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745B1 -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745B1
KR101598745B1 KR1020147025051A KR20147025051A KR101598745B1 KR 101598745 B1 KR101598745 B1 KR 101598745B1 KR 1020147025051 A KR1020147025051 A KR 1020147025051A KR 20147025051 A KR20147025051 A KR 20147025051A KR 101598745 B1 KR101598745 B1 KR 10159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iston
coil assembly
molded bod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424A (ko
Inventor
게이지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16F9/535Magnetorheological [MR] fluid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개재 장착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유체실과, 피스톤에 연결되는 중공 형상의 로드와, 피스톤에 권취되는 마그네트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전자기 코일과, 마그네트 와이어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리드선과, 전자기 코일과 2개의 리드선이 몰드 수지에 매립되는 코일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피스톤은, 로드에 연결되는 중공 형상의 제1 코어와, 제1 코어와의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코어를 갖는다. 2개의 리드선은, 제1 코어의 내측을 통하여, 로드의 내측을 통하는 전선에 도통된다.

Description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MAGNETIC VISCOUS FLUID DAM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IL ASSEMBLY USED FOR SAME}
본 발명은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US6260675B1은, 차량에 탑재되는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를 개시하고 있다.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는, 피스톤에 개재 장착된 전자기 코일에의 통전량을 제어하여, 전자기 코일에 발생하는 자장의 강도를 바꿈으로써, 자기 점성 유체의 외관상의 점성을 변화시킨다.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에 설치되는 전자기 코일은, 일단이 피스톤에 접속되고 타단이 1개의 전선(리드선)에 접속되는 마그네트 와이어에 의해 구성된다. 전선은, 피스톤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 내를 통하여 완충기의 외측에 취출되고, 차량에 탑재되는 컨트롤러에 접속된다.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류는, 1개의 전선을 통하여 전자기 코일에 유도되고, 전자기 코일을 흐른 후, 피스톤, 로드, 차체 등을 통하여 배터리의 부극에 유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에서는, 전자기 코일에 유도되는 구동 전류가 피스톤, 로드, 차체 등을 통하여 유도되기 때문에, 차량에 탑재되는 다른 전기 기기 등에 절연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로부터 취출되는 1개의 전선을 사용하여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때문에,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구동 회로의 구성이 제약된다.
또한, 전자기 코일을 피스톤에 조립 부착하고, 전자기 코일을 구성하는 마그네트 와이어의 일단을 피스톤에 접속한 후, 이들을 몰드 수지에 의해 포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피스톤을 효율적으로 조립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 전류가 피스톤이나 차체 등에 흐르는 일 없이 전자기 코일에 유도됨과 함께, 피스톤의 조립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형태에 의하면, 자기 점성 유체를 이용한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이며, 자기 점성 유체가 밀봉되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개재 장착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유체실과, 피스톤에 연결되고 실린더의 외부에 돌출되는 중공 형상의 로드와, 피스톤에 권취되는 마그네트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전자기 코일과, 마그네트 와이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리드선과, 전자기 코일과 2개의 리드선이 몰드 수지에 매립되는 코일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피스톤은, 로드에 연결되는 중공 형상의 제1 코어와, 제1 코어와의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코어를 갖고, 2개의 리드선은, 제1 코어의 내측을 통하여, 로드의 내측을 통하는 전선에 도통되는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이점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스톤을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2b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스톤을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2c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스톤을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3a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3b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3c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4a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4b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4c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5a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5b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5c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이하, 간단히 「완충기(1)」라고 함]의 피스톤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완충기(1)는 자동차 등의 차량의 차체와 차축 사이에 개재 장착되고, 신축 작동함으로써 차체의 진동을 억제하는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완충기(1)는 자기 점성 유체가 밀봉되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9)와, 이 실린더(9)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실린더(9) 내를 2개의 유체실(3, 4)로 구획하는 피스톤(10)을 구비한다.
피스톤(10)의 제1 코어(30)에는, 로드(60)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로드(60)의 타단부는, 실린더(9)의 외부까지 연장 설치된다. 차체 및 차축의 한쪽에 로드(60)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다른 쪽에 실린더(9)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완충기(1)는 차체에 대한 차축의 이동에 수반하여, 로드(60)와 실린더(9)가 상대 이동하여 신축 작동한다.
실린더(9) 내의 유체실(3, 4)에는, 가스실(도시하지 않음)이 프리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구획되고, 이 가스실에 의해 로드(60)의 침입, 퇴출에 의한 실린더(9) 내의 용적 변화가 보상된다.
피스톤(10)은 로드(60)에 연결되는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와, 이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의 외주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플럭스 링(50)과, 플럭스 링(50)을 지지하는 플레이트(91, 92)와,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에 플레이트(91, 92)를 각각 체결하는 너트(88, 98)를 구비한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는, 몰드 수지에 전자기 코일(65)과 2개의 리드선(72, 73)이 매립된 코일 어셈블리(70)와, 코일 어셈블리(70)를 수용하는 중공 형상의 제1 코어(30)와, 제1 코어(30)와의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70)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코어(40)를 갖는다.
완충기(1)는 감쇠력 발생 요소로서, 피스톤(10)을 관통하여 2개의 유체실(3, 4)을 연통하는 메인 유로(6)와, 메인 유로(6)와 병렬로 2개의 유체실(3, 4)을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메인 유로(6)는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의 외주면(22)과 플럭스 링(50)의 내주면(51) 사이에 구획되는 간극(16)과, 플레이트(91, 92)에 개방되는 메인 개구부(94, 95)로 구성된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와 플럭스 링(50)은 피스톤(10)의 중심선 O를 따라 동심 상에 배치되고, 간극(16)은 원환 형상으로 구획된다. 플레이트(91, 92)에는, 간극(16)을 향해 개방되는 복수의 메인 개구부(94, 95)가 형성된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에는, 자장(자계)을 발생시키는 전자기 코일(65)이 설치된다. 전자기 코일(65)은 마그네트 와이어(66)를 코일 형상으로 권회하여 형성되고, 마그네트 와이어(66)의 양단에 2개의 리드선(72, 73)이 접속된다. 전자기 코일(65)은 리드선(72, 73)을 통하여 마그네트 와이어(66)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자장을 발생시킨다.
자기 점성 유체는, 오일 등의 액체 중에 강자성을 갖는 미립자를 분산시킨 것이며, 자장의 강도에 의해 외관의 점성이 변화된다.
완충기(1)의 작동 시, 실린더(9) 내에 있어서 피스톤(10)이 미끄럼 이동하면, 자기 점성 유체가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유로(6)를 흘러 피스톤(10)의 양측의 유체실(3, 4)의 사이를 이동한다. 이때, 전자기 코일(65)에 전류를 흘리면, 메인 유로(6)를 흐르는 자기 점성 유체에 자장이 작용하여, 자기 점성 유체의 점성이 변화된다. 전자기 코일(65)의 자장의 강도가 커질수록, 자기 점성 유체의 점성이 커지고, 완충기(1)가 발생하는 감쇠력도 커진다.
로드(60)는 그 선단부가 제1 코어(30)의 나사 구멍(39)에 나사 결합되고,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에 연결된다. 로드(60)의 선단은, 나사 구멍(39)의 바닥면에 접촉한다. 나사 구멍(39)의 바닥면과, 이 나사 구멍(39)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코일 어셈블리(70)의 플러그부(76)의 외주면과, 로드(60)의 내주부의 사이에는 O링(69)이 개재 장착된다. 로드(60)의 내측은, O링(69)에 의해 자기 점성 유체가 들어가지 않도록 밀봉된다.
피스톤(10)의 조립 시,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전선을 갖는 하니스(12)가 중공 형상의 로드(60)의 내측에 삽입 관통되고, 이 하니스(12)의 전선(13, 14)이 단자(74, 75)에 각각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전자기 코일(65)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리드선(72, 73)이 제1 코어(30)의 내측을 통하여, 로드(60)의 내측을 통하는 전선(13, 14)에 도통된다.
완충기(1)의 작동 시,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류가 하니스(12)의 전선(13, 14)과 리드선(72, 73)을 통하여 전자기 코일(65)에 공급된다. 이 구동 전류가 피스톤(10), 로드(60), 차체 등에 흐르는 일 없이 전자기 코일(65)에 유도되므로, 차량에 탑재되는 다른 전기 기기 등에 미치는 전기적 영향이 억제되어, 이들 전기 기기 등에 절연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다.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는 전자기 코일(65)에의 통전량을 제어하여, 완충기(1)에 있어 발생해야 하는 감쇠력을 조절한다.
컨트롤러는, 2개의 전선(13, 14)을 사용하여 구동 전류를 전자기 코일(65)에 출력하는 브리지 회로 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어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는, 코일 어셈블리(70)와 제1 코어(30)와 제2 코어(40)를 조립하여 형성된다. 코일 어셈블리(70)와 제1 코어(30)와 제2 코어(40)는, 피스톤(10)의 중심선 O를 따라 동심 상에 배치된다.
코일 어셈블리(70)는 2개의 리드선(72, 73)이 매립되도록 성형되는 1차 성형체(80)와, 1차 성형체(80)의 외주에 권취되는 마그네트 와이어(66)로 이루어지는 전자기 코일(65)과, 1차 성형체(80)와의 사이에 전자기 코일(65)이 매립되도록 성형되는 2차 성형체(85)를 구비한다.
전자기 코일(65)은 몰드 수지에 의해 포위되고, 전자기 코일(65)의 내부에 형성되는 불필요한 간극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자기 코일(65)의 절연성이 확보됨과 함께, 실린더(9) 내의 압력 변동이 전자기 코일(65)의 내부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코일 어셈블리(70)는 제1 코어(30)와 제2 코어(40) 사이에 끼움 지지된다.
제1 코어(30)에는, 코일 어셈블리(70)를 수용하는 부위로서, 보빈부(79)를 수용하는 환 형상의 보빈 수용부(32)(도 2a 참조)와, 브리지부(77, 78)를 수용하는 슬릿 형상의 브리지 수용 오목부(27)와, 플러그부(76)가 삽입되는 플러그 수용 구멍(34)이 형성된다.
로드(60)가 연결되는 제1 코어(30)에는, 로드(60)와는 반대측(선단측)에 돌출되는 2개의 반원기둥 형상 축부(18)가 형성된다.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8)의 사이에, 브리지부(77, 78)가 수용되는 브리지 수용 오목부(27)가 개방되어 있다. 즉, 반원기둥 형상 축부(18)는 브리지 수용 오목부(27)를 사이에 두고 배열되는 반원기둥 형상의 부위이다.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8)의 외주에는, 제2 코어(40)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33)가 형성된다.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8)의 외주와 코일 어셈블리(70)의 외주면(71)은, 중심선 O를 따라 동심 상에 형성된다.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8)의 선단면(35)은 중심선 O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코어(30)에는, 그 중앙부를 관통하는 플러그 수용 구멍(34)이 형성되고, 플러그 수용 구멍(34)에 플러그부(76)가 삽입된다.
브리지부(77, 78)가 브리지 수용 오목부(27)에 끼워 맞추어지고, 플러그부(76)가 플러그 수용 구멍(34)에 삽입됨으로써, 코일 어셈블리(70)가 제1 코어(30)의 내측에 개재 장착된다.
대략 원통 형상의 제1 코어(30)는 코일 어셈블리(70)의 외주면(71)과 단차없이 연장되는 외주면(31)과, 중심선 O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의 기단부면(36)과, 기단부면(36)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스부(37)를 갖는다. 원통 형상의 보스부(37)의 외주에는, 수나사(38)가 형성된다. 제1 코어(30)의 기단부면(36)과 너트(88) 사이에는 플레이트(91)가 설치되고, 수나사(38)에 너트(88)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플레이트(91)가 끼움 지지된다.
보스부(37)의 내측에는, 나사 구멍(39)이 형성된다. 로드(60)는 그 선단부가 이 나사 구멍(39)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1 코어(30)에 연결된다.
대략 원기둥 형상의 제2 코어(40)는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8)의 외주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요크부(52)를 갖는다. 요크부(52)의 외주면(41)은 코일 어셈블리(70)의 외주면(71)과 단차없이 연장된다. 제2 코어(40)의 요크부(52)는 전자기 코일(65)과 피스톤(10)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전자기 코일(65)의 자속을 간극(16)에 유도한다.
제2 코어(40)는 요크부(52)의 내측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는 볼록부(44)를 갖는다. 요크부(52)와 볼록부(44) 사이에는, 제1 코어(30)의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8)가 결합되는 환 형상 오목부(53)(도 2a 참조)가 구획된다. 요크부(52)의 내주에는 암나사(43)(도 2a 참조)가 형성되고, 암나사(43)가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8)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33)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제2 코어(40)는 보빈부(79)에 접촉하는 기단부면(42)(도 2a 참조)을 갖는다.
또한, 제1 코어(30)의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8)의 내주에 암나사를 형성함과 함께, 제2 코어(40)의 볼록부(44)의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양자를 나사 결합하여 제1 코어(30)와 제2 코어(40)를 결합해도 된다.
제2 코어(40)는 제1 코어(30)의 선단면(35)에 접촉하는 바닥면(45)을 갖는다. 바닥면(45)은 중심선 O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볼록부(44)는 바닥면(45)으로부터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면(46)이 코일 어셈블리(70)의 단부면(84)에 접촉한다. 볼록부(44)의 단부면(46)과 코일 어셈블리(70)의 단부면(84)은, 중심선 O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코어(40)는 중심선 O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의 선단면(47)과, 선단면(47)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스부(48)를 갖는다. 원기둥 형상의 보스부(48)의 외주에는, 수나사(49)가 형성된다. 제2 코어(40)의 선단면(47)과 너트(98) 사이에는 플레이트(92)가 설치되고, 수나사(49)에 너트(98)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플레이트(92)가 끼움 지지된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는, 제1 코어(30)와 제2 코어(40)와 코일 어셈블리(70)의 3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형성된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의 조립 후,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와 플럭스 링(50)은, 플레이트(91, 92)를 통해 연결된다.
제1 코어(30) 및 제2 코어(40)와 플럭스 링(50)은, 각각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플레이트(91, 92)는, 비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의해,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 및 플럭스 링(50)은 전자기 코일(65)의 자속을 간극(16)에 유도하는 자기 회로를 구성하고, 메인 유로(6)를 흐르는 자기 점성 유체에 자장을 작용시킨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에는 제1 코어(30)의 브리지 수용 오목부(27)에 공극(54)(도 2b 참조)이 형성되지만, 이 공극(54)의 둘레에는 원통 형상의 요크부(52)가 전자기 코일(65)과 함께 연장 설치되기 때문에, 전자기 코일(65)의 자속을 유도하는 자로는 확보된다.
이어서, 도 2a∼도 2c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조립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조립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의 조립 시, 제1 코어(30)에 코일 어셈블리(70)를 조립 부착함으로써, 플러그부(76)가 플러그 수용 구멍(34)에 삽입되고, 플러그부(76)의 단부면에 설치되는 리드선(72, 73)의 단자(74, 75)가, 제1 코어(30)의 보스부(37)의 내측에 배치된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0)의 조립 시, 제1 코어(30)의 수나사(33)에 제2 코어(40)의 암나사(43)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코일 어셈블리(70)는 제1 코어(30)의 환 형상 단차부(29)와 제2 코어(40)의 기단부면(42) 사이에서 압박됨과 함께, 제1 코어(30)의 끼워 맞춤 오목부 바닥면(28)과 제2 코어(40)의 단부면(46) 사이에서 압박된다. 이에 의해, 제1 코어(30)와 코일 어셈블리(70)와 제2 코어(40)가 덜걱거림없이 결합된다.
이어서, 도 3a∼도 3c에 도시하는 코일 어셈블리(7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는, 1차 성형체(80)를 성형하는 1차 성형 공정을 도시한다. 도 3b는, 전자기 코일(65)을 권취하는 코일 권취 공정을 도시한다. 도 3c는, 2차 성형체(85)를 성형하는 2차 성형 공정을 도시한다.
금형(100A∼100D)에 2개의 리드선(72, 73)을 세트하는 공정(도시하지 않음)이 미리 행해진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성형 공정에서는, 금형(100A∼100D)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를 유입하여, 수지를 고화시킴으로써 1차 성형체(80)가 형성된다.
1차 성형체(80)는 피스톤(10)의 중앙에 배치되는 플러그부(76)와, 플러그부(76)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브리지부(77, 78)와, 각 브리지부(77, 78)의 단부를 연결하여 환 형상으로 연장되는 보빈부(79)를 갖는다.
플러그부(76)는 후술하는 제1 코어(30)의 플러그 수용 구멍(34)에 삽입 가능하도록, 중심선 O와 동심 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2개의 브리지부(77, 78)는, 플러그부(76)의 단부로부터 중심선 O와 직교하는 피스톤(1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동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보빈부(79)는 중심선 O와 동심 상으로 연장되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2개의 브리지부(77, 78)에 의해 지지된다. 보빈부(79)는 마그네트 와이어(66)를 감기 위한 권취 코어로 된다.
한쪽의 리드선(72)은 플러그부(76)와 한쪽의 브리지부(77)에 걸쳐 연장된다. 다른 쪽의 리드선(73)은 플러그부(76)와 다른 쪽의 브리지부(78)에 걸쳐 연장된다. 각 리드선(72, 73)의 기단부는, 단자(74, 75)로서 각각 플러그부(76)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각 리드선(72, 73)의 선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단자로서 각각 보빈부(79)의 내측에 돌출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권취 공정에서는, 1차 성형체(80)의 보빈부(79)에 마그네트 와이어(66)가 감겨 전자기 코일(65)이 형성된다. 마그네트 와이어(66)의 도시하지 않은 양단은, 보빈부(79)에 돌출되어 리드선(72, 73)의 선단부(단자)에 각각 접속된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성형 공정에서는, 금형(101A, 101B)에 전자기 코일(65)이 권취된 1차 성형체(80)를 세트한 후, 수지를 화살표로 나타내도록 유입하여, 수지를 고화시킴으로써 2차 성형체(85)가 형성된다.
2차 성형체(85)는 1차 성형체(80)의 브리지부(77, 78)와 보빈부(79)와 마그네트 와이어(66)를 포위하는 몰드 수지로 이루어지고, 몰드 수지가 금형(101A, 101B)에 의해 성형된다. 1차 성형체(80) 및 2차 성형체(85)는 서로 일체화되고, 코일 어셈블리(70)의 수지 부분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코일 어셈블리(70)는 전자기 코일(65)이 권취되는 환 형상의 보빈부(79)와, 제1 코어(30)의 내측에 삽입되는 플러그부(76)와, 보빈부(79)와 플러그부(76)를 연결하는 2개의 브리지부(77, 78)를 갖고, 2개의 리드선(72, 73)이 각각 보빈부(79)와 브리지부(77, 78)와 플러그부(76)에 걸쳐 연장 설치된다. 코일 어셈블리(70)는 중심선 O에 대해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다.
코일 어셈블리(70)가 제1 코어(30) 및 제2 코어(40)에 조립 부착되기 전에, 2차 성형체(85)가 형성되고, 그 몰드 수지부가 제1 코어(30) 및 제2 코어(40)와 분리한 상태로 성형된다. 따라서, 코일 어셈블리(70)를 효율적으로 제조하여, 제1 코어(30) 및 제2 코어(40)에 조립 부착할 수 있다.
코일 어셈블리(70)는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제조 방법에 의해 2차 성형체(85)를 형성해도 된다.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는, 제1 코어(30)에 1차 성형체(80)를 조립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제1 코어(30)에 1차 성형체(80)를 조립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c는, 2차 성형체(85)를 성형한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코일 어셈블리(70)는 제1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차 성형체(80)에 전자기 코일(65)이 권취된 코일 어셈블리(70)를 제1 코어(30)에 조립 부착한 상태에서 금형(111A, 111B)을 통해 2차 성형체(85)를 성형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 코일(65)이 권취된 1차 성형체(80)와, 제1 코어(30)를 준비한다.
계속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코어(30)에 1차 성형체(80)를 조립 부착한다.
계속해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성형 공정에서는, 1차 성형체(80)가 조립 부착된 제1 코어(30)를 금형(111A, 111B)에 세트한 후에, 수지를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입하여, 수지를 고화시킴으로써 2차 성형체(85)가 성형된다. 그 후, 2차 성형체(85)를 통해 일체화된 제1 코어(30)와 코일 어셈블리(70)를 금형(111A, 111B)으로부터 취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2차 성형체(85)에서는, 수지가 1차 성형체(80)와 제1 코어(30)의 보빈 수용부(32)와 브리지 수용 오목부(27)의 간극에 들어가, 이 간극이 매립된다.
이에 의해, 피스톤(10)의 내부에 만들어지는 불필요한 간극이 몰드 수지에 의해 저감되므로, 실린더(9) 내의 압력 변동이 피스톤(10)의 내부에 유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제1 코어(30)와 1차 성형체(80)와 제2 코어(40)를 조립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제1 코어(30)에 1차 성형체(80)와 제2 코어(40)를 조립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c는, 2차 성형체(85)를 성형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코일 어셈블리(70)는 제1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차 성형체(80)에 전자기 코일(65)이 권취된 것을 제1 코어(30)와 제2 코어(40) 사이에 조립 부착한 상태에서 금형(115A, 115B)에 넣어 2차 성형체(85)를 성형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 코일(65)이 권취된 1차 성형체(80)와, 제1 코어(30) 및 제2 코어(40)를 준비한다.
계속해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성형체(80)를 제1 코어(30) 및 제2 코어(40)에 조립 부착한다.
계속해서,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성형 공정에서는, 1차 성형체(80)가 조립 부착된 제1 코어(30) 및 제2 코어(40)를 금형(115A, 115B)에 세트한 후에, 수지를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입하여, 수지를 고화시킴으로써 2차 성형체(85)가 성형된다. 그 후, 2차 성형체(85)를 통해 일체화된 제1 코어(30)와 코일 어셈블리(70)와 제2 코어(40)를 금형(115A, 115B)으로부터 취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2차 성형체(85)에서는, 수지가 1차 성형체(80)와 제1 코어(30)의 간극에 들어감과 함께, 수지가 1차 성형체(80)와 제2 코어(40)의 간극 및 브리지 수용 오목부(27) 내에 들어가, 이들 간극 및 공간이 매립된다.
이에 의해, 피스톤(10)의 내부에 만들어지는 불필요한 간극이 몰드 수지에 의해 저감되므로, 실린더(9) 내의 압력 변동이 피스톤(10)의 내부에 유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피스톤(110)의 단면도이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120)는 제1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피스톤(110)의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120)는, 코일 어셈블리(70)를 수용하는 중공 형상의 제1 코어(130)와, 제1 코어(130)와의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70)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코어(140)를 갖는다.
제1 코어(130)는 코일 어셈블리(70)를 수용하는 부위와, 로드(60)가 연결되는 부위와, 로드(60)와는 반대측(선단측)에 돌출되는 2개의 반원기둥 형상 축부(118)를 갖는다.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18)의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70)의 브리지부(77, 78)를 수용하는 브리지 수용 오목부(127)가 개방되어 있다.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18)의 외주에는, 너트(98)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133)가 형성된다.
제2 코어(140)는 직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 부분이 전자기 코일(65)에 대해 피스톤(110)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요크부(152)를 구성한다.
제2 코어(140)는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18)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지는 내주면(143)과, 코일 어셈블리(70)에 접촉하는 기단부면(142)과, 플레이트(92)에 접촉하는 선단면(144)과, 코일 어셈블리(70)의 외주면(71)과 단차없이 연장되는 외주면(145)을 갖는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120)의 조립 시, 제1 코어(130)에 코일 어셈블리(70)와 제2 코어(140)와 플레이트(92)를 조립 부착한 후에, 수나사(133)에 너트(98)가 나사 결합된다. 너트(98)의 체결에 의해, 너트(98)가 플레이트(92)를 개재하여 제2 코어(140)를 압박하고, 제2 코어(140)의 기단부면(142)이 코일 어셈블리(70)에 압박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피스톤(110)에서는,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18)의 외주에 제2 코어(140)가 끼워 맞추어지고,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18)의 외주에 너트(98)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133)가 형성되고, 너트(98)와 제1 코어(130)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70)와 제2 코어(140)가 개재 장착된다. 이에 의해, 너트(98)를 통해 제1 코어(130), 제2 코어(140) 및 코일 어셈블리(70)가 덜걱거림없이 체결 고정된다.
이어서,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피스톤(210)의 단면도이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20)는, 제1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피스톤(210)의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20)는, 코일 어셈블리(70)를 수용하는 중공 형상의 제1 코어(230)와, 제1 코어(230)와의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70)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코어(240)를 갖는다.
제1 코어(230)는 코일 어셈블리(70)를 수용하는 부위와, 로드(60)가 연결되는 부위와, 로드(60)와는 반대측(선단측)에 돌출되는 2개의 반원기둥 형상 축부(218)를 갖는다.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218)의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70)의 브리지부(77, 78)를 수용하는 브리지 수용 오목부(227)가 개방되어 있다.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218)의 선단부 외주에는 환 형상 홈(233)이 형성되고, 이 환 형상 홈(233)에 고정구(99)가 끼워 맞추어진다. 고정구(99)는, 예를 들어 C자형으로 만곡한 링 형상이다.
제2 코어(240)는 직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체가 전자기 코일(65)에 대해 피스톤(210)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요크부(252)를 구성한다.
제2 코어(240)는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218)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지는 내주면(243)과, 코일 어셈블리(70)에 접촉하는 기단부면(242)과, 플레이트(92)에 접촉하는 선단면(244)과, 코일 어셈블리(70)의 외주면(71)과 단차없이 연장되는 외주면(245)을 갖는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220)의 조립 시, 제1 코어(230)에 코일 어셈블리(70)와 제2 코어(240)와 플레이트(92)를 조립 부착한 후에,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218)의 환 형상 홈(233)에 고정구(99)가 끼워 맞추어진다. 고정구(99)는 플레이트(92)를 개재하여 제2 코어(240)의 빠짐 방지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피스톤(210)에서는,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218)의 외주에 제2 코어(240)가 끼워 맞추어지고,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218)의 외주에 고정구(99)가 끼워 맞추어지는 환 형상 홈(233)이 형성되고, 고정구(99)와 제1 코어(230)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70)와 제2 코어(240)가 개재 장착된다. 이에 의해, 고정구(99)를 통해 제1 코어(230), 제2 코어(240) 및 코일 어셈블리(70)가 결합된다. 고정구(99)의 개재 장착 스페이스는 작아도 되기 때문에, 피스톤(210)을 소형화할 수 있다.
이어서,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피스톤(310)의 단면도이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320)는, 제1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피스톤(310)의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320)는, 코일 어셈블리(70)를 수용하는 중공 형상의 제1 코어(330)와, 제1 코어(330)와의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70)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코어(340)를 포함한다.
제1 코어(330)는 코일 어셈블리(70)를 수용하는 부위와, 로드(60)가 연결되는 부위와, 로드(60)와는 반대측(선단측)에 돌출되는 2개의 반원기둥 형상 축부(318)를 갖는다.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318)의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70)의 브리지부(77, 78)를 수용하는 브리지 수용 오목부(327)가 개방되어 있다.
중공 형상의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318)의 내주에는 암나사(333)가 형성되고, 암나사(333)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300)가 설치된다.
제2 코어(340)는 직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체가 전자기 코일(65)에 대해 피스톤(310)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요크부(352)를 구성한다.
제2 코어(340)는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318)의 외주에 끼워 맞추는 내주면(343)과, 코일 어셈블리(70)에 접촉하는 기단부면(342)과, 플레이트(92)에 접촉하는 선단면(344)과, 코일 어셈블리(70)의 외주면(71)과 단차없이 연장되는 외주면(345)을 갖는다.
피스톤 코어 어셈블리(320)의 조립 시, 제1 코어(330)에 코일 어셈블리(70)와 제2 코어(340)와 플레이트(92)를 조립 부착한 후에,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318)의 암나사(333)에 볼트(300)가 나사 결합된다. 볼트(300)는 플레이트(92)를 개재하여 제2 코어(340)의 빠짐 방지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피스톤(310)에서는,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318)의 외주에 제2 코어(340)가 끼워 맞추어지고,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318)의 내주에 볼트(300)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333)가 형성되고, 볼트(300)와 제1 코어(330)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70)와 제2 코어(340)가 개재 장착된다. 이에 의해, 제1 코어(330), 제2 코어(340) 및 코일 어셈블리(70)가 덜걱거림없이 결합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제1 코어(30), 제2 코어(40) 및 코일 어셈블리(70)의 3개의 부품을 조립함으로써, 2개의 리드선(72, 73)이 제1 코어(30)의 내측에 통과되므로, 2개의 리드선(72, 73)에 로드(60)의 내측에 설치되어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2개의 전선(13, 14)을 각각 도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는,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회로 구성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류는, 피스톤(10), 로드(60) 또는 차체 등에 흐르는 일 없이 전자기 코일(65)에 유도되므로, 차량에 탑재되는 다른 기기에 미치는 전기적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어셈블리(70)의 몰드 수지부를 제1 코어(30)와 제2 코어(40)로 분리한 상태에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코일 어셈블리(70)를 효율적으로 제조하여, 제1 코어(30) 및 제2 코어(40)에 조립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어셈블리(70)의 2개의 리드선(72, 73)은, 각각 보빈부(79)와 브리지부(77, 78)와 플러그부(76)에 걸쳐 연장되므로, 2개의 리드선(72, 73)을, 제1 코어(30)의 내측을 통하여 로드(6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전선(13, 14)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코어(30)는 브리지 수용 오목부(27)를 사이에 두고 연장되는 2개의 반원기둥 형상 축부(18)를 갖고, 제2 코어(40)는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8)의 외주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요크부(52)를 갖고, 요크부(52)가 피스톤(10)의 축방향을 따라 전자기 코일(65)과 나란히 설치된다. 이에 의해, 요크부(52)는 제1 코어(30)와 제2 코어(40)를 서로 결합하는 역할과, 전자기 코일(65)의 자속을 유도하는 자로의 역할을 하므로, 피스톤(10)을 구성하는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고, 조립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코일 어셈블리(70)는 2개의 리드선(72, 73)이 매립되도록 성형되는 1차 성형체(80)와, 1차 성형체(80)의 외주에 권취되는 마그네트 와이어(66)로 이루어지는 전자기 코일(65)과, 1차 성형체(80)와의 사이에 전자기 코일(65)이 매립되도록 성형되는 2차 성형체(85)를 구비한다. 전자기 코일(65)은 몰드 수지에 의해 포위되어, 전자기 코일(65)의 내부에 만들어지는 불필요한 간극이 감소한다. 이에 의해, 전자기 코일(65)의 절연성이 확보됨과 함께, 실린더(9) 내의 압력 변동이 전자기 코일(65)의 내부에 유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도 2a∼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8)의 외주에 수나사(33)가 형성되고, 요크부(52)의 내주에 암나사(43)가 형성되고, 수나사(33)와 암나사(43)가 서로 나사 결합되므로, 제1 코어(30)와 제2 코어(40)가 코일 어셈블리(70)에 압박되고, 이들이 덜걱거림없이 체결 고정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18)의 외주에 제2 코어(140)가 끼워 맞추어지고,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118)의 외주에 형성되는 수나사(133)에 너트(98)가 나사 결합되고, 너트(98)와 제1 코어(130)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70)와 제2 코어(140)가 개재 장착되므로, 너트(98)에 의해 제1 코어(130)와 제2 코어(140)가 코일 어셈블리(70)에 압박되고, 이들이 덜걱거림없이 체결 고정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218)의 외주에 제2 코어(240)가 끼워 맞추어지고,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218)의 외주에 형성되는 환 형상 홈(233)에 고정구(99)가 끼워 맞추어지고, 고정구(99)와 제1 코어(230)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70)와 제2 코어(240)가 개재 장착되므로, 고정구(99)에 의해 제1 코어(230)와 제2 코어(240)와 코일 어셈블리(70)가 고정되고, 피스톤(210)을 소형화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318)의 외주에 제2 코어(340)가 끼워 맞추어지고, 각 반원기둥 형상 축부(318)의 내주에 형성되는 암나사(333)에 볼트(300)가 나사 결합되고, 볼트(300)와 제1 코어(330) 사이에 코일 어셈블리(70)와 제2 코어(340)가 개재 장착되므로, 볼트(300)에 의해 제1 코어(330)와 제2 코어(340)가 코일 어셈블리(70)에 압박되어, 이들이 덜걱거림없이 체결 고정된다.
도 3a∼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어셈블리(70)의 제조 방법으로서, 2개의 리드선(72, 73)이 매립되는 1차 성형체(80)를 성형하는 1차 성형 공정과, 1차 성형체(80)의 외주에 마그네트 와이어(66)를 권취하여 전자기 코일(65)을 형성하는 코일 권취 공정과, 1차 성형체(80)와의 사이에 전자기 코일(65)이 매립되도록 2차 성형체(85)를 성형하는 2차 성형 공정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코일 어셈블리(70)의 몰드 수지부가 제1 코어(30) 및 제2 코어(40)와 분리한 상태에서 성형되므로, 코일 어셈블리(70)를 효율적으로 제조하여, 제1 코어(30) 및 제2 코어(40)에 조립 부착할 수 있다.
도 4a∼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성형 공정에 있어서, 1차 성형체(80)가 조립 부착된 제1 코어(30)를 금형(111A, 111B)에 넣어 2차 성형체(85)를 성형하므로, 2차 성형체(85)의 몰드 수지에 의해 제1 코어(30)와 코일 어셈블리(7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매립된다. 이에 의해, 실린더(9) 내의 압력 변동이 피스톤(10)의 내부에 유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피스톤(10)이 압력 변동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성형 공정에 있어서, 1차 성형체(80)가 조립 부착된 제1 코어(30) 및 제2 코어(40)를 금형(115A, 115B)에 넣어 2차 성형체(85)를 성형하므로, 2차 성형체(85)의 몰드 수지에 의해 제1 코어(30)와 코일 어셈블리(70)와 제2 코어(4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매립된다. 이에 의해, 실린더(9) 내의 압력 변동이 피스톤(10)의 내부에 유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피스톤(10)이 압력 변동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
본원은 2012년 2월 24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39160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Claims (11)

  1. 자기 점성 유체를 이용한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1)이며,
    상기 자기 점성 유체가 밀봉되는 실린더(9)와,
    상기 실린더(9)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개재 장착되는 피스톤(10, 110, 210, 310)과,
    상기 피스톤(10, 110, 210, 310)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유체실(3, 4)과,
    상기 피스톤(10, 110, 210, 310)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9)의 외부에 돌출되는 중공 형상의 로드(60)와,
    상기 피스톤(10, 110, 210, 310)에 권취되는 마그네트 와이어(66)로 이루어지는 전자기 코일(65)과,
    상기 마그네트 와이어(66)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리드선(72, 73)과,
    상기 전자기 코일(65)과 상기 2개의 리드선(72, 73)이 몰드 수지에 매립되는 코일 어셈블리(70)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10, 110, 210, 310)은, 상기 로드(60)에 연결되는 중공 형상의 제1 코어(30, 130, 230, 330)와, 상기 제1 코어(30, 130, 230, 330)와의 사이에 상기 코일 어셈블리(70)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코어(40, 140, 240, 340)를 갖고,
    상기 2개의 리드선(72, 73)은, 상기 제1 코어(30, 130, 230, 330)의 내측을 통하여, 상기 로드(60)의 내측을 통하는 전선에 도통되고,
    상기 코일 어셈블리(70)는, 상기 2개의 리드선(72, 73)이 매립되도록 성형되는 1차 성형체(80)와, 상기 1차 성형체(80)의 외주에 권취되는 상기 전자기 코일(65)과, 상기 1차 성형체(80)가 조립된 상기 제1 코어(30, 130, 230, 330)를 금형(101A, 101B, 111A, 111B, 115A, 115B)에 넣어, 상기 1차 성형체(80)와의 사이에 상기 전자기 코일(65)이 매립되도록 성형되는 2차 성형체(85)를 갖고,
    상기 2차 성형체(85)의 외주면에 의해 상기 2개의 유체실(3, 4) 사이에서 자기 점성 유체가 흐르는 유로(16)가 형성되는,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어셈블리(70)는, 상기 전자기 코일(65)이 권취되는 환 형상의 보빈부(79)와, 상기 제1 코어(30, 130, 230, 330)의 내측에 삽입되는 플러그부(76)와, 상기 보빈부(79)와 상기 플러그부(76)를 연결하는 브리지부(77, 78)를 갖고,
    상기 2개의 리드선(72, 73)은, 상기 보빈부(79)와 상기 브리지부(77, 78)와 상기 플러그부(76)에 걸쳐 연장되는,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30, 130, 230, 330)는, 상기 브리지부(77, 78)를 수용하는 브리지 수용 오목부(27)와, 상기 브리지 수용 오목부(27)를 사이에 두고 연장되는 2개의 반원기둥 형상 축부(18)를 갖고,
    상기 제2 코어(40, 140, 240, 340)는, 2개의 상기 반원기둥 형상 축부(18, 118, 218, 318)의 외주에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10, 110, 210, 310)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전자기 코일(65)과 나란히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요크부(52, 152, 252, 352)를 갖는,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0)은, 2개의 상기 반원기둥 형상 축부(18)의 외주에 형성되는 수나사(33)와, 상기 요크부(52)의 내주에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33)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43)를 갖는,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140)는 2개의 상기 반원기둥 형상 축부(118)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피스톤(110)은, 2개의 상기 반원기둥 형상 축부(118)의 외주에 형성되는 수나사(133)와, 상기 수나사(133)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98)를 갖고,
    상기 코일 어셈블리(70)와 상기 제2 코어(140)는, 상기 너트(98)와 상기 제1 코어(130)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240)는, 2개의 상기 반원기둥 형상 축부(218)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피스톤(210)은, 2개의 상기 반원기둥 형상 축부(218)의 외주에 형성되는 환 형상 홈(233)과, 상기 환 형상 홈(233)에 끼워 맞추어지는 고정구(99)를 갖고,
    상기 코일 어셈블리(70)와 상기 제2 코어(240)는, 상기 고정구(99)와 상기 제1 코어(230)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340)는, 2개의 상기 반원기둥 형상 축부(318)의 외주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피스톤(310)은, 2개의 상기 반원기둥 형상 축부(318)의 내주에 형성되는 암나사(333)와, 상기 암나사(333)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300)를 갖고,
    상기 코일 어셈블리(70)와 상기 제2 코어(340)는, 상기 볼트(300)와 상기 제1 코어(330)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8. 제1항에 기재된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1)에 이용되는 상기 코일 어셈블리(70)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2개의 리드선(72, 73)이 매립되는 상기 1차 성형체(80)를 성형하는 1차 성형 공정과,
    상기 1차 성형체(80)의 외주에 상기 마그네트 와이어(66)를 권취하여 상기 전자기 코일(65)을 형성하는 코일 권취 공정과,
    상기 1차 성형체(80)와의 사이에 상기 전자기 코일(65)이 매립되도록 상기 2차 성형체(85)를 성형하는 2차 성형 공정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성형 공정은, 상기 1차 성형체(80)가 조립 부착된 상기 제1 코어(30)를 상기 금형(101A, 101B, 111A, 111B)에 넣어 상기 2차 성형체(85)를 성형하는,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성형 공정은, 상기 1차 성형체(80)가 조립 부착된 상기 제1 코어(130) 및 상기 제2 코어(140)를 상기 금형(115A, 115B)에 넣어 상기 2차 성형체(85)를 성형하는,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11. 삭제
KR1020147025051A 2012-02-24 2012-12-03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KR101598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39160A JP5852468B2 (ja) 2012-02-24 2012-02-24 磁気粘性流体緩衝器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コイル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JPJP-P-2012-039160 2012-02-24
PCT/JP2012/081252 WO2013125123A1 (ja) 2012-02-24 2012-12-03 磁気粘性流体緩衝器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コイル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424A KR20140124424A (ko) 2014-10-24
KR101598745B1 true KR101598745B1 (ko) 2016-02-29

Family

ID=4900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051A KR101598745B1 (ko) 2012-02-24 2012-12-03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47514B2 (ko)
EP (1) EP2818752A4 (ko)
JP (1) JP5852468B2 (ko)
KR (1) KR101598745B1 (ko)
CN (1) CN104136797B (ko)
WO (1) WO2013125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9576B2 (ja) * 2013-03-27 2017-01-11 Kyb株式会社 フロントフォーク
CN107636556B (zh) * 2015-06-22 2019-04-05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输入装置以及输入装置的控制方法
CN106122352A (zh) * 2016-07-07 2016-11-16 江苏瑞江车辆系统有限公司 一种磁流变减振器及其装配方法
KR102061974B1 (ko) * 2018-07-03 2020-01-02 뉴모텍(주) Mr 댐퍼의 피스톤 구조
CN108980259B (zh) * 2018-07-10 2020-02-18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适用于电动汽车的自适应减摆器
US10711861B1 (en) * 2019-03-19 2020-07-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ntrollable oleo-pneumatic damper using magnetorheological fluid
DE102021201888A1 (de) 2021-03-01 2022-09-01 Zf Friedrichshafen Ag Hohle Kolbenstan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0675B1 (en) 2000-01-31 2001-07-17 Delphi Technologies, Inc.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JP2009216210A (ja) * 2008-03-12 2009-09-24 Honda Motor Co Ltd 減衰力可変ダンパ
WO2011145357A1 (ja) * 2010-05-21 2011-11-24 株式会社東芝 ダンパ、洗濯機及び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6358B2 (ja) * 1996-12-27 2005-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減衰力可変式ダンパ
JP2001311448A (ja) * 2000-04-28 2001-11-09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US6360856B1 (en) * 2001-01-05 2002-03-26 Mando Corporation Double-tube shock absorber using a hydraulic fluid and a magnetorheological fluid
US6279702B1 (en) * 2001-01-05 2001-08-28 Mando Corporation Shock absorber using a hydraulic fluid and a magnetorheological fluid
DE10214357A1 (de) * 2002-03-28 2003-10-16 Bock Healthcare Gmbh Prothesen-Kniegelenk mit einem hydraulischen Dämpfungszylinder
CN100371623C (zh) * 2004-05-28 2008-02-27 重庆大学 一种汽车悬架系统磁流变液阻尼装置
US7958979B2 (en) * 2007-01-05 2011-06-14 Honda Motor Co., Ltd. Variable damper
US8051961B2 (en) * 2007-10-30 2011-11-08 Honda Motor Co., Ltd. Magneto-rheological damper
EP2300732A1 (en) * 2008-06-02 2011-03-30 Lord Corporation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having enhanced on-state yield strength
US8327984B2 (en) 2009-10-30 2012-12-11 Bwi Company Limited S.A. Magnetorheological (MR) piston assembly with primary and secondary channels to improve MR damper for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0675B1 (en) 2000-01-31 2001-07-17 Delphi Technologies, Inc.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JP2009216210A (ja) * 2008-03-12 2009-09-24 Honda Motor Co Ltd 減衰力可変ダンパ
WO2011145357A1 (ja) * 2010-05-21 2011-11-24 株式会社東芝 ダンパ、洗濯機及び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47514B2 (en) 2016-05-24
EP2818752A1 (en) 2014-12-31
JP2013174309A (ja) 2013-09-05
KR20140124424A (ko) 2014-10-24
WO2013125123A1 (ja) 2013-08-29
CN104136797A (zh) 2014-11-05
EP2818752A4 (en) 2015-12-02
US20150041263A1 (en) 2015-02-12
JP5852468B2 (ja) 2016-02-03
CN104136797B (zh)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745B1 (ko) 자기 점성 유체 완충기 및 그것에 사용되는 코일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US10151370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active vibration-control device and active vibration-damping device
US9441702B2 (en)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US9217486B2 (en) Magnetorheological fluid shock absorber
US8672105B2 (en) Damping control device filled with magnetorheological fluid and engine mount having the same
US6588737B2 (en) Fluid-filled active vibration damp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11221052B2 (en) Mount bush
JP4976862B2 (ja) 磁気粘性流体緩衝器の製造方法
US20150008081A1 (en) Magnetorheological fluid shock absorber
JP4976861B2 (ja) 磁気粘性流体緩衝器の製造方法
US10396622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active vibration-damping device
US10100897B2 (en) Vibration-damping electromagnetic actuator, active fluid-filled vibration-damping device and active vibration-damping device using the same
JP5379706B2 (ja) 能動型防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644632B2 (ja) 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能動型制振装置と能動型防振装置
CN113316884B (zh) 电磁式致动器
JP2017125526A (ja) 磁気粘性流体緩衝器
JP5379705B2 (ja) 能動型防振装置
JP2007303582A (ja) 磁気粘性流体緩衝器
JP2017143156A (ja) 電磁石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WO2022070879A1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3993567B2 (ja) 能動型液封入式防振装置
KR20230048438A (ko)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20220123504A (ko)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JP5358268B2 (ja) 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防振装置
JP2010255787A (ja) 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