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622B1 - 침대용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침대용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622B1
KR101598622B1 KR1020150172174A KR20150172174A KR101598622B1 KR 101598622 B1 KR101598622 B1 KR 101598622B1 KR 1020150172174 A KR1020150172174 A KR 1020150172174A KR 20150172174 A KR20150172174 A KR 20150172174A KR 101598622 B1 KR101598622 B1 KR 101598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ides
bed
shaft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외분
Original Assignee
신외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외분 filed Critical 신외분
Priority to KR1020150172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90)는, 지지 기능을 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전후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지지판(200)과, 상기 지지판(200)의 후면에 부착되고 회전축이 상기 지지판(200)을 관통하는 모터(400)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구동축(500)과, 상기 구동축(500)에 장착되어 파지 기능을 가진 클램핑부(6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람의 힘에 의하지 않고 모터(400)의 구동력으로 침대(B)의 회전축(S)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열악한 환경에서 업무에 시달리고 있는 간호사나 간호조무사 내지는 간병인들이 침대(B)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정하는 업무를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근무 환경을 개선하므로 업무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축(500)과 침대(B)의 회전축(S)의 축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유니버설 조인트의 원리를 적용하므로 구동축(500)의 회전력이 원활하게 회전축(S)으로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침대용 회전장치 {Rotating apparatus for the bed}
본 발명은 침대용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침대의 핸들에 장착하여 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핸들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침대를 도시한 것으로서 핸들의 회전에 의해서 기울기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배경기술에 의한 침대(1)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요양소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들이 사용하는 침대(1)는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10)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등받이(10)를 원하는 각도로 눕힐 수도 있고 세울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등받이(10)의 하부에는 기울기를 조정하는 구동부(20)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30)이 침대(1)의 하면에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30)의 종단에는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레버(40)가 구성되고, 상기 레버(40)의 종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직각으로 연장된 핸들(50)이 구성된다.
따라서, 간호사나 간호조무사 내지는 간병인 등의 작업자가 핸들(50)을 손으로 잡고 정역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등받이(10)가 원하는 각도로 세워지기도 하고 눕혀지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일일이 작업자가 핸들(50)을 잡고 돌려야만 등받이(10)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인해서, 작동이 번거롭고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환자나 노약자들에게 식사를 제공하거나 투약할 때에는, 핸들(50)을 정역 방향으로 30회∼40회 돌려서 등받이(10)를 적당한 각도로 세워주어야 한다. 그런데, 이처럼, 핸들(50)을 돌리는 작업자들은 간호사나 간호 조무사 내지는 간병인들로서 여성들이 대부분이므로 작동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들은 병원이나 요양소의 특성상, 2교대 내지는 3교대의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고 환자나 노약자들을 상대하는 업무의 특성 때문에 항상 스트레스와 피로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핸들(50)을 돌려서 등받이(10)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은 여간 힘든 작업이 아니다. 일례로, 한 사람의 작업자가 10대의 침대를 관리한다고 가정한다면, 한 사람이 아침, 점심, 저녁, 및 간식, 그리고 투약할 때 등 5번 이상 침대를 구동시켜야 한다. 그렇다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각각 30회∼40회를 돌려야 하므로, 핸들을 하루에 3,000회∼4,000회를 돌려야 한다.
이때, 작업자들은 허리를 굽혀서 핸들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어깨와 허리 및 무릎 그리고 그 외의 관절에 통증을 유발하는 근골계질환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모터가 장착되어 자동으로 등받이(10)의 각도가 조정되는 자동침대도 시판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침대(10)는 상기 제시한 것처럼 수동으로서, 자동침대로 교체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38479호 (1998년 12월 04일)
상기 배경기술에서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침대용 회전장치는, 기존의 수동식 침대에 용이하게 장착한 상태에서, 동력에 의해서 핸들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용이하게 침대의 등받이를 세우거나 눕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침대용 회전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지지 기능을 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전후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 부착되고 회전축이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는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어 파지 기능을 가진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판상으로서 받침 기능을 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세워진 안내축과, 상기 안내축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안내축이 통과하므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축과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판의 상하 이동을 멈추게 하는 제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구동축이 끼워지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하도록 장착된 것으로서 전방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후방으로 개방된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가 삽입되는 판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측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바디의 전후방으로 전방부와 후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성된 핑거와, 상기 핑거와 상기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후방부가 상기 이송관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과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와 바디가 연결되어 유니버설 조인트처럼 다양한 방향으로 꺾이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과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와 바디가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구동축의 양측에 형성된 홈과, 각각의 상기 홈에 삽입되는 볼과, 상기 볼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리브의 양측에 관통된 탭홀과, 각각의 상기 탭홀에 체결되어 상기 볼에 밀착되는 세트스크류와, 상기 홈에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의 양측에 형성된 홈과, 각각의 상기 홈에 삽입되는 볼과, 상기 볼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의 양측에 관통된 탭홀과, 각각의 상기 탭홀에 체결되어 상기 볼에 밀착되는 세트스크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방으로 이격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상하방으로 관통하는 볼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핑거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배치되어 내측방으로 연장되고 상하방으로 이격된 플랜지와, 상기 볼트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랜지를 상하방을 관통하는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홀과 통공을 통과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양 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핑거의 하방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연장된 보조핑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이송관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으로서 단부에 상기 이송관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된 레버와, 상기 레버가 걸리도록, 상기 이송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버의 전후방에 배치된 전방플랜지 및 후방플랜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가 끼워지고 상기 이송관의 후방으로 삽입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을 받치도록 상기 슬리브의 후방에 장착된 링과, 상기 압축스프링의 전방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이송관의 내측홀에 형성된 단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지지판의 전면과 후면에 부착되고 측방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안내축이 통과하는 것으로서 상하방으로 배치되고 전방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된 탄성판과, 상기 탄성판 사이에 연결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침대용 회전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람의 힘에 의하지 않고 모터의 구동력으로 침대의 회전축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열악한 환경에서 업무에 시달리고 있는 간호사나 간호조무사 내지는 간병인들이 침대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정하는 업무를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근무 환경을 개선하므로 업무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축과 침대의 회전축의 축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유니버설 조인트의 원리를 적용하므로 구동축의 회전력이 원활하게 회전축으로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침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등받이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정되는 자동침대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보조 핑거에 의해서 침대의 회전축에 연결된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증가된 회전 모멘트로 인해서 모터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침대를 도시한 것으로서 핸들의 회전에 의해서 기울기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클램핑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클램핑부에서 핑거를 생략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클램핑부에서 레버의 정역 회동에 의해서 이송관이 전후진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클램핑부에서 레버의 정역 회동에 의해서 핑거가 벌어졌다가 오므라지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클램핑부에서 모터의 회전축이 슬리브를 통과하고 상기 슬리브는 이송관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제동부를 별도로 발췌한 것으로서 커버를 생략하고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제동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커버를 생략하고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를 기울기가 조정되는 침대의 핸들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클램핑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클램핑부에서 핑거를 생략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클램핑부에서 레버의 정역 회동에 의해서 이송관이 전후진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클램핑부에서 레버의 정역 회동에 의해서 핑거가 벌어졌다가 오므라지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클램핑부에서 모터의 회전축이 슬리브를 통과하고 상기 슬리브는 이송관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제동부를 별도로 발췌한 것으로서 커버를 생략하고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에 포함되는 제동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커버를 생략하고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를 기울기가 조정되는 침대의 핸들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회전장치(90)는 등받이의 기울기가 조정되는 일반적인 침대(B)의 회전축(S)에 연결되어 모터(400)의 구동에 의해서 용이하게 상기 회전축(S)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도 2 및 도 3에서처럼, 지지 기능을 하는 프레임(10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0)에, 전면과 후면이 전후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지지판(200)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판(200)의 후면에 부착되고 회전축이 상기 지지판(200)을 관통하는 모터(40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구동축(500)이 구성되고, 상기 구동축(500)에 장착되어 침대(B)의 회전축(S)을 잡도록 파지 기능을 가진 클램핑부(600)가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판상으로서 받침 기능을 하는 베이스(11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에 세워진 안내축(130)이 구성되며, 상기 안내축(130)의 상단을 연결하므로 안내축(130)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상부판(15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하면에는 캐스트(120)가 장착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00)에는 상하방으로 관통된 안내홀(210)이 관통되므로 상기 안내축(130)이 통과하여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축(130)과 상기 지지판(200)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판(200)의 상하 이동을 멈추게 하는 제동부(7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00)의 전면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하우징(300)이 부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300)의 내부에는 베어링이 삽입되어 상기 구동축(5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램핑부(600)는, 도 3 내지 도 5에서처럼, 상기 구동축(500)이 끼워지는 슬리브(610)가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610)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슬리브(61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하도록 장착되고 전방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이송관(6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관(62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후방으로 개방된 관통구(631)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610)가 삽입되는 판상의 바디(630)가 구성된다.
또한, 싱기 바디(630)의 양측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핑거(640)가 구성되는데, 판상의 것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바디(630)의 전후방으로 연장된 전방부(641)와 후방부(6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부(643)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송관(62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전방 종단부에는 내측방을 향하여 노치(649)가 형성되므로 침대(B)의 회전축(S)을 수용하여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치(649)는 V형으로 형성되므로 다양한 지름의 회전축(S)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슬립이 방지되도록 고무커버가 씌워져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핑거(640)의 전방부(641)와 후방부(643) 사이에 배치되어 내측방으로 연장되고 상하방으로 이격된 플랜지(645)가 구성되며, 상기 바디(6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통공(647)이 상하방으로 관통되어 구성된다.
상기 바디(630)는 도 4 및 도 5에서처럼, 양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방으로 이격된 돌출부(635)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35)를 상하방으로 관통하고 상기 통공(647)에 대응되는 볼트홀(63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홀(637)과 통공(647)을 통과하는 볼트(660)가 구성되고, 상기 볼트(660)에 체결되는 너트(67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핑거(640)는 집게처럼 침대(B)의 회전축(S)을 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핑거(640)의 후방부(643)가 이송관(620)에 밀착되도록, 즉 핑거(640)의 전방부가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핑거(640)와 상기 바디(630)에 지지되어 상기 후방부(643)가 상기 이송관(6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650)가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650)는 일례로서 도 4에서처럼, 상기 볼트(660)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하로 이격된 상기 돌출부(63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630)와 핑거(640)에 지지되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처럼, 상기 슬리브(610)가 끼워지고 상기 이송관(620)의 후방으로 삽입되는 압축스프링(626)이 구성되고, 상기 압축스프링(626)을 받치도록 상기 슬리브(610)의 후방에 장착된 링(629)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스프링(626)의 전방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이송관(620)의 내측홀에 형성된 단턱(625)이 구성된다. 상기 링(629)의 장착을 위해서는 슬리브(610)의 후방부에 스냅링홈(628)이 형성되고, 상기 스냅링홈(628)에 스냅링(627)이 끼워지고 상기 링(629)이 스냅링(627)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압축스프링(626)의 팽창력에 의해서 이송관(620)은 항상 전진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서, 핑거((640)의 후방부(643)는 테이퍼 모양의 이송관(620)의 외측면에 의해서 벌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핑거(640)의 전방부(641)는 오므려지 상태가 되므로 항상 베드(B)의 회전축(S)을 클램핑한 상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처럼, 상기 지지판(200)의 전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이송관(620)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으로서 단부에 상기 이송관(620)이 수용되는 홈(693)이 형성된 레버(690)가 구성된다. 상기 레버(690)는 판상의 것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지지판(200)의 전면에서 이송관(6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부착된 브래킷(695)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690)가 걸리도록, 상기 이송관(6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버(690)의 전후방에 배치된 전방플랜지(621) 및 후방플랜지(623)가 구성된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서처럼, 상기 레버(69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이송관(620)이 후진하면서 핑거(640)의 전방부(641)가 벌어지게 되고, 레버(690)를 후방을 회동시키면 이송관(620)이 전진하면서 상기 전방부(641)가 오므라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630)의 양 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핑거(640)의 하방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침대(B)의 회전축(S)에 연결된 레버(L)가 수용되는 보조핑거(68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500)과 슬리브(610), 및 상기 슬리브(610)와 바디(630)가 연결되어 구성되므로 구동축(500)의 회전력이 슬리브(610)를 통해서 바디(630)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유니버설 조인트처럼 상기 구동축(500)이 다양한 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침대(B)의 회전축(S)과 구동축(500)의 축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조의 일실시예로서, 도 3에서처럼, 상기 구동축(500)의 양측에 형성된 홈(510)이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홈(510)에 삽입되는 볼(60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볼(603)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리브(610)의 양측에 관통된 탭홀(617)이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탭홀(617)에 체결되어 상기 볼(603)에 밀착되는 세트스크류(61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홈(510)에 어긋나는 방향, 일례로서 직각 방향으로 상기 슬리브(610)의 양측에 형성된 홈(611)이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홈(611)에 삽입되는 볼(613)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613)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630)의 양측에 관통된 탭홀(633)이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탭홀(633)에 체결되어 상기 볼(613)에 밀착되는 세트스크류(615)가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축(500)과 슬리브(610) 사이에는 바디(630)가 상기 볼(603)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틈(G)이 형성되고, 상기 볼(613)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슬리브(610)와 바디(630) 사이에는 틈(P)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서처럼, 바디(630)는 상기 볼(603)에 의해서 X축을 중심으로 상기 틈(G)의 치수만큼 정역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볼(613)에 의해서 Y축을 중심으로 상기 틈(P)의 치수만큼 정역 방향을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유니버설 조인트처럼 구동축(500)과 침대(B)의 회전축(S)의 축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로서, 도 5에서 상기 볼(603, 613)이 생략된 구조도 가능하다. 즉, 각각의 상기 세트스크류(605, 615)가 상기 홈(510, 611)에 각각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유니버설 조이니트처럼 작동될 수 있다. 이점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구동축(500)의 양측에 홈(510)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홈(510)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리브(610)의 양측에 관통된 탭홀(617)이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탭홀(617)에 체결되어 상기 홈(510)에 삽입되는 세트스크류(615)가 구성된다. 상기 홈(510)에 어긋나는 방향, 일례로 직각방향으로 상기 슬리브(610)의 양측에 홈(611)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홈(611)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630)의 양측에 관통된 탭홀(633)이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탭홀(633)에 체결되어 상기 홈(611)에 삽입되는 세트스크류(615)가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축(500)과 슬리브(610) 사이에는 바디(630)가 상기 세트 스크류(605)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틈(G)이 형성되고, 상기 세트스크류(615)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슬리브(610)와 바디(630) 사이에는 틈(P)이 형성된다. 따라서, 볼(603, 613)이 구성된 것과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동부(700)는, 도 2 및 도 9에서처럼, 상기 지지판(200)의 전면과 후면에 부착되고 측방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70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701) 사이에 상하방으로 배치되고, 걸림홀(705)이 관통되므로 상기 안내축(130)이 통과하는 탄성판(703)이 구성된다. 상기 탄성판(703)은 전방단부가 상기 플레이트(701)에 연결되므로 지지판(200)과 함께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탄성판(703)의 전방단부가 지지판(200)에 연결되는 일례로서는 플레이트(701)를 관통하는 핀이 구성되고 상기 핀에 탄성판(703)의 전방단부가 감겨서 연결되거나, 상하방으로 상기 핀이 구성되고 상기 핀 사이에 상하방에 배치된 탄성판(703)의 전방단부가 끼워져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판(703) 사이에 연결된 압축스프링(707)이 구성된다. 따라서, 도 9에서처럼, 상기 압축스프링(707)에 의해서 탄성판(703)이 벌어진 상태가 되면 상기 걸림홀(705)이 기울어진 상태가 되어 안내축(130)을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판(200)의 승강이 멈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판(703)을 오므리게 되면 걸림홀(705)의 기울기가 완만해지면서 안내축(130)을 압박하던 상태가 해제되므로 지지판(200)은 용이하게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걸림홀(705)은, 기울어진 상태에서 안내축(130)을 압박할 때보다 완만한 상태에서는 용이하게 안내축(130)을 통과할 수 있고,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내측 모서리가 안내축(130)을 압박하도록 사이즈가 조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동부(700)는 상기 구성에서 솔레노이드(710)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9에서처럼, 상기 탄성판(703) 중 일측 탄성판(703)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로드(713)가 상기 일측 탄성판(703)을 관통하여 상대측 탄성판(703)에 고정되는 솔레노이드(71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710)에 전원을 공급하여 로드(713)가 후진하도록 하면 양측 탄성판(703)이 오므라지면서 걸림홀(705)이 기울기가 완만하게 되어 제동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압축스프링(707)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710)에 공급하던 전원을 중단하면 압축스프링(707)의 팽창력에 의해서 양측 탄성판(703)은 벌어지게 되고 걸림홀(705)은 경사지게 되어 안내축(130)을 압박하게 되어 제동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서처럼, 상기 안내축(130)이 끼워지는 것으로서 지지판(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완충 스프링(140)이 구성되므로, 탄성판(703)을 오므려서 제동이 해제된 상태에서 지지판(200)이 갑자기 하강하여 베이스(110)에 충돌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에는 모터(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800)가 안착되어 구성되는데, 케이싱으로 커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판(150)에는 전원의 온오프(ON/OFF) 내지는 모터(400)의 회전속도 내지 회전방향을 조정하는 컨트롤 박스(900)가 구성된다. 상기 축전지(800)가 구성되지 않고 상용전원으로부터 모터(400)의 전원을 공급받는 것도 본원의 기술에 속함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에서처럼, 본원의 침대용 회전장치(90)를 이동시켜서, 상기 구동축(500)의 축심이 침대(B)의 회전축(S)의 축심과 일치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동부(700)의 탄성판(703)을 오므려서 제동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그러면 탄성판(703)에 형성된 걸림홀(705)의 기울기가 완만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판(200)을 상하방으로 승강시켜 구동축(500)과 회전축(S)의 높이를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좌우 측방으로 이동시켜서 구동축(500)과 회전축(S)의 축심이 일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핑거(640)는 회전축(S)의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한 후에, 상기 레버(69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이송관(620)의 후방 플랜지(623)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되므로 이송관(620)은 후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650)에 의해서 이송관(620)의 외측면에 밀착하고 있던 핑거(640)의 후방부(643)는 테이퍼 모양의 상기 외측면에 의해서 오므라들게 된다. 따라서, 핑거(640)의 전방부(641)는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을 전방으로 밀어서 구동축(500)이 회전축(S)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69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스프링(626)의 복원력에 의해서 이송관(620)은 전진하게 되므로 이송관(620)의 외측면에 밀착하고 있던 상기후방부(643)는 벌어지게 되어 상기 전방부(641)는 오므라들게 된다. 이때, 상기 전방부(641)에 형성된 노치(649)에 회전축(S)이 수용된 상태가 된다. 즉, 양측의 핑거(640)가 회전축(S)을 파지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보조핑거(680)가 회전축(S)에 직각 방향으로 연결된 레버(L)를 수용하도록 한다.
이렇게 구동축(500)과 회전축(S)을 연결한 후에 상기 컨트롤 박스(900)를 조정하여 상기 모터(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모터(400)의 회전축, 구동축(500), 슬리브(610), 이송관(620), 바디(630) 순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핑거(640)와 보조핑거(68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핑거(640)는 회전축(S)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보조핑거(680)는 레버(L)를 돌리게 된다. 이처럼, 보조핑거(680)가 레버(L)를 돌리므로 모멘트가 커지게 되어 보다 적은 동력으로 용이하게 회전축(S)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구동축(500)과 회전축(S)은 작업자의 감각에 의해서 맞춘 것이기 때문에 사실은 일치할 수가 없다. 따라서, 진동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처럼, 바디(630)가 상기 볼(603)에 의해서 X축을 중심으로 상기 틈(G)의 치수만큼 정역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볼(613)에 의해서 Y축을 중심으로 상기 틈(P)의 치수만큼 정역 방향을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유니버설 조인트처럼 구동축(500)과 침대(B)의 회전축(S)의 축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숙한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도 5에서 상기 볼(603, 613)이 생략된 구조에서는 각각의 상기 세트스크류(605, 615)가 상기 홈(510, 611)에 각각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유니버설 조이니트처럼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에서 회전력의 전달은 볼(603, 613)과 세트스크류(605, 615)에 의해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렇게 해서 침대(B)의 등받이가 원하는 각도가 되면 상기 모터(400)를 오프(OFF)하고, 상기 레버(690)를 전방으로 밀어서 이송관(620)이 후진하도록 한다. 그러면, 핑거(640)의 후방부(643)가 이송관(620)의 외측면을 따라 오므라들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650)의 복원력에 의해서 오므라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핑거(640)의 전방부(641)가 벌어지게 되므로 회전축(S)을 클램핑하고 있던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프레임(10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핑거(640)가 회전축(S)에서 완전히 이탈되도록 하므로 작동은 완료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의 힘에 의하지 않고 모터(400)의 구동력으로 침대(B)의 회전축(S)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열악한 환경에서 업무에 시달리고 있는 간호사나 간호조무사 내지는 간병인들이 침대(B)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정하는 업무를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근무 환경을 개선하므로 업무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축(500)과 침대(B)의 회전축(S)의 축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유니버설 조인트의 원리를 적용하므로 구동축(500)의 회전력이 원활하게 회전축(S)으로 전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반 침대(B)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등받이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정되는 자동침대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보조 핑거(680)에 의해서 침대(B)의 회전축(S)에 연결된 레버(L)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증가된 회전 모멘트로 인해서 모터(400)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0: 침대용 회전장치 100: 프레임
110: 베이스 120: 캐스트
130: 안내축 140: 완충 스프링
150: 상부판 200: 지지판
210: 안내홀 300: 하우징
400: 모터 410: 회전축
500: 구동축 510: 홈
600: 클램핑부 610: 슬리브
611: 홈 613: 볼
615: 세트스크류 617: 탭홀
620: 이송관 621: 전방 플랜지
623: 후방 플랜지 625: 단턱
630: 바디 631: 관통구
633: 탭홀 635: 돌출부
637: 볼트홀 640: 핑거
641: 전방부 643: 후방부
645: 플랜지 647: 통공
650: 탄성부재 660: 볼트
670: 너트 680: 보조핑거
690: 레버 693: 홈
700: 제동부 701: 플레이트
703: 탄성판 705: 걸림홀
707: 압축스프링 709: 볼트
710: 솔레노이드 713: 로드

Claims (12)

  1. 지지 기능을 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전후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지지판(200)과,
    상기 지지판(200)의 후면에 부착되고 회전축이 상기 지지판(200)을 관통하는 모터(400)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구동축(500)과,
    상기 구동축(500)에 장착되어 파지 기능을 가진 클램핑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0)은,
    판상으로서 받침 기능을 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에 세워진 안내축(130)과,
    상기 안내축(13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판(15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200)은 상기 안내축(130)이 통과하므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축(130)과 상기 지지판(200)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판(200)의 상하 이동을 멈추게 하는 제동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회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600)는,
    상기 구동축(500)이 끼워지는 슬리브(610)와,
    상기 슬리브(610)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슬리브(61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하도록 장착되고 전방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이송관(620)과,
    상기 이송관(62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후방으로 개방된 관통구(631)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610)가 삽입되는 판상의 바디(630)와,
    상기 바디(630)의 양측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바디(630)의 전후방으로 전방부(641)와 후방부(643)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부(643)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구성된 핑거(640)와,
    상기 핑거(640)와 상기 바디(630)에 지지되어 상기 후방부(643)가 상기 이송관(6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65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500)과 슬리브(610), 및 상기 슬리브(610)와 바디(630)가 연결되어 유니버설 조인트처럼 다양한 방향으로 꺾이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회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500)과 슬리브(610), 및 상기 슬리브(610)와 바디(630)가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구동축(500)의 양측에 형성된 홈(510)과,
    각각의 상기 홈(510)에 삽입되는 볼(603)과,
    상기 볼(603)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리브(610)의 양측에 관통된 탭홀(617)과,
    각각의 상기 탭홀(617)에 체결되어 상기 볼(603)에 밀착되는 세트스크류(615)와,
    상기 홈(510)에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기 슬리브(610)의 양측에 형성된 홈(611)과,
    각각의 상기 홈(611)에 삽입되는 볼(613)과,
    상기 볼(613)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630)의 양측에 관통된 탭홀(633)과,
    각각의 상기 탭홀(633)에 체결되어 상기 볼(613)에 밀착되는 세트스크류(6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회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500)과 슬리브(610), 및 상기 슬리브(610)와 바디(630)가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구동축(500)의 양측에 형성된 홈(510)과,
    각각의 상기 홈(510)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리브(610)의 양측에 관통된 탭홀(617)과,
    각각의 상기 탭홀(617)에 체결되어 상기 홈(510)에 삽입되는 세트스크류(615)와,
    상기 홈(510)에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기 슬리브(610)의 양측에 형성된 홈(611)과,
    각각의 상기 홈(611)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디(630)의 양측에 관통된 탭홀(633)과,
    각각의 상기 탭홀(633)에 체결되어 상기 홈(611)에 삽입되는 세트스크류(6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회전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630)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방으로 이격된 돌출부(635)와,
    상기 돌출부(635)를 상하방으로 관통하는 볼트홀(637)을 포함하고,
    상기 핑거(640)의 전방부(641)와 후방부(643) 사이에 배치되어 내측방으로 연장되고 상하방으로 이격된 플랜지(645)와,
    상기 볼트홀(637)에 대응되도록 상기 플랜지(645)를 상하방을 관통하는 통공(647)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홀(637)과 통공(647)을 통과하는 볼트(660)와,
    상기 볼트(660)에 체결되는 너트(6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회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650)는,
    상기 볼트(660)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하로 이격된 상기 돌출부(63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630)와 핑거(640)에 지지되는 비틀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회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630)의 양 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핑거(640)의 하방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연장된 보조핑거(6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회전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0)의 전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이송관(620)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으로서 단부에 상기 이송관(620)이 수용되는 홈(693)이 형성된 레버(690)와,
    상기 레버(690)가 걸리도록, 상기 이송관(6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버(690)의 전후방에 배치된 전방플랜지(621) 및 후방플랜지(6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회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610)가 끼워지고 상기 이송관(620)의 후방으로 삽입되는 압축스프링(626)과,
    상기 압축스프링(626)을 받치도록 상기 슬리브(610)의 후방에 장착된 링(629)과,
    상기 압축스프링(626)의 전방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이송관(620)의 내측홀에 형성된 단턱(6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회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700)는,
    상기 지지판(200)의 전면과 후면에 부착되고 측방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701)와,
    상기 플레이트(701)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안내축(130)이 통과하는 것으로서 상하방으로 배치되고 전방단부가 상기 플레이트(701)에 연결된 탄성판(703)과,
    상기 탄성판(703) 사이에 연결된 압축스프링(7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회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703) 중 일측 탄성판(703)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로드(713)가 상기 일측 탄성판(703)을 관통하여 상대측 탄성판(703)에 고정되는 솔레노이드(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회전장치.
KR1020150172174A 2015-12-04 2015-12-04 침대용 회전장치 KR101598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174A KR101598622B1 (ko) 2015-12-04 2015-12-04 침대용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174A KR101598622B1 (ko) 2015-12-04 2015-12-04 침대용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622B1 true KR101598622B1 (ko) 2016-02-29

Family

ID=5544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174A KR101598622B1 (ko) 2015-12-04 2015-12-04 침대용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6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479Y1 (ko) 1996-03-02 1999-04-01 윤대인 환자용 침대의 경사각도조절 크랭크 장치
KR100221537B1 (ko) * 1995-10-24 1999-09-15 후쿠나가 다카시 의료베드용 리클라이닝 구동장치
KR200298320Y1 (ko) * 2002-09-04 2002-12-16 강호철 환자용 침대
KR20080101507A (ko) * 2007-05-18 2008-11-21 지에이건설 주식회사 환자용 침대
KR101164494B1 (ko) * 2011-05-06 2012-07-18 최영민 환자용 침대의 착탈식 전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537B1 (ko) * 1995-10-24 1999-09-15 후쿠나가 다카시 의료베드용 리클라이닝 구동장치
KR0138479Y1 (ko) 1996-03-02 1999-04-01 윤대인 환자용 침대의 경사각도조절 크랭크 장치
KR200298320Y1 (ko) * 2002-09-04 2002-12-16 강호철 환자용 침대
KR20080101507A (ko) * 2007-05-18 2008-11-21 지에이건설 주식회사 환자용 침대
KR101164494B1 (ko) * 2011-05-06 2012-07-18 최영민 환자용 침대의 착탈식 전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4472B2 (ja) 下肢用マッサージ装置
KR101715326B1 (ko)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KR20180052047A (ko) 전동 휠체어의 조이스틱형 컨트롤러 어셈블리
CN204618500U (zh) 骨科椅
CN101305952B (zh) 多功能电动轮椅脚踏调整装置
KR101598622B1 (ko) 침대용 회전장치
TWI639420B (zh) 輔助動力裝置及輪椅
JP5195569B2 (ja) 移乗装置、移乗方法、及び保持具
KR20160122456A (ko)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KR20140081044A (ko) 재활 운동기구
TWM506530U (zh) 起身椅裝置結構
WO2015017935A1 (en) Removable leg rest for wheelchairs
CN211023657U (zh) 一种协上床用抬腿器
KR100999486B1 (ko)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CN208989411U (zh) 一种姿态可调的电动轮椅
JP6816259B2 (ja) 介助装置
US20190133859A1 (en) Standing assistance apparatus
CN215132051U (zh) 一种老年护理用翻身辅助装置
CN218923020U (zh) 一种新型转移轮椅车
CN219847152U (zh) 一种护理床
CN221243258U (zh) 医用病床
CN212973320U (zh) 一种便于病人翻身用的病床折叠机构
KR102602688B1 (ko) 상지 재활 장치
CN212522230U (zh) 一种能够辅助下地的医用床
JP6968232B2 (ja) ストレッチャー分離型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