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720B1 -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720B1
KR101598720B1 KR1020140180778A KR20140180778A KR101598720B1 KR 101598720 B1 KR101598720 B1 KR 101598720B1 KR 1020140180778 A KR1020140180778 A KR 1020140180778A KR 20140180778 A KR20140180778 A KR 20140180778A KR 101598720 B1 KR101598720 B1 KR 101598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ell
load
stud bolt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근
황귀철
심재열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0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 하중을 갖는 대형 구조물이나 대형 시험체 등의 구조시험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고 하중을 갖는 유압작동기와 로드셀 간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ATTACHING AND DETACHING APPARATUS OF LOAD CELL FOR LOAD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A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 하중을 갖는 대형 구조물이나 대형 시험체 등의 구조시험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고 하중을 갖는 유압작동기와 로드셀 간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이나 시험체 등에 대한 구조시험(Full-Scale Structure Test)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중부가장치의 설치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 하중부가장치의 설치는 유압작동기와 로드셀과의 체결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체결작업은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장착된 스터드볼트에 스파이럴 와셔를 넣고 로드셀을 스터드볼트에 체결한 뒤, 나선와셔를 조여서 유압작동기의 피스톤로드와 로드셀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고 하중이 요구되는 구조시험 등에서는 로드셀과 유압작동기 또한 규모와 중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로드셀과 유압작동기와의 연결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8693호(2013.09.1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 하중을 갖는 대형 구조물이나 대형 시험체 등의 구조시험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고 하중을 갖는 유압작동기와 로드셀 간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유압작동기; 양단부를 가지며 전단부는 상기 피스톤로드에 연결되는 스터드볼트; 및 전면에 상기 스터드볼트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가 구비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의 상기 로드셀을 상기 스터드볼트의 후단부에 탈착되도록 하는 탈착장치로서, 아웃케이싱부; 상기 아웃케이싱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로드셀이 결합되는 인케이싱부; 상기 로드셀을 상기 인케이싱부에 결속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인케이싱부와 함께 상기 로드셀이 회전되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셀은, 상기 작동부의 조절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제1연결부가 상기 스터드볼트의 후단부에 나사결합되거나, 나사결합된 상태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유압작동기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웃케이싱부는, 전,후단부가 개방되는 아웃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인케이싱부는, 상기 아웃케이싱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로드셀이 결합되는 인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인케이싱의 내측에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클램프; 및 상기 복수의 클램프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로드셀이 상기 인케이싱에 결속되도록 하거나, 결속해제되도록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의 클램프는, 각각 상기 인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로드셀을 가압하는 가압판; 상기 인케이싱에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바; 및 일단부는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결합바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인케이싱에는, 둘레를 따라 전,후단부가 그 인케이싱의 전,후면 및 내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클램프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는 한편,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중공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의 클램프는, 각각 상기 가압판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셀과 접하는 압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케이싱부는, 상기 인케이싱의 전,후면에 연결되며, 개방된 상기 복수의 중공의 각 양단부를 차단하여 그 중공으로부터 상기 클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1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인케이싱에 나사결합되며,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클램프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는 복수의 가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케이싱에는, 둘레를 따라 내,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중공과 연통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아웃케이싱에는, 둘레를 따라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가압구는, 상기 인케이싱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2결합공이 상호 연통될 때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조임 또는 풀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웃케이싱의 내측으로 상기 인케이싱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결합수단은, 상기 아웃케이싱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인케이싱의 외주면과 접하는 복수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웃케이싱은, 전,후면에 각각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결합홈은, 각각 상기 아웃케이싱의 전면 또는 후면을 이루는 일단부로부터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타단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일단부로 상기 회전롤러가 인입되고, 상기 타단면에 그 회전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결합홈; 및 상기 아웃케이싱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과 연통되며, 그 제1결합홈으로부터 상기 회전롤러가 돌출되어 상기 인케이싱과 접하도록 하는 제2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웃케이싱부는, 상기 아웃케이싱의 전,후면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홈의 일단부를 차단하는 복수의 제2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로드셀은, 후면에 상기 작동부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셀이 회전되도록 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터드볼트의 양단부 사이 외측에 결합되는 나선와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선와셔는, 회전에 따라 상기 스터드볼트의 후단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스터드볼트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로드셀을 가압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웃케이싱부는, 상기 아웃케이싱에 구비되며, 외부의 다른 운반수단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아웃케이싱의 외측에 구비되는 조절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결합공은, 상기 제1결합공보다 더 많은 개수로 이루어지는 한편, 그 제1결합공이 이루는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웃케이싱의 전,후면 외측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한 쌍의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의 작동방법으로서, 상기 로드셀을 상기 인케이싱의 내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로드셀 결합 준비단계; 상기 로드셀이 상기 인케이싱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가압구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클램프의 가압에 의해 상기 로드셀이 상기 인케이싱에 결속되도록 하는 로드셀 결속단계; 상기 로드셀이 상기 인케이싱에 결속된 상태에서 외부의 다른 운반수단에 의해 상기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를 상기 스터드볼트의 후단부로 운반하여 그 스터드볼트의 후단부와 상기 제1연결부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로드셀 운반단계; 및 상기 작동레버의 조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드셀이 상기 인케이싱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스터드볼트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로드셀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드셀 결합단계 후에,상기 나선와셔를 상기 스터드볼트의 후단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로드셀을 가압하여 안정적인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나선와셔 결속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선와셔 결속단계 후에, 상기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를 상기 로드셀로부터 분리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분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 하중을 갖는 대형 구조물이나 대형 시험체 등의 구조시험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고 하중을 갖는 유압작동기와 로드셀 간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에서 인케이싱에 결합되는 클램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에서 아웃케이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에서 회전결합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에서 로드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이하 "탈착장치"라 한다)(1)는 피스톤로드(111)를 포함하는 유압작동기(110), 양단부를 가지며 전단부는 상기 피스톤로드(111)에 연결되는 스터드볼트(120) 및 전면에 상기 스터드볼트(12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131)가 구비되는 로드셀(130)을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100)의 상기 로드셀(130)을 상기 스터드볼트(120)의 후단부에 탈착되도록 하는 탈착장치로서, 상기 스터드볼트(120)의 후방에 위치되는 아웃케이싱부(10), 상기 아웃케이싱부(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로드셀(130)이 결합되는 인케이싱부(20), 상기 로드셀(130)을 상기 인케이싱(20)에 결속하는 클램핑부(30) 및 상기 로드셀(130)을 회전시켜 상기 제1연결부(131)가 상기 스터드볼트(120)의 후단부에 나사결합되도록 하거나, 나사결합된 상태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작동부(4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이나 시험체 등에 대한 구조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중부가장치의 설치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 하중부가장치의 설치는 유압작동기와 로드셀과의 체결작업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고 하중이 요구되는 구조시험 등에서는 로드셀과 유압작동기 또한 규모와 중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로드셀과 유압작동기와의 연결이 쉽지 않다.
상기 탈착장치(1)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오 같이 고 하중을 갖는 대형 구조물이나 대형 시험체 등의 구조시험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고 하중을 갖는 유압작동기와 로드셀 간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압작동기(110), 상기 스터드볼트(120) 및 상기 로드셀(130)은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다.
상기 제1연결부(131)는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셀(13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연결홈(132)으로 이루어지며, 그 제1연결홈(132)으로는 상기 스터드볼트(120)의 타단부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로드셀(130)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상기 작동부(40)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133)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133)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셀(130)을 회전시켜 상기 제1연결부(131)가 상기 스터드볼트(120)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도록 하거나, 그 스터드볼트(120)의 타단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작동레버(41)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부(133)는 상기 로드셀(130)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연결홈(13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동레버(41)는 전,후단부를 가지며, 그 전단부가 상기 제2연결홈(134)에 결합되는 작동바(42), 상기 작동바(4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환형손잡이(43) 및 상기 환형손잡이(43)에 연결되는 손잡이바(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레버(41)는 상기 작동바(42)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셀(130)은 상기 제2연결홈(134)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탈착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터드볼트(120)의 양단부 사이 외측에 결합되는 나선와셔(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선와셔(60)는 회전에 따라 상기 스터드볼트(120)의 후단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스터드볼트(120)의 후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로드셀(130)을 가압 결속한다.
상기 아웃케이싱부(10)는 외부의 다른 운반수단(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며, 그 운반수단은 일반적인 형태의 크레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운반수단은 구동에 따라 고 하중을 갖는 상기 탈착장치(1)를 운반하여 그 탈착장치(1)에 연결되는 상기 로드셀(130)과 상기 유압작동기(110) 간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웃케이싱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단부를 가지며, 그 전,후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인케이싱부(20)가 결합되는 아웃케이싱(11) 및 상기 아웃케이싱(11)의 상부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운반수단에 체결되는 체결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케이싱(11)은 원형링 형태를 이루며, 상기 체결부(12)는 상기 아웃케이싱(11)의 상부 양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고, 체결공(13a)이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판(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공(13a)으로는 상기 운반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슬링바(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싱부(10)는 상기 아웃케이싱(11)의 외측에 단수 또는 복수 구비되는 조절바(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바(14)는 상기 탈착장치(1)를 상기 운반수단에 연결하는 경우와 함께 그 운반수단의 구동에 따른 상기 탈착장치(1)의 이동시 작업자의 인위적인 조정에 따라 흔들림을 제한하거나 진행 방향 등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절바(14)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절바(14)는 양단부가 상기 아웃케이싱(11)에 연결되는 'ㄷ'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탈착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케이싱(11)의 전,후면 외측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한 쌍의 보호커버(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호커버(70)는 상기 아웃케이싱(11)의 전,후면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가압이나, 충격 등에 의한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 인케이싱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케이싱(1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로드셀(130)이 결합되는 인케이싱(21)을 포함한다.
상기 인케이싱(21)은 전,후단부가 개방되는 원형링 형태를 이루며, 외경이 상기 아웃케이싱(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내경이 상기 로드셀(1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셀(130)은 상기 클램핑부(30)에 의해 상기 인케이싱(21)에 결속된다.
상기 클램핑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케이싱(21)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인케이싱(21)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클램프(31) 및 상기 복수의 클램프(31)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로드셀(130)이 상기 인케이싱(21)에 결속되도록 하거나, 결속해제되도록 하는 가압수단(32)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클램프(31)는 각각 상기 인케이싱(21)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로드셀(130)을 가압하는 가압판(33), 상기 인케이싱(21)에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바(34) 및 일단부는 상기 가압판(33)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결합바(34)에 연결되는 연결바(35)를 포함한다. 여기서, 반경반향은 상기 인케이싱(21)의 내외주면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33)은 양단부가 상기 로드셀(13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클램프(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가압판(33)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셀(130)과 접하는 압착부재(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재(36)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클램프(31)와 상기 로드셀(130)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복수의 클램프(31)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로드셀(130)의 표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인케이싱(2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전,후면 및 내주면을 관통하며, 상기 복수의 클램프(31)가 결합되는 복수의 중공(22)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중공(22)은 각각 상기 결합바(34)가 수용되는 제1중공(22a)과,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중공(22a)과 연통되며 상기 연결바(35)가 통과되는 제2중공(2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클램프(31)는 각각 상기 인케이싱(21)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상기 중공(22)으로 인입되되, 그 인케이싱(21)의 전,후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케이싱부(20)는 상기 복수의 중공(22)으로 인입되는 상기 복수의 클램프(31)가 그 복수의 중공(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인케이싱(21)의 전,후면에 연결되며, 상기 각 중공(22)의 개방된 양단부를 차단하는 복수의 제1차단부재(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차단부재(23)는 각각 양단부가 상기 인케이싱(21)의 전,후면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판 형태를 이루며, 리벳 등을 포함하는 결합구(24)에 의해 그 인케이싱(21)의 전,후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1차단부재(23)는 각각 상기 인케이싱(21)의 전,후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그 인케이싱(21)의 전,후면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케이싱(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에 각각 상기 중공(22)과 상호 연통되며, 상기 제1차단부재(23)가 매립되는 복수의 제2매립홈(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복수의 제1차단부재(23)는 상기 인케이싱(21)의 전,후면과 동일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인케이싱(21)의 외주면에 매립되며, 타단부가 상기 복수의 중공(22)에 각각 위치되는 한편, 상기 인케이싱(21)에 나사결합되며,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클램프(31)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는 복수의 가압구(37)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구(37)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볼트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인케이싱(21)에는 둘레를 따라 내,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중공(22)과 연통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공(21a)이 형성된다.
상기 아웃케이싱(1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결합공(11a)이 형성되며, 그 복수의 제2결합공(11a)은 상기 인케이싱(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결합공(21a)과 연통되거나, 연통해제된다.
상기 가압구(37)는 상기 인케이싱(21)이 상기 아웃케이싱(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그 인케이싱(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2결합공(21a,11a)이 상호 연통될 때 작업자 등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조임 또는 풀림 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압구(37)는 조임 회전에 따라 반경반향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클램프(31)를 가압하여 상기 인케이싱(21)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상기 로드셀(130)을 결속하는 한편,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클램프(31)의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인케이싱(21)으로부터 상기 로드셀(130)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웃케이싱(11)에는 상기 제2결합공(11a)이 상기 인케이싱(21)에 형성되는 상기 제1결합공(21a)보다 더 많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가압구(37)의 체결시 상기 인케이싱(21)의 적은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결합공(21a,11a)이 쉽게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공(11a)은 상기 제1결합공(21a)보다 결합공을 이루는 둘레가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로부터 상기 가압구(37)로의 가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탈착장치(1)는 상기 아웃케이싱(11)의 내측에 상기 인케이싱(2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결합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결합수단(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케이싱(11)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인케이싱(21)의 외주면과 접하는 복수의 회전롤러(51)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51)는 각각 회전축(52) 및 상기 회전축(52)의 외측에 결합되어 그 회전축(52)과 함께 회전되는 롤러(53)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51)는 상기 아웃케이싱(11)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면서 한 쌍을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아웃케이싱(11)은 전,후면에 각각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5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15)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결합홈(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아웃케이싱(11)의 전면 또는 후면을 이루는 일단부로부터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일단부로 상기 회전롤러(51)가 인입되고, 내측 타단면(16)에 그 회전롤러(51)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결합홈(15a) 및 상기 아웃케이싱(11)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15a)과 연통되며, 상기 회전롤러(51)가 그 제1결합홈(15a)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인케이싱(21)과 접하도록 하는 제2결합홈(15b)을 포함한다.
상기 타단면(16)에는 상기 회전축(5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공(16a)이 형성된다.
상기 아웃케이싱부(10)는 상기 복수의 결합홈(15)으로 인입되는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51)가 그 복수의 결합홈(1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아웃케이싱(11)의 전,후면에 연결되며, 상기 각 결합홈(15)의 일단부를 차단하는 복수의 제2차단부재(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차단부재(17)는 양단부가 상기 아웃케이싱(11)의 전,후면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판 형태를 이루며, 리벳 등을 포함하는 결합구(18)에 의해 그 아웃케이싱(11)의 전,후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2차단부재(17)는 각각 상기 아웃케이싱(11)의 전,후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그 아웃케이싱(11)의 전,후면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웃케이싱(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에 각각 상기 결합홈(15)과 상호 연통되며 상기 제2차단부재(17)가 매립되는 복수의 제1매립홈(17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복수의 제2차단부재(17)는 상기 아웃케이싱(11)의 전,후면과 동일면을 이룰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탈착장치의 작동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로드셀(130)을 상기 인케이싱(21)의 내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로드셀 결합 준비단계(S100), 상기 로드셀(130)이 상기 인케이싱(2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가압구(37)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클램프(31)의 가압에 의해 상기 로드셀(13)이 상기 인케이싱(21)에 결속되도록 하는 로드셀 결속단계(S200), 상기 로드셀(130)이 상기 인케이싱(21)에 결속된 상태에서 운반수단에 의해 상기 탈착장치(1)를 상기 스터드볼트(120)의 후단부로 운반하여 그 스터드볼트(120)의 후단부와 상기 제1연결부(131)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로드셀 운반단계(S300) 및 상기 작동레버(41)의 조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드셀(130)이 상기 인케이싱(21)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스터드볼트(120)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로드셀 결합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탈착장치의 작동방법은 상기 로드셀 결합단계(S400) 후에, 상기 나선와셔(60)를 상기 스터드볼트(120)의 후단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로드셀(130)을 가압하여 안정적인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나선와셔 결속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장치의 작동방법은 상기 나선와셔 결속단계(S500) 후에, 상기 탈착장치(1)를 상기 로드셀(130)로부터 분리하는 탈착장치 분리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장치(1)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고 하중이 요구되는 구조시험 등에서 상기 로드셀(130)과 상기 유압작동기(110) 간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탈착장치 10 : 아웃케이싱부
11 : 아웃케이싱 11a : 제2결합공
12 : 체결부 13 : 체결판
13a : 체결공 14 : 조절바
15 : 결합홈 16 : 타단면
17 : 제2차단부재 20 : 인케이싱부
21 : 인케이싱 21a : 제1결합공
22 : 중공 23 : 제1차단부재
30 : 클램핑부 31 : 클램프
32 : 가압수단 37 : 가압구
40 : 작동부 41 : 작동레버
50 : 회전결합수단 51 : 회전롤러
60 : 나선와셔 70 : 보호커버
100 : 하중부가장치 110 : 유압작동기
111 : 피스톤로드 120 : 스터드볼트
130 : 로드셀 131 : 제1연결부
133 : 제2연결부

Claims (19)

  1.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유압작동기; 양단부를 가지며 전단부는 상기 피스톤로드에 연결되는 스터드볼트; 및 전면에 상기 스터드볼트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가 구비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하중부가장치의 상기 로드셀을 상기 스터드볼트의 후단부에 탈착되도록 하는 탈착장치로서,
    아웃케이싱부;
    상기 아웃케이싱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로드셀이 결합되는 인케이싱부;
    상기 로드셀을 상기 인케이싱부에 결속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인케이싱부와 함께 상기 로드셀이 회전되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셀은,
    상기 작동부의 조절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제1연결부가 상기 스터드볼트의 후단부에 나사결합되거나, 나사결합된 상태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유압작동기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며,
    상기 아웃케이싱부는,
    전,후단부가 개방되는 아웃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인케이싱부는,
    상기 아웃케이싱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로드셀이 결합되는 인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인케이싱의 내측에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클램프; 및
    상기 복수의 클램프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로드셀이 상기 인케이싱에 결속되도록 하거나, 결속해제되도록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램프는,
    각각 상기 인케이싱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로드셀을 가압하는 가압판;
    상기 인케이싱에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바; 및
    일단부는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결합바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인케이싱에는,
    둘레를 따라 전,후단부가 상기 인케이싱의 전,후면 및 내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클램프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는 한편,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중공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램프는,
    각각 상기 가압판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셀과 접하는 압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케이싱부는,
    상기 인케이싱의 전,후면에 연결되며, 개방된 상기 복수의 중공의 각 양단부를 차단하여 상기 중공으로부터 상기 클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제1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인케이싱에 나사결합되며,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클램프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는 복수의 가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케이싱에는,
    둘레를 따라 내,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중공과 연통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아웃케이싱에는,
    둘레를 따라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가압구는,
    상기 인케이싱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2결합공이 상호 연통될 때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조임 또는 풀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케이싱의 내측으로 상기 인케이싱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결합수단은,
    상기 아웃케이싱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인케이싱의 외주면과 접하는 복수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케이싱은,
    전,후면에 각각 둘레를 따라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결합홈은,
    각각 상기 아웃케이싱의 전면 또는 후면을 이루는 일단부로부터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타단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일단부로 상기 회전롤러가 인입되고, 상기 타단면에 상기 회전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결합홈; 및
    상기 아웃케이싱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과 연통되며, 상기 제1결합홈으로부터 상기 회전롤러가 돌출되어 상기 인케이싱과 접하도록 하는 제2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케이싱부는,
    상기 아웃케이싱의 전,후면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홈의 일단부를 차단하는 복수의 제2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은,
    후면에 상기 작동부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셀이 회전되도록 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의 양단부 사이 외측에 결합되는 나선와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선와셔는,
    회전에 따라 상기 스터드볼트의 후단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터드볼트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로드셀을 가압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케이싱부는,
    상기 아웃케이싱에 구비되며, 외부의 다른 운반수단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아웃케이싱의 외측에 구비되는 조절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공은,
    상기 제1결합공보다 더 많은 개수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1결합공이 이루는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케이싱의 전,후면 외측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한 쌍의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17. 제 8항의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의 작동방법으로서,
    상기 로드셀을 상기 인케이싱의 내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로드셀 결합 준비단계;
    상기 로드셀이 상기 인케이싱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가압구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클램프의 가압에 의해 상기 로드셀이 상기 인케이싱에 결속되도록 하는 로드셀 결속단계;
    상기 로드셀이 상기 인케이싱에 결속된 상태에서 외부의 다른 운반수단에 의해 상기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를 상기 스터드볼트의 후단부로 운반하여 상기 스터드볼트의 후단부와 상기 제1연결부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로드셀 운반단계; 및
    상기 작동부의 조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드셀이 상기 인케이싱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스터드볼트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로드셀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의 작동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는,
    상기 스터드볼트의 양단부 사이 외측에 결합되는 나선와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드셀 결합단계 후에, 상기 나선와셔를 상기 스터드볼트의 후단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로드셀을 가압하여 안정적인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나선와셔 결속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의 작동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와셔 결속단계 후에, 상기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를 상기 로드셀로부터 분리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분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의 작동방법.
KR1020140180778A 2014-12-15 2014-12-15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598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778A KR101598720B1 (ko) 2014-12-15 2014-12-15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778A KR101598720B1 (ko) 2014-12-15 2014-12-15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720B1 true KR101598720B1 (ko) 2016-03-15

Family

ID=5554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778A KR101598720B1 (ko) 2014-12-15 2014-12-15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7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291B1 (ko) 2016-12-05 2018-05-3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하중부가장치용 연결 장치
CN116952444A (zh) * 2023-09-20 2023-10-27 江天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螺栓螺母垫片传感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547A (ko) * 2009-12-30 2011-07-07 박명환 회전수단을 가지는 연마가공물 고정용 지그
KR20120066304A (ko) * 2010-12-14 2012-06-22 한국공작기계 주식회사 추력보정 유압시스템을 적용한 선반의 심압축 장치
KR20120068171A (ko) * 2010-12-17 2012-06-2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구조시험용 볼트와 볼트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KR20130081907A (ko) * 2012-01-10 2013-07-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프로펠러의 너트 조립용 지그
KR101308693B1 (ko) 2008-12-23 2013-09-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로드셀 비교검사 및 교정용 하중부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693B1 (ko) 2008-12-23 2013-09-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로드셀 비교검사 및 교정용 하중부가장치
KR20110077547A (ko) * 2009-12-30 2011-07-07 박명환 회전수단을 가지는 연마가공물 고정용 지그
KR20120066304A (ko) * 2010-12-14 2012-06-22 한국공작기계 주식회사 추력보정 유압시스템을 적용한 선반의 심압축 장치
KR20120068171A (ko) * 2010-12-17 2012-06-2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구조시험용 볼트와 볼트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KR20130081907A (ko) * 2012-01-10 2013-07-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프로펠러의 너트 조립용 지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291B1 (ko) 2016-12-05 2018-05-3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하중부가장치용 연결 장치
CN116952444A (zh) * 2023-09-20 2023-10-27 江天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螺栓螺母垫片传感器
CN116952444B (zh) * 2023-09-20 2023-12-12 江天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螺栓螺母垫片传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3488B2 (ja) クレーン結合部のためのピン駆動装置
JP4412297B2 (ja) 作業機械の上下部結合装置
US10322478B2 (en) Tensioning device for a screw connection, method for tightening a screw connection, and threaded nut
KR101598720B1 (ko) 하중부가장치용 로드셀 탈착장치 및 그 작동방법
CN101668618A (zh) 具有可收起操纵臂的紧固装置和包括这种装置的设备
US9592588B2 (en) Pipe aligning tool
JP2020507510A (ja) 車両ホイールの緊急操作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769138B1 (ko) 유압 그리핑 시스템
AU2011231526B2 (en) Shackle connecting device
MXPA94008367A (en) A mounting of basket loader for press paramontar llan
CN105873773A (zh) 处理车轮的工具
CN217725330U (zh) 一种配置气体用快速混合装置
JP6130281B2 (ja) 管継手接合装置及び管継手接合方法
US63362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osening and removing connection bolts
KR101464435B1 (ko) 회전 가능한 버켓이 장착된 굴삭기
KR200405910Y1 (ko) 고정식 안전망 클램프
US8905688B1 (en) Portable boring bar apparatus
KR20100091733A (ko) 휴대용 인양러그
KR101812678B1 (ko) 수동식 해제부재를 구비한 중량물 집게장치
KR100918796B1 (ko) 원터치형 안전 연결고리
JP3455830B2 (ja) 段替装置
CN218871144U (zh) 一种具有快速锁止接口的聚氨酯消防水带
US11806849B1 (en) Method for attaching a plug puller to a pipe
KR101531888B1 (ko) 스웨이징 머신
KR20190114296A (ko) 착탈식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