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810B1 -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작한 터치스크린형 휴대용 촉지도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작한 터치스크린형 휴대용 촉지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810B1
KR101598810B1 KR1020140090318A KR20140090318A KR101598810B1 KR 101598810 B1 KR101598810 B1 KR 101598810B1 KR 1020140090318 A KR1020140090318 A KR 1020140090318A KR 20140090318 A KR20140090318 A KR 20140090318A KR 101598810 B1 KR101598810 B1 KR 10159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m
pictogram
base
touch scree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253A (ko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김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우 filed Critical 김동우
Priority to PCT/KR2015/00597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94802A1/ko
Publication of KR2015014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4Devices for conversing with the deaf-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의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작한 휴대용 촉지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10), 지도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15)로 이루어진 베이스홈들을 형성하는 베이스판(B)을 제작하는 베이스판 제작단계,
상기 베이스판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베이스판의 상측의 홈구조와 일치하도록 촉지도용 촉지원판(C)을 적재하는 촉지원판 적재단계,
상기 베이스판 제작단계에서 제작한 베이스판의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위치에서 적재된 촉지도용 촉지원판에 절삭수단(S)에 의하여 점가이드홈(20),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형성하는 가이드홈 형성단계,
상기 가이드홈 형성단계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촉지도용 촉지원판(C)에 형성된 점가이드홈(20)과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따라 돌출수단(E)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압박돌출하여 점자(30),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형태의 픽토그램(35)을 제작하는 문자 및 픽토그램 형성 단계,
점자 및 픽토그램이 형성된 촉지판의 양측에 조립부를 형성하는 조립부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으로 휴대용 촉지판을 제작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판에 형성한 점자와 픽토그램과 대응되는 문자와 선, 면으로 구성한 지형지물을 스크린상에 출력한 터치스크린을 터치패드상에 출력하며, 출력된 터치패드상면에 상기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을 조립한 터치스크린형 휴대용 촉지도를 함께 개발하였다.
따라서 눈이 안 보이는 장애인이 터치 스크린과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판을 조합하여 다양하고 광범위한 구조의 국공립 관공서, 공공기관, 지하철, 공원 등의 모든 시설을 정상인의 도움이 없이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작한 터치스크린형 휴대용 촉지도{Process of tactile map connecting with smart phone and its portable tactile map}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이 실내외에서 휴대하여 효율적인 보행과 편리한 시설이용이 확보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동작이 가능한 촉지도에 의하여 스크린상의 지도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형 휴대용 촉지도를 포함한다.
시각 장애인은 시각을 대신하여 손끝을 볼록하게 튀어나온 점자 혹은 픽토그램, 건물내외벽선 그리고 도로선 등을 촉지하여 보행로, 시설의 확인이 가능하게 한 것이 촉지도(囑地圖 = Tactile maps)이다.
이러한 촉지도는 제작방법에 따라, 금속재질의 자재를 화학약품으로 부식하여 점자를 형성한 금속부식형 촉지도, 합성수지재질의 자재를 합성수지를 용해하는 화학약품으로 부식하여 점자를 형성한 수지부식형 촉지도 그리고 열로 용해된 수지를 판상의 자재에 떨어뜨려 인쇄하는 방식으로 점자나 픽토그램을 형성하는 인쇄형식의 촉지도 등으로 구분한다.
부식방법에 의한 촉지도 제작은 펼쳐진 실크천에 유재막을 형성해 원하는 글과 도형을 각인하는 각인단계, 각인된 실크천을 이용하여 촉지도 자재를 에칭잉크로 인쇄하는 인쇄단계, 인쇄된 촉지도 자재를 부식하여 점자를 형성하는 부식단계, 부식된 촉지도 자재 표면에 잔류하는 인쇄막을 가성소다로 탈막하는 탈막단계, 촉지도 자재의 표면에 페인팅하는 페인팅단계, 페인팅된 촉지도 자재의 건조 및 점자 표면의 페인팅을 제거하고 센드 페이퍼로 헤어라인작업 후 다시 2차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마지막으로 촉지도 자재 표면을 투명 코팅하는 코팅단계의 공정으로 제작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작되는 부식방식은 점자의 형상이 장애인이 가장 쉽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는 반구형이 아닌 각진 원뿔절단형으로 시각장애인으로 점자를 인식하면서 끝단이 첨예한 구조로 형성되면서 일반인의 눈에 해당하는 촉지할 손을 베어버리는 단점을 갖고 있다.
수지를 용융하여 인쇄하는 인쇄형식 점자촉지도는 반구형이고 손을 다치지 않는 다는 잇점이 있으나, 일정기간이 지나면 수지판재와 합성수지 인쇄가 노화로 인하여 분리되어 사실상 점자나 픽토그램을 상실하게 되어버리면서,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현재도 가장 원시적이지만 가장 안전한 도 1a 와 1b에 도시한 합성수지나 금속의 판재를 문자를 돌출시켜준 구조의 수작업에 의한 촉지도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촉지도에 대한 다양한 방식으로 인하여 혼란을 발생함에 따라 사단법인 한국시각장애인 연합회에서는 2014년 4월 4일짜로 시각장애인용 촉지도에 대한 단체표준안을 제정하였다.
상기 표준안에서는 촉지도(tactile maps)는 시각장애인에게 주요 편의시설 및 사무실, 방의 배치, 이동 공간 위치정보를 돌출된 선과 양각면, 점자, 촉지기호 등으로 간략하게 표시하여 만져서 알 수 있는 안내도로 정의하고 있다.
상기 표준안에서 촉지도의 구체적 형식으로 제시한 것은
내부시설물로 출입구, 복도, 계단과 승강기, 에스컬레이터, 종합안내소 등.
위생시설로는 장애인 화장실, 일반 화장실(대변기, 소변기, 세면기), 욕실, 샤워실과 탈의실 등.
안내시설로는 점자블록, 유도 및 안내 설비, 경보 및 피난설비 등.
기타시설로는 관람석, 열람석, 매표소, 자동판매기, 음료대, 작업대, 개찰구 등을 제시하면서
촉지도의 테두리, 건물외형선, 현위치, 픽토그램(Pictogram = Picto 와 telegram의 합성어), 촉지기호를 반드시 돌출형태로 표기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한국 특허 등록제 10-0598815호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하듯이 "촉지도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고정수단이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고정된 촉지도에 점자를 타공할 수 있도록 타공홀이 마련되는 타공바와;
상기 타공바의 타공홀에 가이드되어 촉지도를 가압함으로써 타공하는 타공핀과;
상기 타공바 단부에 결합되어 타공바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 및 고정바와 타공바를 지지하거나 이송을 가이드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촉지도 타공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고정바(110)에 촉지도(C)를 고정하고, 타공핀(130)이 가압하여 촉지도에 점자가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이다. 타공은 손잡이(132)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으로는 박판구조의 금속판에 점자를 아무리 돌출시킨다하여도 0.2 내지 0.5 mm정도로 그 이상으로 돌출할 경우 박판의 금속판 자체가 수많은 점과 선의 눌림으로 평면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변형이 되고 만다.
금속재가 아닌 합성수지 판재의 경우에도 적어도 0.6mm이상의 높이로 픽토그램이나 점자를 위한 돌출높이를 형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즉, 박판의 합성수지 판재에 긴 선을 압박하여 돌출시키면 그 선을 중심으로 양측면이 솟아오르며, 이러한 선이 다시 반대방향, 크로스 방향 등으로 수없이 형성하면 박판의 판재는 요철이 심하게 형성되어 도저히 촉지도로 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의 상부에 별도의 돌출된 선이나 문자를 적층하는 방식이 있으나, 외부 노출되어 불과 몇 개월 지나지 않아 인쇄물이 분리되어 버려 기능이 상실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 촉지도의 또 다른 결정적 단점은 공공장소나 국립공원과 같은 대형 시설물에는 수십개의 시설물과 장애물이 배치되어 있어 입구나 특별한 몇 군데 장소에 설치한 촉지도를 전부 암기하지 않는 이상 사실상 장애인에게 엄청난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예를 들면, 시각 장애인이 국립공원을 방문하고 싶어도 입구에 설치한 촉지도만을 손으로 읽고 나서 수키로 혹은 수십키로에 이르는 넓은 국립공원을 마음껏 누빌 수 있는 것은 사실상 지도 전체를 외운 다음, 일정한 거리마다 촉지도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는 이상 공원을 이용하는 것 자체가 차단될 수 밖에 없다.
또 다른 문제로 설사 상기한 시설물에 장애인이 방문한다 하여도 일반인도 종종 길을 잃고 헤매는 경우가 다반사인 공원의 특성상 눈이 어두운 장애인이 길을 잃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사실이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은 상기 시설물에 대한 접근 조차가 근본적으로 차단되어져 일반인과 같은 삶을 유지하지 못하고 차별받고 있다.
한국 공개 특허 10-2013-0027170호 "시각장애인을 위한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여 길 안내시스템"에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부와;
상기 케이스의 관통공에 각각 장착되면서 승·하강 작동하는 점자를 이용하여 촉지도를 표시하는 점자블록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점자블록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장착되고 전방에 장착되는 감지센서를 통해 물체와 근접시 사용자에게 위험신호를 전달하는 알림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점자블록(40)의 점자(42)가 돌출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고 구성하며, GPS 수신부(61)로 정보를 받아서 회전축에 설치된 작동돌기를 통해 점자가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촉지도를 다양하게 표현한다는 구성이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GPS가 위성을 통하여 정보를 받기 때문에 실내에 진입시 사실상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공공시설물의 일정한 위치마다 상기 이동단말기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송수신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하다.
더군다나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작동돌기가 회전하여 표시할 수 있는 점자는 실제로 표현가능한 모든 문자의 표시가 불가능한 제한된 구조이다.
본 발명은 대형 공공시설물, 공원, 놀이공원과 같은 곳도 장애인이 직접 휴대하여 주변의 주요 시설물에 대한 판별이 가능한 휴대형 촉지도를 개발하여 장애인이 정상인과 동일한 수준의 이용이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휴대용 촉지도에 스마트 기능을 함께 부여하여 휴대용 촉지도의 현재 위치에 대한 안내기능, 위험시 구조신호의 자동적인 송신 그리고 본부에 설치한 중앙서버와의 주기적인 통신으로 독자적으로 공원이나 대형시설물을 방문한 장애인이 일반인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휴대용 촉지도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점자와 픽토그램의 돌출형성함에 있어 반구형의 돌출 높이를 적어도 0.6mm이상으로 구현한 촉지도를 개발하며, 픽토그램에 접촉시 해당 픽토그램의 시설물에 대한 음성메시지를 함께 발생시켜 줄 수 있는 휴대용 촉지도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휴대용 촉지도를 소지한 채 지정한 경로를 이탈하거나 일정한 위험에 처할 경우 장애인의 현재 소재에 대한 즉각적인 송신 신호를 송신가능하게 한 휴대용 촉지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촉지판 제조방법은, 베이스판에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 및 지도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로 이루어진 베이스홈을 형성하는 베이스판 제작단계, 상기 베이스판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에 촉지원판을 적재하는 촉지원판 적재단계, 상기 촉지원판 적재단계에 의하여 적재된 상기 촉지원판에서 상기 점베이스와 상기 픽토그램베이스에 대응한 동일 위치에 절삭수단을 통해 점가이드홈과 픽토그램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가이드홈 형성단계, 상기 가이드홈 형성단계 거친 상기 촉지원판에 별도의 돌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점베이스와 상기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상기 점가이드홈과 상기 픽토그램가이드홈을 가압하여 점자 및 픽토그램을 제작하는 제 문자 및 픽토그램 형성 단계 및 상기 점자 및 상기 픽토그램이 형성된 촉지원판의 양측에 별도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터치패드가 결합되도록 하는 조립부를 형성하는 조립부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립부에 해당 촉지원판의 정보를 고유식별 기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지원판은, 연질의 박판으로 투명재질을 포함한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부는 상기 촉지원판의 양측에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패드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부는 상기 촉지원판의 양측에서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면을 감싸면서 체결되도록 판상형 돌출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촉지도는, 상술한 촉지판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된 촉지판 및 상기 촉지판과 결합되며, 상기 촉지판에 형성된 상기 점자와 상기 픽토그램에 대응하여 문자와 선, 면으로 구성한 지형지물을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출력하는 터치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촉지판과 상기 터치패드 사이에 구비되어 양자의 밀착성과 전기전도성을 강화하는 감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벼운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점자와 픽토그램을 적어도 0.6 mm이상의 높이로 돌출 형성함에 따라 시각 장애인이 종래의 부식법이나 인쇄법 혹은 타공법에 의한 촉지도에 비하여 보다 손쉽게 정확한 인식이 가능한 촉지도를 개발하였으며, 특히 이 촉지도를 휴대할 수 있게 구성하여 지역적 제한을 받지않고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신호 발생 수단으로 RF ID등의 NFC 카드를 내장함에 따라 신호인식 및 음성발생장치의 접근시 해당 지역에 대한 음성을 발생하여 장애인이 즉시 인식할 수 있는 편리성을 높여 주었다.
더 나아가서 기본 크기가 500 * 700 mm이지만, 본 발명의 휴대용촉지도는 휴대하는 특성상 A4 크기정도로 혹은 그보다 작아져서 많은 문장의 점자가 들어갈 수 없지만, 음성을 이용하여 최소의 공간에 많은 양의 문자 정보를 담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점자를 알지못하는 시각장애인과 노인들도 지역 공간 배치와 안내 정보를 음성을 통하여, 정보전달을 확실히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 는 종래 10-2013-0027170호의 이동단말기의 사시도
도 1b 는 종래 10-2013-0027170호의 이동단말기에서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작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베이스판 제작용 장치에 베이스판을 설치하여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공정에 의하여 베이스판을 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공정의 베이스판의 제작 공정을 도시한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공정의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를 제작하는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4 공정에 의한 점자와 픽토그램을 제작하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공정에서 입체적인 픽토그램을 제작하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점자와 픽토그램에 충진제를 충진하는 공정을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의 촉지도와 인쇄층 그리고 음성발생수단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촉지도에 신호인식 및 음성발생장치를 접근시켜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촉지도에 신호인식 및 음성발생장치를 접근시켜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임.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촉지도를 제작하는 방법 그리고 촉지도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한 휴대용 촉지도를 이용한 휴대용 촉지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휴대용 촉지판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10), 지도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15)로 이루어진 베이스홈들을 형성하는 베이스판(B)을 제작하는 베이스판 제작단계,
상기 베이스판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베이스판의 상측의 홈구조와 일치하도록 촉지도용 촉지원판(C)을 적재하는 촉지원판 적재단계,
상기 베이스판 제작단계에서 제작한 베이스판의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위치에서 적재된 촉지도용 촉지원판에 절삭수단(S)에 의하여 점가이드홈(20),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형성하는 가이드홈 형성단계,
상기 가이드홈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촉지도용 촉지원판(C)에 형성된 점가이드홈(20)과 픽토그램가이드홈(25)를 따라 돌출수단(E)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압박돌출하여 점자(30),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형태의 픽토그램(35)을 제작하는 점자 및 픽토그램 형성단계,
점자 및 픽토그램이 형성된 촉지판의 양측에 조립부를 형성하는 조립부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본 발명의 제작 방법을 공정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베이스판 제작 단계
본 발명은 금속판, 합성수지판 혹은 목재를 도 2에 도시하듯이 미도시한 프로그램에 의하여 X, Y, Z의 3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삭가공을 하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장치의 베드에 적재한다.
적재시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이나 목재의 이동과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하부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베이스판이 고정이 되면 화살표 도시하듯이 스핀들모터(M)에 체결된 절삭비트와 같은 장비를 구비한 절삭수단(S)이 X, Y 그리고 Z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10) 그리고 지도상의 각종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15)로 이루어진 베이스홈들을 도 4에 도시하듯이 절삭처리하여 형성한다.
홈의 형성은 제작할 촉지판에 형성할 돌출부 높이에 따라 최저 0.5 mm에서부터 10 mm 까지 형성한다.
2. 촉지원판 적재 단계
상기 베이스판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베이스판의 상측으로 베이스 홈들과 일치하도록 촉지도용 촉지원판(C)을 적재한다.
베이스판에 형성한 베이스홈구조에 맞추어 정확한 촉지용 돌출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촉지도용 촉지원판과 베이스판의 사이에는 전후좌우 사이드에서 고정구로 고정하고, 또한 양자의 사이에는 양면접착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병기하여 위치변동이 없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은 점자의 크기가 불과 Φ1.5mm이고 돌출하는 높이가 지금 현행 기준으로 0.6 에서 0.7mm에 불과하고, 점자간 거리도 2.5 mm정도이므로 1 mm정도의 위치변동이 발생시 전혀 다른 점자와 선과 도형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3. 가이드홈 형성 단계
상기 촉지원판 적재단계에 의하여 적재된 촉지도용 촉지원판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판 제작단계에서 제작한 베이스판에 절삭처리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와 동일한 위치에 절삭수단(S)에 의하여 점 가이드 홈(20)과 픽토그램 가이드 홈(25)을 형성한다.
상기한 점베이스가이드홈과 픽토그램가이드홈은 촉지도용 촉지원판의 두께에 따라 절삭깊이가 촉지도용촉지원판의 전체 두께의 30 내지 60%범위로 절삭처리하여 준다.
가이드홈의 형성은 다음 문자 및 픽토그램 형성단계에서 점가이드홈과 픽토그램가이드홈을 따라 점자, 선, 원등을 형성시에 촉지도용 촉지원판이 휘어지면서 평탄면을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촉지도용 촉지원판은 두께가 0.1에서부터 3 mm정도의 박판으로 구성한다. 그 이유는 현장에 설치시의 중량의 감소는 물론이고 점자와 선, 원 등을 돌출시킬 때에 두께가 두꺼워 질 수 록 돌출에 어려움이 있어 많은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능한 얇은 구조물을 이용한다.
4.점자 및 픽토그램 형성 단계
상기 가이드홈 형성단계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촉지도용 촉지원판(C)에 형성된 점가이드홈(20)와 픽토그램가이드홈(25)를 따라 돌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압박돌출하여 점자를 구성하는 점자(30) 그리고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픽토그램(35)을 형성하여 최종적인 촉지도용 촉지판(T)를 완성한다.
5. 조립부 형성 단계
점자 및 픽토그램이 형성된 촉지판이 통신가능한 터치패드의 상면에 안착할 수 있도록 양측에 조립부를 형성한다.
조립부는 도 8과 9에 도시하듯이 점자 및 픽토그램이 형성된 촉지판의 양측에 조립부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통신용 터치패드에 삽입가능하도록, 조립돌기(101)를 형성하며, 이 조립돌기와 체결되는 조립홈(102)를 터치패드(150)의 양측모서리들에 설치한다.
조립부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0과 11에 도시하듯이 점자 및 픽토그램이 형성된 촉지판의 양측에 조립부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통신용 터치패드의 양측면을 감싸면서 체결하는 판상형 돌출부(110)를 형성하여 하부의 터치패드와 체결한다.
본 발명의 촉지도용촉지판은 합성수지 혹은 비철금속판재로서, 연질이면서 햇빛이나 열, 저온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접촉에 따른 마모가 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 재질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 PVC, ABS,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이 사용가능하며 상기한 가이드 형성과 돌출에 적합한 것은 모두 채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하듯이 최종적인 픽토그램(35)을 돌출 높이를 다양하게 하여 실제 지형지물과 유사한 입체감을 부여하여 입체형 픽토그램(Pictogram)(25a)을 형성하는 것이다.
입체 픽토그램은 계단의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다단으로 입체감을 주며, 승강기의 경우에는 사단법인 시각인장애인 협의회에서 표준으로 제시한 아래 표1 과 같이 평면으로 표시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을 보다 실감있게 입체화 하였다.
픽토그램 명칭 픽토그램
계단
Figure 112014067236418-pat00001


승강기
Figure 112014067236418-pat00002


에스컬레이터
Figure 112014067236418-pat00003


종합안내소
Figure 112014067236418-pat00004

개찰구
Figure 112014067236418-pat00005


경사로
Figure 112014067236418-pat00006

구체적으로는 계단의 경우에는 계단으로 단을 여러 개 돌출시키며, 건물의 경우 일반 아파트형건물과 주택을 구분하도록 지붕형태를 달리하여 장애인이 촉지하는 순간 지형지물을 그대로 숙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입체적 표현은 시각 장애인 뿐 아니라 일반인이라도 손쉽게 주변의 필요 시설물에 대하여 신속한 이해를 돕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10), 지도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15)로 이루어진 베이스홈들을 형성하는 베이스판(B)을 제작하는 베이스판 제작단계,
상기 베이스판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베이스판의 상측의 홈구조와 일치하도록 촉지도용 촉지원판(C)을 적재하는 촉지원판 적재단계,
상기 베이스판 제작단계에서 제작한 베이스판의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위치에서 상기 촉지도용 촉지판에 적재된 촉지도용 촉지원판에 절삭수단(S)에 의하여 점가이드홈(20),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형성하는 가이드홈 형성단계,
상기 가이드홈 형성단계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촉지도용 촉지원판(C)에 형성된 점가이드홈(20)과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따라 돌출수단(E)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압박돌출하여 점자(30),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형태의 픽토그램(35)을 제작하는 점자 및 픽토그램 형성 단계,
점자 및 픽토그램이 형성된 촉지판의 양측에 조립부를 형성하는 조립부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로 제작한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
상기 터치 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에 형성한 점자와 픽토그램과 대응되는 점자와 선, 면으로 구성한 지형지물을 스크린상에 출력한 터치스크린을 터치패드상에 출력하며, 출력된 터치패드상면에 상기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을 조립한 터치스크린형 촉지도이다.
상기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은 해당 지역이 광범위하거나 다층 구조의 건물일 경우에는 다수개 제작한다. 그리고 각각의 촉지판을 식별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점자형태의 식별코드부(33)를 설치한다.
상기 식별코드부는 방문한 지역이 넓거나 다층구조일 경우 다수의 촉지판을 소지하여 순차적으로 터치스크린의 화면에 출력한 지도와 일치한 촉지판을 손쉽게 찾아서 설치할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터치패드의 측면에도 USB메모리 혹은 SD카드와 같은 메모리에 의하여 필요한 지역의 다양한 도면과 음성신호 들을 터치패드에 이식가능한 메모리입력부(37)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이들과 촉지도가 매칭되어 장애인이 타인의 도움없이도 박물관, 국립공원, 관공서 등을 방문하여 필요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터치패드에 촉지도에 도시한 지형지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필요한 대로 출력가능하도록 유도하는 부가스위치(36a)(36b)(36c)들을 설치하였다. 이들 스위치는 예를 들어 부가스위치(36a)를 터치하는 동시에 촉지도상의 특정한 위치를 터치하면 해당 위치까지의 거리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준다. 따라서 장애인은 자신이 가야할 곳의 거리를 알게 된다. 또한 부가스위치(36b)를 터치하는 동시에 촉지도상의 특정한 위치를 터치하면, 해당 위치에 대한 자세한 정보, 예를 들면, 해당 지역이 화장실이라면 화장실의 남여화장실은 어느 방향으로 있으며, 내부에는 어떠한 구조를 갖고 있는지를 알려 주어 사용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부가스위치(36c)를 터치하는 동시에 특정 위치를 동시에 터치하면, 예를 들면, 불국사 다보탑일 경우 다보탑에 대한 상세한 역사적 정보를 출력하여 장애인은 물론이고 일반인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촉지판을 터치스크린에 거치할 경우 터치스크린과의 정밀한 밀착을 위하여 도 12 a 와 12b에 도시하듯이 터치스크린의 4귀 혹은 촉지판의 4귀에 자석흡착식 조립구(39)를 설치한다. 조립구에는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띤 자석을 내장하여 조립구가 만나면서 자력에 의한 흡착으로 촉지판과 터치스크린 사이를 강하게 홀딩하여 주어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하듯이 터치스크린의 4귀에 안내돌기(41)을 설치하여 촉지판을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안내돌기는 단순한 ㄱ 자형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가능하며 촉지판을 터치스크린에 안정되게 유도하는 다양한 형태가 모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4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작한 축지판과 터치스크린 사이에 투명재질의 박판 감응판(60)을 부가 설치하는 것이다. 감응판은 연질로 제작하면서 터치스크린의 상면과 촉지판의 사이에서 양자간의 밀착성을 확보하여 주는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사용중 발생가능한 촉지판과 터치스크린간의 이격에 따른 오동작이 없도록 하였다.
B:베이스판 C:촉지도용 촉지원판, S: 절삭수단 E:돌출수단 T:촉지도용 촉지판, 10:점베이스, 15:픽토그램베이스, 20:점가이드홈, 25:픽토그램가이드홈, 30: 점자, 33:식별코드부 35:픽토그램 37:메모리입력부 41:안내돌기 60:감응판 101:조립돌기 102:조립홈

Claims (8)

  1. 베이스판에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 및 지도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로 이루어진 베이스홈을 형성하는 베이스판 제작단계;
    상기 베이스판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에 촉지원판을 적재하는 촉지원판 적재단계;
    상기 촉지원판 적재단계에 의하여 적재된 상기 촉지원판에서 상기 점베이스와 상기 픽토그램베이스에 대응한 동일 위치에 절삭수단을 통해 점가이드홈과 픽토그램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가이드홈 형성단계;
    상기 가이드홈 형성단계 거친 상기 촉지원판에 별도의 돌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점베이스와 상기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상기 점가이드홈과 상기 픽토그램가이드홈을 가압하여 점자 및 픽토그램을 제작하는 문자 및 픽토그램 형성 단계; 및
    상기 점자 및 상기 픽토그램이 형성된 촉지원판의 양측에 별도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터치패드가 결합되도록 하는 조립부를 형성하는 조립부 형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에 해당 촉지원판의 정보의 고유식별 기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지원판은,
    연질의 박판으로 투명재질을 포함한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상기 촉지원판의 양측에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패드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상기 촉지원판의 양측에서 상기 터치패드의 양측면을 감싸면서 체결되도록 판상형 돌출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촉지판; 및
    상기 촉지판과 결합되며, 상기 촉지판에 형성된 상기 점자와 상기 픽토그램에 대응하여 문자와 선, 면으로 구성한 지형지물을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출력하는 터치패드;
    를 포함하는 휴대용 촉지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촉지판과 상기 터치패드 사이에 구비되어 양자의 밀착성과 전기전도성을 강화하는 감응판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촉지도.
  8. 삭제
KR1020140090318A 2014-06-16 2014-07-17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작한 터치스크린형 휴대용 촉지도 KR10159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5973 WO2015194802A1 (ko) 2014-06-16 2015-06-12 촉지판, 촉지판 제작방법 및 촉지판을 구비한 촉지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2763 2014-06-16
KR1020140072763 2014-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253A KR20150144253A (ko) 2015-12-24
KR101598810B1 true KR101598810B1 (ko) 2016-03-02

Family

ID=550842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318A KR101598810B1 (ko) 2014-06-16 2014-07-17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작한 터치스크린형 휴대용 촉지도
KR1020140090316A KR101598804B1 (ko) 2014-06-16 2014-07-17 음성 안내가능한 휴대용 촉지도의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작한 음성안내 가능한 휴대용 촉지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316A KR101598804B1 (ko) 2014-06-16 2014-07-17 음성 안내가능한 휴대용 촉지도의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작한 음성안내 가능한 휴대용 촉지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988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0546A (ja) 2001-11-07 2003-05-16 Chiri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Co Ltd 視覚障害者用地図認識音声装置
US7106220B2 (en) 2001-09-18 2006-09-12 Karen Gourgey Tactile graphic-based interactive overlay assembly and computer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0643522B1 (ko) 2005-07-21 2006-11-10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점자 일체형 금속판 및 점자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366A (ja) * 1996-07-13 1998-02-03 Puroka Corp:Kk 板材またはシート材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2005128425A (ja) * 2003-10-27 2005-05-19 Ikeno Tsuken Kk 視覚障害者用案内板の設置を促進する方法と視覚障害者用案内板
KR20110100770A (ko) *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티스터디 전자학습지 및 전자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6220B2 (en) 2001-09-18 2006-09-12 Karen Gourgey Tactile graphic-based interactive overlay assembly and computer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JP2003140546A (ja) 2001-11-07 2003-05-16 Chiri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Co Ltd 視覚障害者用地図認識音声装置
KR100643522B1 (ko) 2005-07-21 2006-11-10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점자 일체형 금속판 및 점자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253A (ko) 2015-12-24
KR101598804B1 (ko) 2016-03-02
KR20150144252A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6594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on and usage guidance in a navigable spa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10222216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on and usage guidance in a navigable spa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5733127A (en) Touch perceptible floor plan map and method for use
ES2456353T3 (es) Dispositivo de entrada de llamadas de una instalación de ascensor
JP2004530866A (ja) 歩行者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5438781A (en) Building sign system
Müller et al. Traveling more independently: a study on the diverse needs and challenges of people with visual or mobility impairments in unfamiliar indoor environments
Apelt et al. Wayfinding design guidelines
KR101598810B1 (ko) 터치스크린 감응형 휴대용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작한 터치스크린형 휴대용 촉지도
Ross Cyber crumbs for successful aging with vision loss
Williams et al. Better supporting blind pedestrians and blind navigation technologies through accessible architecture
Ross et al. Talking braille: a wireless ubiquitous computing network for orientation and wayfinding
KR101695953B1 (ko) 시각 장애인의 안내를 위한 비콘 스피커 및 그 방법
US20080282961A1 (en) Tactile Fire Escape System
WO2019023037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ON GUIDANCE AND NAVIGATION SPACE USAG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haudary et al. Smart cane outdoor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deaf-blind and blind persons
JP6528306B2 (ja) 案内装置
KR20160130542A (ko)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휴대용 촉지도의 제작방법, 휴대형 스마트 촉지도, 및 휴대형 스마트 촉지도 운영 시스템
KR200167602Y1 (ko) 장애자용 안내판.
KR101767729B1 (ko) 전체 경로와 세부 경로를 제공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휴대용 촉지도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8801B1 (ko) 시각 장애인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촉지도
KR19990022415U (ko) 장애자용안내판
Ch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age and mobile map for indoor wayfinding
Christophersen et al. Guidepaths in Buildings
JP2008259638A (ja) 無線タグ読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