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042B1 - 탈부착형 반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반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042B1
KR101598042B1 KR1020140191575A KR20140191575A KR101598042B1 KR 101598042 B1 KR101598042 B1 KR 101598042B1 KR 1020140191575 A KR1020140191575 A KR 1020140191575A KR 20140191575 A KR20140191575 A KR 20140191575A KR 101598042 B1 KR101598042 B1 KR 101598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reversing
shielding
guide
shie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재
황상인
Original Assignee
한국라이텍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라이텍개발(주) filed Critical 한국라이텍개발(주)
Priority to KR102014019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being turned inside 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Abstract

본 발명은 함침튜브가 내장되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50)와, 상기 몸체부(30)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관(5)에 의해 연결되는 반전박스입구(34)와, 상기 반전박스입구(34)의 후면에 설치되는 차단장치(4)와, 몸체부 후면에 설치된 배출구(35)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0)는 함침튜브가 내장되는 공간부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 전면일측에 설치된 압축공기연결구(31) 및 보일러연결구(32)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안내롤러(33)로 구성되고,
상기 차단장치(4)는 차단장치테두리(4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와, 상기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의 하부에 설치되며 차단판(44)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43-1)가 구비된 차단판지지대(43)과, 상기 안내가이드(43-1)에 설치되어 안내되는 차단판안내돌기(44-1)가 구비된 차단판(44)과, 차단판와이어(42)는 일측이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차단판(44)의 하부에 고정되는 차단판와이어(42)와, 상기 차단판(44)의 최하부에 설치된 탄성체(45)로 구성된 탈부착형 반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부착형 반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The method of trenchless for water-pipe and sewer using inversion device with or without inversion-box}
본 발명은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가능한 반전장치에 반전박스를 현장여건에 따라 탈부착 하여 함침튜브를 반전하게 함으로써 시공의 효율성 및 연속성을 높일 수 있는 탈부착형 반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등으로 인해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보수 공사의 경우, 굴착 공사의 어려움을 해결 가능한 비굴착공법 중 보강 튜브 경화 공법은 폴리머 코팅 부직포에 수지를 함침시켜 제작된 튜브를 고온의 공기 또는 온수 등을 이용하여 열경화 시키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함침튜브를 이용한 비굴착식 배관 보수방법은 견인방법과 반전방법과 그 변형된 방법이 있다. 그 중 반전방법은 강한 압력을 불어넣어 함침튜브를 뒤집으면서 배관의 끝부분까지 함침튜브 내부를 통해 이송되는 방법이므로 배관 내부의 잔류수를 제거하고 연결관 및 탈리된 배관의 이음부, 파손부위 들을 통해서 침입되는 침입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시공할 수 있는 현장적용성이 뛰어난 방법이다.
그러나, 반전방법의 경우 함침튜브를 적재하는 반전탱크의 용량의 제한으로 인하여 1회 시공가능한 연장이 제한을 받게 되고 대형의 반전장치로 인하여 협소한 지역에서는 시공이 어려우며 차도와 비교적 멀리 떨어진 지점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타워의 길이가 늘어나 자재의 손실 및 폐자재가 다량 발생하게 되며, 시공시 튜브의 봉재부분이 터져 시공불가 및 하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46684호에는 매설된 관로에 튜브가 삽입 및 팽창되어 관로가 보수되도록 이루어진 관로 보수장치에 있어서, 발전기, 발전기와 연결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고압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공기압축기를 포함한 운반차량; 및 운반차량에 의해 장거리 견인을 위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단거리 이동용 자주식 튜브반전기;가 포함되고, 튜브반전기에는 카메라, 모니터, 신축안내관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운반차량이 진입하기 어려운 소로에 튜브반전기가 자체 운행으로 진입되고, 운행되는 튜브반전기의 전방 이동경로가 모니터에 활성화되어 운행 시야가 확보되며, 튜브의 진행방향이 신축이음관에 의해 안내되도록 한 소로 진입이 가능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421290000(2012.04.25)호에는 튜브드럼의 내부에 상호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 설치된 구동축 및 종동축이 체인에 의해 회전되어 튜브를 일정한 직선구간이 형성되도록 감는 튜브반전기가 포함된 관로 보수장치를 이용하여 관로를 보수함으로써, 튜브의 감긴 상태를 종래의 원형에서 적층형상으로 변경하여 튜브드럼에 장착되는 튜브의 길이를 최대로 늘릴 수 있어 한 번의 관로 보수작업시 보수할 수 있는 관로의 길이가 대폭 향상되도록 한 소로 진입이 가능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481350000(2012.05.15)호에는 반전케이싱(50)의 연결관(52)에 반전 연결된 보강튜브(40)의 길이를 확장하기 위해 상기 보강튜브(40)를 내/외부로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전케이싱(50)의 측부에 수평 결합되는 연통관(10);과, 상기 연통관(10)을 통해 반전케이싱(5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보강튜브(40)의 표면에 오일이 도포될 수 있도록 연통관(10)의 중앙영역에 하향 만곡되는 오일트랩(11);과, 상기 연통관(10)과 오일트랩(1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통관(10)의 양측과 오일트랩(11)의 중앙부위에 결합되는 지지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굴착 상하수관로 보수용 보강튜브 확장 연결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077380000(2012.01.12)호에는 내부에 반전용 튜브 라이너(1)가 수납되는 통구조이며 상기 반전용 튜브 라이너가 반전되면서 배출되는 반전홀을 갖는 관이음부(11)가 구비되고 지상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에 수납된 반전용 튜브 라이너를 반전시키는 반전부와; 상기 본체의 관이음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상기 반전용 튜브 라이너의 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반전용 튜브 라이너의 반전이 지중 배관(2)의 단부에서부터 이루어지도록 하는 튜브 고정관(20)과; 상기 튜브 고정관을 지중에 매설된 배관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새들(30)과; 상기 튜브 고정관과 상기 본체의 관이음부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되어 내부에 상기 반전용 튜브 라이너가 수용되도록 양단부가 상기 튜브 고정관과 상기 본체의 관이음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관 주변의 구조물을 회피하여 상기 반전용 튜브 라이너를 유도 및 보호하는 보호관(40)으로 구성된 배관 보수용 튜브 라이너의 근접 체결 반전 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576230000(2014.01.24)호에는 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부(111), 일단이 상기 연결부(111)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11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111)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연결봉(120a), 일단이 상기 연결부(111)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11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111)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2 연결봉(120b), 상기 제 1 연결봉(120a)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1 슬라이딩 부재(130a), 상기 제 2 연결봉(120b)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2 슬라이딩 부재(130b), 제 1 부분의 상면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130a)가 슬라이딩 되고 제 2 부분의 상면에서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130b)가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레일(135), 상기 제 1 슬라이딩 부재(130a)의 일면에 위치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펠트(10)를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롤러(140a), 상기 제 2 슬라이딩 부재(130b)의 일면에 위치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펠트(10)를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롤러(140b), 상기 슬라이딩 레일(135)의 제 1 부분의 하측에 위치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펠트(10)를 이동시키는 제 1 고정롤러(150a)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135)의 제 2 부분의 하측에 위치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펠트(10)를 이동시키는 제 2 고정롤러(150b)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레일(135)의 제 1 부분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135)의 일단에서부터 상기 슬라이딩 레일(135)의 중심까지의 영역이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135)의 제 2 부분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135)의 타단에서부터 상기 슬라이딩 레일(135)의 중심까지의 영역이며, 상기 펠트(10)는 회전되는 상기 제 2 고정롤러(150b), 상기 제 2 이동롤러(140b), 상기 제 1 이동롤러(140a) 및 상기 제 1 고정롤러(150a)를 통해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는 관로 보수용 펠트의 텐션 조절 장치를 갖춘 반전기가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46684호 2.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421290000(2012.04.25)호 3.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481350000(2012.05.15)호 4.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077380000(2012.01.12)호 5.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576230000(2014.01.24)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 가능한 반전장치에 반전박스를 현장여건에 따라 탈부착 하여 함침튜브를 반전하게 함으로써 시공의 효율성 및 연속성을 높일 수 있는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반전장치의 권치 용량을 초과하는 시공연장의 경우, 회전 가능한 반전장치 후단에 이동식 연결반전박스를 연결하여 시공할 함침튜브를 연장하여 적재하여 시공함으로써 1회 시공 가능한 연장을 증가시키고, 반전차량과 비교적 떨어져 있는 보수관의 시공시에도 회전 가능한 반전장치와 반전박스 사이에 연결관을 설치함으로써 타워의 연장으로 인한 시공의 어려움, 자재의 손실, 폐자재발생량을 줄일 수 있으며, 보다 협소한 공간(대형반전차량 진입불가)의 경우 연결반전박스 만의 진입으로 반전시공할 수 있는 탈부착형 반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반전장치를 회전하여 최단거리로 시공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반전장치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면서 반전탱크의 용량 제한으로 인한 1회 시공 가능길이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으며, 반전차량 진입가능 도로와 다소 떨어져 있는 보수관의 경우에도 긴 타워에 의한 시공의 어려움, 자재의 손실, 폐자재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뿐만아니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연결반전박스만을 진입시켜 반전시공할 수 있어 현장적용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반전장치 전체도
측면도(1A), 측단면상세도(1B)
도2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반전장치 사용상태도
단거리의 연결상태도(2A), 장거리의 연결상태도(2B)
도3 본 발명의 연결관 연결상태도
도4 및 도5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반전박스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반전박스 차단판 세부상세도
도7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반전박스 시공상태도
본 발명은 함침튜브가 내장되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50)와, 상기 몸체부(30)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관(5)에 의해 연결되는 반전박스입구(34)와, 상기 반전박스입구(34)의 후면에 설치되는 차단장치(4)와, 몸체부 후면에 설치된 배출구(35)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0)는 함침튜브가 내장되는 공간부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 전면일측에 설치된 압축공기연결구(31) 및 보일러연결구(32)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안내롤러(33)로 구성되고,
상기 차단장치(4)는 차단장치테두리(4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와, 상기 차단판와이어권취기(45)의 하부에 설치되며 차단판(44)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43-1)가 구비된 차단판지지대(43)과, 상기 안내가이드(43-1)에 설치되어 안내되는 차단판안내돌기(44-1)가 구비된 차단판(44)과, 차단판와이어(42)는 일측이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차단판(44)의 하부에 고정되는 차단판와이어(42)와, 상기 차단판(44)의 최하부에 설치된 탄성체(45)로 구성된 탈부착형 반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함침튜브는 회전반전장치(2)에 권취되고 연결관(50)을 경유하여 반전박스(3)에 내장되어 있다가, 시공시 .배출구(35)를 통해 배출되어 시공장소로 이동되어 시공 관거에 위치하여 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운반차량에는 발전기, 보일러 및 회전반전장치 등이 적재된다.
발전기는 보일러 및 회전반전장치의 가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기기이다.보일러는 발전기로부터 동력을 받아 가동되어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기기이다.
본 발명의 회전반전장치는 드럼에 권취된 튜브와 드럼을 구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며,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증기와, 공기압축기로부터 고압의 압축공기가 내부에 권취된 튜브로 공급시킨다.
본 발명의 반전박스(3)는 함침튜브가 내장되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50)와, 상기 몸체부(30)의 반전박스입구(34)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관(5)에 의해 연결되며 반전박스입구(34)의 후면에 설치된 차단장치(4)와, 몸체부 후면에 설치된 배출구(35)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0)의 상부 전면일측에 설치된 압축공기연결구(31) 및 보일러연결구(32)에 의해 공급되는 고온의 증기와, 공기압축기로부터 고압의 압축공기가 내부에 적재된 함침튜브로 공급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차단장치(4)는차단판와이어(42)는 차단장치테두리(4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와 차단판(44) 하부에 연결되어,
평소에는 차단된 상태로 있다가, 차단판와이어권취기(45)를 구동시키면, 차단판와이어(42)가 차단판(44)의 최하부에 연결된 차단판와이어(42)가 권취됨과 차단판(44)이 상승되고 이때, 차단판(44)의 차단판안내돌기(44-1)가 차단판지지대(43)의 안내가이드(43-1)를 따라 안내되어 상승되어 하부에 공간부가 나타내어 함침튜브의 이동경로를 확보시키도록 사용하는 구조인 것이다.
함침튜브의 반전이 완료되면 역순으로 작동시켜 차단장치를 개폐하는 방법인 것이다.
차단판(44)의 하부에 설치된 탄성체(45)는 함침튜브와 차단판(44)의 파손을 방지할 목적과 밀폐를 원활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함침튜브를 탑재한 냉동차가 시공현장에 도착한 다음, 권취형 회전반전장치(2)와 반전박스(3)를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도2A와 같이, 권취형 회전반전장치(반전차량)(2)에 포터블 반전박스(3)를 회전반전장치(2)의 출구와 반전박스(3)의 반전박스입구(34)를 볼트 및 너트로 연결하여 반전박스(3)를 결합시킨 다음,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를 작동시켜 차단판(44)의 최하단에 연결된 차단판와이어(42)의 권취됨에 따라 차단판(44)을 상승시키고,
함침튜브를 회전반전장치(2)의 권취기를 이용하여 반전박스(3)를 통해 회전반전장치(2)와 반전박스(3)에 설치한 다음,
컴퓨레샤를 이용하여 반전박스(3)의 압축공기연결구(31)에 연결시켜 압축공기를 반전박스(3)내에 주입시켜 회전반전장치(2)에 권취되고 연결관(5)을 통해 반전박스(3)에 적재된 함침튜브를 반전박스(3)내의 안내롤러(33)를 통과하여 배출구(35)를 통해 맨홀을 관통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보수관 내부로 삽입시키고 반전이 완료되면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를 작동시켜 차단판(44)의 최하단에 연결된 와이어를 인출시켜 차단판(44)을 하강시켜 권취형 회전반전장치(2)와 반전박스(3)를 차단시킨 후, 반전박스(3)의 보일러연결구(32)에 다기능적재함(1)의 보일러를 연결하여 증기를 주입하여 보수관 내부에 삽입된 함침튜브를 경화시켜 탈부착형 반전장치를 이용하여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 하였다.
철수시는 상기 역순으로 하여 장치들을 철수하였다.
실시예2
함침튜브를 탑재한 냉동차가 시공현장에 도착한 다음, 권취형 회전반전장치(2)와 반전박스(3)를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연결관(5)을 이용하여 회전반전장치(2)의 출구와 연결관(5) 및 반전박스(3)의 반전박스입구(34) 순서로 볼트 및 너트로 회전반전장치(2), 연결관(5) 및 반전박스(3)를 결합시킨 다음, (도2B참조)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를 작동시켜 차단판(44)의 최하단에 연결된 차단판와이어(42)의 권취됨에 따라 차단판(44)을 상승시키고, 함침튜브를 회전반전장치(2)의 권취기를 이용하여 반전박스(3)와 연결관(5)을 통해 회전반전장치(2)와 연결관(5) 및 반전박스(3)에 설치한 다음,
컴퓨레샤를 이용하여 반전박스(3)의 압축공기연결구(31)에 연결시켜 압축공기를 반전박스(3)내에 주입시켜 회전반전장치(2)에 권취되고 연결관(5)을 통해 반전박스(3)에 적재된 함침튜브를 반전박스(3)내의 안내롤러(33)를 통과하여 배출구(35)를 통해 맨홀을 관통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보수관 내부로 삽입시키고 반전이 완료되면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를 작동시켜 차단판(44)의 최하단에 연결된 와이어를 인출시켜 차단판(44)을 하강시켜 권취형 회전반전장치(2)와 반전박스(3)를 차단시킨 후, 반전박스(3)의 보일러연결구(32)에 다기능적재함(1)의 보일러를 연결하여 증기를 주입하여 보수관 내부에 삽입된 함침튜브를 경화시켜 탈부착형 반전장치를 이용하여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 하였다.
철수시는 상기 역순으로 하여 장치들을 철수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반전장치 전체도, 측면도(1A), 측단면상세도(1B), 도2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반전장치 사용상태도, 단거리의 연결상태도(2A), 장거리의 연결상태도(2B), 도3 본 발명의 연결관 연결상태도, 도4 및 도5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반전박스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반전박스 차단판 세부상세도, 도7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반전박스 시공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다기능적재함(1), 회전반전장치(2), 반전박스(3), 차단장치(4), 연결관(5), 보호커버(8), 맨홀(9), 몸체부(30), 압축공기연결구(31), 보일러연결구(32), 안내롤러(33), 반전박스입구(34), 배출구(35), 차단장치테두리(40), 차단판와이어권취기941), 차단판와이어(42), 차단판지지대(43), 안내가이드(43-1), 차단판(44), 차단판안내돌기(44-1), 탄성체(45), 바퀴(5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탈부착형 반전박스는 도2내지 도5에 도시도시된 바와 같이,
함침튜브가 내장되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50)와, 상기 몸체부(30)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관(5)에 의해 연결되는 반전박스입구(34)와, 상기 반전박스입구(34)의 후면에 설치되는 차단장치(4)와, 몸체부 후면에 설치된 배출구(35)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0)는 함침튜브가 내장되는 공간부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 전면일측에 설치된 압축공기연결구(31) 및 보일러연결구(32)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안내롤러(33)로 구성되고,
상기 차단장치(4)는 차단장치테두리(4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와, 상기 차단판와이어권취기(45)의 하부에 설치되며 차단판(44)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43-1)가 구비된 차단판지지대(43)과, 상기 안내가이드(43-1)에 설치되어 안내되는 차단판안내돌기(44-1)가 구비된 차단판(44)과, 차단판와이어(42)는 일측이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차단판(44)의 하부에 고정되는 차단판와이어(42)와, 상기 차단판(43)의 최하부에 설치된 탄성체(45)로 구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다기능적재함(1), 회전반전장치(2), 반전박스(3), 차단장치(4), 연결관(5), 보호커버(8), 맨홀(9), 몸체부(30), 압축공기연결구(31), 안내롤러(33), 반전박스입구(34), 배출구(35), 견인고리(39), 차단장치테두리(40),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 차단판와이어(42), 차단판지지대(43), 안내가이드(43-1), 차단판(44), 차단판안내돌기(44-1), 탄성체(45), 바퀴(50)

Claims (3)

  1. 탈부착형 반전박스에 있어서,
    함침튜브가 내장되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50)와, 상기 몸체부(30)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관(5)에 의해 연결되는 반전박스입구(34)와, 상기 반전박스입구(34)의 후면에 설치되는 차단장치(4)와, 몸체부 후면에 설치된 배출구(35)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0)는 함침튜브가 내장되는 공간부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 전면일측에 설치된 압축공기연결구(31) 및 보일러연결구(32)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안내롤러(33)로 구성되고,
    상기 차단장치(4)는 차단장치테두리(4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와, 상기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의 하부에 설치되며 차단판(44)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43-1)가 구비된 차단판지지대(43)과, 상기 안내가이드(43-1)에 설치되어 안내되는 차단판안내돌기(44-1)가 구비된 차단판(44)과, 차단판와이어(42)는 일측이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차단판(44)의 하부에 고정되는 차단판와이어(42)와, 상기 차단판(44)의 최하부에 설치된 탄성체(4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반전박스.
  2. 탈부착형 반전장치를 이용하여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에 있어서,
    함침튜브가 내장되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50)와, 상기 몸체부(30)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관(5)에 의해 연결되는 반전박스입구(34)와, 상기 반전박스입구(34)의 후면에 설치되는 차단장치(4)와, 몸체부 후면에 설치된 배출구(35)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0)는 함침튜브가 내장되는 공간부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 전면일측에 설치된 압축공기연결구(31) 및 보일러연결구(32)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안내롤러(33)로 구성되고,
    상기 차단장치(4)는 차단장치테두리(4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와, 상기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의 하부에 설치되며 차단판(44)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43-1)가 구비된 차단판지지대(43)과, 상기 안내가이드(43-1)에 설치되어 안내되는 차단판안내돌기(44-1)가 구비된 차단판(44)과, 차단판와이어(42)는 일측이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차단판(44)의 하부에 고정되는 차단판와이어(42)와, 상기 차단판(44)의 최하부에 설치된 탄성체(45)로 구성된 탈부착형 반전장치를 탑재한 냉동차가 시공현장에 도착한 다음, 권취형 회전반전장치(2)와 반전박스(3)를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권취형 회전반전장치(반전차량)(2)에 포터블 반전박스(3)를 회전반전장치(2)의 출구와 반전박스(3)의 반전박스입구(34)를 볼트 및 너트로 연결하여 반전박스(3)를 결합시킨 다음,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를 작동시켜 차단판(44)의 최하단에 연결된 차단판와이어(42)의 권취됨에 따라 차단판(44)을 상승시키고, 함침튜브를 회전반전장치(2)의 권취기를 이용하여 반전박스(3)를 통해 회전반전장치(2)와 반전박스(3)에 설치한 다음,
    컴퓨레샤를 이용하여 반전박스(3)의 압축공기연결구(31)에 연결시켜 압축공기를 반전박스(3)내에 주입시켜 회전반전장치(2)에 권취되고 연결관(5)을 통해 반전박스(3)에 적재된 함침튜브를 반전박스(3)내의 안내롤러(33)를 통과하여 배출구(35)를 통해 맨홀을 관통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보수관 내부로 삽입시키고 반전이 완료되면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를 작동시켜 차단판(44)의 최하단에 연결된 와이어를 인출시켜 차단판(44)을 하강시켜 권취형 회전반전장치(2)와 반전박스(3)를 차단시킨 후, 반전박스(3)의 보일러연결구(32)에 다기능적재함(1)의 보일러를 연결하여 증기를 주입하여 보수관 내부에 삽입된 함침튜브를 경화시켜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반전장치를 이용하여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
  3. 탈부착형 반전장치를 이용하여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에 있어서,
    함침튜브가 내장되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50)와, 상기 몸체부(30)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관(5)에 의해 연결되는 반전박스입구(34)와, 상기 반전박스입구(34)의 후면에 설치되는 차단장치(4)와, 몸체부 후면에 설치된 배출구(35)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0)는 함침튜브가 내장되는 공간부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 전면일측에 설치된 압축공기연결구(31) 및 보일러연결구(32)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안내롤러(33)로 구성되고,
    상기 차단장치(4)는 차단장치테두리(4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와, 상기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의 하부에 설치되며 차단판(44)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43-1)가 구비된 차단판지지대(43)과, 상기 안내가이드(43-1)에 설치되어 안내되는 차단판안내돌기(44-1)가 구비된 차단판(44)과, 차단판와이어(42)는 일측이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차단판(44)의 하부에 고정되는 차단판와이어(42)와, 상기 차단판(44)의 최하부에 설치된 탄성체(45)로 구성된 탈부착형 반전장치를 탑재한 냉동차가 시공현장에 도착한 다음, 권취형 회전반전장치(2)와 반전박스(3)를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연결관(5)을 이용하여 회전반전장치(2)의 출구와 연결관(5) 및 반전박스(3)의 반전박스입구(34) 순서로 볼트 및 너트로 회전반전장치(2), 연결관(5) 및 반전박스(3)를 결합시킨 다음,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를 작동시켜 차단판(44)의 최하단에 연결된 차단판와이어(42)의 권취됨에 따라 차단판(44)을 상승시키고, 함침튜브를 회전반전장치(2)의 권취기를 이용하여 반전박스(3)와 연결관(5)을 통해 회전반전장치(2)와 연결관(5) 및 반전박스(3)에 설치한 후에,
    컴퓨레샤를 이용하여 반전박스(3)의 압축공기연결구(31)에 연결시켜 압축공기를 반전박스(3)내에 주입시켜 회전반전장치(2)에 권취되고 연결관(5)을 통해 반전박스(3)에 적재된 함침튜브를 반전박스(3)내의 안내롤러(33)를 통과하여 배출구(35)를 통해 맨홀을 관통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보수관 내부로 삽입시키고 반전이 완료되면 차단판와이어권취기(41)를 작동시켜 차단판(44)의 최하단에 연결된 와이어를 인출시켜 차단판(44)을 하강시켜 권취형 회전반전장치(2)와 반전박스(3)를 차단시킨 후, 반전박스(3)의 보일러연결구(32)에 다기능적재함(1)의 보일러를 연결하여 증기를 주입하여 보수관 내부에 삽입된 함침튜브를 경화시켜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반전장치를 이용하여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
KR1020140191575A 2014-12-29 2014-12-29 탈부착형 반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 KR10159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575A KR101598042B1 (ko) 2014-12-29 2014-12-29 탈부착형 반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575A KR101598042B1 (ko) 2014-12-29 2014-12-29 탈부착형 반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042B1 true KR101598042B1 (ko) 2016-02-26

Family

ID=5544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575A KR101598042B1 (ko) 2014-12-29 2014-12-29 탈부착형 반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04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990A (ko) * 1999-11-17 2000-02-07 김유성 노후된 관을 보수하기 위한 연질튜브 반전삽입 밀착방법및 장치
KR100551199B1 (ko) * 2005-08-05 2006-02-14 (주)이젠리버시스템 관로 보수용 비굴착 반전장치
KR20090104989A (ko) * 2008-04-01 2009-10-07 최재현 상하수도 관로 비굴착 장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상하수도 관로 보수공법
KR100922845B1 (ko) * 2007-10-25 2009-10-20 한국라이텍 주식회사 다회 반전을 위한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지중 매설상하수도관의 비굴착장치
KR101046684B1 (ko) 2011-03-15 2011-07-06 덕산건설 주식회사 소로 진입이 가능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KR101107738B1 (ko) 2011-08-17 2012-01-20 봉화토건 합자회사 배관 보수용 튜브 라이너의 근접 체결 반전 장치
KR101142129B1 (ko) 2011-11-25 2012-05-10 덕산건설 주식회사 튜브반전기, 이를 포함하는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101148135B1 (ko) 2012-02-28 2012-05-24 최장환 비굴착 상하수관로 보수용 보강튜브 확장 연결장치
KR101357623B1 (ko) 2013-08-26 2014-02-05 덕산건설 주식회사 관로 보수용 펠트의 텐션 조절 장치를 갖춘 반전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990A (ko) * 1999-11-17 2000-02-07 김유성 노후된 관을 보수하기 위한 연질튜브 반전삽입 밀착방법및 장치
KR100551199B1 (ko) * 2005-08-05 2006-02-14 (주)이젠리버시스템 관로 보수용 비굴착 반전장치
KR100922845B1 (ko) * 2007-10-25 2009-10-20 한국라이텍 주식회사 다회 반전을 위한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지중 매설상하수도관의 비굴착장치
KR20090104989A (ko) * 2008-04-01 2009-10-07 최재현 상하수도 관로 비굴착 장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상하수도 관로 보수공법
KR101046684B1 (ko) 2011-03-15 2011-07-06 덕산건설 주식회사 소로 진입이 가능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KR101107738B1 (ko) 2011-08-17 2012-01-20 봉화토건 합자회사 배관 보수용 튜브 라이너의 근접 체결 반전 장치
KR101142129B1 (ko) 2011-11-25 2012-05-10 덕산건설 주식회사 튜브반전기, 이를 포함하는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101148135B1 (ko) 2012-02-28 2012-05-24 최장환 비굴착 상하수관로 보수용 보강튜브 확장 연결장치
KR101357623B1 (ko) 2013-08-26 2014-02-05 덕산건설 주식회사 관로 보수용 펠트의 텐션 조절 장치를 갖춘 반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60591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lining conduits
US11572971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lining conduits
KR100761923B1 (ko)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KR100555026B1 (ko)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CN107672155A (zh) 一种用于管道修复的气压翻转设备及修复工艺
KR100886461B1 (ko) 하수관거 차수로봇용 가물막이 수밀패널
KR100925041B1 (ko)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KR102062265B1 (ko) 팽창성 유지가 가능한 무수축 방식의 uv 조사장치 설치와 비굴착 상하수도 전체 보수 방법
KR100946465B1 (ko) 관로라이닝로봇
KR20210015244A (ko) Led 광원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관로 보수·보강 장치 및 공법
KR101598042B1 (ko) 탈부착형 반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 하수관거 비굴착보수공법
KR101188724B1 (ko) 반전탱크를 이용한 매설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체 보수 시공방법
KR200321707Y1 (ko)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CN207327592U (zh) 一种用于管道修复的气压翻转设备
KR100895342B1 (ko) 차수로봇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물 돌리기 방식 건식 보수 보강 공법
KR20130101316A (ko) 비굴착공법용 보수튜브의 견인장치
KR101187670B1 (ko) 높이조절 및 회전수단을 구비한 관로보수용 튜브 반전장치
KR102058004B1 (ko) 노후관로 보수·보강을 위한 조립식 경량 패커 장치
KR20000006990A (ko) 노후된 관을 보수하기 위한 연질튜브 반전삽입 밀착방법및 장치
KR101086827B1 (ko) 가물막이 수밀 패널 위치 제어가 가능한 하수관거 차수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28028A (ko) 관라이닝재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라이닝재의 반전방법
KR101107738B1 (ko) 배관 보수용 튜브 라이너의 근접 체결 반전 장치
KR100942008B1 (ko)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 및 장치
KR101005330B1 (ko) 라이너 함침장치
CN217208367U (zh) 一种自动一体化非开挖管道注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