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504B1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504B1
KR101598504B1 KR1020150060551A KR20150060551A KR101598504B1 KR 101598504 B1 KR101598504 B1 KR 101598504B1 KR 1020150060551 A KR1020150060551 A KR 1020150060551A KR 20150060551 A KR20150060551 A KR 20150060551A KR 101598504 B1 KR101598504 B1 KR 10159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steam
space
dried
steam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범
Original Assignee
박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범 filed Critical 박영범
Priority to KR102015006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14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using gases or vapours other than air or steam, e.g. iner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어분 등 습기를 포함한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피건조물 건조공간을 형성하며, 피건조물이 공급되는 공급부(110) 및 상기 건조공간에서 건조된 상기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를 가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스팀공급유로(210)가 형성된 회전부(200)와; 상기 스팀공급유로(210)로부터 전달된 스팀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회전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회전부(2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디스크부(300)들과; 상기 회전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20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복수의 디스크부(300)들의 상측으로 피건조물로부터 수증기가 증발되는 증발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에 피건조물로부터 증발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가스배출부(630)가 설치되는 상측공간부(620)를 가지며, 상기 상측공간부(620)는, 스팀 및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열매체가 흘러 가열되는 상측가열부(7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어분 등 습기를 포함한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조장치는,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어분 등 습기를 포함한 피건조물을 등의 피건조물 내의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그리고 건조장치는, 가열 방식에 따라 열풍, 적외선이나 고주파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가열하여 건조하는 직접가열식 건조장치와, 간접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건조를 실시하는 간접가열식 건조장치로로 분류된다.
또한 건조장치는, 건조하는 형태에 따라 석회나 비료의 건조에 사용하는 회전건조장치(컨베이어식·원반식 또는 경사원통을 사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목재·벽돌 등의 건조에 사용하는 터널 건조장치, 양모·점토 등에 사용하는 상자형건조장치, 주로 저온에서 사용되며 의약품·사진재료 등을 건조시키는 진공건조장치 등이 있다.
상기 건조장치 중에서 간접적으로 열을 전도하여 실제 공급 열량에 비해 건조에 필요한 열량을 극대화 하도록 전열면적을 확대하는 간접열전도 건조장치는 동일한 전열면적에서 피건조물의 입자가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커져 전열효과가 높고, 내부수분이 표면수로 존재함에 따라 건조속도가 빨라지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간접 열전도 방식의 건조장치로는 패들건조장치, 디스크건조장치, 드럼건조장치, 박막증발건조장치가 대표적인 것으로 사용되고, 구동수단으로 회전하는 회전건조장치의 일종으로 간접 열전도 방식의 디스크 건조장치는 사료, 어분, 파인(fine), 세라믹 및 점착성 슬러지 상의 재료를 건조하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건조장치의 본체부를 절개한 측면도이다.
종래의 디스크 건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건조물을 공급하는 공급구(7)를 일측에 구비한 몸체부(2)의 내측으로 회전수단으로 회전하도록 스팀 공급관(4)에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디스크(3)를 형성하고, 스팀 공급관(3)에 일측으로 디스크(3)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구(5)를 형성하며, 몸체부(2)의 중앙으로 건조시에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구(9)를 형성하고, 몸체부(2)의 타측으로 건조물을 배출하는 배출부(8)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디스크 건조장치(1)는, 스팀공급구(5)에서 발생된 스팀을 스팀 공급관(4)에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 디스크(3)로 공급하여 가열을 실시하고,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공급구(7)로 피건조물을 공급하며, 공급된 피건조물은 구동수단으로 스팀 공급관(4)에 의해 회전되는 디스크(3)에 접촉하면서 배출부(8)측으로 이송한다.
이때, 디스크(3)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피건조물이 가열된 디스크(3)에 접촉되면서 간접 열전도 방식으로 건조되고, 건조시에 발생되는 가스는 가스배출구 (9)로 배출되면서 건조된 건조물은 디스크(3) 회전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부(8) 측으로 배출하도록 한다.(등록특허 제10-0987573호)
한편 종래의 디스크 건조장치는, 회전되는 디스크(3)와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피건조물의 접촉에 의하여 피건조물이 가열되어 피건조물에 포함된 수분이 수증기로서 상측으로 증발하고, 증발된 수증기는 가스배출구(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디스크 건조장치는, 회전되는 디스크(3)의 상측에 수증기의 증발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종래의 디스크 건조장치는, 몸체부(3) 중 증발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는 외부로의 열방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부재가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크 건조장치는, 단열부재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외부로의 열방출로 인하여 몸체부(3) 중 증발공간을 형성하는 천정의 내면에서 수증기가 응축수로 응결되고 응결된 응축수가 하측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낙하된 응축수는, 피건조물 내로 흡수되어 다시 증발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피건조물의 가열 및 건조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피건조물의 가열 및 건조효과의 감소는 투입에너지, 즉 투입 전력량에 비하여 피건조물의 건조량이 감소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피건조물의 처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디스크들의 상부공간에서의 수증기의 응축을 최소화하여 피건조물의 가열 및 건조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피건조물 건조공간을 형성하며, 피건조물이 공급되는 공급부(110) 및 상기 건조공간에서 건조된 상기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를 가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스팀공급유로(210)가 형성된 회전부(200)와; 상기 스팀공급유로(210)로부터 전달된 스팀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회전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회전부(2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디스크부(300)들과; 상기 회전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20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복수의 디스크부(300)들의 상측으로 피건조물로부터 수증기가 증발되는 증발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에 피건조물로부터 증발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가스배출부(630)가 설치되는 상측공간부(620)를 가지며, 상기 상측공간부(620)는, 스팀 및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열매체가 흘러 가열되는 상측가열부(7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상기 스팀공급유로(210)과 동일한 스팀공급원 또는 별도의 스팀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열매체로서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스팀이 상기 스팀공급유로(210)를 거친 수증기 및 물 중 적어도 하나를 열매체로서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상기 상측공간부(6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열매체가 흐르는 제1유로(710)와; 상기 제1유로(7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유로(710)를 거친 열매체가 흐르는 제2유로(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710)는 상기 상측공간부(620)의 상부를 이루며, 상기 상측공간부(620)의 상부에서 상기 제1유로(710)가 지그재그 구조의 유로를 이루도록 내부공간에 복수의 격판(711)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720)는, 상기 상측공간부(620)의 상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710)의 타단에서 상기 제1유로(710)로부터 열매체를 전달받는 제1측면유로(721) 및 제2측면유로(7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710)를 지나는 스팀 및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열매체는, 상기 본체부(100) 내에서 피건조물의 이동방향으로 흘러 액상의 열매체로 변환되어 상기 제2유로(720)로 전달되며 상기 제2유로(720) 내에 채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의 가열을 위한 복수의 디스크부들의 상측에 피건조물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채워지는 상측공간부에 스팀 및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가열됨으로써, 상측공간부에서의 열누출로 인하여 피건조물에서 증발되는 수증기의 응축을 최소화하여 피건조물의 가열 및 건조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의 가열을 위한 복수의 디스크부들의 상측에 피건조물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채워지는 상측공간부의 상부에 제1유로가 설치되고, 상측공간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제1유로가 연결되는 제2유로가 설치됨으로써 하여 상측공간부에서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건조장치의 본체부를 절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본체부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건조장치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건조장치의 상측공간부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도이다.
도 5은,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건조장치를 횡방향에서 본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건조장치의 디스크부 및 회전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피건조물 건조공간을 형성하며, 피건조물이 공급되는 공급부(110) 및 상기 건조공간에서 건조된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를 가지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스팀공급유로(210)가 형성된 회전부(200)와; 스팀공급유로(210)로부터 전달된 스팀에 의하여 가열되며, 회전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회전부(2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디스크부(300)들과; 회전부(200)에 결합되어 회전부(20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피건조물 건조공간을 형성하며, 피건조물이 공급되는 공급부(110) 및 상기 건조공간에서 건조된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공급부(110) 및 배출부(120)는, 피건조물의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상기 본체부(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단 상측에 공급부(110)가 형성되고 타단 일측면에 배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후술하는 복수의 디스크부(300)들이 설치된 회전부(200)의 회전에 의하여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피건조물에 포함된 수증기를 증발시켜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본체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크부(300)들이 설치된 회전부(200)가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외형이 복수의 디스크부(300)들의 회전반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하측공간부(610)를 가진다.
상기 하측공간부(610)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건조물이 채워지게 되며 회전되는 복수의 디스크부(300)들과의 접촉에 의하여 가열됨으로써 피건조물에 포함된 수증기가 상측으로 증발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공간부(610)는, 외부로의 열누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되거나, 스팀에 의하여 가열되도록 내부에 스팀유로(미도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유로는, 하측공간부(610)를 이중관으로 구성하고 그 사이로 스팀이 흐로도록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는, 복수의 디스크부(300)들의 상측으로 피건조물로부터 수증기가 증발되는 증발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에 피건조물로부터 증발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가스배출부(630)가 설치되는 상측공간부(620)를 가진다.
상기 가스배출부(630)는, 증발공간에서 증발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치되는 형태이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가스배출부(630)는, 펌프 등에 의하여 부압이 형성됨으로써 증발공간에서 증발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촉진된다.
상기 상측공간부(620)는, 복수의 디스크부(300)들의 상측, 즉 복수의 디스크부(300)들의 상측으로 피건조물로부터 수증기가 증발되는 증발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에 피건조물로부터 증발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가스배출부(63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상측공간부(620)는, 외부로의 열누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부재가 설치됨이 일반적이나, 열누출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피건조물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응결되고 응축수로 하측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낙하된 응축수는, 디스크부(300)에 의하여 재가열되어야 하므로, 동일한 건조조건 하의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투입에너지(회전부의 회전구동을 위한 회전모터에 가해지는 전기에너지 등)가 증가되어 가열 및 건조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가스배출부(630)는, 상측공간부(620)의 천정의 특정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증발공간에서의 수증기가 모두 외부로 빠져나가기는 어렵기 때문에, 일정시간 동안 증발공간 내에 위치되며, 가스배출부(630)로 배출되지 못한 수증기는 상측공간부(620)의 천정 내벽과 접촉하며 열을 빼앗기고 응측되어 응축수로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측공간부(620)는, 스팀 및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열매체가 흘러 가열되는 상측가열부(70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스팀 및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열매체를 흘려 상측공간부(620)를 가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피건조물로부터 증발공간으로 증발되는 수증기가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정도로 상측공간부(620)를 가열하면 충분하며, 가열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스팀공급유로(210)과 동일한 스팀공급원 또는 별도의 스팀공급원으로부터 열매체로서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스팀이 스팀공급유로(210)를 거친 수증기 및 물 중 적어도 하나를 열매체로서 공급받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스팀공급유로(210)를 거쳐 응축된 응축수의 일부를 열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상측공간부(62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공간부(6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열매체가 흐르는 제1유로(710)와; 제1유로(710)와 연결되어 제1유로(710)를 거친 열매체가 흐르는 제2유로(7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710)는, 상측공간부(620)의 상부를 이루며, 상측공간부(620)의 상부에서 제1유로(710)가 지그재그 구조의 유로를 이루도록 내부공간에 복수의 격판(711)들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유로(710)는, 상측공간부(620)의 천정을 구성하며 일측에 유입구(712)가 형성되는 박스형 구조를 가지며, 박스형 구조 내에서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의 격판(711)들이 서로 엇갈려 설치됨으로써, 상측공간부(620)의 상부에서 제1유로(710)가 지그재그 구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유로(720)는, 상측공간부(620)의 상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1유로(710)의 타단에서 제1유로(710)로부터 열매체를 전달받는 제1측면유로(721) 및 제2측면유로(7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유로(721) 및 제2측면유로(722)는, 상측공간부(620)의 상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1유로(710)의 타단에서 제1유로(710)로부터 열매체를 전달받는 구조로서, 박스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유로(721) 및 제2측면유로(722)는,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단에서 제1유로(710)로부터 열매체를 공급받고 타단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면유로(721) 및 제2측면유로(722)는 일단에 상기 열매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배출구(721a) 및 제2배출구(722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유로(710)를 지나는 스팀 및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열매체는, 본체부(100) 내에서 피건조물의 이동방향으로 흘러 액상의 열매체로 변환되어 제2유로(720)로 전달되며 제2유로(720) 내에 채워진 상태에서 각각의 배출구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유로(710)를 통과한 열매체가 물로 응결되어 하측으로 낙하되어 제1측면유로(721) 및 제2측면유로(722)로 유입되고 제1측면유로(721) 및 제2측면유로(722)에 채워진 상태에서 추가로 열매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열매체는 각각의 배출구들(721a, 72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00)는,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스팀공급유로(210)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회전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팀공급유로(210)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관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공급유로(210)는, 일단에서 스팀이 유입되며 타단에서 스팀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팀공급유로(210)의 유입구는, 본체부(100) 내 피건조물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 쪽에, 스팀공급유로(210)의 배출구는, 피건조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유로(210)의 유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피건조물의 배출부(120) 및 유입구(110)에 각각 대응되어 설치된 경우 피건조물의 배출부(120) 쪽의 피건조물의 건조를 촉진시킴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유로(210)는, 후술하는 디스크부(300)를 거친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스팀배출유로(2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배출유로(220)는, 스팀공급유로(2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스팀공급유로(21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디스크부(300)를 거친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유로(210)는, 외주면에 회전부(2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나선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스팀홀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스팀홀은 스팀공급유로(210)의 내부를 지나는 고온의 스팀이 후술하는 디스크부(300)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유로(210)의 내부에는, 고온의 스팀이 스팀배출유로(210) 및 복수개의 디스크부(300)의 내부를 순환하며 냉각된 응축수들이 배출되도록 스팀공급유로(210) 및 스팀배출유로(220)를 연결하는 관통연결부(231)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연결부(231)는, 복수개의 디스크부(300)의 내부를 순환하며 냉각된 응축수들이 스팀배출유로(2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관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유로(210)를 거친 스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트랩(730)을 거쳐 스팀이 제거되고 응축수 만이 배출되도록 하며, 스팀트랩(730)을 거친 응축수의 저장버퍼(74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팀트랩(730) 및 저장버퍼(740)를 거친 응축수는, 스팀을 형성하는 보일러(미도시)로 보내져 스팀 형성을 위한 물로서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트랩(730) 및 저장버퍼(740)를 거친 응축수의 적어도 일부는, 상측가열부(700)로 전달되어 열매체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상측가열부(700)를 거친 응축수는, 스팀을 형성하는 보일러(미도시)로 보내져 스팀 형성을 위한 물로서 재활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400)는, 회전부(200)에 결합되어 회전부(20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전모터 등 회전구동부(400)를 회전구동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400)는, 회전모터와 직접 연결되는 대신 체인 등에 의하여 연결되어 회전부(200)를 회전구동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크부(300)들은, 스팀공급유로(210)로부터 전달된 스팀에 의하여 가열되며, 회전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회전부(2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크부(300)는, 스팀홀(233)을 통하여 스팀공급유로(21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가열됨으로써, 외부에서 접촉되는 피건조물을 가열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디스크부(300)는, 회전축방향으로의 수직단면의 형상이 회전중심으로부터 끝단으로 가면서 그 폭이 감소하는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부(300)는, 스팀홀(233)을 통하여 스팀공급유로(21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가열공간을 거친 스팀은, 스팀배출유로(220)와 연통됨으로써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상기 디스크부(300)는, 스팀홀(233)을 통하여 스팀공급유로(210)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스팀으로 인해 가열되는 가열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판(310)이 회전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끝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310)은, 회전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원주방향을 가로질러 구획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디스크부(300)와 피건조물과의 열교환에 의하여 응결되는 응축수를 관통연결부(231)로 유도한다.
즉, 상기 구획판(310)은, 관통연결부(231)에 인접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피건조물이 배출부(120) 쪽으로 가면서 아래쪽으로만 채워지게 되어 회전되는 디스크부(300)와의 상대적 접촉시간이 감소되어 피건조물의 가열 및 건조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피건조물의 가열 및 건조효과의 감소는, 투입에너지, 즉 투입 전력량에 비하여 피건조물의 건조량이 감소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피건조물의 처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복수의 디스크부(300)들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회전부(20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회전부(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피건조물이 상측으로 밀어 올려질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밀어올림부(81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어올림부(810)는, 복수의 디스크부(300)들 중 적어도 일부 및 회전부(20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회전부(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피건조물이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밀어올림부(8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부(300)의 외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20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부재 및 복수개의 디스크부(300)들 사이에서 회전부(20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회전부(200)의 회전축과 경사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회전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회전부(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각도차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끝단에는, 공급부로부터 배출부로 피건조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법선이 회전부(200)의 회전축과 경사를 이루는 가압면을 가지는 가압부재(820)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820)는, 공급부(110)로부터 배출부(120)로 피건조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법선이 회전부(200)의 회전축과 경사를 이루는 가압면을 가지는 부재로서, 디스크부(300)의 회전시 피건조물을 회전부(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밀어 공급부(110)로부터 배출부(120)로 피건조물이 이동되록 한다.
상기 가압부재(820)는, 플레이트부재의 끝단 이외에 디스크부(300)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하나 이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어올림부(810)는, 피건조물의 건조상태에 따라서 그 설치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부(110) 부근에서의 피건조물은, 수분 상태에 따라서 도 2의 일점쇄선 형태로 차있게 되는바, 밀어올림부(810)는, 건조가 어느 정도 이뤄진 상태, 즉 배출부(120)로부터 공급부(110) 쪽으로 배출부(120) 쪽에 일부에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만일, 수분이 많은 공급부(110) 쪽에 설치된 경우 디스크부(300)의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으로 작용하여 회전구동부(400)의 부하, 즉 투입에너지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밀어올림부(810)는, 본체부(100)의 길이를 기준으로, 본체부(100)의 배출부(120)로부터 본체부(100)의 길이의 1/3까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디스크부(300)들 중 적어도 일부 및 회전부(20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어올림부(810)가 설치된 경우, 회전부(200)의 회전에 의하여 디스크(300)가 함께 회전되며, 디스크(300)의 회전시 밀어올림부(810)가 함께 회전됨으로써, 피건조물을 상측으로 밀어올려 디스크(300)와의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회전되는 디스크와 피건조물의 접촉시간을 최대화하여 피건조물의 가열 및 건조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본체부 200: 회전부
300: 디스크부 400: 회전구동부
620: 상측공간부 700: 상측가열부

Claims (7)

  1. 내부에 피건조물 건조공간을 형성하며, 피건조물이 공급되는 공급부(110) 및 상기 건조공간에서 건조된 상기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를 가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스팀공급유로(210)가 형성된 회전부(200)와;
    상기 스팀공급유로(210)로부터 전달된 스팀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회전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회전부(2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디스크부(300)들과;
    상기 회전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20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복수의 디스크부(300)들의 상측으로 피건조물로부터 수증기가 증발되는 증발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에 피건조물로부터 증발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가스배출부(630)가 설치되는 상측공간부(620)를 가지며,
    상기 상측공간부(620)는, 스팀 및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열매체가 흘러 가열되는 상측가열부(700)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피건조물로부터 상기 증발공간으로 증발되는 수증기가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공간부(620)를 가열하며,
    상기 스팀공급유로(210)는, 본체부(100) 내 피건조물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 쪽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피건조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0) 쪽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상기 상측공간부(6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열매체가 흐르는 제1유로(710)와;
    상기 제1유로(7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유로(710)를 거친 열매체가 흐르는 제2유로(7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710)는 상기 상측공간부(620)의 상부를 이루며,
    상기 상측공간부(620)의 상부에서 상기 제1유로(710)가 지그재그 구조의 유로를 이루도록 내부공간에 복수의 격판(711)들이 설치되며,
    상기 제2유로(720)는, 상기 상측공간부(620)의 상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710)의 타단에서 상기 제1유로(710)로부터 열매체를 전달받는 제1측면유로(721) 및 제2측면유로(7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710)를 통과한 열매체가 물로 응결되어 하측으로 낙하되어 상기 제1측면유로(721) 및 상기 제2측면유로(722)로 유입되고 상기 제1측면유로(721) 및 상기 제2측면유로(722)에 채워진 상태에서 추가로 열매체가 유입되는 경우 열매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들(721a, 722a)이 상기 제1측면유로(721) 및 상기 제2측면유로(722) 각각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상기 스팀공급유로(210)과 동일한 스팀공급원 또는 별도의 스팀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열매체로서 스팀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측가열부(700)는,
    스팀이 상기 스팀공급유로(210)를 거친 수증기 및 물 중 적어도 하나를 열매체로서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060551A 2015-04-29 2015-04-29 건조장치 KR10159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551A KR101598504B1 (ko) 2015-04-29 2015-04-29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551A KR101598504B1 (ko) 2015-04-29 2015-04-29 건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786A Division KR20160128884A (ko) 2015-11-03 2015-11-03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504B1 true KR101598504B1 (ko) 2016-02-29

Family

ID=5544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551A KR101598504B1 (ko) 2015-04-29 2015-04-29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290B1 (ko) 2019-05-02 2020-01-08 김성표 유량 조절용 마모방지와 디스크 보강형 건조기
KR102261359B1 (ko) 2020-05-14 2021-06-07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디스크 건조기의 디스크 어셈블리
KR102573350B1 (ko) 2022-03-28 2023-08-30 이순걸 디스크 건조기의 디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2470A (ja) * 2002-01-28 2003-08-08 Sumitomo Chem Co Ltd 乾燥機の温度制御装置、これを備える乾燥機および被乾燥材料の乾燥方法
JP2005074277A (ja) * 2003-08-29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ごみ処理装置の熱交換器
KR20060099269A (ko) * 2005-03-11 2006-09-19 임경수 쓰레기 건조 처리장치의 디스크 구조
JP2011137613A (ja) * 2009-12-28 2011-07-14 Kenki Kk 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2470A (ja) * 2002-01-28 2003-08-08 Sumitomo Chem Co Ltd 乾燥機の温度制御装置、これを備える乾燥機および被乾燥材料の乾燥方法
JP2005074277A (ja) * 2003-08-29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ごみ処理装置の熱交換器
KR20060099269A (ko) * 2005-03-11 2006-09-19 임경수 쓰레기 건조 처리장치의 디스크 구조
JP2011137613A (ja) * 2009-12-28 2011-07-14 Kenki Kk 乾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290B1 (ko) 2019-05-02 2020-01-08 김성표 유량 조절용 마모방지와 디스크 보강형 건조기
KR102261359B1 (ko) 2020-05-14 2021-06-07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디스크 건조기의 디스크 어셈블리
KR102573350B1 (ko) 2022-03-28 2023-08-30 이순걸 디스크 건조기의 디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505B1 (ko) 건조장치
US10782067B2 (en) Mechanical vapor recompression apparatus
KR101598504B1 (ko) 건조장치
KR102234109B1 (ko)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TW201211481A (en) Indirectly heated rotary dryer
CN214388913U (zh) 一种带链式刮板卧式薄层干燥器
JP2014029250A (ja) ディスク型乾燥装置
CN105300063A (zh) 一种喷雾冻干设备用加热干燥装置及方法
KR20160128884A (ko) 건조장치
KR100987573B1 (ko) 스팀 유출이 없는 디스크 건조기
KR100955262B1 (ko) 슬러지 예열기능을 구비한 슬러지 공급장치
KR20120035540A (ko) 응축수 배출이 가능한 디스크 건조기
CN108486946B (zh) 整体式热汽烘缸及其应用于余热利用的系统
KR20110044700A (ko) 오니 처리 장치
KR20210015352A (ko)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20090108462A (ko) 디스크 건조기
JP2021521406A (ja) 乾燥装置、ロータリーバルブ、および乾燥方法
TWM582419U (zh) Double-shell super-gravity vaporization device
EP1236015B1 (en) Batch sludge dehydrator
CN105318683B (zh) 单锥热管式螺旋干燥器
CN210399825U (zh) 一种盘式干燥装置
CN108691233B (zh) 装配式热汽烘缸
JP4371570B2 (ja) 乾燥機の熱交換装置
JPH1123152A (ja) 遠心薄膜乾燥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汚泥処理方法
CN106940122A (zh) 连续性热管滚筒真空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