상기 내부하우징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상기 내부냉각가스유입구를 연결하며, 상기 송풍팬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가스를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부냉각가스유입구로 공급하는 가스공급관과;
    상기 송풍팬과 상기 내부냉각가스배출구를 연결하며,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상기 강관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강관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가스를 상기 송풍팬으로 복귀시키는 가스회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급냉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을 향해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가스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급냉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스공급챔버는 바닥면에는 상기 강관이송부를 향해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상부가스공급노즐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가스공급챔버의 상면에는 상기 강관이송부를 향해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하부가스공급노즐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급냉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스공급노즐과 상기 하부가스공급노즐로 배출된 냉각가스는 상기 강관이송부를 따라 이동되는 강관과 열교환한 후 내부하우징의 측면으로 이동된 후 상기 가스회수관을 통해 상기 송풍팬으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급냉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가스는 건조 연소성가스(DRY EX-GAS)가 사용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강관을 1분당 100℃ 이상으로 급냉시킬 수 있도록 냉각가스를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급냉시스템.
KR1020150099548A 2015-07-14 2015-07-14 합금강 강관급냉시스템 KR101598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548A KR101598904B1 (ko) 2015-07-14 2015-07-14 합금강 강관급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548A KR101598904B1 (ko) 2015-07-14 2015-07-14 합금강 강관급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904B1 true KR101598904B1 (ko) 2016-03-02

Family

ID=5558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548A KR101598904B1 (ko) 2015-07-14 2015-07-14 합금강 강관급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9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019B1 (ko) * 2018-09-18 2019-05-15 장근수 강관냉각이송장치
KR102334982B1 (ko) * 2021-03-29 2021-12-02 장근수 강관냉각이송장치
CN113755676A (zh) * 2021-10-14 2021-12-07 常熟市常力紧固件有限公司 一种高强度汽车螺栓用热处理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230A (ja) * 1995-01-23 1996-08-06 Ald Vacuum Technol Gmbh ワークを冷却する方法と装置
JPH09291316A (ja) * 1996-04-26 1997-11-11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のガスジェット冷却装置
KR200284723Y1 (ko) * 2002-04-08 2002-08-10 문상우 가정용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KR101255590B1 (ko) * 2012-12-04 2013-04-16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냉각탑을 구비한 외기냉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230A (ja) * 1995-01-23 1996-08-06 Ald Vacuum Technol Gmbh ワークを冷却する方法と装置
JPH09291316A (ja) * 1996-04-26 1997-11-11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のガスジェット冷却装置
KR200284723Y1 (ko) * 2002-04-08 2002-08-10 문상우 가정용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KR101255590B1 (ko) * 2012-12-04 2013-04-16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냉각탑을 구비한 외기냉방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019B1 (ko) * 2018-09-18 2019-05-15 장근수 강관냉각이송장치
KR102334982B1 (ko) * 2021-03-29 2021-12-02 장근수 강관냉각이송장치
CN115125383A (zh) * 2021-03-29 2022-09-30 张根守 钢管冷却移送装置
CN115125383B (zh) * 2021-03-29 2023-03-21 张根守 钢管冷却移送装置
CN113755676A (zh) * 2021-10-14 2021-12-07 常熟市常力紧固件有限公司 一种高强度汽车螺栓用热处理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945B1 (ko) 합금강 강관급냉이송장치
KR101598904B1 (ko) 합금강 강관급냉시스템
JP4480231B2 (ja) 金属製ワークピースのコンベクション式ろう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588661B2 (ja) ミスト冷却装置及び熱処理装置
US6693263B2 (en) Convection type brazing apparatus for metal workpieces
US10842176B2 (en) Facility for thawing or tempering frozen food products
US6903306B2 (en) Directional cooling system for vacuum heat treating furnace
KR101830802B1 (ko) 파이프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열처리 방법
KR100722859B1 (ko) 진공로
JP2000510810A (ja) 調質炉内でのガラス板の加熱
JP2001012856A5 (ko)
RU263454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шаров
JP2007046073A (ja) 連続式金属熱処理システム
KR101857455B1 (ko) 공업로용 열회수형 냉각장치
KR101979019B1 (ko) 강관냉각이송장치
KR20180041393A (ko) 철재 유도가열 가공시스템
JPS6318649B2 (ko)
JP7149259B2 (ja) 熱処理装置
CN215713142U (zh) 一种回火炉
JP4981543B2 (ja) 熱処理装置
KR20090005504A (ko) 고온 소재 이송롤 냉각장치
KR101699234B1 (ko) 연속소둔로의 스트립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KR101909794B1 (ko) 담금질 장치
RU2605857C2 (ru) Печь для обжига стеклянных блоков
JP5615003B2 (ja) 連続加熱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