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967B1 -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모터 - Google Patents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967B1
KR101597967B1 KR1020150176726A KR20150176726A KR101597967B1 KR 101597967 B1 KR101597967 B1 KR 101597967B1 KR 1020150176726 A KR1020150176726 A KR 1020150176726A KR 20150176726 A KR20150176726 A KR 20150176726A KR 101597967 B1 KR101597967 B1 KR 10159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tator
type motor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세현
김영균
서정무
이정종
정인성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2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되, 철손을 줄여 모터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모터에 관한 것으로,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성하기 어려운 제1 코어를 연자성 분말을 통해 성형하고, 와류가 집중되는 영역에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성된 제2 코어를 배치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면서 평판형 모터의 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수용홈이 형성된 받침판, 제1 수용홈에 삽입되어 받침판에 고정되고, 연자성 분말(Soft Magnetic Composite : SMC)을 사용하여 성형되는 복수의 제1 코어, 복수의 제1 코어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기강판이 받침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제1 코어에 고정되는 제2 코어,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를 감싸면서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모터{Stator of Plate type motor and Plate type mo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평판형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 세탁기 등의 구동을 위해 사용되는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모터에 관한 것이다.
평판형 모터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고정자 및 고정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자를 포함한다. 고정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코어를 포함하며, 코어는 고정자 바디에 형성된 홈에 축 방향으로 결합된다. 회전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고정자와 일정한 공극(gap)을 형성하면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평판형 모터는 권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코어와 회전자의 영구자석 사이에 반발력 또는 흡인력을 생성하여 회전 토크를 발생시키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7608호에는 상술 바와 같은 평판형 회전기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평판형 회전기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 및 타면에 일측 부위 및 타측 부위가 각각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링형상의 제 1 받침판, 상기 제 1 받침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상기 제 1 받침판에 일면이 결합된 복수의 제 1 치코어(Tooth Core), 상기 제 1 치코어의 타면측 외면에 각각 결합된 보빈, 상기 보빈에 권선된 코일을 가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평판 링형상의 고정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자와 작용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평판 링형상의 회전자를 구비하는 평판형 회전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침판에는 폭방향 횡단면(橫斷面) 형상이 "T" 형상인 제 1 결합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결합레일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 1 받침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치코어의 일단면(一端面)에는 상기 제 1 결합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레일에 압입 결합되는 제 1 압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받침판에 결합된 상기 제 1 치코어의 일면측 외면은 타면측 외면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호 접촉되며, 상기 제 1 치코어의 타면측 외면은 상호 이격되어 상기 보빈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평판형 회전기기는 서로 다른 크기의 규소강판을 적층하여 치 형상의 코어를 제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크기의 규소강판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모양에 맞는 금형을 제작하거나, 서로 동일한 크기의 규소강판을 적층한 후 절단하는 공정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제조 단가가 높아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분말을 압분하여 형상을 만들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을 성형하는데 용이한 연자성 분말(Soft Magnetic Composite : SMC)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자성 분말을 사용하여 성형 압출하는 일체형 코어를 사용할 경우,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상한 코어에 대비하여 높은 철손(Core loss)이 발생하여 자기적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되, 철손을 줄여 모터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모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수용홈이 형성된 받침판, 상기 제1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판에 고정되고, 연자성 분말(Soft Magnetic Composite : SMC)을 사용하여 성형되는 복수의 제1 코어, 복수의 상기 제1 코어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기강판이 상기 받침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상기 제1 코어에 고정되는 제2 코어,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를 감싸면서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를 감싸면서 고정하고, 외부면에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는 상기 받침판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제2 코어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어의 상부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과의 사이에 코일이 권선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2 코어가 삽입된 상기 제2 수용홈의 개방 부분에 위치하여 제2 코어를 지지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제1 수용홈의 내부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하부면에 상기 받침판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의 상기 제1 수용홈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홈이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축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연자성 분말을 사용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터는 상기의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상부에 상기 고정자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고정자와 마주하는 위치에 영구자석을 구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터는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성하기 어려운 제1 코어를 연자성 분말을 통해 성형하고, 와류가 집중되는 영역에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성된 제2 코어를 배치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면서 평판형 모터의 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모터는 제1 코어 및 제2 코어를 받침판과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복수의 제1 코어 및 제2 코어 각각에 코일을 권선하여 받침판에 조립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코일을 권선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필요 하지 않아 인접한 제1 코어 사이에 공간을 최소화하여 토크 리플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의 제1 코어, 제2 코어 및 코일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받침판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300)는 고정자(100)와, 고정자(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자(200)를 포함한다. 회전자(200)는 제2 받침판(210)과, 고정자(100)와 서로 마주보는 제2 받침판(210)의 일면에 고정자 상호 이격되어 있는 영구자석(220)을 포함한다.
평판형 모터(300)는 고정자(100)와 일정한 공극을 형성하면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회전자(200)에 의해 고정자(10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고정자(100)와, 회전자(200)의 영구자석(220) 사이에 반발력 또는 흡인력을 생성하여 회전 토크를 발생시켜 동작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1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의 제1 코어, 제2 코어 및 코일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100)는 받침판(40), 제1 코어(10), 제2 코어(20) 및 코일(30)을 포함한다.
받침판(40)은 중심부에 축이 삽입될 수 있는 축삽입홀(43)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수용홈(4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수용홈(41)은 제1 코어(10) 및 제2 코어(20)가 삽입되며, 제1 코어(10) 및 제2 코어(20)의 하부 형상과 갯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판(40)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전기강판(규소강판)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즉, 받침판(40)은 링 형상으로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제1 수용홈(41)이 형성된 복수의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또한 받침판(40)은 제1 수용홈(41)의 내부에 돌출된 돌출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2)는 제1 수용홈(41)의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제1 코어(1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1 코어(10)는 복수로 구비되어, 받침판(4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 수용홈(41)에 일부가 각각 삽입되어 받침판(40)에 고정된다.
제1 코어(10)는 연자성 분말을 사용하여 성형된다. 이와 같은 연자성 분말은 철(Fe) 분말에 절연이 되어 있어서 와전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분말을 압분 하여 형상을 제작하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을 성형하는데 용이하다.
이러한 제1 코어(10)는 고정부(13), 제1 결합부(12) 및 제2 결합부(11)를 포함한다.
고정부(13)는 받침판(40)과 수직하게 형성되고, 하부면에 받침판(40)의 돌출부(42)와 대응되는 고정홈(13a)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는 받침판(40)의 제1 수용홈(41)에 삽입되면서 고정홈(13a)이 돌출부(42)에 끼움 결합되어 받침판(4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는 제2 코어(20)와의 접촉면이 제2 코어(20)의 접촉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제2 코어(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는 고정부(13)와 수직하도록 고정부(13)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제2 코어(20)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1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13)는 제1 결합부(12)의 제2 수용홈(12a)에 삽입된 제2 코어(2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수용홈(12a)에 삽입된 제2 코어(20)는 고정부(13)와 함께 받침판(40)의 제1 수용홈(41)에 삽입된다.
또한 제1 결합부(12)는 제2 코어(20)의 상부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받침판(40)과의 사이에 코일(30)이 권선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결합부(12)의 인접한 제1 결합부(12)와의 간격은 평판형 모터(300)의 토크 리플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받침판(40)과 제1 코어(10) 및 제2 코어(20)를 일체로 형성할 경우, 코일(30)을 권선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접한 제1 결합부(12)를 이격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코일(30) 권선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경우, 평판형 모터(300)의 토크 리플이 증가하게 되어 진동이나 소음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코어(10) 및 제2 코어(20)를 복수개로 구비하고, 받침판(40)에 각각 조립하는 형태로 제작하여 인접한 제1 결합부(12)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평판형 모터(300)에서 발생하는 토크 리플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12)는 고정부(13)가 받침판(40)에 조립되었을 경우, 인접한 제1 결합부(12)와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1)는 제2 수용홈(12a)의 개방 부분에 위치하여 제2 수용홈(12a)에 삽입된 제2 코어(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코어(20)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기강판이 받침판(40)과 수직한 ?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제2 수용홈(12a)에 상부가 노출되도록 삽입되어 고정부(13)와 제2 결합부(11)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제2 코어(20)는 연자성 분말에 대비하여 뛰어난 자기적 특성을 가지고 철손이 적은 전기강판을 사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연자성 분말을 사용하여 성형된 제1 코어(10)와 대비하여 높은 자기적 특성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제2 코어(20)와, 연자성 분말을 사용하여 성형되는 고정부(13), 제1 결합부(12) 및 제2 결합부(11)를 포함하여,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성하기 어려운 제1 코어(10)를 연자성 분말을 통해 성형하고, 와류가 집중되는 영역에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성된 제2 코어(20)를 배치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면서 평판형 모터(300)의 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코일(30)은 제1 코어(10)와 제2 코어(20)의 하부를 감싸면서 권선된다. 즉 코일(30)은 제1 코어(10)의 고정부(13)와, 제2 코어(20) 및 제1 코어(10)의 제2 결합부(13)를 감싸면서 권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100)는 제1 코어(10)와, 제2 코어(20)를 감싸면서 고정되고, 외부면에 코일(30)이 권선되는 보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빈은 제1 코어(10)와 제2 코어(20)의 하부를 감싸면서 권선되는 코일(30)의 내측면에 위치하여, 제1 코어(10)의 고정부(13), 제2 코어(20) 및 제1 코어(10)의 제2 결합부(11)를 지지하면서, 코일(30)과 제1 코어(10) 및 제2 코어(20) 사이에서 발생되는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300)는 복잡한 성형이 필요한 받침판(40)과의 연결 부분에 연자성 분말을 사용하여 성형한 제1 코어(10)를 구비하고, 와류가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부분에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제2 코어(20)를 구비하여, 제조가 용이하면서 모터의 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평판형 모터(300)는 코일(30)이 권선된 복수의 제1 코어(10)와 제2 코어(20)를 구비하여 받침판(40)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코일(30)을 권선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지 않아, 인접한 제1 코어(10) 사이에 공간을 최소화하여 토크 리플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받침판(50)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받침판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받침판(50)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축계(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축계(51)는 받침판(50)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연장된 원통형상이 될 수 있고, 내부에 축이 삽입될 수 있다. 축계(51)는 삽입되는 축과 맞닿는 표면적을 확장하여 모터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받침판(50)은 연자성 분말을 사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받침판(40)은 성형이 용이한 연자성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축계(51)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4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400)는 고정자(100-1, 100-2)와 회전자(200-1, 200-2)가 상호 대응되도록 각각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회전자(200-1, 200-2)가 최외측에 위치되고, 고정자(100-1, 100-2)가 회전자(200-1, 200-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호 인접하는 고정자(100-1, 100-2)는 하나의 받침판(40)을 공용으로 사용하고, 받침판(40)의 양측면에 제1 코어(10) 및 제2 코어(20)가 각각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200-1, 200-2)는 고정자(100-1, 100-2)의 외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영구자석(220)이 각각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5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모터(500)는 고정자(100-3, 100-4)와, 고정자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자(20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고정자(100-3, 100-4)가 최외측에 위치되고, 회전자(200-3)가 고정자(100-3, 100-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자(200-3)는 하나의 제2 받침판(미도시)을 공용으로 사용하고, 제2 받침판의 양측면에 각각 영구자석(22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자(100-3, 100-4)의 제1 코어(10) 및 제2 코어(20)는 회전자(200-3)의 영구자석(220)과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제1 코어 11 : 제2 결합부
12 : 제1 결합부 12a : 제2 수용홈
13 : 고정부 13a : 고정홈
20 : 제2 코어 30 : 코일
40, 50 : 받침판 41 : 제1 수용홈
42 : 돌출부 43 : 축삽입홀
51 : 축계 100 : 고정자
200 : 회전자 210 : 제2 받침판
220 : 영구자석 300, 400, 500 : 평판형 모터

Claims (6)

  1.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홈의 내부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받침판;
    상기 제1 수용홈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받침판에 고정되고, 연자성 분말(Soft Magnetic Composite : SMC)을 사용하여 성형되는 복수의 제1 코어;
    복수의 상기 제1 코어에 각각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제1 코어와 함께 상기 받침판에 일부가 삽입되고,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기강판이 상기 받침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적층되어 상기 제1 코어에 고정되는 제2 코어;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를 감싸면서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권선되는 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는,
    상기 받침판과 수직하게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의 상기 제1 수용홈에 일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홈이 상기 돌출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코어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제2 코어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어의 상부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과의 사이에 코일이 권선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결합부;
    상기 받침판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용홈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 코어가 삽입된 상기 제2 수용홈의 개방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결합부와 맞물려 일측면이 상기 고정부에 지지된 상기 제2 코어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를 감싸면서 고정하고, 외부면에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전기강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축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연자성 분말을 사용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상부에 상기 고정자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고정자와 마주하는 위치에 영구자석을 구비하는 회전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모터.
KR1020150176726A 2015-12-11 2015-12-11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모터 KR101597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726A KR101597967B1 (ko) 2015-12-11 2015-12-11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726A KR101597967B1 (ko) 2015-12-11 2015-12-11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모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791 Division 2014-10-17 2014-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967B1 true KR101597967B1 (ko) 2016-02-29

Family

ID=5544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726A KR101597967B1 (ko) 2015-12-11 2015-12-11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2435A (zh) * 2018-01-10 2018-05-29 上海硅泰电子有限公司 定子铁芯绕组单元、定子组件以及盘式电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753A (ko) * 2005-08-19 2007-02-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평편형 bldc 모터
JP2007104781A (ja) * 2005-10-03 2007-04-19 Denso Corp 回転電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753A (ko) * 2005-08-19 2007-02-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평편형 bldc 모터
JP2007104781A (ja) * 2005-10-03 2007-04-19 Denso Corp 回転電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2435A (zh) * 2018-01-10 2018-05-29 上海硅泰电子有限公司 定子铁芯绕组单元、定子组件以及盘式电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7571B2 (ja) 平板型モーターの固定子及びこれを利用した平板型モーター
US9350206B2 (en) Axial gap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6667084B2 (ja) 表面磁石型モータ
WO2016017342A1 (ja) ステータ及び回転機
JP5562180B2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JP6461381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
JP2012217278A (ja) 永久磁石型回転電機及び永久磁石型回転電機の製造方法
WO2014069288A1 (ja) インナーロータ型モータ
KR101597967B1 (ko) 평판형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모터
KR20190074467A (ko) 분할 고정자를 갖는 모터
US11594923B2 (en) Rotor and motor including the same
JP2015056984A (ja) 回転電機及びそれを備えた空調機器
KR102143030B1 (ko) 하이브리드 고정자, 이를 이용한 모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53477A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08199856A (ja) ステータコア、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ユニット
KR20140145996A (ko) 전기 모터
KR102238353B1 (ko) 분할코어를 구비한 전동기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0108277A (ja) 回転電機のロータ
JP6009937B2 (ja) 回転機
US20220181933A1 (en) Rotor,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WO2021200050A1 (ja) モータ
US11949286B2 (en) Electric motor and stator of electric motor having positioning grooves
CN113472168B (zh) 马达
US20240128809A1 (en) Stator and brushless motor
JP6585108B2 (ja) Ipm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