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453B1 -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 - Google Patents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453B1
KR101598453B1 KR1020140040144A KR20140040144A KR101598453B1 KR 101598453 B1 KR101598453 B1 KR 101598453B1 KR 1020140040144 A KR1020140040144 A KR 1020140040144A KR 20140040144 A KR20140040144 A KR 20140040144A KR 101598453 B1 KR101598453 B1 KR 10159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wall
positioning bracket
inner flang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034A (ko
Inventor
홍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하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하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하임
Priority to KR102014004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453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가 시공될 예정인 천장면과 인접하여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벽체에 대한 관통설치를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개구를 가진 슬리브; 및 슬리브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외측 플랜지 및 내측 플랜지를 가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용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호 대향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고,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의 제1단부의 외경은 제2단부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테이퍼면에는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며,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는 상기 슬리브의 테이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는 슬리브의 테이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의 외측단은 슬리브의 제1단부에서 제2단부을 향해 직선 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결정용 브래킷의 외측 플랜지는 상기 슬리브에 대해 수직상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부 평탄면을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용 브래킷의 내측 플랜지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측 플랜지의 내경면에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WALL PENETRATION DUCT CONNECTOR}
본 발명은 벽체를 관통하여 덕트들을 접속시킬 때 이용되는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가 시공될 예정인 천장면과 인접하여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벽체에 대한 관통설치를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덕트는 유체가 흐르는 통로 및 구조물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사무실 등과 같은 건물에 설치되며, 주로 실내공기의 환기, 전열교환기(또는 공기조화기)의 급기 및 배기 등을 구현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덕트는 그 형상 및 길이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고, 환기 및 급배기 등을 위한 공기통로를 구축하기 위하여 복수의 덕트는 접속구를 통해 기밀하게 밀봉된 상태로 소통되게 연결된다.
한편, 이러한 덕트는 천장 슬리브에 지지대 등을 매개로 설치되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벽체를 관통하여 덕트와 덕트를 접속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벽체를 관통하여 덕트와 덕트를 접속시킬 경우에는 벽체관통형 슬리브를 벽체의 시공 시에 함께 설치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 슬리브(4)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원통형 슬리브(4)는 주로 함석이나 철판을 현장에서 말아서 가공하며, 원통형의 슬리브(4)가 지지대(5)에 의해 천장면(2)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 주변에 벽체(1)를 시공함으로써 원통형 슬리브(4)를 벽체(1)에 관통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벽체는 시멘트벽돌(또는 시멘트블록) 등에 의한 조적식 벽체 또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콘크리트 벽체 등으로 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는 지지대(5)만을 이용하여 천장면(2)에 지지시킴에 따라 슬리브(4)의 상단과 천장면(2) 사이의 이격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 덕트들을 슬리브(4)의 개구에 접속하기 극히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는 지지대(5)만을 이용하여 천장 측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시멘트벽돌 또는 시멘트블록 등에 의한 조적식 벽체를 시공할 경우에 벽체(1) 내에 매립되는 슬리브(4)의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어렵고, 이로 인해 벽체 및 벽체 내에 슬리브(4)를 관통시키는 구조를 정밀하게 시공하기 매우 어려울 뿐만아니라 그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는 함석이나 철판 등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원통형 슬리브(4)를 가공함에 따라 외경, 길이, 양단부의 개구 형상 등과 같은 치수 및 구조 등에 대한 규격화가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로 인해 벽체의 사이즈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양단 개구에 접속하고자 하는 덕트들을 밀봉적으로 접속시키기 어려워 그 시공품질이 극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 내지는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벽체가 시공될 예정인 천장면에 인접하여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벽체에 대한 관통설치를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및 위치결정용 브래킷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사출성형된 구조를 통해 제품의 규격화를 구현하여 벽체의 사이즈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시공될 수 있고, 이에 그 시공품질을 높일 수 있는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개구를 가진 슬리브; 및 슬리브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외측 플랜지 및 내측 플랜지를 가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용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호 대향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고,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의 제1단부의 외경은 제2단부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테이퍼면에는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며,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는 상기 슬리브의 테이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는 슬리브의 테이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의 외측단은 슬리브의 제1단부에서 제2단부을 향해 직선 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결정용 브래킷의 외측 플랜지는 상기 슬리브에 대해 수직상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부 평탄면을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용 브래킷의 내측 플랜지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측 플랜지의 내경면에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외측 플랜지는 상기 상부 평탄면의 하부에서 슬리브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하부 평탄면과, 상기 상부 평탄면의 좌우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좌측 평탄면 및 우측 평탄면을 가진 4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는 합성수지 재질이 사출성형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의 일단에 단일의 위치결정용 브래킷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결정용 브래킷은 슬리브의 외주면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2개 이상의 위치결정용 브래킷이 마련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위치결정용 브래킷은 상기 슬리브의 일단에 위치한 제1위치결정용 브래킷과,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1개 이상의 제2위치결정용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플랜지는 상호 대향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고, 상기 위치결정용 브래킷의 내측 플랜지의 내경면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 플랜지의 제1단부의 내경은 제2단부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내측 플랜지의 테이퍼면에는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가 내경방향으로 돌출하며,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는 상기 내측 플랜지의 테이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는 상기 내측 플랜지의 테이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의 외측단은 상기 내측 플랜지의 제1단부에서 제2단부을 향해 직선 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리브의 외주면에 마련된 위치결정용 브래킷에 의해 벽체가 시공될 예정인 천장면과 인접하여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고, 이에 벽체에 대한 관통 설치를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므로 그 시공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및 위치결정용 브래킷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사출성형된 구조를 통해 제품의 규격화를 구현하여 벽체의 사이즈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시공될 수 있고, 이에 그 시공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슬리브 또는 내측 플랜지의 테이퍼면에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위치결정용 브래킷이 슬리브의 외주면 상에서 일정위치로 이동하더라도 위치결정용 브래킷의 내측 플랜지와 슬리브 상호간의 동심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내측 플랜지와 슬리브 사이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위치결정용 브래킷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위치결정용 브래킷 및 슬리브의 위치결정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가 벽체에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벽체관통형 접속구(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슬리브(11)와, 슬리브(11)의 외주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을 포함한다.
슬리브(11)는 그 내부에 중공부(11c)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슬리브(11)는 상호 대향하는 양단(12a, 12b)을 가지며, 각 단부(12a, 12b)에는 상호 대향하게 위치한 개구(11a, 11b)가 각각 형성된다. 이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슬리브(11)의 양단(12a, 12b)을 '제1단부(12a)' 및 '제2단부(12b)'로 지칭하며, 제1단부(12a)에 형성된 개구는 '제1개구(11a)'로 지칭하고, 제2단부(12b)에 형성된 개구는 '제2개구(11b)'로 지칭한다.
그리고, 슬리브(11)의 제2단부(12b)에는 덕트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끼움관체부(14)가 외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리브(11)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합성수지 재질이 사출성형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형상 및 사이즈 등의 규격화를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규격화된 슬리브(11)는 벽체(1)의 사이즈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으므로, 슬리브(11)의 제1 및 제2 개구(11a, 11b)를 제외한 외주면을 벽체(1) 내에 완전히 매립되게 함으로써 슬리브(11)의 제1 및 제2 개구(11a, 11b)가 벽체(1)의 외측을 향해 깔끔하게 개방된다. 이에, 도 4와 같이 슬리브(11)의 각 개구(11a, 11b)에는 서로 소통시키고자 하는 2개의 덕트(5, 6)가 개별적으로 밀봉 접속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슬리브(11)의 제1단부(12a)에 인접한 제1개구(11a)에는 연결소켓(7)을 매개로 제1덕트(50)가 접속되고, 슬리브(12)의 제2단부(12b)에 인접한 제2개구(11b)에는 끼움관체부(14)를 매개로 제2덕트(60)가 접속된다.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은 슬리브(11)의 외주면 일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외측에는 복수의 평탄면(16a, 16b, 16c, 16d)을 가진 외측 플랜지(16)가 형성되고,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내측 플랜지(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위치결정용 브래킷(15) 또한 합성수지 재질이 사출성형됨으로써 그 형상 및 사이즈 등의 규격화를 정밀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외측 플랜지(16)는 슬리브(11)에 대해 수직상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부 평탄면(16a)을 가진다. 이에,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은 외측 플랜지(16)의 상부 평탄면(16a)에 의해 벽체(1)의 천장면(2)에 인접한 상부에 정확하게 그 위치를 결정됨과 더불어 슬리브(11)는 천장면(2)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정확하게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플랜지(16)는 상부 평탄면(16a)의 하부에서 슬리브(11)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하부 평탄면(16b)과, 상부 평탄면(16a)의 좌우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좌측 평탄면(16c) 및 우측 평탄면(16d)을 가진 4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벽체관통형 접속구(10)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벽체(1)가 시공될 예정인 위치에 대응하는 천장면(2)에 위치결정용 브래킷(15)를 부착한다. 이때, 외측 플랜지(16)의 상부 평탄면(16a)을 평탄한 천장면(2)에 접촉시키면 외측 플랜지(16)의 상부 평탄면(16a)이 평탄한 천장면(2)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플랜지(16)의 상부 평탄면(16a)이 천장면(2)에 밀착됨에 의해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은 외측 플랜지(16)의 상부 평탄면(16a)에 의해 벽체(1)의 천장면(2)에 인접한 상부에 정확하게 그 위치를 결정됨과 더불어 슬리브(11)는 천장면(2)에 대해 특정간격을 두고 적절히 이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벽체관통형 접속구(10)의 설치 위치가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측 플랜지(16)의 하부 평탄면(16b), 좌측 평탄면(16c), 우측 평탄면(16d)에 의해 벽체관통형 접속구(10)는 벽체(1) 내에 매우 견고하고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와 같이 벽체(1)가 복수의 벽돌 또는 블록(1a) 등에 의해 시공되는 조적식 벽체인 경우에 벽돌 또는 블록(1a) 등이 외측 플랜지(16)의 하부 평탄면(16b), 좌측 평탄면(16c), 우측 평탄면(16d)에 기밀하게 밀착됨으로써 벽체관통형 접속구(10)는 벽체(1) 내에 보다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벽체관통형 접속구(10)의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주변에 복수의 벽돌 또는 블록(1a)이 시공된 이후에는 벽체관통공 접속구(10)의 주변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콘크리트층(3)을 형성함으로써 벽체관통형 접속구(10)를 벽체(1)에 관통시킨 구조를 구축한다.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용 브래킷(15)에 의해 슬리브(11)가 천장면(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그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된 후에는 "U"형 클램프 등과 같은 지지대(5)를 통해 천장면(2)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내측 플랜지(17)는 중공형 원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측 플랜지(17)의 내경면에는 슬리브(11)의 외주면이 끼워진다.
그리고,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외측 플랜지(16)와 내측 플랜지(17) 사이에는 연결부(18)가 마련되며, 외측플랜지(16)의 내측면과 내측 플랜지(17)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보강리브(19a, 1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이 벽체(1)의 시공 시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매립될 때, 보강리브(19)들에 의해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은 콘크리트층(3) 내에 보다 견고한 접착력으로 매립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도 5와 같이 슬리브(11)의 외주면에 단일의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이 설치되고, 이러한 단일의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은 슬리브(11)의 제1단부(12a)에만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단일의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이 슬리브(11)의 제1단부(12a)에만 위치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벽체(1)의 시공 기준이 될 수 있으므로, 벽체(1)의 시공작업과 더불어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10)의 설치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은 도 6과 같이 슬리브(11)의 외주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변경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단일의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이 슬리브(11)의 외주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그 위치가 변경가능한 구조를 적용하고, 이에 따라 벽체(1)의 사이즈(폭 또는 길이)가 설계치와 미세한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이동에 의해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10)를 벽체(1) 내에 적절히 매립될 수 있도록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10)의 위치 조절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1)의 외주면에는 테이퍼면(12c)이 형성되고, 슬리브(11)의 테이퍼면(12c)에는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13)가 외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슬리브(11)의 외경은 테이퍼면(12c)에 의해 제1단부(12a)에서 제2단부(12b)로 갈수록 점차 감소한다. 즉,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리브(11)의 제1단부(12a)의 외경(OD1)이 슬리브(11)의 제2단부(12b)의 외경(OD2) 보다 크게 형성된다(OD1>OD2).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13)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1)의 테이퍼면(12c)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13)는 슬리브(11)의 테이퍼면(12c)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13)의 외측단(13a)은 슬리브(11)의 제1단부(12a)에서 제2단부(12b)을 향해 직선(수평방향) 상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도 2,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1)의 일측 외주면에서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13)의 외측단(13a)들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한 가상원(VO)의 직경(OD3)은 슬리브(11)의 제1단부(12a)의 외경(OD1)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OD3 = OD1).
그리고, 동심도 유지용 돌기(13)의 외측단(13a)들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한 가상원(V0)의 직경(OD3)은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슬리브(11)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동심도 유지용 돌기(13)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삼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동심도 유지용 돌기(13)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슬리브(11)의 테이퍼면(11c)에 의해 슬리브(11)의 제1단부(12a)에서 제2단부(12b)을 향해 갈수록 그 삼각형 단면의 면적이 하부를 향해 점차 넓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동심도 유지용 돌기(13)의 구성에 의해,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내측 플랜지(17)의 내경면은 슬리브(11)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13)의 외측단(13a)들과만 접촉한다.
이에, 도 6과 같이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이 슬리브(11)의 외주면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위치로 위치변경하고자 이동시킬 때(도 6의 화살표 및 점선 참조),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내측 플랜지(17)의 중심과 슬리브(11)의 중심은 동심도 유지용 돌기(13)에 의해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고, 내측 플랜지(17)의 내경면이 동심도 유지용 돌기(13)의 외측단(13a)에만 접촉하여 이동함에 따라 내측 플랜지(17)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은 슬리브(11)의 외주면에서 그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이 슬리브(11)의 제1단부(12a)과 제2단부(12b) 사이의 일정위치로 위치변경이 되더라도 동심도 유지용 돌기(13)에 의해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내측 플랜지(17)와 슬리브(11) 상호간의 동심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에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내측 플랜지(17)가 슬리브(11)의 일측 외주면에서 유동하지 않아 위치결정용 브래킷(15) 및 슬리브(11)의 위치결정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내측 플랜지(17)의 내경은 슬리브(11)의 제1단부(12a)의 외경(OD1)과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이 슬리브(11)의 제1단부(12a)에 위치할 때,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위치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끼움관체부(14)의 외경(OD4)은 슬리브(11)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특히 끼움관체부(14)의 외경(OD4)는 슬리브(11)의 제2단부(12b)의 외경(OD2) 보다 작게 형성된다(OD4<OD2).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11)의 외주면에 2개 이상의 위치결정용 브래킷(15a, 15b)이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위치결정용 브래킷(15a, 15b)은 슬리브(11)의 제1단부(12a)에 위치한 제1위치결정용 브래킷(15a)과, 슬리브(11)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1개 이상의 제2위치결정용 브래킷(15b)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위치결정용 브래킷(15a, 15b)을 적용함으로써 벽체관통형 접속구(10)는 벽체(1)가 시공 예정인 천장면(2)에 보다 안정되고 신속하게 위치결정된 이후에 벽체(1)를 시공할 수 있으므로, 벽체(1)의 시공 및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10)의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2개의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이 슬리브(11)의 외주면에 마련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지만, 3개 이상의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이 슬리브(11)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10)를 도시한 도면으로, 슬리브(11)는 제1단부(12a)에서 제2단부(12b)에 걸쳐 전체적으로 그 외경(0D)이 동일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내측 플랜지(17)의 내경면에는 테이퍼면(17c)이 형성되며, 내측 플랜지(17)의 테이퍼면(17c)에는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23)가 내경방향으로 돌출한다.
특히, 내측 플랜지(17)의 테이퍼면(17c)은 그 내경이 제1단부(17a)에서 제2단부(17b)로 갈수록 점차 증가한다. 즉,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측 플랜지(17)의 제1단부(17a)의 내경(ID1)은 제2단부(17b)의 내경(ID2) 보다 작게 형성된다(ID1<ID2).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2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플랜지(17)의 테이퍼면(17c)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23)는 내측 플랜지(7)의 테이퍼면(17c)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23)의 외측단(23a)은 내측 플랜지(17)의 제1단부(17a)에서 제2단부(17b)을 향해 직선(수평방향) 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동심도 유지용 돌기(23)의 외측단(23a)은 선행하는 실시예들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13)와 유사하게, 내측플랜지(17)의 슬리브(11)의 일측 외주면에서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23)의 외측단(13a)들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한 가상원의 직경은 내측 플랜지(17)의 제1단부(17a)의 내경(ID1)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심도 유지용 돌기(23)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동심도 유지용 돌기(13)와 그 형성위치가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내측 플랜지(17)인 것으로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23)가 내측 플랜지(17)에 적용됨으로써,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내측 플랜지(17)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23)는 슬리브(11)의 외주면과 접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내측 플랜지(17)는 슬리브(11)의 제1단부(12a)에서 그 위치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고,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내측 플랜지(17)의 테이퍼면(17c) 및 동심도 유지용 돌기(23)에 의해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은 그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슬리브(11)의 외주면 상에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슬리브(11)의 일측 외주면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으므로 위치결정용 브래킷(15)의 내측 플랜지(17)와 슬리브(11)들 상호간의 동심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은 선행하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유사 내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 벽체 2: 천장면 10: 벽체관통형 접속구
11: 슬리브 11a: 제1개구 11b: 제2개구
12a: 제1단부 12b: 제2단부 12c: 테이퍼면
13,23: 동심도 유지용 돌기 13a, 23a: 외측단
14: 끼움관체부 15: 위치결정용 브래킷
16: 외측 플랜지 16a: 상부 평탄면
16b: 하부 평탄면 16c: 좌측 평탄면
16d: 우측 평탄면 17: 내측 플랜지
18: 연결부

Claims (7)

  1.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개구를 가진 슬리브; 및
    슬리브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외측 플랜지 및 내측 플랜지를 가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용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호 대향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고,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의 제1단부의 외경은 제2단부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테이퍼면에는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며,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는 상기 슬리브의 테이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는 슬리브의 테이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의 외측단은 슬리브의 제1단부에서 제2단부을 향해 직선 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결정용 브래킷의 외측 플랜지는 상기 슬리브에 대해 수직상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부 평탄면을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용 브래킷의 내측 플랜지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측 플랜지의 내경면에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는 상기 상부 평탄면의 하부에서 슬리브에 대해 수직하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하부 평탄면과, 상기 상부 평탄면의 좌우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좌측 평탄면 및 우측 평탄면을 가진 4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일단에 단일의 위치결정용 브래킷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용 브래킷은 슬리브의 외주면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2개 이상의 위치결정용 브래킷이 마련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위치결정용 브래킷은 상기 슬리브의 일단에 위치한 제1위치결정용 브래킷과,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변경가능하게 설치되는 1개 이상의 제2위치결정용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는 상호 대향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고, 상기 위치결정용 브래킷의 내측 플랜지의 내경면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 플랜지의 제1단부의 내경은 제2단부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 플랜지의 테이퍼면에는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가 내경방향으로 돌출하며,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는 상기 내측 플랜지의 테이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동심도 유지용 돌기는 상기 내측 플랜지의 테이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각 동심도 유지용 돌기의 외측단은 상기 내측 플랜지의 제1단부에서 제2단부을 향해 직선 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
KR1020140040144A 2014-04-03 2014-04-03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 KR101598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144A KR101598453B1 (ko) 2014-04-03 2014-04-03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144A KR101598453B1 (ko) 2014-04-03 2014-04-03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34A KR20150116034A (ko) 2015-10-15
KR101598453B1 true KR101598453B1 (ko) 2016-03-02

Family

ID=5435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144A KR101598453B1 (ko) 2014-04-03 2014-04-03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277B1 (ko) 2020-08-19 2020-11-16 주식회사 디에이치이엔지 벽체 관통형 덕트 연결 구조
KR20220166939A (ko) * 2021-06-11 2022-12-20 (주)에이치에스 유격방지 팽창형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21B1 (ko) * 2016-01-19 2016-12-27 주식회사 메이크순 슬리브형 배관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474B2 (ja) * 1994-08-17 2000-06-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キャニスタの配置構造
JP3105751B2 (ja) 1994-11-28 2000-11-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ュー式冷却器
KR200360240Y1 (ko) 2004-05-29 2004-08-26 (주)문화종합설비 벽체에 매립되어 가스관을 보호하는 슬리브.
KR200457795Y1 (ko) 2010-06-23 2012-01-03 김오동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474A (ja) * 1989-07-26 1991-03-12 Copal Electron Co Ltd パチンコ遊技機のハンドルロック制御装置
JPH03105751A (ja) * 1989-09-20 1991-05-02 Fujitsu General Ltd Vt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474B2 (ja) * 1994-08-17 2000-06-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キャニスタの配置構造
JP3105751B2 (ja) 1994-11-28 2000-11-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ュー式冷却器
KR200360240Y1 (ko) 2004-05-29 2004-08-26 (주)문화종합설비 벽체에 매립되어 가스관을 보호하는 슬리브.
KR200457795Y1 (ko) 2010-06-23 2012-01-03 김오동 입상관 층막음 고정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277B1 (ko) 2020-08-19 2020-11-16 주식회사 디에이치이엔지 벽체 관통형 덕트 연결 구조
KR20220166939A (ko) * 2021-06-11 2022-12-20 (주)에이치에스 유격방지 팽창형 슬리브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574038B1 (ko) * 2021-06-11 2023-09-04 (주)에이치에스 팽창형 슬리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34A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453B1 (ko) 벽체관통형 덕트접속구
US10544884B2 (en) Sealing system for an annular space
US9879804B2 (en) Duct coupler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0473891Y1 (ko) 배관 고정구
KR100912278B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대
KR102190167B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JP5944779B2 (ja) 配管スリーブ
KR20120005460U (ko)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KR200476017Y1 (ko) 배관 삽입용 관로 형성 부재
KR101471451B1 (ko) 건물 슬라브 설치용 덕트 연결 슬리브
KR101842398B1 (ko) 패킹을 포함하는 덕트 커넥터
KR100832722B1 (ko) 건물용 환기 덕트 슬리이브
US10473253B2 (en) Bell end adapter arrangement
KR20030045727A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101399294B1 (ko) 건물 벽체용 슬리브
KR100752268B1 (ko) 맨홀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구조체
CN203927144U (zh) 空调室内机的接水盘连接组件和空调
KR101521172B1 (ko) 공동주택의 배기덕트 고정구조
JP2011190677A (ja) スリップフォーム成形のための装置
KR20100131219A (ko)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KR101792108B1 (ko) 삼방향 배관연결구 제작방법
CN104242163A (zh) 一种电缆管、敷设方法及其专用敷设工具
AU2018352297B2 (en) Fire stop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uch system
CN201851819U (zh) 接头结构、通风臂和通风系统
KR20140122061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속관 연결용 맨홀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