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770B1 -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770B1
KR101597770B1 KR1020140147777A KR20140147777A KR101597770B1 KR 101597770 B1 KR101597770 B1 KR 101597770B1 KR 1020140147777 A KR1020140147777 A KR 1020140147777A KR 20140147777 A KR20140147777 A KR 20140147777A KR 101597770 B1 KR101597770 B1 KR 101597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ort
compressed air
brak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열
Original Assignee
타타대우상용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타대우상용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타대우상용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7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공압 제동 시스템 차량이 언덕길에서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축 공기가 저장된 에어탱크와 에어탱크에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 페달을 통하여 브레이크로 압축공기가 전달되는 공압 제동 시스템 차량의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의해 제어되는 브레이크 밸브; 상기 에커탱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적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어 브레이크로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솔레노이드 밸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주입되는 압축 공기가 없을 경우 브레이크 밸브로부터 주입되는 압축 공기를 그대로 출력하고,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압축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밸브로부터 주입되는 입력을 차단하는 온/오프 밸브; 및 상기 온/오프 밸브에서 출력되는 압축 공기를 브레이크로 전달하는 릴레이 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힐 홀더 시스템이 온되고 솔레노이드 밸브가 온되는 경우에도 에어 탱크의 공기압의 브레이크로 과도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언덕길 주차시 운전자가 의도한 강도로 제동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Backdown prevent apparatus in the sloping road}
본 발명은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압 제동 시스템 차량이 언덕길에서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자 제어식 제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를 이용한 부가 기능의 개발 및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동향 중에서, 차량이 저속 운행 중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차량을 제동을 유지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언덕에서 차량의 밀림을 방지한다든지(Hill Holder System), 교통 혼잡 시에 브레이크 페달 조작 없이 가속 페달의 조작만으로 감속 및 가속을 자유롭게 하는 트래픽 잼 보조(Traffic Jam Assist)기능을 위한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있다.
Hill Holder System은 언덕길에서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밀림 방지 장치이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후, 차가 정차하면 언덕길 정차여부를 감지하고, 언덕길 정차인 경우,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도 언덕에서 밀림을 방지할 만큼의 제동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운전자를 보조해 주는 것이 이러한 시스템의 주기능이다.
이 경우,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짧은 시간 내에 조작해주면, 브레이크가 풀리면서 차량이 밀림 없이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장치에는 주행 중에 사용되는 주 브레이크와, 자동차를 주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가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의 조작기구로는 코드나 와이어를 사용하는 기계식과,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공압식이 있다.
상기 공압식 브레이크는 큰 제동력을 요하는 대형 트럭, 버스, 트레일러 등에 많이 사용되는데, 공압식 제동 장치를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빈번한 사용에도 충분한 제동 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최소한의 공압 유지가 필요하며 엔진 및 브레이크 에어 공급 시스템의 결함이 발생 또는 시스템에서 공압의 고소모에 의해 공압이 낮아지면 적정한 제동성능을 유지할 수 없어 주행 중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공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압식 차량의 밀림 방지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밀림 방지 장치는 브레이크 밸브(10), 힐홀더 제어모듈(20), 솔레노이드 밸브(30), 에어탱크(40), 더블첵 밸브(50), 릴레이 밸브(60), 및 브레이크 액츄에이터(7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의 차량 밀림 방지 장치는 전지상태에서 힐 홀더 제어 모듈(20)의 전기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30)의 개폐를 조절하고 더블첵 밸브(50)를 통해 기존의 공압 브레이크 시스템인 릴레이 밸브(60)를 작동시켜 짧은 시간 동안 언덕길에서 차량이 밀리지 않도록 정지시켜 출발이 원활하도록 도와준다.
힐 홀더 모듈이(20) 작동하게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30)가 열리게 되고 에어탱크(40)의 공기가 더블첵 밸브(50)를 거쳐 브레이크 액츄에이터에 전달되게 된다. 솔레노이드 밸브(30)가 열리게 되면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는 정도와는 무관하게 에어 탱크(40)의 공기압이 풀(full)로 브레이크 액츄에이터로 전달된다. 즉, 경사도가 완만하고 공차의 경우에 사용자가 브레이크를 살짝만 밟는 경우에도 힐 홀더 시스템의 작동에 의해 공기압이 풀로 전달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밀림 방지 장치는 언덕길 중간에서 임시 정차한 후 출발하는 과정에서 힐 홀더 시스템(hill holder system)을 작동할 경우, 차량의 임시정차 경사도 및 차량의 하중에 따라 적용된 운전자의 의도(제동강도)와는 무관하게 에어 탱크의 시스템 압력이 제동 장치에 그대로 연결되어 적용되므로, 완만한 경사의 공차 상태나 급 경사의 적차 상태에서 동일한 풀 제동에 해당하는 강도의 제동장치가 작동하므로 지형에 따른 힐 홀더 시스템의 빈번한 작동에 의한 에어 탱크 압축 공기의 소모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출발시 제동 장치의 해제 지연으로 제동 장치가 완전히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출발로 인한 차량의 꿀렁거림 또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과 마도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공압 제동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종에도 전자제어 제동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과 동등 수준의 힐 홀더 시스템을 구현하여, 힐 홀더 시스템의 빈번한 작동에도 압축 공기의 과소모를 방지하고 제동장치 해제 지연을 방지하여 원활한 출발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밀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언덕길 밀림 ㅂ방지 장치는 압축 공기가 저장된 에어탱크와 에어탱크에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 페달을 통하여 브레이크로 압축공기가 전달되는 공압 제동 시스템 차량의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의해 제어되는 브레이크 밸브; 상기 에커탱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적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어 브레이크로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솔레노이드 밸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주입되는 압축 공기가 없을 경우 브레이크 밸브로부터 주입되는 압축 공기를 그대로 출력하고,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압축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밸브로부터 주입되는 입력을 차단하는 온/오프 밸브; 및 상기 온/오프 밸브에서 출력되는 압축 공기를 브레이크로 전달하는 릴레이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는 상기 솔레노이브 밸브로부터 압축 공기가 주입되어 브레이크 밸브로부터의 입력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 밸브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오프 밸브는 상기 브레이크 밸브로부터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제 1 포트;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들어온 압축 공기를 상기 릴레이 밸브로 전달하는 제 2 포트; 및 상기 솔레노이브 밸브로부터 압축 공기가 주입되는 제 3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는 수평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포트는 상기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와 수직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오프 밸브는 상기 제 3포트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 공기가 흐르는 유로에는 피스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는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는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원통형 기둥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의 하부는 상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며 피스톤의 하부는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 3 포트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포트와 제 2 포트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오프 밸브는 차량이 출발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고, 상기 릴레이 밸브에 가해지던 압축 공기가 상기 브레이크 밸브로 배기되면서 제동 장치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오프 밸브는 차량이 출발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피스톤은 위로 올라가고 제 2 포트에 가해지는 압력은 제 1 포트로 배기되면 제동 장치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에 의하면, 힐 홀더 시스템이 온되고 솔레노이드 밸브가 온되는 경우에도 에어 탱크의 공기압의 브레이크로 과도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언덕길 주차시 운전자가 의도한 강도로 제동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에 의하면, 압축 공기가 브레이크로 과도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하게 압축 공기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힐 홀더 시스템이 빈번하게 사용되더라도 충분한 압축 공기의 수준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에 의하면, 과도한 제동력에 의한 제동 해제 지연을 방지해 원할하고 자연스러운 출발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에 의하면, 일반 공압 제동 시스템에서 전자제어 제동 시스템의 힐 홀더와 동등 수준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의 블록도
도 3 상기 도 2의 온/오프 밸브(500)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온/오프 밸브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언덕길 밀림 장지 장치의 해제 및 차량 출발을 나타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는 브레이크 밸브(100), 힐홀더 제어모듈(200), 솔레노이드 밸브(300), 에어탱크(400), 온/오프 밸브(500), 릴레이 밸브(600), 및 브레이크 액츄에이터(700)를 포함한다. 오A, B, C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밸브(100)는 에어탱크와 연결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밸브가 열리고 에어탱크의 압축 공기가 온/오프 밸브(500)로 주입된다. 도 2의 도면에서는 브레이크 밸브(100)가 에어탱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도 3에서 에어탱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에어탱크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솔레노이드 밸브(300)와 연결되어 있는 에어탱크(400)와 다른 에어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힐홀더(hill holder) 제어모듈(200)는 솔레노이드 밸브(300)를 제어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힐홀더 제어모듈(200)은 힐홀더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동작하며 브레이크 페달이 해제되고 힐홀더 스위치가 작동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를 온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는 에어탱크(4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힐홀더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가 온 되면 에어탱크(400)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 공기가 솔레노이드 밸브(300)를 통해 온/오프 밸브로 제공된다.
상기 온/오프 밸브(500)는 브레이크 밸브(10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공기를 릴레이 밸브(60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온되어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압축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밸브(10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공기가 릴레이 밸브(6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릴레이 밸브(600)는 온/오프 밸브(500)에서 출력되는 압축 공기를 브레이크 액츄에이터(700)로 전달한다. 릴레이 밸브(600)는 종래에 널리 쓰이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상기 온/오프 밸브(5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온/오프 밸브의 공기 유입에 따른 동작 상태를 설명한 도면으로, 도 4(a)는 주 제동 상태, 도 4(b)는 힐홀더 작동 상태, 도 4(c)는 힐홀더 해제 및 차량 출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온/오프 밸브(500)의 상세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온/오프 밸브(500)는 상기 브레이크 밸브(100)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포트(510),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유입된 압축 공기가 유출되는 제 2 포트(520),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0)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제 3 포트(530)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트(510)와 제 2 포트 사이에는 유로(A) 형성되어 제 1 포트(510)를 통해 유입된 압축 공기가 제 2 포트(520)로 유출된다.
상기 제 3 포트(530)는 상기 제 1, 2 포트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3 포트의 유로에는 피스톤(540)이 스프링(550)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540)의 상부에는 피스톤을 가압하기 위한 원통형 기둥(56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540)의 하부는 상부보다 폭이 좁게 되어 스프링의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을 참조하면, 주 제동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540)이 유로를 막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제 1 포트(510)로 입력된 압축 공기는 유로(A)를 따라 제 2 포트(520)으로 배출된다. 힐홀더 작동상태 즉, 브레이크 페달이 해제되고 힐홀더 스위치가 온되어 솔레노이드 밸브(300)가 열리게 되면 압축 공기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제 3 포트(530)로 유입되고,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 원통형 기둥(560)이 화살표(B) 방향으로 내려오게 되고, 그에 따라 피스톤(540)이 아래로 내려와 제 1, 2 포트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게 된다. 유로가 차단되면 제 1 포트의 압력은 브레이크 밸브(100)로 배기되지만 제 2 포트(520)는 피스톤(540)에 의해 입구가 막혀 있기 때문에 릴레이 밸브는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고 제동 장치는 작동 상태를 유지한다. 엑셀 페달이 작동하고 힐홀더 스위치가 해제되면 솔레노이브 밸브는 잠기고(off) 제 3 포트로 유입되는 공기가 없으므로 스프링(550)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540)은 위로 올라가게 되고 차단되었던 유로는 다시 열리게 된다. 제 2 포트(520)에 전달된 압력은 도 4(c) 화살표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레이크 밸브로 배기되면서 제동 장치는 해제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힐홀더 시스템이 동작하는 경우에도 에어 탱크의 풀 압력이 브레이크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가한 압력 만이 브레이크에 전달되고, 브레이크에 불필요하게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언덕길 밀림 장지 장치의 해제 및 차량 출발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언덕길 밀림 장치의 동작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힐홀더 작동 상태가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300)가 온되어 브레이크 밸브(100)로부터의 공기 유입은 차단되고 온/오프 밸브(500)의 입구는 막히게 되므로 온/오프 밸브(500)에서 프런트/리어 브레이크 액츄에이터(710, 720)까지는 일정한 압력이 유지된다. 도 5에서 점선은 공기 유입이 차단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액셀 페달이 작동하고 힐홀더 작동이 해제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히면서 온/오프 밸브에 가해지는 압력이 없어지게 되고 피스톤이 열리면서 브레이크 밸브(100)와 프런트/리어 릴레이 밸브(610, 620) 사이에 유로가 다시 형성된다. 릴레이 밸브(610, 620) 및 브레이크 액츄에이터(710, 720)에 가해지던 공기 압력은 유로가 형성되면서 브레이크 밸브(100)로 배기된다.
참고로, 도 5 및 도 6에서 본 발명의 동작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였는데,
도면 번호 612는 프런트 압력 제어 밸브(pressure control valve0로 차량의 앤티 록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의 구성부품으로 제동시 휠이 잠기는 것(Wheel Lock)을 방지하기 위해 브레이크 액츄에이터(710, 720)로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고, 도면 번호 800은 트레일러 제어 밸브(trailer control valve)로 트랙터의 제동 작동을 트레일러에 연동시켜 앞의 트랙터와 뒤의 트레일러가 같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브레이크 밸브 200 : 힐홀더 제어모듈
300 : 솔레노이드 밸브 400 : 에어탱크
500 : 온/오프 밸브 600 : 릴레이 밸브
700 :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510 : 제 1 포트
520 : 제 2 포트 530 : 제 3 포트
540 : 피스톤 550 : 스프링
560 : 원통형 기둥

Claims (6)

  1. 압축 공기가 저장된 에어탱크와 에어탱크에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 페달을 통하여 브레이크로 압축공기가 전달되는 공압 제동 시스템 차량의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의해 제어되는 브레이크 밸브;
    상기 에어탱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적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어 브레이크로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주입되는 압축 공기가 없을 경우 브레이크 밸브로부터 주입되는 압축 공기를 그대로 출력하고,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압축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밸브로부터 주입되는 입력을 차단하는 온/오프 밸브; 및
    상기 온/오프 밸브에서 출력되는 압축 공기를 브레이크로 전달하는 릴레이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덕길 말림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밸브는
    상기 솔레노이브 밸브로부터 압축 공기가 주입되어 브레이크 밸브로부터의 입력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 밸브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밸브는
    상기 브레이크 밸브로부터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제 1 포트;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들어온 압축 공기를 상기 릴레이 밸브로 전달하는 제 2 포트; 및
    상기 솔레노이브 밸브로부터 압축 공기가 주입되는 제 3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는 수평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포트는 상기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와 수직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밸브에서 상기 제 3포트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 공기가 흐르는 유로에는 피스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는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는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원통형 기둥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의 하부는 상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하부는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포트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이 공기 압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포트와 제 2 포트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이 출발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고 상기 온/오프 밸브에서 상기 릴레이 밸브에 가해지던 압축 공기가 상기 브레이크 밸브로 배기되면서 제동 장치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밸브는
    상기 브레이크 밸브로부터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제 1 포트;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들어온 압축 공기를 상기 릴레이 밸브로 전달하는 제 2 포트; 및
    상기 솔레노이브 밸브로부터 압축 공기가 주입되는 제 3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는 수평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포트는 상기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와 수직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오프 밸브에서 상기 제 3포트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 공기가 흐르는 유로에는 피스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는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는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원통형 기둥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의 하부는 상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하부는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포트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이 공기 압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포트와 제 2 포트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차단하고,
    차량이 출발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고 상기 온/오프 밸브에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위로 올라가고 상기 제 2 포트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제 1 포트로 배기되면 제동 장치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
KR1020140147777A 2014-10-28 2014-10-28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 KR101597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777A KR101597770B1 (ko) 2014-10-28 2014-10-28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777A KR101597770B1 (ko) 2014-10-28 2014-10-28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770B1 true KR101597770B1 (ko) 2016-02-25

Family

ID=5544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777A KR101597770B1 (ko) 2014-10-28 2014-10-28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7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399A (ko) * 2017-04-13 2018-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abs-asr 제동 장치
KR20180115401A (ko) * 2017-04-13 2018-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abs 제동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538A (ko) * 1998-04-17 1999-11-15 김무 에이에스알 제동장치
KR100921277B1 (ko) * 2008-07-21 2009-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압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538A (ko) * 1998-04-17 1999-11-15 김무 에이에스알 제동장치
KR100921277B1 (ko) * 2008-07-21 2009-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압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399A (ko) * 2017-04-13 2018-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abs-asr 제동 장치
KR20180115401A (ko) * 2017-04-13 2018-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abs 제동 장치
KR102382089B1 (ko) * 2017-04-13 2022-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abs-asr 제동 장치
KR102382100B1 (ko) * 2017-04-13 2022-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abs 제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0127B2 (en) Heavy duty vehicle redundant braking system
US10953859B2 (en) Pneumatic braking device for a utility vehicle
US11685352B2 (en) Vehicle braking system
JP7019676B2 (ja) ばね荷重式停止ブレーキを駆動する駐車ブレーキバルブ機器
RU2643302C2 (ru) Блок управления тормозами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с прицепом
US20120200148A1 (en) Brake control device
SE1550003A1 (sv) Park brake control assembly
JP2009515752A (ja) 自動車のブレーキ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500217A (ja) 流体作動の車両ブレーキシステムによる車両制動方法および車両ブレーキシステム
JP2004522639A (ja) 自動車用電気油圧式ブレーキ装置
EP1789296B1 (en) Trailer brake system
US3761139A (en) Vehicle braking system with spring applied parking brake
US9896072B2 (en) Brake device and use of a direction control valve in a brake device
KR101597770B1 (ko) 언덕길 밀림 방지 장치
KR102382100B1 (ko) 차량용 abs 제동 장치
JPH06206534A (ja) 液圧ブレーキ装置
ATE370870T1 (de) Hydraulische anhängerbremseinrichtung
US20180015873A1 (en)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Vehicle Stop Light
JP2020142714A (ja) 車両用制動力制御装置
KR101415210B1 (ko) 유압 제동시스템
MXPA06007362A (es) Temporizacion de liberacion de freno optimizada usando una valvula de liberacion rapida.
US6655751B2 (en)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hydraulic brake system
KR101796672B1 (ko) 완해 불량 방지 밸브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용 제동장치
CN105799681A (zh) 用于车辆的制动系统的液压总成、用于车辆的制动系统以及用于运行车辆的制动系统的方法
KR101535031B1 (ko) 관성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