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888B1 - 스웨이징 머신 - Google Patents

스웨이징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888B1
KR101531888B1 KR1020130146825A KR20130146825A KR101531888B1 KR 101531888 B1 KR101531888 B1 KR 101531888B1 KR 1020130146825 A KR1020130146825 A KR 1020130146825A KR 20130146825 A KR20130146825 A KR 20130146825A KR 101531888 B1 KR101531888 B1 KR 101531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se
opening
jaw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312A (ko
Inventor
박인수
Original Assignee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6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88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7/00Hammers; Forging machines with hammers or die jaws acting by impact
    • B21J7/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7/18Forging machines working with die jaws, e.g. pivoted, movable laterally of the forging or pressing direction, e.g. for sw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4Frame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6Swaging presses; Upsett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웨이징 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스웨이징 머신의 구성은 스웨이징 대상물의 외주면에서 가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죠오(50)를 구비한 베이스 죠오부(10); 상기 스웨이징 대상물의 외주면에서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죠오(5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죠오부(10)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열릴 수 있도록 결합된 오프닝 죠오부(20) 및 상기 죠오(50)를 상기 스웨이징 대상물 외주면에서 전진시켜 상기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스웨이징 가동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웨이징 머신{Swaging machine}
본 발명은 스웨이징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웨이징 대상물인 튜브에 고정링을 가압하는 스웨이징 작업시에 주요부를 열어서 튜브를 간편하고 신속하에 안착시켜서 스웨이징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리성 향상과 작업 시간 단축 등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스웨이징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연한 호스와 같은 관로(이하, 편의상 튜브라 칭함)에는 튜브의 분기 작업이나 다른 튜브의 연결 작업 등을 위하여 금속제 커넥터(니플 등이 될 수 있는데, 편의상 커넥터를 통칭함)가 접속된다. 이때, 커넥터를 튜브의 단부에서 삽입하여 그대로 놔두면 튜브 내부를 지나가는 유체의 압력 등에 의해 튜브에서 커넥터가 빠지기 때문에, 커넥터를 튜브의 단부에서 삽입한 다음에 필수적으로 고정링(금속제 고정링)을 튜브의 외주면에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를 가압 가공(스웨이징 가공)된 고정링에 의해 튜브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스웨이징(swaging) 작업이라 할 수 있는데, 기존에 스웨이징 작업(또는 클램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는 일례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0448252호(2004.09.01 등록)와 같이 튜브에 결합된 커넥터를 복수개의 죠오가 원주상에서 동일 압력으로 균일하게 압착시켜서 직경을 줄임으로써 커넥터를 튜브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튜브를 방사상의 죠오 사이로 투입하기 위한 튜브 삽입홀 부분이 죠오 지지 프레임의 양면으로 뚫려있는 구조라서 상기 튜브를 죠오 사이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튜브 삽입홀에 길다란 튜브를 일일이 밀어넣어야 하는 경우가 생기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 시간도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20m 길이의 튜브 양쪽 단부에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일단 튜브의 한쪽 단부에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에서 커넥터의 튜브 안으로 들어가 있는 부분을 상기와 같은 스웨이징 작업에 의해 가압되는 고정링에 의해 고정한 다음, 상기 튜브의 다른 쪽 단부에 커넥터를 스웨이징 작업해야 하는데, 상기 튜브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 커넥터에 튜브 삽입홀의 내경보다 외경이 더 큰 헤드(또는 플랜지부) 등이 있는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상기 튜브를 20미터 길이에 도달하도록 계속해서 밀어넣고, 튜브의 다른 쪽 단부에 있는 커넥터를 상기 스웨이징 작업에 의해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도 많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튜브가 설치된 장소의 상황 등이 변하여 튜브의 길이를 늘려서 사용할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기설치된 튜브를 중간을 잘라서 튜브의 잘려진 단부에 새로운 커넥터를 접속하고 상기와 같은 스웨이징 작업을 다시 해야 하는데, 기존에는 상기와 같이 튜브 삽입홀에 다시 튜브를 일일이 밀어넣는 작업을 또 해야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 시간 소요가 많아지게 된다. 양쪽 단부에 커넥터가 각각 고정된 기존의 튜브를 잘라서 두 개로 분할된 튜브를 만든 다음, 새로 연장될 튜브와 기존 한쪽 튜브의 서로 인접한 한쪽 단부끼리 커넥터를 접속하여 스웨이징 작업에 의해 커넥터를 상기 기존 튜브와 새로운 연장 튜브의 한쪽 단부에 고정한 다음, 상기 기존의 다른 쪽 튜브와 상기 새로운 연장 튜브의 서로 인접한 단부끼리 다른 커넥터를 접속하여 스웨이징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기된 튜브를 다른 단부가 튜브 삽입홀 내부까지 도달하도록 당겨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튜브의 길이를 늘려주어야 할 경우 등에는 튜브의 한쪽 단부측 커넥터를 스웨이징 가공한 다음 아직 스웨이징 가공이 되지 않은 다른 쪽 단부가 튜브 삽입홀에 들어와서 죠오 사이에 배치될 때까지 계속해서 튜브를 당겨주어야 하므로 작업성 측면에서 불편하고 시간 소요가 더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튜브의 길이를 늘려서 사용할 경우에 새롭게 연결되는 커넥터의 외경이 튜브 삽입홀보다 크다면 커넥터를 튜브에 고정하는 스웨이징 작업을 수행하기 곤란할 경우가 있다. 튜브 길이를 늘려주려고 새롭게 접속된 커넥터의 외경이 튜브 삽입홀의 내경보다 큰 헤드(또는 플랜지부) 등이 있는 경우에는 커넥터가 헤드 때문에 튜브 삽입홀에 걸리게 되어서 튜브 자체를 아예 튜브 삽입홀에 투입하거나 튜브 삽입홀에서 당겨서 빼낼 수 없으므로, 스웨이징 작업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튜브가 일직선이 아니고 방향이 두 개 이상 분기되는 경우에도 기존에는 스웨이징 작업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튜브가 티자형(T type) 커넥터에 의해 티자형으로 분기될 경우 세 군대로 연장된 튜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튜브에 티자형 커넥터를 스웨이징한 상태에서는 티자형 커넥터에 걸려서 스웨이징 장치의 튜브 삽입홈을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다른 곳의 튜브와 티자형 커넥터의 다른 부분은 스웨이징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웨이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62704호가 있는데, 이것은 상호 간에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다이스 배치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체결부재, 상기 다이스 배치홈에 배치되며, 서로 대향되는 대향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다각의 압착홈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다이스,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며,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를 통과하여 어느 하나의 다이스를 다른 하나의 체결부재를 향해 밀어내는 유압 잭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호스 압착기로서, 상기 다각의 압착홈이 구비된 한 쌍의 다이스가 좁혀지면서 튜브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링(금속제 고정링)을 눌러주는 스웨이징 가공을 함으로써 튜브에 커넥터를 고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 제10-2013-0062704호의 경우에는 고정링을 완전한 원형(진원)으로 누르지는 못하게 되어서 고정링이 튜브에 끼워진 커넥터를 제대로 가압하지 못하고 눌려지지 않은 부분(튜브의 외주면에 위로 떠버리는 부분)이 생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튜브와 커넥터 사이의 연결부위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연결 부위 강도가 떨어지는 만큼 수밀성(물이 세지 않는 성질) 등에 있어서 신뢰성이 높지 못한 단점이 있다. 상기 다이스의 각 다각형 압착홈에 결합되는 튜브의 규격이 잘 맞지 않은 경우에 고정링이 튜브에 끼워진 커넥터를 제대로 가압하지 못하고 눌려지지 않은 부분이 생기며, 이로 인하여 튜브와 커넥터 사이의 연결부위 강도가 떨어지고 수밀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48252호(2004.09.01 등록)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7279호(2002.05.22 등록)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62704호(2013.16.13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웨이징 대상물인 튜브에 고정링을 가압하는 스웨이징 작업시에 주요부를 열어서 튜브를 간편하고 신속하에 안착시켜서 스웨이징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리성 향상과 작업 시간 단축 등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스웨이징 머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 설치 장소의 환경 조건 등에 대응하여 튜브의 길이를 늘리거나 분기시키거나 하는 등의 작업이 요구될 때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스웨이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스웨이징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웨이징 대상물의 외주면에서 가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죠오를 구비한 베이스 죠오부; 상기 스웨이징 대상물의 외주면에서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죠오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죠오부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열릴 수 있도록 결합된 오프닝 죠오부 및 상기 죠오를 상기 스웨이징 대상물 외주면에서 전진시켜 상기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스웨이징 가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이징 머신이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 죠오부는, 상기 죠오가 안쪽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 블록; 상기 죠오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안쪽면 방향으로 전진시키도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베이스 푸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오프닝 죠오부는, 상기 죠오가 안쪽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오프닝 블록;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에 일측이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죠오를 상기 오프닝 블록의 안쪽면으로 전진시키는 오프닝 푸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스웨이징 가동부는, 레버 작동유닛; 상기 레버 작동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과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죠오들을 상기 베이스 블록과 상기 오프닝 블록의 안쪽면으로 방향으로 눌려지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블록이 장착된 서포트 바디; 상기 서포트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과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은, 상기 죠오들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베이스 블록과 상기 오프닝 블록의 외주면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작동유닛의 가동부재에 제1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 바디에 제2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가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과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을 전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 작동유닛은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전진시 상기 레버가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 전진하여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과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을 눌러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피스톤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일측으로는 개구부를 구비한 축홀과, 상기 레버의 하단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축홀에 삽입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 작동유닛은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레버와 상기 피스톤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레버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를 상기 서포트 바디에 연결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1힌지부와 상기 제2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레버의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과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을 밀어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는 곡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바디의 안쪽면에 상기 베이스 블록이 고정되고, 구형 곡면부를 구비한 볼블록이 선단부에 구비된 가이드 바아가 상기 베이스 블록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포트 바디의 안쪽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바아에는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이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버는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상기 볼블록이 들어와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이 상기 볼블록의 구형 곡면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힌지부를 구성하는 힌지축은 상기 레버의 상기 수용홈을 가로질러 상기 가이드 바아의 상기 볼블록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블록의 안쪽면과 상기 오프닝 블록은 상기 죠오가 전진하기 위한 복수개의 죠오 결합홀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구비된 푸시홀 포밍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프닝 블록이 상기 베이스 블록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홀 포밍홈들이 합쳐져서 죠오 푸시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죠오 결합홀들은 상기 죠오 푸시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죠오는 상기 베이스 블록과 상기 오프닝 블록의 내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죠오 출몰 홀의 중심부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블록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베이스 푸시 블록의 안쪽면과 상기 오프닝 블록에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에 결합된 오프닝 푸시 블록의 안쪽면은 푸시 가동홀 포밍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이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가동홀 포밍홈들이 합쳐져서 죠오 푸시 가동홀를 형성하며, 상기 죠오 푸시 가동홀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죠오가 눌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과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을 탄지하도록 상기 서포트 바디에 구비된 탄성체와, 상기 죠오들을 푸시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탄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블록과 상기 오프닝 블록에 구비된 탄성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이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에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과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록킹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오프닝 블록과 오프닝 푸시 블록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베이스 블록의 안쪽면에 스웨이징 가공 대상 튜브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베이스 푸시 블록과 오프닝 푸시 블록을 닫아준 다음 스웨이징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튜브를 죠오 사이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오프닝 블록과 베이스 블록 사이의 단면 원형홀 형태의 죠오 푸시홀로 일일이 길다란 튜브를 일일이 밀어넣어야 하는 경우가 생기지 않으므로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 시간도 많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기존과 같이 튜브 삽입홀에 길다란 튜브를 일일이 밀어넣는 것이 아니라 오프닝 블록과 오프닝 푸시 블록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튜브의 스웨이징이 필요한 부분을 베이스 블록 안쪽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오프닝 블록과 오프닝 푸시 블록을 닫아주면 각 죠오들에 의해 튜브의 스웨이징 가공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비하여 작업이 아주 편하고 작업 시간도 많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또한, 튜브가 설치된 장소의 상황 등이 변하여 튜브의 길이를 늘려서 사용할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과 달리 튜브 삽입홀에 다시 튜브를 일일이 밀어넣는 작업을 또 해줄 필요 없이 오프닝 블록과 오프닝 푸시 블록을 열어서 베이스 블록 안쪽면에 튜브를 놓고 상기 스웨이징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역시 스웨이징 작업 시간 소요가 매우 줄어들게 된다. 튜브의 길이를 늘려서 사용할 경우에도 본 발명은 스웨이징 작업 시간 소요가 줄어들고 작업 공정 역시 간편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가 일직선이 아니고 방향이 두 개 이상 분기되는 경우에도 주요부인 튜브가 분기된 장소에 가지고 가서 오프닝 푸시 블록과 오프닝 블록을 열어준 다음 튜브를 수용하여 얼마든지 스웨이징 가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레버를 회동 전진시켜서 오프닝 푸시 블록과 베이스 푸시 블록을 밀어주는 힘을 작용시키는 실린더에 라인 등에 의해 공압 장치나 유압 장치 등의 압력 유체 공급 장치에 연결하여 압력 유체를 공급할 수 있어서, 튜브 설치 지역에서 튜브가 분기될 때에 장애 없이 원하는 위치로 본 발명을 가지고 가서 스웨이징 가공이 가능한 것이며, 이는 작업 호환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튜브 외주면의 고정링을 각각의 죠오에 의해 눌러서 커넥터를 튜브에 고정하는 고정편(눌린 부분)을 형성하고, 고정링을 완전한 원형(진원)으로 누를 수 있게 되어서 고정링이 튜브에 끼워진 커넥터를 제대로 가압하지 못하고 눌려지지 않은 부분(튜브의 외주면에 위로 떠버리는 부분)이 생기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튜브와 커넥터 사이의 연결부위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한 효과가 있고, 연결 부위 강도가 떨어지지 않는 만큼 수밀성(물이 세지 않는 성질) 등에 있어서 신뢰성이 상당히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웨이징 머신의 주요부인 오프닝 죠오부를 베이스 죠오부에서 열어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프닝 죠오부를 베이스 죠오부에서 열어놓은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웨이징 머신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웨이징 머신을 다른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인 베이스 푸시 블록과 오프닝 푸시 블록을 레버로 밀어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베이스 푸시 블록과 오프닝 푸시 블록이 밀리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베이스 푸시 블록과 오프닝 푸시 블록이 밀린 다음 죠오 푸시홀로 죠오가 눌린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웨이징 머신에 의한 스웨이징 가공 이전의 튜브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웨이징 머신에 의한 스웨이징 가공 이후의 튜브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에 의해 튜브에 스웨이징 가공을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구조와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스웨이징 머신의 오프닝 죠오부를 오프닝 모드로 전환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이스 죠오부와 오프닝 죠오부의 구성을 배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스웨이징 머신은 베이스 죠오부(10)와, 이 베이스 죠오부(10)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열릴 수 있도록 결합된 오프닝 죠오부(20)와, 베이스 죠오부(10)와 오프닝 죠오부(20)에 구비된 각 죠오(50)를 눌러주기 위한 스웨이징 가동부(3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스웨이징(swaging)이라 함은 가공 대상물인 튜브(2)(플렉시블한 호스 등을 포함) 외주면에 결합된 고정링(4)을 죠오(50)에 의해 가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스웨이징이라 함은 스웨이징 대상물인 튜브(2)(호스)에 커넥터(6)를 고정하기 위하여 튜브(2)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링(4)(금속제 고정링(4))을 죠오(50)에 의해 가압하여 커넥터(6) 고정을 위한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프레싱 고정편(4a)을 형성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상기 베이스 죠오부(10)는 베이스 블록(12)과 베이스 푸시 블록(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블록(12)은 단면 반원형의 블록 구조를 이룬다.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은 후술할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과 마주하는 면인데,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은 쵸오 푸시홀 포밍홈(G1)을 포함한다. 푸시홀 포밍홈(G1)은 후술할 죠오(50)가 출몰되기 위한 오목한 홈으로서, 이러한 푸시홀 포밍홈(G1)은 단면 반원형 홈 구조이다. 또한, 베이스 블록(12)은 내부에 죠오(50)가 전진하기 위한 복수개의 죠오 결합홀(12h)이 푸시홀 포밍홈(G1)의 내주면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즉, 베이스 블록(12) 내부의 죠오 결합홀(12h)은 푸시홀 포밍홈(G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구비된다. 각 죠오 결합홀(12h)은 베이스 블록(12)의 외주면에서 푸시홀 포밍홈(G1)의 내주면까지 연통된다. 각 죠오 결합홀(12h)은 베이스 블록(12)의 선단부까지 연통되는데, 베이스 블록(12)의 선단부에서 볼 때에 각 죠오 결합홀(12h)이 베이스 블록(1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햇살 모양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푸시홀 포밍홈(G1)은 베이스 블록(12)의 선단부에서 기단부 방향으로 일정 너비의 홈 영역을 구성하며, 상기 푸시홀 포밍홈(G1)과 베이스 블록(12)의 기단부 사이에는 푸시홀 포밍홈(G1)보다 내경이 상대적으로 더 큰 안착홈이 형성된다. 안착홈은 단면 반원형 홈 구조이다. 안착홈의 내경이 푸시홀 포밍홈(G1)보다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므로, 안착홈과 푸시홀 포밍홈(G1)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블록(12)의 상면(후술할 오프닝 블록(22)의 저면과 마주하는 면)은 평탄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 블록(12)은 각 죠오 결합홀(12h)과 대응하는 위치에 탄성체 결합홀(EH)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죠오 결합홀(12h)에서 베이스 블록(12)의 선단부로 개방된 전단부와 마주하는 면은 죠오 결합홀(12h) 기단부 벽면을 형성하는데, 상기 죠오 결합홀(12h) 기단부 벽면과 베이스 블록(12)의 기단부 사이에 상기 탄성체 결합홀(EH)이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탄성체 결합홀(EH)은 베이스 블록(12)의 외주면으로 개방되면서 동시에 베이스 블록(12)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 홀 구조이다. 상기 탄성체 결합홀(EH)이 각 죠오 결합홀(12h)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베이스 블록(1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탄성체 결합홀(EH)이 베이스 블록(12)의 선단부에서 볼 때에 햇살 모양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죠오 결합홀(12h)의 기단부 벽면에서 탄성체 결합홀(EH)로 연통된 핀결합홀이 구비되어 있다. 핀결합홀은 베이스 블록(12)의 선단부에서 기단부로 이어지는 방향(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핀결합홀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나사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블록(12)의 기단부에는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된다. 베이스 블록(12) 기단부의 체결구 결합홀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나사홀 구조이다. 또한, 베이스 블록(12)은 선단부측 외주면은 테이퍼면(TF)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블록(12)의 선단부에서 기단부를 향하여 일정 폭만큼 테이퍼면(TF)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TF)은 베이스 블록(12)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향 경사진 구조이다. 즉, 상기 테이퍼면(TF)은 베이스 블록(12)의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베이스 블록(12)의 단면적을 점점 줄어들게 하는 내향 경사면 구조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블록(12)의 외주면에는 오목홈(GG)이 구비된다. 베이스 블록(12)의 기단부와 탄성체 결합홀(EH)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오목홈(GG)이 구비된다. 오목홈(GG)은 반원주형 홈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 블록(12)은 서포트 바디(40)에 지지되어 안쪽면이 위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서포트 바디(40)는 일정 면적의 사각판(금속제 사각판) 형상인데,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된 체결구홀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바디(40)의 체결구홀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베이스 블록(12)의 기단부에 형성된 체결구 결합홀에 볼트 결합식으로 조여짐으로써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 베이스 블록(12)이 장착된 구조를 가진다. 서포트 바디(40)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된다.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 하측에는 양쪽으로 나란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두 개의 서포트 레그(42)가 구비되어, 서포트 바디(40)가 서포트 레그(42)에 의해 지면 등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립 배칟된다. 그리고, 베이스 블록(12)은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 지지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평탄면)이 위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에 구비된 푸시홀 포밍홈(G1)과 안착홈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바디(40)는 베이스 블록(12)의 푸시홀 포밍홈(G1)과 안착홈에 동일 선상에서 정렬된 위치에 배치된 튜브 안착홈이 구비된다. 튜브 안착홈은 서포트 바디(40)의 상단부와 안쪽면 및 바깥면으로 연통된 오목한 홈 구조이다. 튜브 안착홈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튜브(2)가 서포트 바디(40)의 안착홈으로 투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바디(40)는 바깥면에 보강 리브(46)가 구비된다. 서포트 바디(40)의 양쪽 측면 위치와 인접한 바깥면에 하나씩 두 개의 보강 리브(46)가 구비된다. 이때, 보강 리브(46)는 서포트 바디(40)의 일측면에서 볼 때에 활형상의 패널 구조를 가진다. 즉, 보강 리브(46)는 서포트 바디(4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위아래는 상대적으로 너비(전후 방향 폭)가 작고 가운데는 볼록하여 상대적으로 너비가 더 큰 활형 패널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는 후술할 베이스 푸시 블록(14)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바아(44)가 구비된다. 가이드 바아(44)는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서포트 바디(40)에 고정된 베이스 블록(12)의 길이 방향(즉, 기단부에서 선단부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이드 바아(44)는 서포트 바디(40)가 직립으로 세워져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서포트 레그(42)와도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이드 바아(44)의 기단부는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관통된 바아 결합홀에 끼워져서 서포트 바디(40)의 바깥면에서 결합되는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아(44)의 선단부에는 볼블록(44B)이 구비된다. 볼블록(44B)은 외표면이 구형 곡면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볼블록(44B)은 양쪽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평탄 측면부를 구비한다. 평탄 측면부는 볼블록(44B)의 양쪽 부분을 상하 방향을 절취한 것과 같은 직선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두 개의 상하 방향 평탄 측면부가 볼블록(44B)의 양쪽에 구비된 구조이다. 볼블록(44B)의 양쪽 평탄 측면부에 후술할 레버(34)의 중간 수용홈(34gh)을 구성하는 내부 양면이 접촉된 상태로 후술할 제2힌지부(36)를 기준으로 레버(34)가 회동되므로, 레버(34)의 회동 작동시 레버(34)가 양쪽으로 유동됨이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베이스 블록(12)에는 죠오(50)가 구비된다. 베이스 블록(12) 내부의 죠오 결합홀(12h)에 각각 죠오(50)가 결합된다. 상기 죠오 결합홀(12h)은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의 푸시홀 포밍홈(G1)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각각의 죠오 결합홀(12h)에 죠오(50)가 결합되어 복수개의 죠오(50)가 베이스 블록(12)에 푸시홀 포밍홈(G1)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각각의 죠오(50)는 베이스 블록(12) 내부의 죠오 결합홀(12h)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12)의 푸시홀 포밍홈(G1)에 죠오(50)의 내측단(스웨이징 대상물인 튜브(2) 외주면의 고정링(4)(금속제 고정링(4))을 가압하는 단부)가 출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블록(12)의 각 죠오 결합홀(12h)에 구비된 죠오(50)의 외측단은 베이스 블록(12)의 바깥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죠오(50)는 선단부에서 기단부 방향으로 일정 너비 영역의 테이퍼면(TF)이 구비된다. 죠오(50)의 테이퍼면(TF)은 죠오(50)의 외측단에서 내측단 방향으로 내향 경사진 면 구조이다. 따라서, 각각의 죠오(50)가 베이스 블록(12) 내부의 죠오 결합홀(12h)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 죠오(50)의 선단부측 외주면에 내향 경사진 테이퍼면(TF)이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즉, 각각의 죠오(50)의 테이퍼면(TF)는 죠오(50)의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죠오(50)의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죠오(50)들을 푸시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탄지하도록 베이스 블록(12)에 탄성체(E1)를 구비한다. 탄성체(E1)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탄성체(E1)가 베이스 블록(12)의 각 죠오 결합홀(12h) 뒤쪽 위치에 형성된 탄성체 결합홀(EH)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죠오(50)는 기단부측 일부가 베이스 블록(12)의 각 탄성체 결합홀(EH)에 끼워진 탄성체(E1)에 접촉된다. 즉, 상기 베이스 블록(12)의 탄성체 결합홀(EH)에 수용된 탄성체(E1)의 일단부가 죠오(50)와 접촉되어 상기 죠오(50)가 눌려져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의 푸시홀 포밍홈(G1)으로 죠오(50)가 돌출될 때에 상기 탄성체(E1)가 압축되면서 죠오(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죠오(50)의 기단부측 일부에 탄성체 수용홈이 구비되어, 상기 탄성체(E1)가 죠오(50)의 탄성체 수용홈에 접촉된 구조를 가진다. 즉, 탄성체(E1)가 베이스 블록(12)과 죠오(50) 사이에 개재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 블록(12) 내부의 죠오 결합홀(12h)에 삽입되어 있는 탄성체(E1)는 미도시된 지지핀에 의해 죠오 결합홀(12h)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위치를 유지한다. 상기 베이스 블록(12)의 죠오 결합홀(12h)에서 베이스 블록(12)의 선단부로 개방된 전단부와 마주하는 면은 죠오 결합홀(12h)의 기단부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죠오 결합홀(12h) 기단부 벽면에는 상기 죠오 결합홀(12h)의 옆으로 개구(베이스 블록(12)의 기단부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개구)된 핀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핀결합홀에 결합된 지지핀이 상기 탄성체(E1)를 안에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므로, 베이스 블록(12)의 각 탄성체 결합홀(EH)에 끼워져 있는 탄성체(E1)가 베이스 블록(12)에서 이탈되지 않고 베이스 블록(12)과 죠오(50) 사이에 안정적으로 개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핀결합홀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나사홀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핀도 외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볼트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지핀이 핀결합홀에 볼트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E1)를 이탈되지 않도록 안에서 잡아주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 위치에는 베이스 푸시 블록(14)이 배치되어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서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블록(12)의 바깥면 아래쪽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보스(12SB)가 구비된다. 슬라이드 가이드 보스(12SB)는 베이스 블록(12)의 기단부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구조이다. 슬라이드 가이드 보스(12SB)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가이드홀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슬라이드 가이드 보스(12SB)가 내부의 슬라이드 가이드홀에 의해 서포트 바디(40) 안쪽면에 배치된 가이드 바아(44)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이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 위치에서 전후진 작동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푸시 블록(14)은 바깥면에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 보스(12SB) 내부의 슬라이드 가이드홀이 서포트 바디(40) 안쪽면의 수평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바아(44)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 위치에서 전진 및 후진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기단부에는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된다. 체결구 결합홀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나사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은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 블록(12)의 바깥면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서포트 바디(40)에 수평으로 배치된 가이드 바아(44)에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슬라이드 가이드 보스(12SB)가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 블록(12)의 바깥면 위치에 배치된 구조이다. 다시 말해, 베이스 푸시 블록(14)은 베이스 블록(12)에 구비된 복수개의 죠오(50)를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 방향(구체적으로, 푸시홀 포밍홈(G1)의 중심부 방향)으로 전진시키도록 베이스 블록(12)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구조이다. 이때, 베이스 블록(12)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안쪽면은 푸시 가동홀 포밍홈(DG1)(단면 반원형 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푸시 가동홀 포밍홈(DG1)은 단면 반원형 홈 구조이면서 동시에 기단부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홈 구조이다. 즉,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푸시 가동홀 포밍홈(DG1)은 선단부에서 기단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뿔형 홈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푸시 가동홀 포밍홈(DG1)은 반원뿔대 홈 구조이다. 이러한 베이스 푸시 블록(14)이 베이스 블록(12)의 바깥면 위치에 배치되어 베이스 푸시 블록(14) 안쪽면의 푸시 가동홀 포밍홈(DG1)이 베이스 블록(12)에 구비된 죠오(50)들을 베이스 블록(12)의 푸시홀 포밍홈(G1) 방향으로 눌러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기단부에는 푸시 플레이트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푸시 플레이트의 전후면으로 관통된 체결구 삽입홀에 끼워진 체결구를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기단부에 구비된 체결구홀에 조여줌으로써 푸시 플레이트가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기단부에 고정된다. 이때, 푸시 플레이트는 상단부와 전후면으로 연통된 튜브(2) 거치홈이 구비된다. 푸시 플레이트의 튜브(2) 거치홈은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안쪽면 위치에 배치된 베이스 블록(12)의 푸시홀 포밍홈(G1)과 안착홈 및 상기 서포트 바디(40)의 튜브 안착홈과 동일 선상에서 만나는 위치에 정렬된다.
상기 오프닝 블록(22)은 후술할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안쪽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오프닝 블록(22)은 단면 반원형의 블록 구조를 이루는데,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일측의 힌지부를 매개로 베이스 푸시 블록(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안쪽면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클로즈 모드)에서 오프닝 블록(22)이 베이스 블록(12)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평탄면)이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평탄면)과 만나는 위치로 회동된 클로즈 모드가 된다.
상기 오프닝 블록(22)은 베이스 블록(12)과 마찬가지로 안쪽면에 푸시홀 포밍홈(G2)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죠오(50)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죠오(50) 내측단이 푸시홀 포밍홈(G2)의 내부로 출몰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즉,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은 상기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서포트 바디(40)에 지지되어 위로 향하는 면)과 마주하는 면인데,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은 역시 푸시홀 포밍홈(G2)을 포함한다. 오프닝 블록(22) 안쪽면의 푸시홀 포밍홈(G2)은 죠오(50)가 출몰되기 위한 오목한 홈으로서, 이러한 푸시홀 포밍홈(G2)도 단면 반원형 홈 구조이다. 또한, 오프닝 블록(22)은 내부에 죠오(50)가 전진하기 위한 복수개의 죠오 결합홀(22h)이 푸시홀 포밍홈(G2)의 내주면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즉, 오프닝 블록(22) 내부의 죠오 결합홀(22h)은 푸시홀 포밍홈(G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구비된다. 각 죠오 결합홀(22h)은 오프닝 블록(22)의 외주면에서 푸시홀 포밍홈(G2)의 내주면까지 연통된다. 각 죠오 결합홀(22h)은 오프닝 블록(22)의 선단부까지 연통되는데, 오프닝 블록(22)의 선단부에서 볼 때에 각 죠오 결합홀(22h)이 오프닝 블록(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햇살 모양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즉, 오프닝 블록(22)의 각 죠오 결합홀(22h)도 베이스 블록(12)의 죠오 결합홀(12h)과 마찬가지로 오프닝 블록(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분기된 구조를 가진다. 다만,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이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과 마주하도록 회동된 상태(클로즈 모드)에서 베이스 블록(12)의 각 죠오 결합홀(12h)은 아래 위치에 배열되고 오프닝 블록(22)의 각 죠오 결합홀(22h)은 상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푸시홀 포밍홈(G2)은 오프닝 블록(22)의 선단부에서 기단부 방향으로 일정 너비의 홈 영역을 구성하며, 상기 푸시홀 포밍홈(G2)과 오프닝 블록(22)의 기단부 사이에는 푸시홀 포밍홈(G2)보다 내경이 상대적으로 더 큰 안착홈이 형성된다. 오프닝 블록(22)의 안착홈 내경은 베이스 블록(12)의 안착홈 내경과 동일하다. 오프닝 블록(22)의 안착홈도 단면 반원형 홈 구조이다. 오프닝 블록(22) 안쪽면의 안착홈 내경도 푸시홀 포밍홈(G2)보다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므로, 안착홈과 푸시홀 포밍홈(G2)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이 푸시홀 포밍홈(G2)보다 내경이 더 크면서 푸시홀 포밍홈(G2)에 이어진 것은 베이스 블록(12)과 마찬가지이다.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상면(상기 베이스 블록(12)의 상면과 마주하는 면)은 평탄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오프닝 블록(22)은 각 죠오 결합홀(22h)과 대응하는 위치에 탄성체 결합홀(EH)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죠오 결합홀(22h)에서 오프닝 블록(22)의 선단부로 개방된 전단부와 마주하는 면은 죠오 결합홀(22h) 기단부 벽면을 형성하는데, 상기 죠오 결합홀(22h) 기단부 벽면과 오프닝 블록(22)의 기단부 사이에 상기 탄성체 결합홀(EH)이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탄성체 결합홀(EH)은 오프닝 블록(22)의 외주면으로 개방되면서 동시에 오프닝 블록(22)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 홀 구조이다. 상기 탄성체 결합홀(EH)이 각 죠오 결합홀(22h))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오프닝 블록(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탄성체 결합홀(EH)이 베이스 블록(12)의 선단부에서 볼 때에 햇살 모양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죠오 결합홀(22h)의 기단부 벽면에서 탄성체 결합홀(EH)로 연통된 핀결합홀이 구비되어 있다. 핀결합홀은 오프닝 블록(22)의 선단부에서 기단부로 이어지는 방향(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핀결합홀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나사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기단부에는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된다. 오프닝 블록(22) 기단부의 체결구 결합홀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나사홀 구조이다. 또한, 오프닝 블록(22)도 선단부측 외주면은 테이퍼면(TF)으로 구성된다. 오프닝 블록(22)의 선단부에서 기단부를 향하여 일정 폭만큼 테이퍼면(TF)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TF)은 오프닝 블록(22)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향 경사진 구조이다. 즉, 상기 테이퍼면(TF)은 오프닝 블록(22)의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베이스 블록(12)의 단면적을 점점 줄어들게 하는 내향 경사면 구조이다.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내부에도 베이스 블록(12)과 마찬가지로 죠오(50)가 구비된다. 오프닝 블록(22) 내부의 죠오 결합홀(22h)에 각각 죠오(50)가 결합된다. 상기 죠오 결합홀(22h)은 오프닝 블록(22) 안쪽면의 푸시홀 포밍홈(G2)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각각의 죠오 결합홀(22h)에 죠오(50)가 결합되어 복수개의 죠오(50)가 오프닝 블록(22)에 푸시홀 포밍홈(G2)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각각의 죠오(50)는 오프닝 블록(22) 내부의 죠오 결합홀(22h)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푸시홀 포밍홈(G2)에 죠오(50)의 내측단(즉, 베이스 블록(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웨이징 대상물인 튜브(2) 외주면의 고정링(4)(금속제 고정링(4))을 가압하는 단부)가 출몰될 수 있다. 또한, 오프닝 블록(22)의 각 죠오 결합홀(22h)에 구비된 죠오(50)의 외측단은 오프닝 블록(22)의 바깥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죠오(50)는 선단부에서 기단부 방향으로 일정 너비 영역의 테이퍼면(TF)가 구비된다. 죠오(50)의 테이퍼면(TF)는 죠오(50)의 외측단에서 내측단 방향으로 내향 경사진 면 구조이다. 따라서, 각각의 죠오(50)가 오프닝 블록(22) 내부의 죠오 결합홀(22h)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 죠오(50)의 선단부측 외주면에 내향 경사진 테이퍼면(TF)이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즉, 각각의 죠오(50)의 테이퍼면(TF)는 죠오(50)의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죠오(50)의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죠오(50)들을 푸시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탄지하도록 오프닝 블록(22)에도 턴성체(E1)를 구비한다. 턴성체(E1)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턴성체(E1)가 오프닝 블록(22)의 각 죠오 결합홀(22h) 뒤쪽 위치에 형성된 탄성체 결합홀(EH)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죠오(50)는 기단부측 일부가 오프닝 블록(22)의 각 탄성체 결합홀(EH)에 끼워진 턴성체(E1)에 접촉된다. 즉,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탄성체 결합홀(EH)에 수용된 탄성체(E1,2)의 일단부가 죠오(50)와 접촉되어 상기 죠오(50)가 눌려져 오프닝 블록(22) 안쪽면의 푸시홀 포밍홈(G2)으로 죠오(50)가 돌출될 때에 상기 턴성체(E1)가 압축되면서 죠오(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죠오(50)의 기단부측 일부에 탄성체 수용홈이 구비되어, 상기 턴성체(E1)가 죠오(50)의 탄성체 수용홈에 접촉된 구조를 가진다. 즉, 턴성체(E1)가 오프닝 블록(22)과 죠오(50) 사이에 개재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오프닝 블록(22) 내부의 죠오 결합홀(22h)에 삽입되어 있는 턴성체(E1)는 지지핀에 의해 죠오 결합홀(22h)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위치를 유지한다. 즉,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죠오 결합홀(22h)에서 오프닝 블록(22)의 선단부로 개방된 전단부와 마주하는 면은 죠오 결합홀(22h)의 기단부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죠오 결합홀(22h)의 기단부 벽면에도 상기 죠오 결합홀(22h)의 옆으로 개구(즉, 오프닝 블록(22)이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핀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핀결합홀에 결합된 지지핀이 상기 턴성체(E1)를 안에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므로, 오프닝 블록(22)의 각 탄성체 결합홀(EH)에 끼워져 있는 턴성체(E1)도 역시 오프닝 블록(22)에서 이탈되지 않고 오프닝 블록(22)과 죠오(50) 사이에 안정적으로 개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핀결합홀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나사홀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핀도 외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볼트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지핀이 핀결합홀에 볼트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턴성체(E1)를 이탈되지 않도록 안에서 잡아주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베이스 블록(12)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오프닝 블록(22)에서 죠오(50)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지하는 턴성체(E1)를 잡아주는 구조는 베이스 블록(12)의 탄성체(E2)를 잡아주는 구조와 동일한 것이다. 다만, 상기 오프닝 블록(22)이 위쪽에서 베이스 블록(12) 위에 배치된 클로즈 모드에서 오프닝 블록(22)의 각 방사 방향 죠오(50)는 위쪽에 배치되고 베이스 블록(12)의 각 방사 방향 죠오(50)는 아래쪽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이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으로 닫혀진 상태로 회동되었을 때에는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에 구비된 단면 반원형 푸시홀 포밍홈(G2)과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에 구비된 단면 반원형 푸시홀 포밍홈(G1)이 만나서 단면 원형홀 형태의 죠오 푸시홀(G)(단면 진원형 홀)를 형성한다. 물론, 상기 복수개의 죠오(50)들은 죠오 푸시홀(G)의 주위에 햇살 모양처럼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 죠오(50)의 내측단이 죠오 푸시홀(G) 내부로 출몰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외주면에도 오목홈(GG)이 구비된다. 오프닝 블록(22)의 기단부와 탄성체 결합홀(EH) 사이의 외주면을 따라 오목홈(GG)이 구비된다. 오목홈(GG)은 반원주형 홈 구조이다.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이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에 마주하는 위치로 회동한 클로즈 모드에서는 베이스 블록(12)의 반원주형 오목홈(GG)과 오프닝 블록(22)의 반원주형 오목홈(GG)이 만나서 원형의 오목홈(GG)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블록(12)의 기단부가 접촉되어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된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는 상기 베이스 블록(12) 외주면의 오목홈(GG)과 오프닝 블록(22) 외주면의 오목홈(GG)에 공통으로 끼워지는 고정 지지편이 구비된다. 고정 지지편은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을 향하는 면에 지지축부가 구비되어, 지지축부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서포트 블록의 안쪽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블록(12)과 오프닝 블록(22)의 양쪽 위치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고정 지지편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으로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이 마주하도록 회동된 클로즈 모드에서 양쪽 하나씩의 고정 지지편이 베이스 블록(12) 외주면의 오목홈(GG)과 오프닝 블록(22) 외주면의 오목홈(GG)에 동시에 끼워짐으로써 베이스 블록(12)과 오프닝 블록(22)의 닫힌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여 스웨이징 대상물은 튜브(2) 외주면의 고정링(4)(금속제 고정링(4))에 대한 스웨이징 가공시의 정밀도를 높이게 된다.
상기 오프닝 블록(22)은 오프닝 푸시 블록(24)에 지지되어 안쪽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안쪽면 위치에는 연결 지지체(23)를 매개로 오프닝 블록(22)이 배치된다. 이때, 연결 지지체(23)는 오프닝 블록(22)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된 연결 지지편(23a)과, 이러한 연결 지지편(23a)에 구비되어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이드핀(23b)을 포함한다. 즉, 상기 연결 지지편(23a)은 일정 면적의 판 구조인데, 연결 지지편(23a)에는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연통된 체결구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기단부에는 연결 지지편(23a)의 체결구 삽입홀과 만나는 나사홀 구조의 체결구홀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 지지편(23a)의 체결구 삽입홀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오프닝 블록(22)의 체결구홀에 조여주면 상기 연결 지지편(23a)이 오프닝 블록(22)의 기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은 슬라이드 보스가 구비되어, 슬라이드 보스가 상기 연결 지지편(23a)에 수평 방향(서포트 바디(40)의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가이드핀(23b)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오프닝 블록(22)에 대해 상대 전후진 작동될 수 있다.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일측의 힌지부를 매개로 베이스 푸시 블록(14)에 연결되어, 오프닝 푸시 블록(24)은 오프닝 블록(22)의 바깥면 위치에서 전진 및 후진 작동되고 베이스 푸시 블록(14)도 베이스 블록(12)의 바깥면 위치에서 전진 및 후진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 서포트 바아의 안쪽면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전진 및 후진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은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 배치되는 오프닝 블록(22)의 바깥면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일측에 상기한 바와 같은 힌지부에 의해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연결되어,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오프닝 블록(22)의 바깥면 위치에 배치된 구조이다. 다시 말해, 오프닝 푸시 블록(24)은 오프닝 블록(22)에 구비된 복수개의 죠오(50)를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 방향(구체적으로, 푸시홀 포밍홈(G2)의 중심부 방향)으로 전진시키도록 오프닝 블록(22)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 지지체(23)에 의해 오프닝 블록(22)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안쪽면은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마찬가지로 푸시 가동홀 포밍홈(DG2)(단면 반원형 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푸시 가동홀 포밍홈(DG2)은 단면 반원형 홈 구조이면서 동시에 기단부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홈 구조이다. 즉,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푸시 가동홀 포밍홈(DG2)은 선단부에서 기단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뿔형 홈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푸시 가동홀 포밍홈(DG2)도 역시 반원뿔대 홈 구조이다. 이러한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오프닝 블록(22)의 바깥면 위치에 배치되어 오프닝 푸시 블록(24) 안쪽면의 푸시 가동홀 포밍홈(DG2)이 오프닝 블록(22)에 구비된 죠오(50)들을 오프닝 블록(22)의 푸시홀 포밍홈(G2) 방향으로 눌러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일측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베이스 푸시 블록(14)에서 열어놓은 상태(오프닝 모드)에서는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이 위로 향하지만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일측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베이스 푸시 블록(14)으로 닫아준 상태(클로즈 모드)에서는 오프닝 블록(22)이 아래로 향하여 베이스 블록(12)의 상면으로 향하는 안쪽면과 마주하게 된다. 즉, 상기 오프닝 블록(22)은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안쪽면에 지지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평탄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에 구비된 푸시홀 포밍홈(G2)과 안착홈이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는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배치되는데, 오프닝 푸시 블록(24)은 일측이 힌지부를 매개로 베이스 푸시 블록(14)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베이스 푸시 블록(14)에서 열리고 닫히도록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스웨이징 가동부(30)는 베이스 블록(12)과 오프닝 블록(22)에 구비된 죠오(50)들을 스웨이징 대상물(즉, 단부에 커넥터(6)가 삽입되고 외주면에는 커넥터(6)를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4)(금속제 고정링(4))이 결합되어 있는 튜브(2)) 외주면에서 전진시켜 고정링(4)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레버 작동유닛(32)과 레버(34)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 작동유닛(32)은 가동부재를 구비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레버 작동유닛이 실린더(32b)로 구성되고, 가동부재는 피스톤(32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32b)는 베이스 블록(12)이 고정된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 장착되어 있다. 실린더(32b)는 기단부가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서포트 바디(40)에 구비된 가이드 바아(44)와 서포트 레그(42) 사이에 실린더(32b)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32b)의 피스톤(32a)은 제1힌지부(35)에 의해 레버(34)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힌지부(35)는 피스톤(32a)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일측으로는 개구부를 구비한 축홀(35a)과, 상기 레버(34)의 하단부측에 구비되어 피스톤(32a) 일측의 개구부를 통해 축홀(35a)에 삽입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35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축홀(35a)은 피스톤(32a)의 상부로 개방부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레버(34)의 하단부에 결합된 힌지축(35b)이 피스톤(32a) 위쪽에서 개구부를 통해 축홀(35a)로 들어와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32b)는 미도시된 공급라인을 매개로 공압 장치 또는 유압 장치와 같은 압력 유체 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압력 유체의 공급에 따라 피스톤(32a)이 실린더(32b)의 선단부에서 전진할 수 있게 된다.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연통된 연결 포트(CP)가 실린더(32b)의 내부로 연통되고, 연결 포트(CP)에 공급 라인 등을 매개로 유압이나 공압 등의 압력 유체 공급 장치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실린더(32b) 내부에 압력 유체의 공급 및 압력 유체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레버(34)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가동부재를 볼스크류로 구성하고, 볼스크류는 모터의 모터축에 구동력 전달을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레버(34)의 하단부에는 볼스크류 너트를 구비하며, 볼스큐류 너트는 힌지부에 의해 레버(34)의 하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모터의 모터축 회전에 의해 볼스큐가 회전하면 볼스크류 너트가 전진 또는 후진하고, 볼스크류 너트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레버(34)의 하단부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레버(34)는 제2힌지부(36)에 의해 대략 중간 부분이 서포트 바디(40)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 바아(44)가 연장되어 있고, 이러한 가이드 바아(44) 선단부측에 레버(34)의 대략 중간 부분이 제2힌지부(36)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레버(34)가 상기한 제1힌지부(35)와 제2힌지부(36)를 기준으로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서 상대 전진 또는 후진 회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부(36)에 의해 레버(34)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를 서포트 바디(40)에 연결하고, 상기 레버(34)가 제1힌지부(35)와 제2힌지부(36)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레버(34)의 상단부가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밀어주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서포트 바디(40)의 선단부에는 볼블록(44B)이 구비되고, 볼블록(44B)은 외표면이 구형 곡면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볼블록(44B)은 양쪽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평탄 측면부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평탄 측면부는 블블록의 양쪽 부분을 상하 방향을 절취한 것과 같은 직선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볼블록(44B)의 내부에는 양쪽 평탄 측면부를 관통하는 축홀(36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버(34)는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전후면으로 연통된 수용홈(34gh)이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34gh)이 서포트 바디(40)에 구비된 가이드 바아(44) 선단부의 볼블록(44B)에 결합된다. 즉, 가이드 바아(44) 선단부에 구비된 볼블록(44B)이 레버(34)의 중간 위치 수용홈(34gh) 안쪽에 끼어 들어가서 결합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레버(34)의 중간 수용홈(34gh)은 내부 상면과 내부 양면 및 내부 하면을 구비한 사각홀 형상인데, 상기 중간 수용홈(34gh)의 양쪽으로는 축홀이 관통되어 있어서, 상기 레버(34)의 축홀과 볼블록(44B)의 축홀(36a)에 동시에 힌지축(36b)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힌지부(36)가 서포트 바디(40) 안쪽면에 구비된 가이드 바아(44)의 축홀(36a) 및 레버(34)의 축홀과, 이러한 축홀(36a)들에 동시에 결합된 힌지축(36b)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레버(34)가 제1힌지부(35)와 제2힌지부(36)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서포트 바디(4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 대해 전진 및 후진하는 회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레버(34)의 중간 수용홈(34gh)에 끼워지는 가이드 바다의 볼블록(44B)은 외표면이 구형 곡면부로 구성되어, 볼블록(44B)의 외표면이 레버(34)의 중간 수용홈(34gh)의 내부면(즉, 내부 상면과 내부 하면)에 마찰될 경우가 생기더라도 볼블록(44B)의 구형 곡면부가 마찰되므로, 레버(34)가 볼블록(44B)과의 마찰력이 최소화된 상태로 회동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34)의 중간 수용홈(34gh)을 구성하는 양쪽 내부 측면은 볼블록(44B)의 양쪽 평탄 측면부에 맞접촉된 상태에서 레버(34)의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레버(34)가 좌우 양쪽으로 위치 틀어짐이 없이 정위치에서 회동 작동이 된다.
상기 실린더(32b)의 내부에 공압이나 유압과 같은 압력 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실린더(32b)의 피스톤(32a)이 전진하고, 피스톤(32a)이 전진하면 레버(34)가 제1힌지부(35)와 제2힌지부(36)를 기준으로 회동하는데, 상기 레버(34)의 하단부는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 회동되는 반면 레버(34)의 상단부는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과 가까워지는 전진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레버(34)의 상단부에는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기단부에 구비된 푸시 패널(16)이 접촉되어 있어서, 상기 레버(34)의 상단부가 전진함에 따라 푸시 패널(16)과 푸시 블록이 전진(즉,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 방향으로 전진)하고,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은 일측의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서 오프닝 푸시 블록(24)도 함께 전진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위로 향하는 안쪽면에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힌지부(H)를 기준으로 베이스 푸시 블록(14) 쪽으로 접혀져서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안쪽면이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안쪽면과 마주한 상태가 되면,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안쪽면에 구비된 푸시 가동홀 포밍홈(DG1)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안쪽면에 구비된 푸시 가동홀 포밍홈(DG2)이 서로 합쳐져서 원뿔대 형상의 푸시 가동홀(DG)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푸시 가동홀(DG)는 두 개의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베이스 블록(12)과 오프닝 블록(22)의 바깥면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전진할 경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에 의해 형성된 푸시 가동홀(DG)가 베이스 블록(12)과 오프닝 블록(22)의 바깥면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죠오(50)들을 눌러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죠오(50)들을 푸시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탄지하도록 베이스 블록(12)과 오프닝 블록(22)에 구비된 상기 탄성체(E1)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탄지하도록 서포트 바디(40)에 구비된 탄성체(E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전진(즉,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 방향으로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E2)가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체(E2)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탄성체(E2)는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 수평 배치된 가이드 바아(44)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바아(44)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 서포트 블록의 슬라이드 가이드 보스(12SB)와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 사이에 탄성체(E2)의 양단부가 접촉된 상태로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34)가 제1힌지부(35)와 제2힌지부(36)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레버(34)의 상단부가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누른 상태(전진시킨 상태)가 되면, 상기 베이스 서포트 블록의 슬라이드 가이드 보스(12SB)와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E2)가 압축되면서 탄성 복원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34)의 상단부에는 곡면부(34cf)가 구비되어 있어서,상기 레버(34)의 곡면부(34cf)가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기단부에 구비된 푸시 패널(16)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푸시 패널(16)을 밀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푸시 패널(16)에는 레버(34)의 양쪽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편이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레버(34)의 상단부가 전진하여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눌러준 상태에서 상기 레버(34)의 상단부를 전진 회동시키는 힘이 해제, 다시 말해, 상기 실린더(32b)의 피스톤(32a)을 전진시키는 유압 내지 공압에 의한 힘이 해제되면, 상기 압축되어 있는 탄성체(E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원위치로 후퇴하고 레버(34)도 제1힌지부(35)와 제2힌지부(36)를 기준으로 원위치로 회동되어 레버(34)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원위치로 각각 후진과 전진 작동이 되며, 상기 실린더(32b)의 선단부로 전진하였던 피스톤(32a)도 원위치로 후퇴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베이스 푸시 블록(14)에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오프닝 푸시 블록(24)과 베이스 푸시 블록(14)을 견고하게 클램핑하는 록킹 유닛(60)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 유닛(60)는 베이스 푸시 블록(14)에 구비된 록킹 지지편(62)과,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에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록킹 지지편(62)에 결합된 상태에서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베이스 푸시 블록(14)에 마주하도록 회동된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클랭핌 가압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록킹 가압편(64)에는 핸들(6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에 오프닝 푸시 블록(24)과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에 마주하도록 회동된 클로즈 모드에서 상기 록킹 가압편(64)을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시켜서 록킹 가압편(64) 내부에 구비된 록킹홈에 베이스 푸시 블록(14)에 구비된 록킹 지지편(62)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과 오프닝 블록(22)의 클로즈 모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되며, 상기 록킹 가압편(64)을 힌지부를 기준으로 반대로 회동시켜서 록킹 가압편(64) 내부에 구비된 록킹홈을 베이스 푸시 블록(14)에 구비된 록킹 지지편(6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과 오프닝 블록(22)의 록킹 상태(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오프닝 푸시 블록(24)과 오프닝 블록(22)을 베이스 푸시 블록(14)과의 연결 부분인 일측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열어준 상태(오프닝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 가압편(64)에는 핸들(66)이 달려 있어서 핸들(66)을 잡고 록킹 가압편(64)이 록킹 지지편(62)에 결합되는 록킹 작동이나 록킹 가압편(64)을 록킹 지지편(62)에서 분리하는 잠금 해제 상태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휴대시 도움을 주도록 운반 손잡이가 구비된다. 운반 손잡이는 서포트 바디(40)의 바깥면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는 서포트 바디(40)의 튜브 안착홈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열될 수 있는데, 필요시 손잡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의 하단부에 구비된 축결합홀을 서포트 바디(40)의 바깥면에 구비된 지지축에 결합하고, 지지축의 외주면 일부에는 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측 축결합홀을 지지축에 끼우고 나서 지지축의 나사부에 너트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손잡이를 서포트 바디(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를 힌지부를 매개로 서포트 바디(40)의 옆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서포트 바디(40)의 튜브 안착홈 영역에서 손잡이가 벗어난 위치에 회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튜브(2)에 접속된 커넥터(6)를 본 발명의 스웨이징 머신에 의해 고정링(4)으로 눌러서 고정하는 스웨이징 가공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베이스 블록(12)와 베이스 푸시 블록(14)에서 오프닝 블록(22)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열린 상태를 오프닝 모드, 베이스 블록(12)과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안쪽면에 오프닝 블록(22)과 오프닝 푸시 블록(24) 안쪽면이 마주하여 닫힌 상태를 클로즈 모드라 한다.
상기 클로즈 모드에서는 오프닝 블록(22) 안쪽면의 반원형 푸시홀 포밍홈(G2)과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의 반원형 푸시홀 포밍홈(G1)이 만나서 원형홀(진원형 홀) 형태의 죠오 푸시홀(G)를 형성한다. 베이스 블록(12)과 오프닝 블록(22)에 결합되어 있는 각 죠오(50)들은 죠오 푸시홀(G)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 안쪽면의 푸시 가동홀 포밍홈(DG1)과 오프닝 푸시 블록(24) 안쪽면의 푸시 가동홀 포밍홈(DG2)이 만나서 원뿔대홀 형상(테이퍼홀 형상)의 죠오(50) 푸시 가동홀(DG)을 형성하고, 죠오(50) 푸시 가동홀(DG)은 상기 죠오(50)들의 외측단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전진에 따라 각 죠오(50)들을 죠오 푸시홀(G)의 중심부로 눌러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클로즈 모드에서 튜브(2)에 접속된 커넥터(6)를 고정링(4)(금속제 고정링(4))을 눌러서 고정하는 스웨이징 가공(이하, 편의상 스웨이징 가공이라 약칭함)을 하기 위하여 상기 오프닝 블록(22)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열어준다. 오프닝 푸시 블록(24)은 일측이 힌지부(H)를 매개로 베이스 푸시 블록(14)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H)의 반대편에 있는 록킹 유닛(60)의 록킹 지지편(62)에 록킹 가압편(64)이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록킹 가압편(64)에 달려 있는 핸들(66)을 잡고 록킹 가압편(64)을 힌지부를 기준으로 위로 회동시켜 록킹 가압편(64)에 록킹 지지편(62)에 결합된 상태를 해제한 다음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베이스 푸시 블록(14)과의 연결부인 힌지부(H)를 기준으로 열어준다. 이때,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안쪽 위치에 오프닝 블록(22)도 결합되어 있어서 오프닝 블록(22)도 함께 열린다. 즉, 오프닝 푸시 블록(24)과 오프닝 블록(22)을 함께 열어준 오프닝 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면,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의 푸시홀 포밍홈(G1)이 위로 개방되어 드러난 상태가 된다.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의 안착홈도 역시 위로 개방되어 드러난 상태가 된다.
상기 오프닝 모드에서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의 푸시홀 포밍홈(G1)에 스웨이징 가공을 위한 튜브(2)를 결합한다. 이때, 커넥터(6)에서 튜브(2)에 접속된 부분 이외에 튜브(2) 밖에 있는 부분(예를 들어, 커넥터(6) 헤드나 플랜지부 등)은 베이스 블록(12)의 죠오(50) 푸시홀 포밍홈(G1)에 이어진 안착홈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오프닝 모드에서 튜브(2)를 베이스 블록(12)의 죠오(50) 푸시홀 포밍홈에 안착시킨 다음에는 다시 오프닝 푸시 블록(24)과 오프닝 블록(22)을 상기 힌지부(H)를 기준으로 다시 닫아서 클로즈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록킹 유닛(60)의 베이스 푸시 블록(14)에 구비된 록킹 지지편(62)의 아래로 오프닝 푸시 블록(24)에 구비된 록킹 가압편(64)의 록킹홈을 밀어넣어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과 오프닝 블록(22)이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과 마주하도록 회동된 클로즈 모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오프닝 블록(22) 안쪽면의 푸시홀 포밍홈(G2)과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의 푸시홀 포밍홈(G1)이 튜브(2)에 결합된 고정링(4)(주로 금속제 고정링(4)이 됨)의 외주면 위치에 배치되어 원형홀 형태의 죠오 푸시홀(G)를 형성한다.
상기 클로즈 모드에서 레버 작동유닛(32)에 의해 레버(34)를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눌러주는 방향으로 전진시켜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눌러준다. 본 발명에서 레버 작동유닛(32)은 실린더(32b)로 구성되고, 레버 작동유닛(32)의 가동부재는 실린더(32b)의 선단부로 인출 작동되는 피스톤(32a)으로 구성되며, 이하 편의상 레버 작동유닛(32)과 가동부재는 각각 실린더(32b)와 피스톤(32a)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실린더(32b)에 공급 호스 등으로 연결된 유압장치 또는 공압장치와 같은 압력 유체 공급장치에 의해 실린더(32b) 내부로 압력 유체를 공급하면, 상기 피스톤(32a)이 실린더(32b) 선단부로 전진하고, 피스톤(32a)에 제1힌지부(35)를 매개로 하단부가 연결된 레버(34)의 하단부가 앞으로 밀리고 동시에 레버(34)의 상단부는 제2힌지부(36)를 기준으로 전진하여 상기 푸시 패널(16)과 이에 연결된 베이스 푸시 블록(14) 및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밀어준다. 상기 베이스 블록(12)이 고정된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으로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전진한다. 이때,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기단부는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블록(12)과 오프닝 블록(22)은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34)가 제1힌지부(35)와 제2힌지부(36)를 기준으로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레버(34)의 상단부가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눌러준 상태에서는 레버(34)와 서포트 바디(40)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E1,2)(탄성 복귀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임)는 눌린 상태(압축된 상태)가 되어 탄성 복원력이 작용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레버(34)에 의해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전진하면,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 안쪽면의 푸시 가동홀 포밍홈(DG1)과 오프닝 푸시 블록(24) 안쪽면의 푸시 가동홀 포밍홈(DG2)이 만나서 형성된 테이퍼홀 형태(원뿔대 홀 형태)의 푸시 가동홀(DG) 내주면이 상기 각각의 죠오(50)들을 눌러서 죠오 푸시홀(G)의 중심부 방향으로 죠오(50)의 내측단이 전진되도록 하여 각각의 죠오(50)에 의해 튜브(2) 외주면의 고정링(4)을 눌러서 고정링(4)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고정편(4a)을 형성하며, 이러한 고정링(4)의 고정편(4a)에 의해 튜브(2)가 눌려져서 튜브(2) 안에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6)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 죠오(50)들이 금속제 고정링(4)을 눌러서 튜브(2)에 접속된 커넥터(6)를 고정하는 스웨이징 가공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죠오(50)와 베이스 블록(12) 및 오프닝 블록(22)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E1)들은 눌린 상태가 된다.
상기 튜브(2)에 대한 스웨이징 가공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상기 실린더(32b)에 공급되었던 압력 유체를 다시 실린더(32b) 외부로 배출한다. 그러면, 상기 레버(34)와 서포트 바디(40) 사이에 개재되어 눌려있던 탄성체(E2)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신장되며, 상기 탄성체(E2)의 원위치 탄성 복원에 따라 레버(34)가 제1힌지부(35)와 제2힌지부(36)를 기준으로 다시 원위치로 회동하여 레버(34)의 상단부는 다시 원위치로 후진하여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원래 위치로 후진하고 상기 실린더(32b)의 피스톤(32a)도 원래 위치로 들어간다. 그러면,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에 의해 눌려있던 각 죠오(50)는 상기 베이스 블록(12)과 오프닝 블록(22)의 내부에서 눌려있던 각 탄성체(E1)(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후퇴하므로, 상기 각 죠오(50)의 내측단이 베이스 블록(12)과 오프닝 블록(22)이 서로 만나서 형성된 죠오 푸시홀(G)에서 바깥 방향(반경 방향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죠오 푸시홀(G)에서 스웨이징 가공이 완료된 튜브(2)를 인출하면 된다. 이때, 상기 튜브(2)에 고정된 커넥터(6)에 죠오 푸시홀(G)의 내경보다 외경이 더 큰 부분(예를 들어, 커넥터(6) 헤드나 플랜지부 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오프닝 모드로 전환하여 스웨이징 가공된 튜브(2)를 위로 들어내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스웨이징 머신은 기본적으로 오프닝 블록(22)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에 스웨이징 가공 대상 튜브(2)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닫아준 다음 스웨이징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튜브(2)를 죠오(50) 사이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오프닝 블록(22)과 베이스 블록(12) 사이의 단면 원형홀 형태의 죠오 푸시홀(G)로 일일이 길다란 튜브(2)를 일일이 밀어넣어야 하는 경우가 생기지 않으므로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 시간도 많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기존과 같이 튜브 삽입홀에 길다란 튜브(2)를 일일이 밀어넣는 것이 아니라 오프닝 블록(22)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튜브(2)의 스웨이징이 필요한 부분을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오프닝 블록(22)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닫아주면 각 죠오(50)들에 의해 튜브(2)의 스웨이징 가공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비하여 작업이 아주 편하고 작업 시간도 많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m 길이의 튜브(2) 양쪽 단부에 커넥터(6)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일단 튜브(2)의 한쪽 단부에 커넥터(6)가 접속된 상태에서 커넥터(6)의 튜브(2) 안으로 들어가 있는 부분을 상기와 같은 스웨이징 작업에 의해 가압되는 고정링(4)에 의해 고정한 다음, 상기 튜브(2)의 다른 쪽 단부에 커넥터(6)를 스웨이징 작업해야 하는데, 상기 튜브(2)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 커넥터(6)에 튜브 삽입홀의 내경보다 외경이 더 큰 헤드(또는 플랜지부) 등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튜브(2)를 20미터 길이에 도달하도록 계속해서 밀어넣는 작업이 필요 없이,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과 오프닝 블록(22)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20m짜리 튜브(2)를 들어내서 튜브(2)의 다른 쪽 단부를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에 안착시켜서 상기와 같이 오프닝 블록(22)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다시 베이스 블록(12)과 베이스 푸시 블록(14) 위에 닫아서 상기와 같은 스웨이징 작업을 수행하면 되므로, 20m 길이의 튜브(2) 양쪽 단부 커넥터(6) 고정을 위한 스웨이징 작업이 기존에 비하여 아주 편리하면서도 작업 시간이 많이 낭비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튜브(2)가 설치된 장소의 상황 등이 변하여 튜브(2)의 길이를 늘려서 사용할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기설치된 튜브(2)를 중간을 잘라서 튜브(2)의 잘려진 단부에 새로운 커넥터(6)를 접속하고 상기와 같은 스웨이징 작업을 다시 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기존과 달리 튜브 삽입홀에 다시 튜브(2)를 일일이 밀어넣는 작업을 또 해줄 필요 없이 상기와 같이 오프닝 블록(22)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열어서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에 튜브(2)를 놓고 상기 스웨이징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역시 스웨이징 작업 시간 소요가 매우 줄어들게 된다. 튜브(2)의 길이를 늘려서 사용할 경우에도 본 발명은 스웨이징 작업 시간 소요가 줄어들고 작업 공정 역시 간편한 것이다.
양쪽 단부에 커넥터(6)가 각각 고정된 기존의 튜브(2)를 잘라서 두 개로 분할된 튜브(2)를 만든 다음, 새로 연장될 튜브(2)와 기존 한쪽 튜브(2)의 서로 인접한 한쪽 단부끼리 커넥터(6)를 접속하여 스웨이징 작업에 의해 커넥터(6)를 상기 기존 튜브(2)와 새로운 연장 튜브(2)의 한쪽 단부에 고정한 다음, 상기 기존의 다른 쪽 튜브(2)와 상기 새로운 연장 튜브(2)의 서로 인접한 단부끼리 다른 커넥터(6)를 접속하여 스웨이징하기 위해서는 기존에는 분기된 튜브(2)를 다른 단부가 튜브 삽입홀 내부까지 도달하도록 당겨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튜브(2)를 일일이 당겨주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것이다. 기존에는 튜브(2)의 길이를 늘려주어야 할 경우 등에는 튜브(2)의 한쪽 단부측 커넥터(6)를 스웨이징 가공한 다음 아직 스웨이징 가공이 되지 않은 다른 쪽 단부가 튜브 삽입홀에 들어와서 죠오(50) 사이에 배치될 때까지 계속해서 튜브(2)를 당겨주어야 하므로 작업성 측면에서 불편하고 시간 소요가 더 많아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아직 스웨이징 가공이 되지 않은 튜브(2)의 다른 단부쪽으로 들고가서 오프닝 블록(22)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열고 상기와 같은 스웨이징 가공을 하거나 아니면 오프닝 블록(22)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열어 놓고 아직 스웨이징 가공이 되지 않은 튜브(2)이 다른 쪽 단부를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에 수용하여 상기 스웨이징 가공을 하면 되므로, 작업성이 편리하고 우수하다. 본 발명은 튜브(2)의 길이를 늘려서 사용할 경우에 새롭게 연결되는 커넥터(6)에 오프닝 블록(22)과 베이스 블록(12) 사이의 죠오 푸시홀(G)의 내경보다 큰 부분(에를 들어, 커넥터(6) 헤드나 플랜지부 등)이 있는 경우에는 커넥터(6)가 헤드 때문에 튜브 삽입홀에 걸리게 되는 일이 없이 오프닝 블록(22)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열어서 상기와 같은 스웨이징 작업을 수행하면 되므로, 스웨이징 작업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는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튜브(2)가 일직선이 아니고 방향이 두 개 이상 분기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얼마든지 스웨이징 가공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튜브(2)가 티자형(T type) 커넥터(6)에 의해 티자형으로 분기될 경우 세 군대로 연장된 튜브(2)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튜브(2)에 티자형 커넥터(6)를 스웨이징한 다음 커넥터(6)의 각각 분기되는 부분에 대해 상기 스웨이징 가공이 되기 때문에, 원래 있던 튜브(2)와는 다른 곳의 튜브(2)와 티자형 커넥터(6)의 다른 부분을 장애 없이 스웨이징 가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2) 외주면의 고정링(4)을 각각의 죠오(50)에 의해 눌러서 커넥터(6)를 튜브(2)에 고정하는 고정편(4a)(눌린 부분)을 형성하고, 고정링(4)을 완전한 원형(진원)으로 누를 수 있게 되어서 고정링(4)이 튜브(2)에 끼워진 커넥터(6)를 제대로 가압하지 못하고 눌려지지 않은 부분(튜브(2)의 외주면에 위로 떠버리는 부분)이 생기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튜브(2)와 커넥터(6) 사이의 연결부위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한 효과가 있고, 연결 부위 강도가 떨어지지 않는 만큼 수밀성(물이 세지 않는 성질) 등에 있어서 신뢰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에 의해 내부에 형성된 푸시 가동홀(DG)는 테이퍼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푸시 가동홀(DG) 내주면에 접촉되는 죠오(50)의 외주면에도 내향 경사진 테이퍼면(TF)이 구비되므로, 상기 테이퍼홀 내주면에 각 죠오(50)의 테이퍼면(TF)이 접촉된 상태로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전진과 각 죠오(50)의 눌림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전진과 각 죠오(50)의 눌림 작동이 무리 없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 구성 부분인 죠오(50)가 눌려질 때에는 베이스 블록(12)과 오프닝 블록(22)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E1)가 죠오(50)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가 죠오(50)를 눌러주는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후퇴하면 상기 탄성체(E1)에 의해 죠오(50)가 즉시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각 죠오(50)들의 원위치 복귀 작동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레버(34)는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전진시키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서포트 바디(40)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E2)가 눌려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린더(32b) 내부에 공급되었던 압력 유체를 실린더(32b) 외부로 배출하면 상기 탄성체(E2)에 의해 원위치로 회동 복귀되므로, 상기 레버(34)의 원위치 회동 작동도 확실하고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레버(34)는 제2힌지부(36)를 매개로 결합되는 부분에 전후면으로 연통된 수용홈(34gh)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34gh)에는 서포트 바디(40)에 결합된 가이드 바아(44) 선단부의 볼블록(44B)이 들어와 배치되어, 상기 볼블록(44B) 외표면의 구형 곡면부가 레버(34)의 수용홈(34gh) 내측면에 콘택트된 상태로 레버(34)의 회동 슬립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레버(34)와 가이드 바아(44)의 접촉 부위 사이의 마찰력 작용이 최소화되며, 이처럼 마찰력 작용이 최소화되어 아주 원활하게 레버(34)가 볼블록(44B)에 대해 상대 슬립 작동되는 만큼 마모도를 최소화시켜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보다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레버(34)의 하단부를 실린더(32b)의 피스톤(32a)에 연결하는 제1힌지부(35)는 레버(34)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결합된 힌지축(35b)과, 이러한 힌지축(35b)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피스톤(32a)의 선단부에 형성된 축홀(35a)을 형성하되, 상기 피스톤(32a)의 축홀(35a)을 상부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버(34) 하단부의 힌지축(35b)을 피스톤(32a)의 위쪽에서 아래로 상기 축홀(35a)에 끼워줄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힌지부(35)를 형성하기가 보다 편하며 나아가 상기 피스톤(32a)의 축홀(35a) 위로 레버(34) 하단부의 힌지축(35b)이 이동가능한 여유 공간이 확보되므로 제1힌지부(35)를 기준으로 레버(34)의 하단부가 전후진하면서 회동하는 작동에 있어서 보다 원활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블록(12)이 안쪽면에 지지된 서포트 바디(40)의 바깥면에 보강 리브(46)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34)에 의해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밀어줄 때에 하중(미는 힘에 의한 하중)이 작용할 때에 상기 보강 리브(46)가 그 힘을 충분히 버텨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강 리브(46)에 의해 미는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며, 구조적으로 강도가 충분히 높게 된다. 또한, 보강 리브(46)는 서포트 바디(40)의 측면에서 볼 때에 활형상으로 구성되어 위아래는 상대적으로 폭(전후 방향 폭)이 작고 가운데는 상대적으로 폭이 더 넓게 구성되는데, 상기 폭이 더 넓은 중간 부분에 근접하여 상기 베이스 블록(12)과 오프닝 블록(22)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미는 힘은 상기 보강 리브(46)의 상대적으로 폭이 너 넓은 부분이 충분히 버티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보강 리브(46)의 위아래의 상대적으로 폭이 더 작은 부분에 의해서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포트 바디(40)에 서포트 레그(42)가 구비되어 있어서 스웨이징 작업시 본 발명을 서포트 레그(42)에 의해 세워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용 손잡이(48)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이동용 손잡이(48)를 잡고 본 발명을 이동시킬 수 있어서 이동성 등에서 편리하다. 한편, 이동용 손잡이(48)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에 스웨이징 가공 대상 튜브(2)를 수용할 때에 튜브(2)의 다른 부분이 이동용 손잡이(48)에 걸리적거리는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동용 손잡이(48)가 베이스 블록(12) 안쪽면의 튜브(2) 수용홈인 푸시홀 포밍홈(G1)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데, 튜브(2)가 베이스 블록(12)의 튜브(2) 수용홈과 안착홈을 지나서 길게 배치될 경우에는 이동용 손잡이(48)를 분리하거나 회동시켜서 튜브(2)가 지나가는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길다란 튜브(2)가 이동용 손잡이(48)에 걸리적거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서포트 바디(40)의 바깥면에 구비된 손잡이 지지축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이동용 손잡이(48)에는 축결합홀이 구비되어, 이동용 손잡이(48)의 축결합홀을 상기 손잡이 지지축에 끼우고 나서 손잡이 지지축의 나사부에 너트를 결합하여 조여주면 상기 이동용 손잡이(48)를 서포트 바디(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바디(40)의 바깥면에 구비된 손잡이 지지축의 외주먼에 이동용 손잡이(48)에 구비된 축결합홀을 끼우고 나서 이동용 손잡이(48) 바디의 외표면에서 관통되어 체결되는 가압볼트를 상기 손잡이 지지축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이동용 손잡이(48)를 서포트 바디(40)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튜브 4. 고정링
4a. 고정편 6. 커넥터
10. 베이스 죠오부 12. 베이스 블록
12h. 죠오 결합홀 E1. 탄성체
G1. 푸시홀 포밍홈 14. 베이스 푸시 블록
16. 푸시 패널 H. 힌지부
DG1. 푸시 가동홀 포밍홈 20. 오프닝 죠오부
22. 오프닝 블록 22h. 죠오 결합홀
E2. 탄성체 G2. 푸시홀 포밍홈
23. 연결 지지체 23a. 연결 지지편
23b. 슬라이드 가이드핀 EH. 탄성체 결합홀
TF. 테이퍼면 GG. 오목홈
24. 오프닝 푸시 블록 DG2. 푸시 가동홀 포밍홈
G. 죠오 푸시홀 DG. 푸시 가동홀
30. 스웨이징 가동부 32. 레버 작동유닛
32a. 피스톤 32b. 실린더
34. 레버 34cf. 곡면부
35. 제1힌지부 35a. 축홀
35b. 힌지축 36. 제2힌지부
36a. 축홀 36b. 힌지축
40. 서포트 바디 42. 서포트 레그
44. 가이드 바아 46. 보강 리브
48. 이동용 손잡이 50. 죠오
60. 록킹 유닛 62. 록킹 지지편
64. 록킹 가압편 66. 핸들

Claims (10)

  1. 스웨이징 대상물의 외주면에서 가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죠오(50)를 구비한 베이스 죠오부(10);
    상기 스웨이징 대상물의 외주면에서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죠오(5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죠오부(10)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열릴 수 있도록 결합된 오프닝 죠오부(20); 및
    상기 죠오(50)를 상기 스웨이징 대상물 외주면에서 전진시켜 상기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스웨이징 가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죠오부(10)는,
    상기 죠오(50)가 안쪽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 블록(12);
    상기 죠오(50)를 상기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 방향으로 전진시키도록 상기 베이스 블록(12)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베이스 푸시 블록(14);을 포함하고,
    상기 오프닝 죠오부(20)는,
    상기 죠오(50)가 안쪽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오프닝 블록(22);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에 일측이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죠오(50)를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으로 전진시키는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포함하며,
    상기 스웨이징 가동부(30)는,
    레버 작동유닛(32);
    상기 레버 작동유닛(32)의 작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이동시켜 상기 죠오(50)들을 상기 베이스 블록(12)과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안쪽면으로 방향으로 눌려지도록 하는 레버(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이징 머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12)이 장착된 서포트 바디(40);
    상기 서포트 바디(40)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바아(44);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은, 상기 죠오(50)들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베이스 블록(12)과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외주면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34)는, 상기 레버 작동유닛(32)의 가동부재에 제1힌지부(35)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 바디(40)의 상기 가이드 바아(44)에 제2힌지부(36)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가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전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이징 머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작동유닛(32)은 실린더(32b)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실린더(32b)의 피스톤(32a)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32a)의 전진시 상기 레버(34)가 상기 제1힌지부(35) 및 상기 제2힌지부(36)를 기준으로 회동 전진하여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눌러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힌지부(35)는 상기 피스톤(32a)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일측으로는 개구부를 구비한 축홀(35a)과, 상기 레버(34)의 하단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축홀(35a)에 삽입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3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이징 머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작동유닛(32)은 실린더(32b)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실린더(32b)의 피스톤(32a)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힌지부(35)는 상기 레버(34)와 상기 피스톤(32a)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힌지부(36)는 상기 레버(34)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를 상기 서포트 바디(40)에 연결하고, 상기 레버(34)가 상기 제1힌지부(35)와 상기 제2힌지부(36)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레버(34)의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을 밀어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레버(34)의 상단부에는 곡면부(34cf)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이징 머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 상기 베이스 블록(12)이 고정되고, 구형 곡면부를 구비한 볼블록(44B)이 선단부에 구비된 가이드 바아(44)가 상기 베이스 블록(12)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포트 바디(40)의 안쪽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바아(44)에는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이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버(34)는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상기 볼블록(44B)이 들어와 결합되는 수용홈(34gh)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34gh)의 내측면이 상기 볼블록(44B)의 구형 곡면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힌지부(36)를 구성하는 힌지축(36b)은 상기 레버(34)의 상기 수용홈(34gh)을 가로질러 상기 가이드 바아(44)의 상기 볼블록(44B)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이징 머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12)의 안쪽면과 상기 오프닝 블록(22)은 상기 죠오(50)가 전진하기 위한 복수개의 죠오 결합홀(12h 및 22h)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구비된 푸시홀 포밍홈(G1 및 G2)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프닝 블록(22)이 상기 베이스 블록(12)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홀 포밍홈(G1 및 G2)들이 합쳐져서 죠오 푸시홀(G)(단면 진원형 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죠오 결합홀(12h 및 22h)들은 상기 죠오 푸시홀(G)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죠오(50)는 상기 베이스 블록(12)과 상기 오프닝 블록(22)의 내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죠오 푸시홀(G)의 중심부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이징 머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12)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베이스 푸시 블록(14)의 안쪽면과 상기 오프닝 블록(22)에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에 결합된 오프닝 푸시 블록(24)의 안쪽면은 푸시 가동홀 포밍홈(DG1 및 DG2)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가동홀 포밍홈(DG1 및 DG2)들이 합쳐져서 푸시 가동홀(DG)을 형성하며, 상기 푸시 가동홀(DG)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죠오(50)가 눌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이징 머신.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이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에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오프닝 푸시 블록(24)과 상기 베이스 푸시 블록(14)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록킹 유닛(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이징 머신.
KR1020130146825A 2013-11-29 2013-11-29 스웨이징 머신 KR101531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825A KR101531888B1 (ko) 2013-11-29 2013-11-29 스웨이징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825A KR101531888B1 (ko) 2013-11-29 2013-11-29 스웨이징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312A KR20150062312A (ko) 2015-06-08
KR101531888B1 true KR101531888B1 (ko) 2015-06-26

Family

ID=5350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825A KR101531888B1 (ko) 2013-11-29 2013-11-29 스웨이징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8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279Y1 (ko) * 2002-03-06 2002-06-01 이주억 호스용 압착기
KR100396186B1 (ko) * 2000-07-13 2003-08-27 최혁재 스웨이징 머신
KR100448252B1 (ko) * 2002-08-19 2004-09-13 구은모 연결관로 접속용 클램핑 장치
US20110132059A1 (en) * 2009-12-02 2011-06-09 Polyflow, Inc. Tube splic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186B1 (ko) * 2000-07-13 2003-08-27 최혁재 스웨이징 머신
KR200277279Y1 (ko) * 2002-03-06 2002-06-01 이주억 호스용 압착기
KR100448252B1 (ko) * 2002-08-19 2004-09-13 구은모 연결관로 접속용 클램핑 장치
US20110132059A1 (en) * 2009-12-02 2011-06-09 Polyflow, Inc. Tube splic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312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3804B2 (en) Assembly and method of coupling pipes
AU593389B2 (en) Crimping machine for hose and fitting assemblies
US8122751B2 (en) Clamp and repair tool
CN101668618B (zh) 具有可收起操纵臂的紧固装置和包括这种装置的设备
KR102015615B1 (ko) 가압 장치
US20020139910A1 (en) Steel prop capable of bearing bidirectional applied force
JPH0768329A (ja) プレス工具
EP1114698A2 (de) Presszange
US20210078260A1 (en) Assembly and Method of Coupling Pipes
TWI642495B (zh) 拉桿張緊系統及彎管機
US5836197A (en) Integral machine tool assemblies
JP4122245B2 (ja) ボールピンチャック
KR101531888B1 (ko) 스웨이징 머신
US20090279969A1 (en) A fixation device for fixating a portable drilling machine to a drill template
WO2021099229A1 (en) Clamping device for tool holder
US3029859A (en) Power tools for sheet-metal repair work
US20170107684A1 (en) A coupler for a wheel loader
JP3678477B2 (ja) 複数の配管継手の接続装置
KR101797855B1 (ko) 스웨이징 머신 및 그 스웨이징 머신의 작동방법
CN206343550U (zh) 一种扩管器与滑套收紧工具快速连接装置
CA1262303A (en) Crimping machine
CN210099910U (zh) 一种机械拉马装置
JP5004578B2 (ja) 押さえ治具
JP4707360B2 (ja) 継手金具の加締装置
JP2015212003A (ja) 締付ソケット及びソケット切り替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