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749B1 - 방향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방향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749B1
KR101598749B1 KR1020147029459A KR20147029459A KR101598749B1 KR 101598749 B1 KR101598749 B1 KR 101598749B1 KR 1020147029459 A KR1020147029459 A KR 1020147029459A KR 20147029459 A KR20147029459 A KR 20147029459A KR 101598749 B1 KR101598749 B1 KR 10159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guide member
hole
shaf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008A (ko
Inventor
고이치 데라키
Original Assignee
코가네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가네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코가네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13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4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valve seats positioned between mova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4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movable valve members positioned between 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63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multiple 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F16K31/0627Lift valves with movable valve member positioned between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F16K31/0634Lift valves with fixed seats positioned between movable valve members

Abstract

밸브 하우징(10)에는 서로 밸브공(41a, 41b)을 거쳐서 연통하는 하나의 포트(12)와 다른 포트(13a, 14b)가 설치되며, 각각의 포트의 단부에는 밸브 좌면(42a, 42b)이 형성된다. 밸브공을 관통하는 밸브 축(21)에는 밸브공(41a, 41b)를 개폐하는 상태와 개방하는 상태로 작동하는 밸브체(51a, 51b)가 설치되며, 밸브공(41a, 41b)의 내면에는 각각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밸브 축(21)을 지지하는 선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방향 제어 밸브{Directional Control Valve}
본 발명은 포핏형 밸브체가 밸브 좌면(valve seat surface)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개폐 이동하여 기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방향 제어 밸브는 공기압 작동 기기에 대하여 공기압을 공급하는 상태와 공급을 정지하는 상태로 바꾸거나, 공기압 작동 기기에 대하여 공기압을 공급하는 상태와 공기압 작동 기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하기 위해 사용되며, 개폐 밸브 또는 전환 밸브라고도 한다. 이러한 유형의 방향 제어 밸브는 밸브 축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밸브공이 형성된 밸브 하우징을 갖고 있다. 밸브 하우징에는 밸브공에 연통하는 개구부, 즉 포트가 형성되며, 밸브 축에 이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밸브체에 의해 포트의 개폐나 전환이 수행된다. 밸브 축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밸브 좌면에 밸브체가 접촉하여 포트의 개폐나 전환을 수행하는 유형의 방향 제어 밸브의 본체는 포핏형이 된다.
포핏형 본체를 갖는 방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밸브체가 개폐동작할 때에는 밸브 하우징에 밸브 축 또는 밸브체를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하나의 포트로부터 다른 포트로 공기가 흐를 때에는, 밸브 축과 밸브공 사이의 유로를 통하여 공기가 흐르게 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향 전환 밸브에 있어서는, 밸브 축을 밸브 하우징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밸브 축의 외주면에 공기가 흐르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 축은 이의 외주면이 밸브공의 안내 구멍에 접촉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직동(直動)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는, 밸브공으로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링을 밸브 축에 설치하고, 이 가이드 링에 설치된 전환부에 의해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밸브 축에는 배출 포트에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연통공의 한쪽 말단은 한쪽의 스프링실에 연통하고, 연통공의 다른 쪽 말단은 다른 쪽의 스프링실에 연통하고 있으며, 배출 포트의 공기압이 밸브 축에서 축 방향으로는 가해지지 않도록 축 방향 추력(推力)을 균형잡히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방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밸브체를 밸브공에 접촉시켜 밸브 축을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한 타입이다. 밸브체의 외주부에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밸브공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복수의 돌기편에 의해 밸브 축을 안내하는 동시에, 돌기편 상호간에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밸브의 구동방식으로서는 솔레노이드, 즉 전자석(電磁石)을 이용한 전자 조작식, 캠이나 링을 이용한 기계 조작식, 유체 압력을 이용한 유체 조작식 등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1-96272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8-4936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258183호
포핏형 밸브체를 갖는 종래의 방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체가 설치되는 밸브 축과 밸브공 사이에서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밸브 축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여 밸브 축과 밸브공을 면 접촉시켜서 슬라이딩하고 있다. 동일하게, 가이드 링이 밸브 축에 고정되고, 이 가이드 링에 유로를 형성하는 노치를 설치하도록 한 경우에서도 가이드 링이 밸브공에 면 접촉하여 슬라이딩한다. 밸브체의 외주에 돌기편을 설치하도록 한 경우에서도 돌기편이 밸브공에 면 접촉하여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밸브 축은 밸브 하우징의 밸브공 안을 축 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밸브 축의 이동 시에는 밸브 축이 밸브공 안에서 경사하는 방향이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편심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밸브 축이 이동 시에 밸브공 안에서 편심되면, 밸브체가 밸브 좌면에 충분히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밸브 좌면의 일부만 접촉하여, 실링성이 확보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게다가, 밸브체를 고속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밸브체가 설치된 밸브 축의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밸브 축과 밸브 하우징의 밸브공에 면 접촉시키거나, 밸브체의 외주면을 밸브공에 면 접촉시키거나 하여 밸브 축을 안내하는 경우에는, 밸브 축의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서, 밸브공이나 밸브 축 등의 가공 정도(加工精度)로부터 비교적 큰 클리어란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클리어란스를 크게 하면, 밸브 축의 편심이 발생하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밸브 좌면과 밸브체의 실링성이 저하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밸브 축을 축 방향으로 바이어스(bias)하는 스프링 힘을 강하게 하면, 밸브체가 밸브 좌면에 가압되는 가압력, 즉 밸브체의 밸브 좌면에 대한 실링력을 높일 수 있지만, 스프링 힘을 높이면, 솔레노이드를 구동원으로 한 전자 조작식에 있어서는, 밸브체의 고속 응답성을 높일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솔레노이드 전류를 크게 할 필요가 있어서, 코일의 온도 상승에 의한 개폐 성능의 악화를 피할 수 없다.
한편, 밸브 좌면에 밸브체를 접촉시켜 공기의 흐름을 실링하려면 , 밸브체와 밸브 좌면과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종래와 같이 외주면이 원형인 밸브체에 대응시켜 밸브 시트를 원형으로 하면, 밸브체의 외주면과 밸브공의 내주면 사이의 유로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밸브체의 외부 직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밸브체와 밸브 축을 포함한 밸브 조립체를 크게 해야 한다. 밸브체를 대형화하여 유량을 크게 하려면, 시트력을 높일 필요가 있고, 밸브체를 고속으로 개폐 동작시킬 수 없게 된다. 게다가 특허문헌 3과 같이, 밸브체의 외주면에 돌출하여 설치된 돌기편에 의해 밸브 축을 안내하도록 하면, 밸브 하우징을 대형화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 제어 밸브를 대형화하지 않고, 밸브 축과 밸브공 사이의 유로를 크게 하면서 밸브 축의 편심 발생을 방지하고, 개폐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방향 제어 밸브는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 포트, 당해 공급 포트로부터의 공기를 유출하는 출력 포트, 및 상기 출력 포트로 되돌려지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포트에 연통함과 동시에, 상기 공급 포트 및 상기 출력 포트를 연통시키는 공급측의 밸브공을 가지는 밸브 수용공이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수용공 안에 설치되며, 상기 출력 포트와 상기 배출 포트를 연통시키는 배출측의 밸브공이 설치된 원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밸브 수용공에 축 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밸브 축과,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축에 설치된 밸브체에 당접하여 상기 배출측의 밸브공을 닫고, 상기 밸브체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배출측의 밸브공을 개방하는 배출측의 밸브 좌면과, 상기 밸브 축을 향하여 반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떨어져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면에 설치되며, 상호간에 가이드 부재의 연통 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3개의 가이드 부재의 돌기부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돌기부에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되며, 상기 밸브 축을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의 선 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선 접촉부에서 상기 밸브 축을 축 방향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에 상기 배출측의 밸브 좌면을 당접시켜서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밸브체가 설치된 밸브 축을, 포트 상호를 연통시키는 밸브공에 설치된 선 접촉부로 지지하도록 했으므로, 밸브 축의 편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밸브체의 당접면 전체를 밸브 좌면에 당접시킬 수 있으며, 밸브 좌면의 실링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선 접촉부와 밸브 축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밸브 축이 이동할 때에 밸브 축에 가해지는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서 밸브 축을 구동하기 위한 추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추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밸브 축으로 추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솔레노이드를 소형화할 수 있고, 방향 제어 밸브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밸브공에 선 접촉부를 설치하면, 밸브공을 크게 하지 않고, 밸브공 안에 큰 단면적을 가지는 연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방향 제어 밸브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방향 제어 밸브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밸브 하우징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A)는 도 2에 나타낸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A)의 반대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A)는 도 4(A)의 좌측면도이고, (B)는 (A)에 있어서 5B-5B선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 6-6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 7-7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밸브 축의 분해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방향 제어 밸브는 메인 밸브 조립체가 두 위치에서 작동하는 5 포트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블록상 밸브 하우징(10)을 가지고 있다. 밸브 하우징(10)에는 관통공, 즉 밸브 수용공(11)이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여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밸브 하우징(10)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압 공급원에 접속되는 공급 포트(12)가 밸브 수용공(11)에 연통하여 밸브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다. 공급 포트(12)로부터 길이 방향 한쪽으로 어긋나게 출력 포트(13a)가 밸브 수용공(11)에 연통하여 밸브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다. 이 출력 포트(13a)에는 공기압 실린더 등의 공기압 작동 기기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공급 포트(12)와 연통하는 출력 포트(13a)는 공기압 작동 기기에 공기를 유출한다. 출력 포트(13a)에 대하여 길이 방향 한쪽으로 어긋나게 배출 포트(14a)가 밸브 수용공(11)에 연통하여 밸브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 포트(14a)는 공기압 작동 기기로부터 출력 포트(13a)로 되돌려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공급 포트(12)로부터 길이 방향 한쪽으로 어긋나게 출력 포트(13b)가 밸브 수용공(11)에 연통하여 밸브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다. 이 출력 포트(13b)에는 공기압 실린더 등의 공기압 작동 기기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공급 포트(12)와 연통하는 출력 포트(13b)는 공기압 작동 기기에 공기를 유출한다. 출력 포트(13b)에 대하여 길이 방향 다른 쪽으로 어긋나게 배출 포트(14b)가 밸브 수용공(11)에 연통하여 밸브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 포트(14b)는 공기압 작동 기기로부터 출력 포트(13b)로 되돌려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술한 출력 포트(13a)는 제1 출력 포트가 되고 있고, 출력 포트(13b)는 제2 출력 포트가 되고 있으며, 배출 포트(14a)는 제1 배출 포트가 되고 있고, 배출 포트(14b)는 제2 배출 포트가 되고 있다. 양쪽의 배출 포트(14a, 14b)는 공급 포트(12)와 출력 포트(13a, 13b)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설치된 연통로(14c)에 의해 서로 연통하고 있다. 이 연통로(14c)는 도 1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술한 각각의 포트는 도 2에서의 밸브 하우징(10)의 저면측에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10)은 도시하지 않은 매니폴드 블록 등의 탑재 부재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탑재 부재에는 각각의 포트에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탑재 부재로서의 매니폴드 블록에 복수의 방향 제어 밸브가 탑재되어 있을 때에는, 매니폴드 블록에 형성된 공통의 공급 유로에 각각의 방향 제어 밸브의 공급 포트(12)가 연통한다. 방향 제어 밸브의 2개의 출력 포트(13a, 13b)는 매니폴드 블록에 설치된 이음매에 의해 공기압 작동 기기에 접속된다. 방향 제어 밸브의 2개의 배출 포트(14a, 14b)는 연통로(14c)에 의해 서로 연통하는 동시에, 매니폴드 블록에 형성된 배기 유로에 연통한다.
출력 포트(13a)에 밸브 수용공(11)을 거쳐서 연통하는 출력 포트(15a)가 밸브 하우징(10)의 도 2에 있어서의 윗면에 개구하여 형성되고 있고, 출력 포트(13b)에 밸브 수용공(11)을 거쳐서 연통하는 출력 포트(15b)가 밸브 하우징(10)의 윗면에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출력 포트(15a, 15b)는 밸브 하우징(10)에 공기압 작동 기기를 직접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그때에는 다른 출력 포트(13a, 13b)는 공기압 작동 기기에는 연통되지 않고 폐색되어 출력 포트(15a)가 제1 출력 포트가 되고, 출력 포트(15b)가 제2 출력 포트가 된다. 반대로, 출력 포트(13a, 13b)가 탑재 부재를 거쳐서 공기압 작동 기기에 접속될 때에는, 출력 포트(15a, 15b)는 도시하지 않는 커버 부재에 의해 폐색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출력 포트(13a, 13b)와 다른 포트가 연통할 때에는, 출력 포트(15a, 15b)에도 연통하게 되므로, 출력 포트(15a, 15b)와 다른 포트와의 연통에 대한 중복 설명이 생략되어 있다.
밸브 수용공(11) 안에는 축 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메인 밸브 조립체(20)가 장착되어 있다. 메인 밸브 조립체(20)는 밸브 축(21)과 여기에 설치되는 고무제의 2개의 일체형 밸브체(22, 23)를 갖고 있고, 일체형 밸브체(22, 23)의 외부 직경은 밸브 축(21)보다도 큰 직경으로 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10)의 일단부 측에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24a)가 배설되고, 다른 단부 측에도 원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24b)가 배설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4a)는 제1 가이드 부재이고, 밸브 수용공(11)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조정 나사 부재(25a)에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4b)는 제2 가이드 부재이고, 밸브 수용공(11)의 다른 단부에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조정 나사 부재(25b)에 장착되어 있다. 2개의 가이드 부재(24a, 24b)는 동일한 형상이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2개의 조정 나사 부재(25a, 25b)도 동일한 형상이 되어 있으며, 각각은 서로 역방향이 되어 밸브 하우징(10) 안에 장착된다. 양쪽의 조정 나사 부재(25a, 25b)의 축 방향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메인 밸브 조립체(20)의 축 방향 이동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10)의 일단에는 엔드 블록(16)이 맞닿아 있고, 이 엔드 블록(16)은 도시하지 않은 나사 부재에 의해 밸브 하우징(10)에 고정된다. 밸브 하우징(10)의 타단에 설치된 플랜지(17)에는 솔레노이드(18)가 맞닿아 있고, 이 솔레노이드(18)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 부재에 의해 밸브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솔레노이드(18)의 케이스체(26)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봉상부(27a)와 이들을 연결하는 원호상부(27b)가 일체가 된 U자 형상의 고정 철심(27)이 조립되고, 각각의 봉상부(27a)에는, 솔레노이드 코일(28)이 감겨진 보빈(29)이 장착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28)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8)의 케이스체(26)에는 코넥터(3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봉상부(27a)의 전면에는 가동 철심(31)이 배설되고, 솔레노이드 코일(28)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가동 철심(31)은 고정 철심(27)을 향하여 자력에 의해 흡착된다. 이와 같이, 도시하는 방향 제어 밸브는 전자 조작식이 되어 있다.
이 가동 철심(3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32)에 의해 플로팅 상태가 되어 케이스체(26)에 장착된다. 판 스프링(32)은 가동 철심(31)에 고정되는 중앙부(32a)와 이의 양단부에 설치된 각부(32b)를 가지고, 대상(帶狀) 탄성 판을 절곡함으로써 형성되며, 각부(32b)가 케이스체(26)에 형성된 오목부 속에 고정된다. 중앙부(32a)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부(爪部)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부에 의해 가동 철심(31)은 판 스프링(32)에 장착되며, 가동 철심(31)은 밸브 축(21)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판 스프링(32)에 의해 플로팅 상태가 되어 지지된다.
엔드 블록(16)에는 밸브 축(21)과 동축이 되어 조작 버튼(33)이 축 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밸브 축(21)의 양단부에는 구동 부재(34, 35)가 장착되어 있고, 밸브 축(21)의 일단부 측의 구동 부재(35)와 조작 버튼(33) 사이에는 밸브 축(21)에 도 2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향하는 추력을 바이어스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로서 압축 코일 스프링(36)이 장착되어 있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 힘에 의해 구동 부재(35)의 단부는 가동 철심(31)에 당접하고, 판 스프링(32)에는 구동 부재(35)가 들어가는 관통공(32c)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밸브 축(21)에 왼쪽 방향을 향하는 추력을 바이어스하기 위해, 케이스체(26) 속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37)이 스프링 부재로서 배치되어 있으며, 압축 코일 스프링(37)은 가동 철심(31)에 형성된 오목부(38) 속에 수용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37)에 의해 밸브 축(21)에 대하여 도 2에서 왼쪽 방향을 향하여 바이어스되는 스프링 힘은, 압축 코일 스프링(36)에 의해 밸브 축(21)에 대하여 오른쪽 방향을 향하여 바이어스되는 스프링 힘보다 강해지고 있다. 솔레노이드 코일(28)에 대하여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밸브 축(21)은 왼쪽 방향의 제1 위치에 위치한다. 한편, 솔레노이드 코일(28)에 대하여 구동 전류가 흘러가면, 가동 철심(31)이 고정 철심(27)을 향하여 구동되며, 밸브 축(21)은 압축 코일 스프링(36)의 스프링 힘에 의해 오른쪽 방향의 제2 위치로 구동된다. 조작 버튼(33)을 밀어넣으면, 조작 버튼(33)이 구동 부재(34)에 당접하며, 솔레노이드 코일(28)에 통전(通電)하지 않고, 밸브 축(21)은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수용공(11) 중, 공급 포트(12)와 출력 포트(13a) 사이의 부분, 즉 제1 공급측 포트 간부(間部)에는 이들을 연통시키는 공급측의 제1 밸브공(41a)이 형성되어 있다. 공급 포트(12)와 출력 포트(13b) 사이의 부분, 즉 제2 공급측 포트 간부에는 이들을 연통시키는 공급측의 제2 밸브공(41b)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공(41a)의 출력 포트(13a)측의 단부에는 공급측의 제1 밸브 좌면(42a)이 형성되고, 밸브공(41b)의 출력 포트(13b)측의 단부에는 공급측의 제2 밸브 좌면(42b)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밸브공(41a, 41b)과 밸브 좌면(42a, 42b)은 밸브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의 밸브 좌면(42a, 42b)은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24a)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 측에는 출력 포트(13a)와 배출 포트(14a)를 연통시키는 배출측의 제1 밸브공(4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공(43a)은 출력 포트(13a)와 배출 포트(14a) 사이의 제1 배출측의 포트 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4a)의 한쪽측 단면에는 배출측의 제1 밸브 좌면(4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밸브 좌면(44a)에서는 밸브공(43a)의 출력 포트(13a)측 단부가 개구한다. 가이드 부재(24a)가 밸브 하우징(10)에 조립되면, 가이드 부재(24a)에 형성된 밸브공(43a)은 밸브 하우징(10)에 형성된 공급측의 제1 밸브공(41a)과 동축의 배출측의 제1 밸브공이 된다. 또한, 밸브 좌면(44a)은 공급측의 제1 밸브 좌면(42a)에 대향하는 배출측의 제1 밸브 좌면이 된다.
가이드 부재(24a)의 일단부측 외주면에는 실링 부재(45a)가 장착되는 환상 홈(46a)이 형성되고, 실링 부재(45a)에 의해 배출 포트(14a)와 출력 포트(13a)가 밀봉된다. 가이드 부재(24a)의 타단부 측에는 밸브공(43a)을 거쳐서 출력 포트(13a)와 배출 포트(14a)를 연통시키는 제1 관통공(47a)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4b)는 가이드 부재(24a)와 동일 형상이 되어 있고, 가이드 부재(24a)에 대하여 역방향이 되어 밸브 하우징(10)에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24b)에 있어서 일단부측 밸브공(43b)은 출력 포트(13b)와 배출 포트(14b) 사이의 제2 배출측 포트 간부에 설치되어 있고, 배출측의 제2 밸브공이 되어 있다. 이 밸브공(43b)에 의해 출력 포트(13b)와 배출 포트(14b)가 연통한다. 가이드 부재(24b)가 밸브 하우징(10)에 조립되면, 가이드 부재(24b)에 형성된 밸브공(43b)은 밸브 하우징(10)에 형성된 공급측 제2 밸브공(41b)과 동축의 배출측 제2 밸브공이 된다. 또한, 밸브 좌면(44b)은 공급측 제2 밸브 좌면(42b)에 대향하는 출구측 제2 밸브 좌면이 된다.
가이드 부재(24b)의 일단부측 외주면에는 실링 부재(45b)가 장착되는 환상 홈(46b)이 형성되고, 실링 부재(45b)에 의해 배출 포트(14b)와 출력 포트(13b)가 밀봉된다. 가이드 부재(24b)의 타단부측에 복수 개 형성된 관통공(47b)은 밸브공(43b)을 거쳐서 출력 포트(13b)와 배출 포트(14b)를 연통시키는 제2 관통공이다.
밸브 수용공(11)에 있어서, 공급 포트(12)와 출력 포트(13a, 13b)를 연통하는 밸브공(41a, 41b)은 내부 직경이 가장 작다. 출력 포트(13a, 13b)와 배출 포트(14a, 14b) 사이로, 가이드 부재(24a, 24b)가 감합하는 부분은 밸브공(41a, 41b)보다 내부 직경이 크다. 밸브 수용공(11)의 양단으로, 조정 나사 부재(25a, 25b)가 나사 결합하는 부분은 한층 더 내부 직경이 크고 최대 직경 부분이 되고 있다.
일체형 밸브체(22)는 공급측의 제1 밸브 좌면(42a)에 당접하는 공급측의 제1 밸브체(51a)와 배출측의 제1 밸브 좌면(42a)에 당접하는 배출측의 제1 밸브체(52a)를 갖고, 이들이 일체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일체형 밸브체(23)는 공급측의 제2 밸브 좌면(42b)에 당접하는 공급측의 제2 밸브체(51b)와 배출측의 제2 밸브 좌면(44b)에 당접하는 배출측의 제2 밸브체(52b)를 갖고, 이들이 일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밸브체를 일체형으로 함으로써, 일체형 밸브체(22, 23)의 밸브 축(21)에 대한 설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적은 공정으로 밸브 축(21)에 대하여 밸브체를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의 6-6선 확대 단면도이며, 밸브공(41a)과 밸브축(21)의 횡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밸브공(41a)의 최대 내부 직경은 밸브체(51a)의 외부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밸브체(51a)가 밸브 좌면(42a)에 당접하면, 밸브공(41a)은 밸브체(51a)에 의해 닫혀진다. 밸브공(41a)의 내주면에는 4개의 돌기부(53)가 반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하여 산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돌기부(53)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떨어지는 동시에, 축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돌기부(53)의 돌출 선단은 원호상이 되어 있고, 원호상의 돌출 선단에는 밸브 축(21)의 외주면에 선 접촉하는 선 접촉부(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선 접촉부(54)는 밸브 좌면(42a)으로부터 밸브공(41a)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다만, 선 접촉부(54)를 밸브공(41a)의 전체 길이에 설치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밸브 축(21)과 밸브공(41a)의 내주면 중, 선 접촉부(54) 이외의 부분, 즉 돌기부(53)의 원주 방향 상호간의 스페이스는 연통 홈(55)이 되고 있다. 밸브공(41a)에 형성된 4개의 연통 홈(55)에 의해, 공급 포트(12)와 출력 포트(13a)를 연통시키는 연통 유로가 형성된다.
밸브공(41b)의 단면 형상도 밸브공(41a)과 동일하고, 4개의 선 접촉부(54)가 밸브공(41b)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돌기부(53) 상호간에는 연통 홈(55)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의 7-7선 확대 단면도이며, 밸브공(43a)과 밸브 축(21)의 횡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가이드 부재(24a)에 설치된 밸브공(43a)의 최대 내부 직경은 밸브 좌면(52a)의 외부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밸브 좌면 (52a)이 밸브 좌면(44a)에 당접하면, 밸브공(43a)은 밸브 좌면(52a)에 의해 닫혀진다. 밸브공(43a)의 내주면에는, 밸브공(41a, 41b)과 마찬가지로 4개의 돌기부(53)가 반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하여 산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돌기부(53)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53)의 원호상의 돌출 선단에는 선 접촉부(54)가 밸브 좌면(44a)으로부터 밸브공(43a)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다만, 선 접촉부(54)를 밸브공(43)의 전체 길이에 설치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밸브 축(21)과 밸브공(43a)의 내주면 중, 선 접촉부(54) 이외의 부분, 즉 돌기부(53)의 원주 방향 상호간의 스페이스는, 출력 포트(13a)와 배출 포트(14a)를 연통시키는 연통 홈(55)이 되고 있다.
가이드 부재(24b)에 설치된 밸브공(43b)의 단면 형상도 밸브공(43a)과 동일하고, 4개의 선 접촉부(54)가 밸브공(43b)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밸브 축(21)은, 밸브공을 관통하는 부분에 있어서, 복수의 선 접촉부(54)의 어느 쪽인가에 선 접촉하여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되므로, 선 접촉부(54)와 밸브 축(21)과의 클리어란스를 충분히 작게 설정해도, 밸브 축(21)의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축(21)은 플로팅 상태에서 지지를 받게 되어, 밸브 축(21)을 고속으로 구동할 수 있어서 고속 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밸브 축(21)의 편심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밸브체와 밸브 좌면과의 실링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밸브공의 단면 형상은 십자 형상이 되어 있고, 선 접촉부(54) 이외의 부분을 연통 홈(55)으로 할 수 있으므로, 연통 홈(55)에 의해 형성되는 포트 사이의 연통 유로의 유통 면적을, 밸브공의 내부 직경을 크게 하지 않고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시하는 방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각각의 밸브공에 4개의 선 접촉부(54)가 설치되어 있지만, 3개의 선 접촉부(54)를 원주 방향으로 떼어 놓아 설치하면, 3개의 선 접촉부(54)를 가지는 형태가 된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4개의 선 접촉부(54)를 설치하는 경우보다 연통 홈(55)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 유로의 유통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다만, 선 접촉부(54)를 5개 내지 그 이상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방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밸브 하우징(10)에 일체로 설치된 2개의 밸브공(41a, 41b)의 각각의 선 접촉부(54)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있지만, 양쪽 모두의 밸브공(41a, 41b)에 있어서의 선 접촉부(54)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어긋나면, 밸브 축(21)으로서는 전체적으로 두 군데의 밸브공(41a, 41b)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여덟 군데의 부분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2개의 가이드 부재(24a, 24b)의 원주 방향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한층 더 다수의 부분에서 밸브 축(21)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5 포트형 방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공급 포트(12)에 공급되는 공기압은, 역방향이 된 2개의 밸브체(51a, 51b)에 역방향으로 작용하므로, 공급 포트(12)의 공기압에 의해 밸브 축(21)에는 축 방향의 추력이 가해지지 않아, 추력은 균형잡힌다. 게다가 2개의 배출 포트(14a, 14b)는 밸브 하우징(10)에 설치된 연통로(14c)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배출 포트(14a, 14b)로 유입한 배출 공기압은 역방향이 된 2개의 밸브체(52a, 52b)에 역방향으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배출 공기압에 의해 밸브 축(21)에는 축 방향으로 추력이 가해지지 않아, 추력은 균형잡힌다. 이와 같이, 도시하는 방향 제어 밸브는, 밸브 축(21) 안에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밸런스형이 되어 있으며, 압축 코일 스프링(36, 37)이나 솔레노이드(18)를 대형화하지 않고 고속도로 메인 밸브 조립체(20)를 구동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방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밸브 하우징(10)에 형성된 밸브공(41a, 41b)과 밸브 하우징(10)에 조립되는 가이드 부재(24a, 24b)에 형성된 밸브공(43a, 43b) 각각에 선 접촉부(54)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모든 밸브공에 있어서의 선 접촉부(54)의 어느 것인가에 밸브 축(21)이 안내되는 왕복 운동하는 형태가 되어 있다. 선 접촉부(54)는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밸브공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모든 밸브공에 선 접촉부(54)를 설치하지 않고 적어도 어느 한 군데의 밸브공에 선 접촉부를 설치한 형태로 해도 선 접촉부(54)에 의해 밸브 축(21)의 편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밸브 하우징(10)에 형성된 밸브공(41a, 41b)에만 선 접촉부(54)를 설치하고, 가이드 부재(24a, 24b)의 밸브공(43a, 43b)에 선 접촉부(54)를 설치하지 않고 밸브공(43a, 43b)을 단면 원형으로 하면, 밸브 하우징(10)에만 선 접촉부(54)가 설치된 형상의 방향 제어 밸브가 된다. 이에 대하여, 밸브공(41a, 41b)을 단면 원형으로 하고 가이드 부재(24a, 24b)의 밸브공(43a, 43b)에 선 접촉부(54)를 설치하면, 가이드 부재(24a, 24b)만에 선 접촉부(54)가 설치된 형상의 방향 제어 밸브가 된다. 이들 방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2개의 밸브공에 선 접촉부(54)가 설치된 형상이 된다. 또한, 선 접촉부(54)가 설치되는 밸브공의 군데로서는 4개의 밸브공 중, 세 군데 또는 한 군데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고, 어느 형태에 있어서도, 선 접촉부(54)에 의해 밸브 축(21)의 편심 발생이 방지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축(21)은 공급측의 밸브공(41a, 41b)를 관통하는 연결축(56)과 이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의 2개의 밸브 부착 축(56a, 56b)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밸브 부착 축(56a, 56b)은 동일 형상이 되어 있다. 연결축(56)의 양단부에는 중앙 부분보다 작은 직경이 된 소경 연결부(57a, 57b)가 설치되고, 제1 밸브 부착 축(56a)에는 소경 연결부(57a)가 감합되는 감합공(58a)이 일단부에 형성되며, 제2 밸브 부착 축(56b)에는 소경 연결부(57b)가 감합되는 감합공(58b)이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밸브 부착 축(56a, 56b)의 타단부에는 구동 부재(34, 35)가 장착되는 소경 연결부(59a, 59b)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밸브 부착 축(56a, 56b)의 일단부, 즉 감합 단부에는, 큰 직경의 플랜지(61a, 61b)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밸브체(51a, 52a)가 일체가 된 일체형 밸브체(22)는 플랜지(61a)를 가리도록 해서 설치되고, 2개의 밸브체(51b, 52b)가 일체가 된 일체형 밸브체(23)는 플랜지(61b)를 가리도록 해서 설치되어 있다. 밸브 부착 축(56a, 56b)에 일체형 밸브체(22, 23)를 고무 재료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각각 2개의 밸브체가 일체가 되어 성형된다.
메인 밸브 조립체(20)를 밸브 하우징(10)에 조립하려면, 연결축(56)에 한쪽의 밸브 축, 예를 들면 밸브 부착 축(56a)를 연결하고, 이를 밸브 하우징(10)의 도 2에서의 좌측으로부터 밸브 수용공(11) 안으로 삽입한다. 이때에는, 밸브 수용공(11) 중 밸브공(41a)보다 좌측 부분의 내부 직경이 일체형 밸브체(22)의 외부 직경보다 큰 직경이 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가이드 부재(24a)가 설치된 조정 나사 부재(25a)를 밸브 부착 축(56a)의 외측에 삽입하고 밸브 하우징(10)에 나사로 고정시킨다. 추가로, 다른쪽의 밸브 부착 축(56b)을 밸브 수용공(11) 안으로 삽입하여 연결축(56)에 밸브 부착 축(56b)을 연결하고, 가이드 부재(24b)가 장착된 조정 나사 부재(25b)를 밸브 부착 축(56b)의 외측에 삽입하여 밸브 하우징(10)에 나사로 고정시킨다. 메인 밸브 조립체(20)의 축 방향 이동 범위는 양쪽 모두의 조정 나사 부재(25a, 25b)의 축 방향 위치에 의해 조정된다.
위에서 설명한 방향 제어 밸브에 의해 공기압 작동 기기로서의 공기압 실린더의 로드를 왕복 운동할 때는, 예를 들면, 공기압 실린더의 전진측 공기압실에 출력 포트(13b)를 접속하고, 후퇴용 공기압실에 출력 포트(13a)를 접속한다. 솔레노이드 코일(28)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37)의 스프링 힘에 의해 밸브 축(21)은 도 2에 있어서 좌측의 제1 위치로 구동된다. 이때에는, 공급 포트(12)가 출력 포트(13a)와 연통하고, 배출 포트(14b)가 출력 포트(13b)에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공급 포트(12) 및 출력 포트(13a)를 거쳐서 외부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후퇴용 공기압실에 공급되어, 로드는 후퇴한 위치(後退限位置; backward movement limit position)가 된다. 이와 동시에, 전진용 공기압실의 압축 공기는 출력 포트(13b)보다 배출 포트(14b)로 배출된다.
솔레노이드 코일(28)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면, 밸브 축(21)은 제2 위치로 구동된다. 이때에는, 공급 포트(12)가 출력 포트(13b)와 연통하고, 배출 포트(14a)가 출력 포트(13a)에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공급 포트(12)와 출력 포트(13b)를 거쳐서 외부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전진용 공기압실에 공급되어, 로드는 전진한 위치(前進限位置; advance limit position)에 구동된다. 이와 동시에, 후퇴용 공기압실의 압축 공기는 출력 포트(13a)보다 배출 포트(14a)로 배출된다.
도시된 방향 제어 밸브는, 공급 포트(12)를 공통으로 하여 쌍을 이루는 출력 포트(13a, 15a) 및 배출 포트(14a)와, 쌍을 이루는 출력 포트(13b, 15b) 및 배출 포트(14b)를 가지는 5 포트형이다. 이에 대하여, 공급 포트(12)와, 쌍을 이루는 출력 포트(13a 또는 13b) 및 배출 포트(14a 또는 14b)가 설치된 형태의 방향 제어 밸브는 3 포트형이 된다. 게다가 공급 포트와 출력 포트와의 개폐를 수행하도록 하여 배출 포트를 가지지 않는 형태의 방향 제어 밸브는 2 포트형이 된다. 이러한 어느 형태에 있어서도, 밸브공에 선 접촉부(54)를 설치함으로써, 밸브 축(21)은 플로팅 상태로 지지를 받게 되어, 밸브 축(21)의 슬라이딩 저항을 높이지 않고 밸브 축(21)의 고속 응답성을 높이는 동시에, 연통로의 유로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시하는 방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2개의 배출 포트(14a, 14b)를 연통로(14c)에 의해 서로 연통시킴으로써, 배출 공기압을 균형잡히도록 하고 있지만, 연통로(14c)를 설치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 방향 제어 밸브는 공기압 작동 기기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압 회로에 적용된다.

Claims (9)

  1.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 포트, 당해 공급 포트로부터의 공기를 유출하는 출력 포트, 및 상기 출력 포트로 되돌려지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포트에 연통함과 동시에, 상기 공급 포트 및 상기 출력 포트를 연통시키는 공급측의 밸브공을 가지는 밸브 수용공이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수용공 안에 설치되며, 상기 출력 포트와 상기 배출 포트를 연통시키는 배출측의 밸브공이 설치된 원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밸브 수용공에 축 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밸브 축과,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축에 설치된 밸브체에 당접하여 상기 배출측의 밸브공을 닫고, 상기 밸브체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배출측의 밸브공을 개방하는 배출측의 밸브 좌면과,
    상기 밸브 축을 향하여 반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떨어져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면에 설치되며, 상호간에 가이드 부재의 연통 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3개의 가이드 부재의 돌기부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돌기부에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되며, 상기 밸브 축을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의 선 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선 접촉부에서 상기 밸브 축을 축 방향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에 상기 배출측의 밸브 좌면을 당접시켜서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제어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의 밸브공의 단부에 공급측의 밸브 좌면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 축을 향하여 반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떨어져서 상호간에 밸브 하우징의 연통 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3개의 밸브 하우징의 돌기부를, 상기 공급측의 밸브공의 내면에 설치하며,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상기 밸브 축을 지지하는 밸브 하우징의 선 접촉부를 상기 밸브 하우징의 돌기부에 설치하고,
    상기 밸브 하우징의 선 접촉부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선 접촉부에 의해 상기 밸브 축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제어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가 감합(嵌合)하는 부분은 상기 공급측의 밸브공의 내부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제어 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포트는 제1 출력 포트와 제2 출력 포트의 2개이고,
    상기 배출 포트는 상기 제1 출력 포트에 연통하는 제1 배출 포트와 상기 제2 출력 포트에 연통하는 제2 배출 포트의 2개이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출력 포트와 상기 제1 배출 포트를 연통시키는 배출측의 제1 밸브공이 일단부 측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2 출력 포트와 상기 제2 배출 포트를 연통시키는 배출측의 제2 밸브공이 일단부측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제2 가이드 부재의 2개이며,
    상기 공급측의 밸브공은 상기 공급 포트와 상기 제1 출력 포트를 연통시키는 공급측의 제1 밸브공과, 상기 공급 포트와 상기 제2 출력 포트를 연통시키는 공급측의 제2 밸브공의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제어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 축을 향하여 반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상호간에 가이드 부재의 연통 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3개의 가이드 부재의 돌기부를,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제2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돌기부에 상기 밸브 축을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의 선 접촉부를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제어 밸브.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 축을 향하여 반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원주 방향으로 떨어져서 상호간에 밸브 하우징의 연통 홈을 형성하는 적어도 3개의 밸브 하우징의 돌기부를 상기 제1 밸브공과 제2 밸브공의 내면에 설치하고,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상기 밸브 축을 지지하는 밸브 하우징의 선 접촉부를, 상기 밸브 하우징의 돌기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제어 밸브.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 축은 연결축과 당해 연결축의 양단에 연결되는 밸브 부착 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제어 밸브.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취부하는 조정 나사 부재를 상기 밸브 수용공의 양단부에 나사 결합하고, 상기 조정 나사 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 축의 이동 범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제어 밸브.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 포트와 상기 제2 배출 포트를 연통하는 연통로를, 상기 공급 포트와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포트에 대하여 어긋나게 상기 밸브 하우징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제어 밸브.
KR1020147029459A 2012-04-26 2012-11-19 방향 제어 밸브 KR101598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1289A JP5794947B2 (ja) 2012-04-26 2012-04-26 方向制御弁
JPJP-P-2012-101289 2012-04-26
PCT/JP2012/079937 WO2013161114A1 (ja) 2012-04-26 2012-11-19 方向制御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008A KR20140137008A (ko) 2014-12-01
KR101598749B1 true KR101598749B1 (ko) 2016-02-29

Family

ID=4948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459A KR101598749B1 (ko) 2012-04-26 2012-11-19 방향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94947B2 (ko)
KR (1) KR101598749B1 (ko)
WO (1) WO201316111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003A (ja) 1998-11-05 2000-05-26 Toshiba Meter Techno Kk ガス遮断弁
JP2006258183A (ja) 2005-03-16 2006-09-28 Kuroda Pneumatics Ltd ポペット式方向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6272A (ja) 1984-10-13 1986-05-14 Kuroda Precision Ind Ltd 方向切換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003A (ja) 1998-11-05 2000-05-26 Toshiba Meter Techno Kk ガス遮断弁
JP2006258183A (ja) 2005-03-16 2006-09-28 Kuroda Pneumatics Ltd ポペット式方向制御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94947B2 (ja) 2015-10-14
WO2013161114A1 (ja) 2013-10-31
KR20140137008A (ko) 2014-12-01
JP2013228058A (ja)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763B2 (en) Three-port electromagnetic valve
US7380571B2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US10221957B2 (en) Solenoid valve
US9279433B2 (en) Poppet valve assembly for controlling a pneumatic actuator
JPH04234582A (ja) 複式膜ポンプ
KR20020050707A (ko) 포핏식 전자밸브
CN110036226B (zh) 电磁阀
WO2019131703A1 (ja) 容量制御弁
KR102359975B1 (ko) 파일럿형 전자밸브
KR20190007432A (ko) 전자 밸브
KR101598749B1 (ko) 방향 제어 밸브
EP0927846A1 (en) A four-way selector valve
JP5341433B2 (ja) 三方切換弁
KR102262070B1 (ko) 전자 밸브
US11067189B2 (en) Electromagnetic hinged armature valve device
JP6200869B2 (ja) 電磁弁
WO2016027505A1 (ja) 電磁弁
US6557823B2 (en) Electromagnetic valve
US20190234522A1 (en) Ultra-low carryover solenoid valve
JP7463356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H0535313B2 (ko)
JP2023183657A (ja) 弁装置
CN115435088A (zh) 电驱动阀
KR100503856B1 (ko) 직동형 전자변환밸브
JP2018132074A (ja) 方向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