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430B1 -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430B1
KR101597430B1 KR1020140064675A KR20140064675A KR101597430B1 KR 101597430 B1 KR101597430 B1 KR 101597430B1 KR 1020140064675 A KR1020140064675 A KR 1020140064675A KR 20140064675 A KR20140064675 A KR 20140064675A KR 101597430 B1 KR101597430 B1 KR 101597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pair
skirts
spr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6933A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430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물을 하부로 전달하는 슈트, 상기 슈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물을 전달받아 이송하는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와 연결된 리턴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하부 벨트 컨베이어, 상기 슈트 하부에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슈트로부터의 이송물을 상기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로 안내하는 한 쌍의 직선 스커트, 및 한 쌍의 상기 직선 스커트 내측으로 형성되어, 좌측 이동 또는 우측 이동하며 상기 이송물의 낙하방향을 조절하는 한 쌍의 보조 스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송장치{CONEVEYER APPARATUS}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 또는 원료는 이송 할 때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수송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다수개의 슈트와 벨트 컨베이어를 통과하여 하부공정으로 이송된다.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부벨트 컨베이어 수송물이 슈트를 통과하여 하부벨트 컨베이어에 안착 될 때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부위에 실리지 않고 일측으로 실려 편적현상이 발생하여 사행된 벨트 컨베이어가 슈트의 측면이나 기타 설비와 간섭되어 벨트 사이드부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수평 벨트 컨베이어는 빈이나 정량을 적출할 경우 쓰이는 벨트로서 회전속도가 저속으로 많은 양을 보내는 것이 특징인데 손상된 벨트가 폭이 좁아진 상태로 진행을 할 경우 수송물의 수분함유 상태나 균일하지 않은 수송물의 양의 변화에도 사행 폭이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벨트 측면부가 직선 스커트의 내측으로 들어오거나 반대편 측이 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낙광발생 및 벨트손상 부위가 커지게 된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0075276호(2006.07.04 공개, 벨트 컨베이어 슈트)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슈트를 통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물을 이송시, 슈트의 직선 스커트 내측에 보조 스커트를 설치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 상의 이송물의 편적으로 인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물을 하부로 전달하는 슈트, 상기 슈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물을 전달받아 이송하는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와 연결된 리턴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하부 벨트 컨베이어, 상기 슈트 하부에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슈트로부터의 이송물을 상기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로 안내하는 한 쌍의 직선 스커트, 및 한 쌍의 상기 직선 스커트 내측으로 형성되어, 좌측 이동 또는 우측 이동하며 상기 이송물의 낙하방향을 조절하는 한 쌍의 보조 스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한 쌍의 상기 보조 스커트는,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좌측 사행 이동 또는 우측 사행 이동에 따라 좌측 이동 또는 우측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 한 쌍의 상기 직선 스커트를 관통하되, 한 쌍의 상기 직선 스커트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보조 스커트를 관통하되, 한 쌍의 상기 보조 스커트에 고정결합되는 제1 가이드봉, 상기 제1 가이드봉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스프링 지지부, 상기 제1 가이드봉이 삽입되고, 상기 직선 스커트와 상기 제1 스프링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봉의 좌우 이동에 따라 길이가 신축가능한 제1 스프링, 상기 제1 가이드봉의 타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지지봉, 상기 제1 가이드봉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직선 스커트를 관통하되, 한 쌍의 상기 직선 스커트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보조 스커트를 관통하되, 한 쌍의 상기 보조 스커트에 고정결합되는 제2 가이드봉, 상기 제 2 가이드봉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스프링 지지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 스프링 지지부, 상기 제2 가이드봉이 삽입되고, 상기 직선 스커트와 상기 제2 스프링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봉의 좌우 이동에 따라 길이가 신축가능한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2 가이드봉의 타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부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지지봉이 삽입되고,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이동을 보조하는 사이드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직선 스커트와 상기 제1 지지봉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봉의 좌우 이동을 보조하는 쉬브(shea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광으로부터 상기 제1 스프링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스프링을 커버하는 스프링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슈트를 통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물을 이송시, 슈트의 직선 스커트 내측에 보조 스커트를 설치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 상의 이송물의 편적으로 인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이송물이 낙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가 슈트 내부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보조 스커트가 이동하기 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보조 스커트가 우측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이송물이 낙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가 슈트 내부로 말려 올라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슈트를 통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이송물의 편적에 의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가 한쪽으로 쏠리거나, 슈트 내부에서 말려 감김으로써, 이송물의 낙광이나 설비의 손상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하부 벨트 컨베이어는 상부에 이송물을 적재하여 이송물을 목적하는 곳으로 이송시키는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와, 목적물의 이송을 마친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가 새로운 이송물을 적재하기 위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리턴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게 된다.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의 한쪽으로 치우침에 따라 리턴 벨트 컨베이어 또한 한 쪽으로 치우치거나 설비에 말라 감길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슈트(100), 하부 벨트 컨베이어(200), 한 쌍의 직선 스커트(300), 한 쌍의 보조 스커트(400)를 포함한다.
슈트(100)는 상부로부터 전달된 이송물을 하부 벨트 컨베이어(200)로 이송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부 벨트 컨베이어(200)는 슈트(100) 하부에 배치되고,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와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를 포함한다.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의 상부에는 슈트(100)로부터 전달된 이송물이 적재되어 목적하는 곳으로 이송된다. 이송물의 이송을 마친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는 새로운 이송물의 적재와 이송을 위하여 원위치에 복귀하게 되고, 이를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라 한다.
한 쌍의 직선 스커트(300)는 슈트(100) 하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이송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 상에 잘 적재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한 쌍의 직선 스커트(300)에도 불구하고,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 상에 이송물의 편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송물의 편적은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와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를 한쪽으로 치우치게 하여 사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한 쌍의 직선 스커트(300) 내측으로 한 쌍의 보조 스커트(400)를 더 포함한다. 한 쌍의 보조 스커트(400)는 함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며 이송물의 낙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보조 스커트(400)는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의 좌측 사행 이동에 따라 좌측 이동하고, 우측 사행 이동에 따라 우측 이동할 수 있다. 즉,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가 좌측 사행 이동함은,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 상에서 우측에 이송물이 편적됨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보조 스커트(40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한 쌍의 보조 스커트(400) 중 우측에 있는 보조 스커트(400)가 이송물을 우측에서 중앙으로 이동시켜 이송물의 우측 편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가 우측 사행 이동함은,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 상에서 좌측에 이송물이 편적됨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보조 스커트(40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한 쌍의 보조 스커트(400) 중 좌측에 있는 보조 스커트(400)가 이송물을 좌측에서 중앙으로 이동시켜 이송물의 좌측 편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보조 스커트(400)가 이동하기 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보조 스커트(400)가 우측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의 우측 사행에 따라, 한 쌍의 보조 스커트(40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로 낙하하는 이송물을 우측으로 조정하여 편적을 줄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제1 가이드봉(500), 제1 스프링 지지부(701), 제1 스프링(700), 제1 지지봉(600), 제2 가이드봉(501), 제2 스프링 지지부, 제2 스프링, 및 제2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봉(500)은 한 쌍의 직선 스커트(3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직선 스커트(300) 내부를 통과하고, 한 쌍의 스커트 각각의 면을 관통하게 된다. 또한, 제1 가이드봉(500)은 직선 스커트(300)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 가이드봉(500)은 한 쌍의 직선 스커트(300)를 관통한 상태에서 좌측 이동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가이드봉(500)은 직선 스커트(300) 내측에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보조 스커트(400)도 관통하게 된다. 이때, 직선 스커트(300)와 보조 스커트(400)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보조 스커트(400)의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스프링 지지부(701)는 제1 가이드봉(50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제1 스프링 지지부(701)에는 제1 스프링(700)이 결합된다. 제1 스프링(700)에는 제1 가이드봉(500)이 삽입되고, 직선 스커트(300)와 제1 스프링 지지부(701) 사이에 형성되어, 제1 가이드봉(500)의 좌우 이동에 따라 길이가 신축가능하다. 예를들어, 제1 가이드봉(500)의 좌측 단부에 제1 스프링 지지부(701) 및 제1 스프링(700)이 형성되고, 제1 가이드봉(500)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스프링(700)은 수축하게 되어,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이후 외부의 힘이 제거되면, 제1 스프링(7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 길이로 복귀하게 된다.
제1 지지봉(600)은 제1 가이드봉(500)의 타단부, 즉 제1 스프링(700)이 형성된 단부의 반대편 단부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의 일측에 결합하게 된다. 제1 지지봉(600)이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의 일측에 결합되어,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사행시, 제1 지지봉(600) 또한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지지봉(600)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제1 가이드봉(500)도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 상에서 이송물의 좌측 편적이 발생하게 되면,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와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가 우측으로 사행하게 된다.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가 우측으로 사행시,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에 결합된 제1 지지봉(600)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지지봉(600)의 우측 이동에 따라 제1 가이드봉(500)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봉(500)에 고정결합된 보조 스커트(400) 또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낙하하는 이송물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의 편적을 줄이게 된다.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의 좌측 편적이 줄어들게 되면,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210)의 우측 사행이 감소하게 되고,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 또한 우측 사행이 줄어들게 된다.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의 우측 사행이 감소하게 되면, 제1 가이드봉(500)을 우측으로 당기는 힘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제1 스프링(700)이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제1 가이드봉(50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 또한 좌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제2 가이드봉(501)은 제1 가이드봉(500)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스프링, 제2 스프링 지지부, 및 제2 지지봉은 제1 스프링(700), 제1 스프링 지지부(701), 및 제1 지지봉(600)과 반대편에 형성되고, 작용은 상술한 제1 가이드봉(500), 제1 스프링(700), 제1 스프링 지지부(701), 및 제1 지지봉(600)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 롤러(202) 및 하부 가이드 롤러(2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롤러(202) 및 하부 가이드 롤러(201)는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가 좌측 이동 또는 우측 이동시 탈선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운행을 돕는다.
또한, 제1 지지봉(600)이 삽입되고,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의 측부에 결합되어,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의 이동을 보조하는 사이드 가이드 롤러(203)를 더 포함한다. 사이드 가이드 롤러(203)는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가 우측으로 이동하더라도,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가 제1 지지봉(600)에 직접 닿지 않고, 롤러에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을 감소시켜 리턴 벨트 컨베이어(220)의 이동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쉬브는 직선 스커트(300)와 제1 지지봉(600) 사이에 형성되어, 제1 가이드봉(500)의 부드러운 좌우 이동을 보조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낙관으로부터 제1 스프링(700)을 보조하기 위하여 제1 스프링(700)을 커버하는 스크링 커버부(7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링 커버부(702)는 제1 스프링(700)을 완전히 커버함으로써, 낙광이나 분진 등에 의하여 스프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벨트 사행시 반대편의 벨트 폭이 좁아 질 때, 상부에서 낙하하여 컨베이어 상에서 이동하는 이송물을 반대편으로 이동시켜 사행을 조정함으로서 사행시 발생하는 벨트손상을 방지하고 낙광 및 분진비산을 방지하며 틈새를 제거함으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M: 이송물
10: 슈트
20: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
30: 리턴 벨트 컨베이어
100: 슈트
200: 하부 벨트 컨베이어
201: 하부 가이드 롤러
202: 상부 가이드 롤러
203: 사이드 가이드 롤러
210: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
220: 리턴 벨트 컨베이어
300: 직선 스커트
400: 보조 스커트
500: 제1 가이드봉
501: 제2 가이드봉
600: 제1 지지봉
700: 제1 스프링
701: 제1 스프링 지지부
702: 스프링 커버부

Claims (7)

  1. 이송물을 하부로 전달하는 슈트;
    상기 슈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물을 전달받아 이송하는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와 연결된 리턴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하부 벨트 컨베이어;
    상기 슈트 하부에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슈트로부터의 이송물을 상기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로 안내하는 한 쌍의 직선 스커트;
    한 쌍의 상기 직선 스커트 내측으로 형성되어, 좌측 이동 또는 우측 이동하며 상기 이송물의 낙하방향을 조절하는 한 쌍의 보조 스커트;
    한 쌍의 상기 직선 스커트를 관통하되, 한 쌍의 상기 직선 스커트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보조 스커트를 관통하되, 한 쌍의 상기 보조 스커트에 고정결합되는 제1 가이드봉;
    상기 제1 가이드봉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스프링 지지부;
    상기 제1 가이드봉이 삽입되고, 상기 직선 스커트와 상기 제1 스프링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봉의 좌우 이동에 따라 길이가 신축가능한 제1 스프링;
    상기 제1 가이드봉의 타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지지봉;
    상기 제1 가이드봉과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직선 스커트를 관통하되, 한 쌍의 상기 직선 스커트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상기 보조 스커트를 관통하되, 한 쌍의 상기 보조 스커트에 고정결합되는 제2 가이드봉;
    상기 제2 가이드봉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스프링 지지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 스프링 지지부;
    상기 제2 가이드봉이 삽입되고, 상기 직선 스커트와 상기 제2 스프링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봉의 좌우 이동에 따라 길이가 신축가능한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2 가이드봉의 타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지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봉과 상기 제2 지지봉은,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좌측 사행 이동 또는 우측 사행 이동에 따라 좌측 이동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지지봉에 고정결합된 상기 제1 가이드봉과 상기 제2 지지봉에 고정결합된 상기 제2 가이드봉은,
    상기 제1 지지봉과 상기 제2 지지봉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되고,
    상기 보조 스커트는,
    상기 제1 가이드봉과 상기 제2 가이드봉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이송물을 상기 캐리어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이 감소되면, 상기 제1 스프링과 상기 제2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 롤러 및 하부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봉이 삽입되고,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턴 벨트 컨베이어의 이동을 보조하는 사이드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스커트와 상기 제1 지지봉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봉의 좌우 이동을 보조하는 쉬브(sheave)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낙광으로부터 상기 제1 스프링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스프링을 커버하는 스프링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20140064675A 2014-05-28 2014-05-28 이송장치 KR101597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675A KR101597430B1 (ko) 2014-05-28 2014-05-28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675A KR101597430B1 (ko) 2014-05-28 2014-05-28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933A KR20150136933A (ko) 2015-12-08
KR101597430B1 true KR101597430B1 (ko) 2016-02-24

Family

ID=5487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675A KR101597430B1 (ko) 2014-05-28 2014-05-28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585B1 (ko) * 2016-08-29 2019-03-0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수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744B1 (ko) * 2011-10-28 2013-08-09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367299B1 (ko) * 2012-04-26 2014-03-03 주식회사 포스코 사행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행 방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565A (ko) * 2011-10-28 2013-05-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744B1 (ko) * 2011-10-28 2013-08-09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367299B1 (ko) * 2012-04-26 2014-03-03 주식회사 포스코 사행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행 방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585B1 (ko) * 2016-08-29 2019-03-0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수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933A (ko) 201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015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200008789A (ko) 벨트컨베이어
KR101597430B1 (ko) 이송장치
JP5616938B2 (ja) 搬送物の搬送装置
ITMI941885A1 (it) Apparecchiatura per far confluire prodotti provenienti da corsie multiple
KR101938065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675671B1 (ko) 트리퍼카의 이송벨트용 가압장치
US20200231388A1 (en) Logistics trolley and production line using the same
JP6499108B2 (ja) 移載装置
KR101504970B1 (ko) 운송장치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2057775B1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 장치
KR101606983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WO2016048977A4 (en) Pallet handling apparatus for removing pallets from carriers
KR101498892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20130002409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581545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1481017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이송물 보정장치
JP6256826B2 (ja) 容器単列化装置
KR101277537B1 (ko) 벨트 사행 방지장치
KR1019193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조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방법
KR101597428B1 (ko) 이송장치
JP2016124675A (ja) 仕分けシステム、仕分け方法及びガイドユニット
KR101299842B1 (ko) 컨베이어 벨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컨베이어 벨트용 롤러조립체
KR101569631B1 (ko) 이동차 전력 공급 케이블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