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585B1 - 원료 수송장치 - Google Patents

원료 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585B1
KR101955585B1 KR1020160109764A KR20160109764A KR101955585B1 KR 101955585 B1 KR101955585 B1 KR 101955585B1 KR 1020160109764 A KR1020160109764 A KR 1020160109764A KR 20160109764 A KR20160109764 A KR 20160109764A KR 101955585 B1 KR101955585 B1 KR 101955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actuating
width direction
raw materi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138A (ko
Inventor
이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0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5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54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 경로에 교차하여 배치되고, 원료가 통과될 수 있으며 위치별 원료 이송량에 의해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영역들을 구비하는 분배부를 포함하고, 위치별 원료 이송량에 따라 원료가 통과 중인 영역의 출구 너비를 조절하면서 원료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원료 수송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원료 수송장치{Raw material transpor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원료 수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별 원료 이송량에 따라 원료가 통과 중인 영역의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원료 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원료탄(coal)은 산지에서 채탄된 후 배에 선적되어 항만으로 수입되고, 언로더(loader)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로 불출되어 야드(yard)로 이송되고, 스태커(stacker)에 의하여 탄종별로 적치된다. 이때, 산지에서 채탄되어 별도 가공 없이 그대로 야적된 원료탄은 코크스(coke) 제조용으로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고로에서 요구하는 품질의 코크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코크스 오븐(coke oven)에 코크스 제조에 적합한 원료탄을 공급해야 한다. 예컨대 원료탄은 적정 수준으로 파쇄된 후 탄종별로 배합되어 코크스 오븐에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탄종별로 야적된 원료탄은 리클레이머(reclaimer)에 의해 불출되어 저장조에 저장되었다가 파쇄기에 장입되어 균일하게 파쇄된 후 배합조에 저장된다. 이후, 원료탄은 코크스 제조 공정 시 정해진 배합비에 따라 탄종별로 배합된 후 코크스 오븐에 공급되어 코크스로 제조된다.
한편, 저장조에서 파쇄기로 원료탄을 장입할 때, 진동 피더, 장입 슈트 또는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는데, 그중에 진동 피더는 원료탄에 수분이 과도하게 함유되는 경우 부착탄이 다량 발생할 수 있고, 장입 슈트는 장입 슈트의 입구와 출구 간 낙차 때문에 원료탄이 편석되어 파쇄기에 입조될 수 있다.
그러나 벨트 컨베이어의 경우 진동 피더 및 장입 슈트에서의 상술한 문제점들의 발생이 방지되기 때문에 보다 균일한 입조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의 경우에도 저장조에서 벨트 컨베이어로 적재 시 원료탄이 편중될 수 있기 때문에, 파쇄기로 원료탄을 원하는 만큼 균일하게 입조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3에 게재되어 있다.
KR 10-2006-0073873 A KR 10-2010-0098035 A KR 10-2016-0034758 A
본 발명은 원료의 이송 시 위치별 원료 이송량에 따라 원료가 통과 중인 영역들의 입구 너비 및 출구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는 원료 수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료의 이송 시 원료가 통과 중인 영역들 간의 입구 너비 및 출구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영역에 따라 상대적으로 조절 가능한 원료 수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편중 적재된 원료를 이송 중에 고르게 분산시켜 파쇄기에 장입할 수 있는 원료 수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료를 균일하게 파쇄한 후 후속 설비로 이송할 수 있는 원료 수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료 수송장치는,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 경로에 교차하여 배치되고, 원료가 통과될 수 있으며 위치별 원료 이송량에 의해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영역들을 구비하는 분배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부는 탄성력 및 원료 이송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영역들의 입구 너비 및 출구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영역들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두 개의 영역이 하나의 쌍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부 상에 폭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두 개의 영역 중 일 영역의 출구 너비 증감과 타 영역의 출구 너비 증감이 반비례하도록 상기 영역들의 출구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배부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송부 상에 배치되는 지지판들; 상기 지지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판; 및 상기 지지판들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작동판을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작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들은 적어도 세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작동판은 상기 지지판들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는, 상기 작동판들 각각의 폭 방향의 이동 또는 회전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작동축에 각각 마련되는 탄성부재; 및 작동판을 중심으로 탄성부재의 반대측에서 작동축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역들은 상기 지지판들과 작동판들 중 서로 인접하는 지지판과 작동판에 의하여 구분되는 상기 이송부 상의 공간들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작동판들의 이동 또는 회전에 의해, 상기 영역들의 출구 너비가 상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들과 작동판들은 각각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들은 상기 이송부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 및 폭 방향의 중심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판들 각각은 길이 방향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작동축을 따라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작동판들 각각은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판들은 상기 지지판들 중 상기 작동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지지판을 중심으로 대칭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축은, 상기 지지판들 및 작동판들 각각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작동축; 및 상기 지지판들 및 작동판들 각각의 길이 방향의 타 단부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작동판들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작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판들 각각의 길이 방향의 타 단부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상기 영역들의 출구 너비가 상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는, 상기 이송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된 지지판들과 상기 이송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된 지지판들을 마주보는 각각의 작동판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작동축에 각각 마련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작동판들 각각을 중심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들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1작동축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작동판들 각각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부는, 상기 이송부의 중심부에 배치된 지지판과 상기 작동판들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제2작동축에 각각 마련되는 제2탄성부재; 상기 작동판들 각각을 중심으로 상기 제2탄성부재들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2작동축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작동판들 각각의 길이 방향의 타 단부에 접촉 가능한 제2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판들과 지지판들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들이 각각 폭 방향으로 동일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1스토퍼의 장착 위치가 정해질 수 있고, 상기 작동판들 각각의 길이 방향의 타 단부가 상기 이송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배치된 지지판보다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된 지지판들에 상대적으로 가깝도록 상기 제2스토퍼의 장착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내부에 원료가 장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용기의 개방된 일측에 연계되도록 마련되고, 원료 장입위치로 연장되어 상기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원료 장입위치에는 파쇄기가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 벨트에 상기 분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의 하측에 이격되어 상기 이송부에 접촉되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는, 상기 영역들의 하측에 이격되어, 상기 상부 벨트의 하면에 접촉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캠; 상기 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캠 축; 및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지지롤과 상기 캠 축을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판들의 슬라이드에 연계하여 상기 이송부 상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부는, 상기 제1작동축에서 제2작동축 측으로 이격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작동판들과 지지판들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3작동축; 상기 제3작동축을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분산부재; 상기 작동판들의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분산부재들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분산부재들를 지지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송부에 의한 원료의 이송 시, 위치별 원료 이송량에 따라 원료가 통과 중인 영역들의 입구 너비 및 출구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원료가 통과 중인 영역들 간의 입구 너비 및 출구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영역에 따라 상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로부터 폭 방향으로 편중되어 이송부에 적재되는 원료를 이송 중에 고르게 분산시키며 이송하여, 이송부의 원료 장입위치에 마련된 파쇄기에 균일하게 장입할 수 있다. 파쇄기에 장입된 원료는 균일하게 파쇄되어 후속 설비로 이송될 수 있다.
예컨대 제철소의 원료탄 파쇄 조업에 적용되는 경우, 저장조에서 벨트 컨베이어로 원료탄을 적재할 때 폭 방향으로 편중되어 적재되더라도, 원료가 통과 중인 벨트 컨베이어 상의 영역들 각각의 출구 너비를 위치별 원료 이송량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함과 함께 인접 영역들 간의 출구 너비를 상대적으로 조절하여, 벨트 컨베이어에 폭 방향으로 편중 적재된 원료탄을 이송 중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벨트 컨베이어에 연계된 파쇄기에 원료탄을 균일하게 장입할 수 있다. 이후, 원료탄은 파쇄기에서 균일하게 파쇄되어 코크스오븐 설비에 마련된 배합조에 이송될 수 있다. 이처럼 편중 적재된 원료탄을 이송 중 균일하게 분산시켜 파쇄기에 균일하게 장입할 수 있기 때문에, 파쇄기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이와 관련된 비용을 절감하여 원가 절감에 기여할 수 있고, 원료탄 파쇄 조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이후 조업인 코크스 제조 시 코크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여러 실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수송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의 부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의 초기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의 제1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의 제2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의 제3작동 상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부의 개략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분배부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원료의 이송 시 이송 경로 상의 폭 방향 위치별 원료 이송량에 따라 원료가 통과 중인 영역들의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원료 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원료탄 파쇄 조업을 기준으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각종 원료를 이송하여 원하는 설비에 낙하시키며 장입하도록 마련된 여러 산업 분야의 각종 이송장치나 장입장치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이송물을 원하는 위치까지 운반하는 운송설비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수송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수송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수송장치는,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이송부(200), 및 이송 경로에 교차하여 배치되고, 이송물 예컨대 원료(C)가 통과될 수 있으며, 위치별 원료 이송량에 의해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영역들을 구비하는 분배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원료 수송장치는, 내부에 원료(C)가 장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용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부(200)는 용기(100)의 개방된 일측에 연계되도록 마련되고, 원료 장입위치로 연장되어 상술한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원료 수송장치는 하기의 원료(C) 외에 다양한 이송물을 운반하는 것에 활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이송물은 용기(100)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이송부(200)에 불출되거나, 슈트나 리클레이머 등을 포함하는 별도의 불출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이송부(200) 상에 불출될 수 있다.
원료(C)는 제철소에서 코크스(coke)의 원료로 사용되는 원료탄(coal)을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수십㎜의 입도를 가질 수 있고, 탄종별로 조탄 비율 및 파쇄특징이 다를 수 있다. 원료(C)는 야드에 탄종별로 야적되었다가 리클레이머(미도시)에 의해 불출되어 용기(100)로 장입될 수 있다.
용기(100)는 예컨대 원료(C)가 임시 저장되는 저장조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0)는 내부에 원료(C)가 장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어 절출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절출구(110)에는 절출 게이트(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절출 게이트는 예컨대 판 형상의 게이트일 수 있고, 이의 작동 방식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송부(200)는 예컨대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절출구(110)에 연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200)는 원료 장입위치로 연장되어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송부(200)는 절출구(110)의 하측에 길이 방향(X)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구동롤 및 복수개의 구동롤에 장착되어 길이 방향(X)으로 주행되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벨트는 오픈 벨트 방식으로 구동롤에 지지될 수 있으며, 구동롤의 외주면 상부에 지지되는 상부 벨트(210), 구동롤의 외주면 하부에 지지되는 하부 벨트(220)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벨트(210)의 상부면을 따라 이송 경로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부 벨트(210)의 길이 방향(X)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원료 장입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상부 벨트(210)의 길이 방향(X)의 중심부에 용기(100)가 배치될 수 있고, 길이 방향(X)의 중심부에서 양측 가장자리부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분배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벨트(210)의 길이 방향(X)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원료 장입위치에는 각각 파쇄기(400)가 배치되어 상부 벨트(210)에 연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부 벨트(210)의 길이 방향(X)의 중심부에서 일측 가장자리부 또는 타측 가장자리부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분배부(300)가 하나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부 벨트(210)의 길이 방향(X)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용기(100)가 배치되면, 상부 벨트(210)의 길이 방향(X)의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타측 가장자리부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분배부(300)가 배치되고, 상부 벨트(210)의 길이 방향(X)의 타측 가장자리부에 파쇄기(40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원료(C)는 상부 벨트(210)의 상부면에 적재되고, 이송 경로를 따라 상부 벨트(210)의 길이 방향(X)의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의 원료 장입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원료(C)는 상부 벨트(210)에 편중되어 적재될 수 있으나, 분배부(300)를 통과하면서 폭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분배부(300)는 상부 벨트(210)의 상부면을 따라 형성된 이송 경로에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분배부(300)는 원료(C)가 통과될 수 있으며 이송 경로 상의 폭 방향의 위치별 원료 이송량에 의해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너비를 조절 가능한 영역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영역들은 폭 방향으로 배열된 두 개의 영역이 하나의 쌍을 이루도록 이송부(200) 상에 폭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 배열될 수 있다. 분배부(300)는 탄성력 및 원료 이송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영역들의 입구 너비 및 출구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고,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영역 중 일 영역의 출구 너비 증감과 타 영역의 출구 너비 증감이 반비례하도록 상기 영역들의 출구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
분배부(300)는 상기 영역들을 이용하여 이송 중인 원료(C)가 폭 방향으로 편중되어 적재되더라도 이를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이송부(200)는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된 원료(C)를 원료 장입위치까지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이송부(200)와 분배부(300)는 원료(C)를 원료 장입위치까지 이송하여 하기의 파쇄기(400)에 장입시키는 장입장치(charging apparatus)의 역할을 한다.
파쇄기(400)는 원료 장입위치에 배치되어 이송부(200)에 연계될 수 있다. 파쇄기(400)는 내부에 반발판 및 해머가 구비되고, 내부로 낙하 장입되는 원료(C)를 해머와 반발판으로 타격하여 예컨대 수㎜의 입도로 균일하게 파쇄할 수 있다. 파쇄기(400)의 하측에는 제2이송부(500)가 설치될 수 있고, 균일하게 파쇄된 원료(C)는 제2이송부(500)에 적재되어 후속 설비 예컨대 코크스 오븐 설비에 마련된 배합조에 이송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의 세부 구성부를 도시한 부분도이다.
이때, 도 4의 (a)는 분배부의 제2작동축을 도시한 부분도이고, (b)는 분배부의 제1작동축을 도시한 부분도이다. 또한, 도 4의 (c)는 분배부의 제1고정부재를 도시한 부분도이며, (d)는 분배부의 제1지지부재를 도시한 부분도이다. 또한, 도 4의 (e)는 분배부의 제2고정부재를 도시한 부분도이고, (f)는 분배부의 제2지지부재를 도시한 부분도이며, (g)는 분배부의 스토퍼를 도시한 부분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수송장치의 분배부를 설명한다. 분배부(300)는, 폭 방향(Y)으로 이격되어 이송부의 상부 벨트(210) 상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판(310)들, 지지판(310)들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판(320), 지지판(310)들을 폭 방향(Y)으로 관통하여 장착되고, 작동판(320)을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작동축(330), 및 작동판(320)의 폭 방향의 이동 또는 회전을 탄성 지지하도록 작동축(330)에 마련되는 탄성부재(340) 예컨대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작동판(320)을 중심으로 탄성부재(340)의 반대측에서 작동축(330)에 장착되는 스토퍼(350) 예컨대 고정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판(310)들은 상부 벨트(210) 상의 적어도 세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작동판(320)은 지지판(410)들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축(330)은 작동판(320)들을 각각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탄성부재(340)는 작동판(320)들 각각의 폭 방향의 이동 또는 회전을 탄성 지지하도록 작동축(330)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스토퍼(350)는 탄성부재(340) 각각에 대응하여 작동축(330)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분배부(300)에 구비되는 영역들은 지지판(310)들과 작동판(320)들 중 서로 인접하는 지지판과 작동판에 의해 구분되는 상부 벨트(210) 상의 공간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고, 작동판(320)들의 이동 또는 회전에 의해 상술한 영역들의 출구 너비가 상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지지판(310)들은 각각 길이 방향(X) 및 높이 방향(Z)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폭 방향(Y)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판(310)들은 상부 벨트(210)의 폭 방향(Y)의 양측 가장자리부 및 폭 방향(Y)의 중심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벨트(210)의 폭 방향(Y)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지지판(310)을 제1지지판(311)이라 지칭하고, 상부 벨트(210)의 폭 방향(Y)의 중심부에 배치된 지지판(310)을 제2지지판(312)이라 지칭하며, 상부 벨트(210)의 폭 방향(Y)의 타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되는 지지판(310)을 제3지지판(311)이라 지칭한다. 물론 제1지지판(311), 제2지지판(312) 및 제3지지판(313)을 서로 구분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지지판(310) 또는 지지판(310)들 이라 통칭한다.
이처럼 분배부(300)는 제1지지판(311), 제2지지판(312) 및 제3지지판(3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지판(310)들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상술한 바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지지판(310)들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상부 벨트(210) 상의 원하는 위치들에 원료(C)가 통과되는 영역을 각각 마련할 수 있는 개수 및 배치 위치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이송 경로를 기준으로 할 때, 지지판(310)들의 길이 방향(X)의 양 단부들 중, 후술하는 제1작동축(331)에 지지된 지지판(310)들의 일 단부들은 원료(C)가 먼저 접촉되는 단부로서 입구 단부일 수 있고, 후술하는 제2작동축(332)에 지지된 지지판(310)들의 타 단부들은 일 단부들보다 원료(C)가 나중에 접촉되는 단부로서 출구 단부일 수 있다.
작동판(320)들은 각각 길이 방향(X) 및 높이 방향(Z)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폭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어 지지판(310)들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지지판(311)과 제2지지판(312) 사이에 배치된 작동판(320)을 제1작동판(321)이라 지칭하고, 제2지지판(312)과 제3지지판(313) 사이에 배치된 작동판(320)을 제2작동판(322)이라 지칭한다. 물론 제1작동판(321)과 제2작동판(322)을 구분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작동판(320) 또는 작동판(320)들이라 통칭한다.
이처럼 분배부(300)는 제1작동판(321) 및 제2작동판(3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작동판(320)들의 개수는 지지판(310)들의 개수에 대응하며, 지지판(310)의 개수보다 하나 적을 수 있다.
작동판(320)들 각각은 길이 방향(X)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축(330)을 따라 폭 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작동판(320)들 각각의 길이 방향(X)의 타 단부가 작동축(330)을 따라 폭 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작동판(320)들 각각의 길이 방향(X)의 일 단부는 제1작동축(331)에 지지된 작동판(320)들 각각의 단부를 의미하고, 이송 경로를 기준으로, 원료(C)가 먼저 접촉되는 단부인 입구 단부일 수 있다.
또한, 작동판(320)들 각각의 길이 방향(X)의 타 단부는 제2작동축(332)에 지지된 작동판(320)들 각각의 단부를 의미하며, 이송 경로를 기준으로, 원료(C)가 일 단부보다 나중에 접촉하는 단부로서 출구 단부일 수 있다.
즉, 작동판(320)들 각각은 길이 방향(X)의 타 단부가 폭 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에 따라, 지지판(310)들 각각의 출구 단부와 작동판(320)들 각각의 출구 단부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각 영역들의 출구 너비가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작동판(320)들 각각은 길이 방향(X)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지지판(310)들 중 작동판(320)들 사이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지지판 예컨대 제2지지판(312)을 중심으로 하여 그 경사가 대칭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작동판(321)은 입구 단부가 제2지지판(312)에 가깝고 출구 단부가 제2지지판(312)에 멀도록 경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작동판(322)은 입구 단부가 제2지지판(312)에 가깝고 출구 단부가 제2지지판(312)에 멀도록 경사 배치될 수 있다. 작동판(320)들이 이처럼 경사 배치되기 때문에,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 중인 원료들이 이송 경로 상의 영역들을 각각 통과하며 작동판(320)에 소정 각도로 접촉하여 작동판(320)들을 폭 방향(Y)으로 용이하게 초기 작동시킬 수 있다. 초기 작동된 작동판(320)들은 인접 영역들 간의 원료 이송량 차이에 의해 각각의 출구 단부가 폭 방향(Y)으로 슬라이드되어 각 영역의 출구 너비가 조절될 수 있다.
작동판(320)들 각각의 길이 방향(X)의 양 단부의 상부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이때, 개구의 내경은 작동축(3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작동판(320)들 각각은 작동축(330)에 대하여 길이 방향(X) 및 높이 방향(Z)으로 소정의 유격을 가질 수 있고, 이 유격에 의해 작동판(320)들 각각의 폭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이 원활할 수 있다.
지지판(310)들은 예컨대 이송부(200)의 일측에 마련된 소정의 스탠드(미도시)나 클램프(미도시)에 의하여 이송부(200) 상에 위치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분배부(300)는 원료 이송 중에 설치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작동축(330)은 지지판(310)들 및 작동판(320)들의 길이 방향(X)의 일 단부를 폭 방향(Y)으로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작동축(331), 지지판(310)들 및 작동판(320)들의 길이 방향(X)의 타 단부를 폭 방향(Y)으로 관통하고, 작동판(320)들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작동축(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동판(320)들 각각의 길이 방향의 타 단부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원료가 통과되는 영역들의 출구 너비가 상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제1작동축(331)은 폭 방향(Y)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축부재(331a), 제2축부재(331b), 제3축부재(331c)를 포함하며, 제1축부재(331a), 제2축부재(331b) 및 제3축부재(331c)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축부재(331a)는 제1지지판(311)에 장착될 수 있고, 제1작동판(321)을 관통할 수 있다. 제2축부재(331b)는 제2지지판(312)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제3축부재(331c)는 제3지지판(313)에 장착될 수 있고, 제2작동판(322)을 관통할 수 있다. 한편, 제1작동축(331)은 상기 구조 외에도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작동축(332)은 폭 방향(Y)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4축부재(332a), 제5축부재(332b), 제6축부재(332c)를 포함하며, 제4축부재(332a), 제5축부재(332b) 및 제6축부재(332c)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4축부재(332a)는 제1지지판(311)에 장착될 수 있고, 제1작동판(321)을 관통할 수 있다. 제5축부재(332b)는 제2지지판(312)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제6축부재(332c)는 제3지지판(313)에 장착될 수 있고, 제2작동판(322)을 관통할 수 있다. 한편, 제2작동축(332)은 상기 구조 외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분배부(300)는 상부 벨트(210)의 폭 방향(Y)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된 지지판들과 상부 벨트(210)의 폭 방향(Y)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된 지지판들을 마주보는 각각의 작동판을 연결하도록 제1작동축(331)에 각각 마련되는 제1탄성부재(341), 작동판(320)들 각각을 중심으로 하여 제1탄성부재(341)들의 반대측에서 제1작동축(331)에 각각 장착되어 작동판(320)들 각각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를 접촉 지지하는 제1스토퍼(3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탄성부재(341)는 제1지지판(311)과 제1작동판(321)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1작동축(331)의 외주면에 지지될 수 있고, 또한, 제2작동판(321)과 제3지지판(313)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1작동축(331)의 외주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351)는 제1작동판(321)을 중심으로 제1지지판(311)의 반대측에서 제1작동판(321)에 접하도록 제1작동축(33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2작동판(322)을 중심으로 제3지지판(313)의 반대측에서 제2작동판(322)에 접하도록 제1작동축(33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스토퍼(351)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내벽에 나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제2축부재(331b)의 폭 방향(Y)의 양 단부에 제1스토퍼(351)가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면(331d)이 각각 형성될 수 있어, 제1스토퍼(351)가 제1작동축(331)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탄성부재(341) 및 제1스토퍼(351)는 작동판(320)들의 출구 단부가 폭 방향(Y)으로 슬라이드되는 동안 작동판(320)들의 입구 단부를 탄성 지지하면서 작동판(320)들의 입구 단부의 폭 방향(Y)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제1탄성부재(341)들은 작동판(320)들의 입구 단부가 폭 방향(Y)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각각 슬라이드하는 것을 탄성 지지하고, 제1스토퍼(351)들은 작동판(320)들의 입구 단부가 폭 방향(Y)의 중심부를 향하여 슬라이드하는 것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분배부(300)는 상부 벨트(210)의 폭 방향(Y)의 중심부에 배치된 지지판과 작동판(320)들을 각각 연결하도록 제2작동축(332)에 마련되는 제2탄성부재(342), 작동판(320)들 각각을 중심으로 제2탄성부재(342)들의 반대측에서 제2작동축(332)에 각각 장착되어 작동판(320)들 각각의 길이 방향(X)의 타 단부에 접촉 가능한 제2스토퍼(3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탄성부재(342)는 제1작동판(321)과 제2지지판(312)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2작동축(332)의 외주면에 지지될 수 있고, 또한, 제2지지판(312)과 제2작동판(322)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2작동축(332)의 외주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스토퍼(352)는 제1작동판(321)을 중심으로 제2지지판(312)의 반대측에서 제1작동판(321)에 접하도록 제2작동축(332)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2작동판(322)을 중심으로 제2지지판(312)의 반대측에서 제2작동판(322)에 접하도록 제2작동축(332)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스토퍼(352)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내벽에 나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제4축부재(332a)의 폭 방향(Y)의 중심부와 제6축부재(332c)의 폭 방향(Y)의 중심부에 각각 제2스토퍼(352)가 결합 가능한 나사면(332d)이 형성될 수 있어, 제2스토퍼(352)가 제2작동축(332)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제2탄성부재(342) 및 제2스토퍼(352)는 작동판(320)들의 출구 단부가 작동판(320)들의 입구 단부를 중심으로 폭 방향(Y)으로 슬라이드되며 회전되는 동안 작동판(320)들의 출구 단부를 탄성 지지하면서 작동판(320)들의 출구 단부의 폭 방향(Y) 움직임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제2탄성부재(342)들은 작동판(320)들의 출구 단부가 폭 방향(Y)의 중심부를 향하여 각각 슬라이드하는 것을 탄성 지지하고, 제2스토프(352)들은 작동판(320)들의 출구 단부가 폭 방향(Y)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슬라이드 하는 것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스토퍼(351)들의 장착 위치는 작동판(310)들과 지지판(320)들의 길이 방향(X)의 일 단부들이 각각 폭 방향(Y)으로 동일 간격 이격되도록 장착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제2스토퍼(352)들의 장착 위치는 작동판(320)들 각각의 길이 방향(X)의 타 단부가 상부 벨트(210)의 폭 방향(Y)의 중심부에 배치된 제2지지판(312)보다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된 제1지지판(311) 및 제3지지판(313)에 각각 상대적으로 가깝도록 그 장착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분배부(300)는 복수개의 고정부재 및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제1고정부재(361), 제2고정부재(3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는 제1지지부재(363), 제2지지부재(3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61)는 제5축부재(332b)와 제2지지판(312)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61)는 웰딩 넥(welding neck)을 가진 고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지지판(312)에 접하는 제5축부재(332b) 중심부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제2지지판(312)의 양면에 볼팅(bolting)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362)는 예컨대 링 형상의 고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작동축(331)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제1지지판(311)과 제3지지판(313)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제2작동축(332)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제1지지판(311)과 제3지지판(313)에 각각 볼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부재(362)는 제1작동축(331)의 폭 방향(Y)의 중심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제2지지판(312)의 양면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고정부재(361) 및 제2고정부재(362)는 작동축(330)과 지지판(310)들의 결합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데, 작동판(320)들의 작동에 의해 상대적으로 힘을 더 받는 제2작동축(332)과 제2지지판(312)의 연결부분에 제1고정부재(361)을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 제2고정부재(362)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고정부재의 사용 위치는 상술한 바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363)는 예컨대 웰딩 넥(welding neck)을 가진 슬립 플랜지(slip flange)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작동축(33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되, 작동판(320)들과 제2탄성부재(342)들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지지부재(363)들 중 하나는 제1작동판(321)을 중심으로 제1지지판(311)의 반대측에서, 제1작동판(321)과 제1작동판(321)에 접하는 제2탄성부재(34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363)들 중 다른 하나는 제2작동판(322)을 중심으로 하여 제3지지판(313)의 반대측에서, 제2작동판(322)과 제2작동판(322)에 접하는 제2탄성부재(34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364)는 예컨대 링 형상의 슬립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작동축(331)에 삽입되어 폭 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되, 작동판(320)들과 제1탄성부재(341)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지지부재(364)들 중 하나는 제1작동판(322)을 중심으로 제2지지판(312)의 반대측에서 제1작동판(321)과 제1작동판(321)에 접하는 제1탄성부재(34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364)들 중 다른 하나는 제2작동판(322)을 중심으로 하여 제2지지판(312)의 반대측에서 제2작동판(322)과 제2작동판(322)에 접하는 제1탄성부재(34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지지부재(363)와 제2지지부재(364)는 작동판(320)들의 움직임을 각각 제1탄성부재(341)와 제2탄성부재(342)에 전달하고, 제1탄성부재(341)와 제2탄성부재(342)의 탄성력을 작동판(320)들에 각각 전달하는데, 상대적으로 힘을 더 받는 작동판(320)들의 출구 단부와 제2탄성부재(342)들의 연결부에 제1지지부재(363)을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 제2지지부재(364)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지지부재의 사용 위치는 상술한 바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의 초기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의 제1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의 제2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의 제3작동 상태도이다. 이때, 도 6, 도 7 및 도 8에서 원료의 흐름을 점선 화살표로 도시하였고, 원료 이송량의 상대적인 크기를 점선 화살표의 개수로 나타내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부의 작동을 설명한다.
원료가 이송부에 적재되기 전 상태 예컨대 초기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작동판(321) 및 제2작동판(322)의 입구 단부가 제2지지판(312) 측을 향하고, 제1작동판(321) 및 제2작동판(322)의 출구 단부가 제1지지판(311) 및 제3지지판(313) 측을 향하도록 제1작동판(321) 및 제2작동판(322)이 각각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분배부에 의하여 이송부 상의 이송 경로에는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인접하는 영역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영역들 중에, 제1지지판(311)과 제1작동판(321)에 의해 구분되는 이송부 상의 공간을 제1영역이라 하고, 제1작동판(321)과 제2지지판(312)에 의해 구분되는 이송부 상의 공간을 제2영역이라 한다. 또한, 제2지지판(312)과 제2작동판(322)에 의해 구분되는 이송부 상의 공간을 제3영역이라 하며, 제2작동판(322)과 제3지지판(313)에 의해 구분되는 이송부 상의 공간을 제4영역이라 한다.
이 경우, 제1영역의 입구 너비(d1), 제2영역의 입구 너비(d2), 제3영역의 입구 너비(d3) 및 제4영역의 입구 너비(d4)는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일치할 수 있으며, 이는 제1작동축(331)에 대한 제1스토퍼의 장착 위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의 출구 너비(d5)는 입구 너비(d1)보다 작을 수 있고, 제2영역의 출구 너비(d6)은 입구 너비(d2)보다 클 수 있고, 제3영역의 출구 너비(d7)는 입구 너비(d3)보다 클 수 있고, 제4영역의 출구 너비(d8)는 입구 너비(d4)보다 작을 수 있다. 이들의 출구 너비는 제2작동축(332)에 대한 제2스토퍼의 장착 위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송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인접하는 제2영역과 제3영역의 출구 너비가 이송부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인접하는 제1영역과 제4영역의 출구 너비에 비하여 클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각 영역들의 출구 너비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후, 원료가 용기에서 절출되어 이송부 상에 적재되고,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며 분배부에 구비된 상술한 영역들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가 이송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상대적으로 편중되는 경우, 분배부는 도 6에 도시된 제1작동 상태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제2영역과 제1영역 간의 원료 이송량 차이 및 제2탄성부재(342)의 탄성력에 의해 제1작동판(321)의 출구 단부는 이송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서 일측 가장자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에, 제1작동판(321)은 입구 단부가 이송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를 향하고 출구 단부가 이송부의 폭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향하는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영역을 통과 중인 원료는 제1작동판(321)에 의하여 폭 방향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받아 상대적으로 좁은 출구로 모이면서 이송된다. 제2영역을 통과 중인 원료는 제1작동판(321)을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출구에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이송된다.
또한, 제3영역과 제4영역 간의 원료 이송량 차이 및 제2탄성부재(342)의 탄성력에 의해 제2작동판(322)의 출구 단부는 이송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서 타측 가장자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에, 제2작동판(322)은 입구 단부가 이송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를 향하고 출구 단부가 이송부의 폭 방향의 타측 가장자리부를 향하는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3영역을 통과 중인 원료는 제2작동판(322)을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출구에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이송된다. 제4영역을 통과 중인 원료는 제2작동판(322)에 의하여 폭 방향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받아 상대적으로 좁은 출구로 모이면서 이송된다.
즉,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원료가 통과되는 영역의 출구 너비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원료가 통과되는 영역의 입구 너비보다 넓게 조절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원료가 통과되는 영역에서는, 원료가 경사진 작동판(320)에 충돌하면서 폭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받아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원료가 통과되는 영역에서, 원료가 출구 측의 넓은 공간으로 흘러내려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원료가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고, 이송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편중된 원료는 분배부의 각 영역들을 통과하면서 위치별 이송량이 폭 방향으로 균일해질 수 있다.
이때, 제2스토퍼들에 의해서 제1작동판(321)과 제2작동판(322)의 출구 단부가 각각 제2스토퍼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폭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원료가 이송부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로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원료가 이송부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원료가 용기에서 절출되어 이송부 상에 적재되고, 이송부에 의해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며 분배부에 구비된 영역들을 통과하는 중, 원료가 이송부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편중되면, 분배부는 초기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제2작동 상태로 전환되어 작동하게 된다.
제2영역과 제1영역 간의 원료 이송량 차이에 의해 제1작동판(321)의 출구 단부는 이송부의 폭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에, 제1작동판(321)은 입구 단부가 이송부의 폭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부를 향하고 출구 단부가 이송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를 향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제1영역의 출구 너비(d'5)가 상대적으로 커지고 제2영역의 출구 너비(d'6)가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제1영역을 통과 중인 원료는 제1작동판(321)을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출구에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이송된다. 제2영역을 통과 중인 원료는 제1작동판(321)에 의하여 폭 방향의 가장자리부에서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받아 상대적으로 좁은 출구로 모이면서 이송된다.
또한, 제3영역과 제4영역 간의 원료 이송량 차이에 의해 제2작동판(322)의 출구 단부는 이송부의 폭 방향의 타측 가장자리부에서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에, 제2작동판(322)은 입구 단부가 이송부의 폭 방향의 타측 가장자리부를 향하고 출구 단부가 이송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를 향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제3영역의 출구 너비(d'7)가 보다 작아지고 제4영역의 출구 너비(d'8)가 보다 커진다
제3영역을 통과 중인 원료는 제2작동판(322)에 의하여 폭 방향의 가장자리부에서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받아 상대적으로 좁은 출구로 모이면서 이송된다. 제4영역을 통과 중인 원료는 제2작동판(322)을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출구에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이송된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원료가 통과되는 영역의 출구 너비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원료가 통과되는 영역의 입구 너비보다 넓게 조절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원료가 통과되는 영역에서는, 원료가 경사진 작동판(320)에 충돌하면서 폭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받아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원료가 통과되는 영역에서, 원료가 출구 측의 넓은 공간으로 흘러내려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원료가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고, 이송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편중된 원료는 분배부의 각 영역들을 통과하면서 위치별 이송량이 폭 방향으로 균일해질 수 있다.
이때, 제2탄성부재(342)들에 의해 제1작동판(321)과 제2작동판(322)의 출구 단부가 탄성 지지되며 폭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회전됨과 함께, 소정 각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원료가 용기에서 절출되어 이송부 상에 적재되고, 이송부에 의해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며 분배부에 구비된 영역들을 통과하는 중, 원료가 이송부의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하면, 분배부는 도 8에 도시된 제3작동 상태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제2영역과 제1영역 간의 원료 이송량 차이에 대응하여, 제1작동판(321)의 출구 단부가 이송부의 폭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이 경우 제1작동판(321)과 제2작동판(322)이 지지판들과 수평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제1영역 내지 제4영역의 출구 너비(d"5, d"6, d"7, d"8)는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같을 수 있다. 원료는 각 영역을 통과하면서 폭 방향으로 균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각 영역들로 공급되는 원료의 이송량에 대응하여 각 영역들의 출구 너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원료가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어 위치별 이송량이 폭 방향으로 균일해질 수 있다.
이때, 제2탄성부재(342)들에 의해 제1작동판(321)과 제2작동판(322)의 출구 단부가 탄성 지지되며 폭 방향으로 소정 각도 안정적으로 회전됨과 함께, 소정 각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원료의 이송 시 원료의 폭 방향으로의 적재 상태는 예컨대 절출구에서의 원료 절출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고, 이 경우, 분배부는 제2탄성부재(342)의 탄성력과 각 영역들 간의 원료 이송량 차이를 이용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작동판(320)들의 자세(또는, 각도)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원료가 통과 중인 각 영역들의 출구 너비를 좁히거나 넓히며 적정 너비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작동판(320)들은 위치별 원료 이송량에 대응하여 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예컨대 폭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정지된 상태인 원료에 정지 마찰력 이상의 힘을 가하여, 원료의 폭 방향 이동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원료가 폭 방향으로 더욱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분배부를 이용하여 이송부 상의 위치별 원료 이송량에 따라 원료가 통과 중인 영역의 출구 너비를 조절하면서 원료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수송장치의 진동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수송장치는 분배부(300)의 하측에 이격되어 이송부에 접촉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는, 분배부(300)에 구비되는 영역들의 하측에 이격되어, 상부 벨트(210)의 하면에 접촉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캠(610), 캠(6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캠 축(620), 이송부 지지롤(230)의 지지축(240)과 캠 축(620)을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6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는 상부 벨트(210)의 주행에 의한 지지롤(230)의 회전을 전달받아 캠(610)을 회전시키며, 상부 벨트(210)를 상하로 진동시킬 수 있고, 이에 분배부(300)를 통과 중인 원료가 폭 방향으로 더욱 원활하게 분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수송장치는 작동판(320)들의 슬라이드에 연계하여 이송부 상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분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산부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링크와 하나 이상의 슬라이더를 가지는 링크장치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분산부는, 분배부의 제1작동축에서 제2작동축 측으로 이격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작동판들과 지지판들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3작동축, 제3작동축을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측 단부가 원료에 접촉 가능한 복수개의 분산부재, 작동판들의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분산부재들을 승강시키도록 분산부재들의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를 지지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링크부재는 예컨대 양 단부에 슬라이더가 마련되어 제3작동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심부가 분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2절 링크일 수 있다. 이 외에도 분산부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작동판들에 연계하여 분산부재를 승강시키며 이송부 상에서 이동되는 원료의 상부에 접촉할 수 있는 것을 만족하는 구조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분산부는 작동판들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원료의 상부면에 형성된 굴곡에 접촉하여 이를 평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수송장치는 하기의 변형 예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분배부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 예에서는 분배부가 더욱 간단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분배부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 개의 지지판(310), 두 개의 지지판(310) 사이에 경사 배치되는 하나의 작동판(320), 두 개의 지지판(310)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고, 지지판(310)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작동축(331)과 제2작동축(33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분배부는 작동판(320)을 중심으로 폭 방향의 일측에서 지지판(310)과 작동판(320)을 연결하도록 제1작동축(331)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제1탄성부재(341) 및 폭 방향의 타측에서 지지판(310)과 작동판(320)을 연결하도록 제2작동축(332)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제2탄성부재(3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분배부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 두 개의 영역을 한 쌍으로 구비할 수 있다. 분배부는 이송부 상에 위치하여, 제1탄성부재(341)가 위치하는 제1영역과 제2탄성부재(342)가 위치하는 제2영역 간의 원료 이송량 차이 및 제2탄성부재(34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통과 중인 원료를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제시된 구성과 방식들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 적용되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것이고, 이의 변형 예들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결국,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용기 200: 이송부
210: 상부 벨트 300: 분배부
310: 지지판 320: 작동판
330: 작동축 340: 탄성부재
350: 스토퍼 400: 파쇄기

Claims (15)

  1.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 경로에 교차하여 배치되고, 원료가 통과될 수 있으며 위치별 원료 이송량에 의해 출구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영역들을 구비하는 분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들은 폭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분배부는 서로 인접한 일 영역과 타 영역의 출구 너비 증감이 서로 반비례하도록 상기 일 영역과 타 영역의 출구 너비를 조절하고, 상기 일 영역과 타 영역의 입구 너비를 유지하는 원료 수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들의 출구 너비를 조절하는 원료 수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역들은 두 개의 영역이 하나의 쌍을 이루도록 상기 이송부 상에 폭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 배열되는 원료 수송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송부 상에 배치되는 지지판들;
    상기 지지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판; 및
    상기 지지판들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작동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작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판은 일 단부를 중심으로 타 단부가 회전하는 원료 수송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들은 적어도 세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작동판은 상기 지지판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원료 수송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상기 작동판들 각각의 폭 방향의 회전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작동축에 각각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원료 수송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영역들은 상기 지지판들과 작동판들 중 서로 인접하는 지지판과 작동판에 의하여 구분되는 상기 이송부 상의 공간들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작동판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영역들의 출구 너비가 상대적으로 조절되는 원료 수송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들과 작동판들은 각각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원료 수송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들은 상기 이송부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 및 폭 방향의 중심부에 각각 배치되는 원료 수송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들 각각은 길이 방향의 타 단부가 상기 작동축을 따라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원료 수송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들 각각은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원료 수송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들은 상기 지지판들 중 상기 작동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지지판을 중심으로 대칭하여 배치되는 원료 수송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은,
    상기 지지판들 및 작동판들 각각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작동축; 및
    상기 지지판들 및 작동판들 각각의 길이 방향의 타 단부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작동판들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작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판들 각각의 길이 방향의 타 단부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상기 영역들의 출구 너비가 상대적으로 조절되는 원료 수송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에 원료가 장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용기의 개방된 일측에 연계되도록 마련되고, 원료 장입위치로 연장되어 상기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원료 수송장치.
KR1020160109764A 2016-08-29 2016-08-29 원료 수송장치 KR101955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64A KR101955585B1 (ko) 2016-08-29 2016-08-29 원료 수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64A KR101955585B1 (ko) 2016-08-29 2016-08-29 원료 수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138A KR20180024138A (ko) 2018-03-08
KR101955585B1 true KR101955585B1 (ko) 2019-03-07

Family

ID=6172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764A KR101955585B1 (ko) 2016-08-29 2016-08-29 원료 수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537B1 (ko) * 2019-04-09 2020-12-31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선형 원료저장설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2507A (ja) 2003-10-28 2005-05-26 Taisei Corp ベルトコンベヤ装置
KR101597430B1 (ko) * 2014-05-28 2016-02-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2507A (ja) 2003-10-28 2005-05-26 Taisei Corp ベルトコンベヤ装置
KR101597430B1 (ko) * 2014-05-28 2016-02-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138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6048B2 (en) Drum dispenser
CN102859070A (zh) 用于路面整修机和进料机的材料输送机系统
JP2006180870A (ja) 食品を微粒子からなる材料で被覆するデバイス
US4512705A (en) Horizontal plow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claiming and homogenously blending bulk solid particulate matter such as coal
KR101955585B1 (ko) 원료 수송장치
JP2001520364A (ja) 回転炉床炉への装入装置
KR101799654B1 (ko) 혼합기능을 갖는 이송장치
CN101353116B (zh) 旋转料床设备及其铺装料机构
JP6766549B2 (ja) 高炉のコークス供給設備
JP2018020879A (ja) シュート
JP2005226113A (ja) 焼結原料の装入方法
KR101462164B1 (ko) 원료 공급 장치
KR100925633B1 (ko) 가역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이탈방지 장치
RU2323259C2 (ru) Способ и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загрузки бункера
JP2005154867A (ja) 竪型炉への原料装入方法
KR101710030B1 (ko) 원료 장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장입방법
JP2004346414A (ja) 高炉の装入装置
KR20140009827A (ko)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JP7468553B2 (ja) コンベアシュートおよびそのコンベアシュートを用いた製鉄原料の搬送方法
KR101597257B1 (ko) 원료 장입 장치
KR102249944B1 (ko) 컨베이어벨트 이송물 적재장치
KR20130050430A (ko) 호퍼 장입장치 및 배합원료의 호퍼 장입방법
KR101879094B1 (ko) 분말소재의 열처리를 위한 벨트식 가열로 및 열처리 방법
KR102103390B1 (ko) 입도 선별장치 및 입도 선별방법
JPS61227108A (ja) ベルレス式高炉の原料装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