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637B1 - 철재 콘크리트 인방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철재 콘크리트 인방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637B1
KR101596637B1 KR1020150103886A KR20150103886A KR101596637B1 KR 101596637 B1 KR101596637 B1 KR 101596637B1 KR 1020150103886 A KR1020150103886 A KR 1020150103886A KR 20150103886 A KR20150103886 A KR 20150103886A KR 101596637 B1 KR101596637 B1 KR 101596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ection
concrete
dough
section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150103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4Frames of natural stone,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철재 콘크리트 인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콘크리트(concrete)로 형성된 인방본체 그리고 상기 인방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공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철재 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철재 콘크리트 인방 및 그 제조방법{concrete lintel for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철재 콘크리트 인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방은 조적 공사로 형성한 벽체의 개구부(출입구, 창)에 설치되어 개구부 상부측의 벽돌 하중을 지지한다. 인방은 조적 공사 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거나, 별도로 제작된 기성제품을 사용하기도 한다.
인방은 소정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내부에 철근이 배치되고, 철근을 콘크리트가 감싸 현성된다. 이 경우 철근에 의해 인방의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인방의 운반 및 설치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비되었다. 또한 이러한 인방의 경우 거푸집을 이용하여 형성하므로 거푸집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작업이 발생하므로 인방 제조가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그리고 제조 후 야적된 상태에서 빗물이 맞게 되면 빗물은 인방 내부로 침투하고 철근은 부식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68320호(2004.11.10.)에서는 금형을 통하여 연속압출 후 고온 고압에서 양생 처리하여 생산하는 창호용 인방을 제시하고 있다. 창호용 인방의 경우 내부가 빈 중공부로 형성되어 무게는 가벼우나 큰 하중을 견디지 못하였다. 또한 시멘트와 보강섬유 등이 혼합되어 형성되므로 조적 공사 완료 후 미장을 할 때 보강섬유와 미장용 시멘트의 이질감 때문에 미장 시멘트가 창호용 인방에 효과적으로 붙지 않게 되었다.
등록특허 제10-0890403호(2009.03.18.)에서는 인방본체, 인방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안착부가 형성된 걸림편,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철재 인방을 제시하고 있다. 휴대용 철재 인방의 경우 철재로만 형성되므로 무겁게 형성된다. 이에 운반 및 설치에 따른 어려움이 있다. 또한 미장 시멘트와 철재의 이질감으로 시멘트가 인방에 견고히 붙지 않아 미장 시공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인방이 철재로 형성되어 있어 시멘트와 접하면서 인방이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24352호(2001.03.07)에서는 석회(Ca), 규소(Si) 및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세라멘트 소재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창호용 세라멘트 인방을 제시하고 있다. 창호용 세라멘트 인방의 경우 내부를 보강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큰 하중을 견디기 어렵다. 창호용 세라멘트 인방과 미장 시 사용되는 시멘트의 이질감으로 미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즉, 미장 시 시멘트가 인방에 붙지 않고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창호용 세라멘트 인방은 밀도가 높아 문틀 등을 고정을 위해 인방에 타카(tacker), 앵커볼트(anchor bolt) 등을 결합할 경우 인방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68320호 (2004.11.10.) 등록특허 제10-0890403호 (2009.03.18.) 등록실용신안 제20-0224352호 (2001.03.07)
본 발명은 무게를 줄이면서 조적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고 미장 시멘트와 일체성을 갖도록 하여 미장 시멘트의 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철재 콘크리트 인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재 콘크리트 인방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콘크리트(concrete)로 형성된 인방본체 그리고 상기 인방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공간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철재 빔을 포함한다.
상기 철재 빔은 정면에서 본 단면이 “[” 모양인 제1 및 제2 형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형강과 상기 제2 형강의 일면과 양측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형강과 상기 제2 형강은 일면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1 형강과 상기 제2 형강 사이에 상기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형강과 상기 제2 형강의 두께는 1mm 내지 2mm이고, 상기 제1 형강과 상기 제2 형강은 강판의 표면에 아연도금을 행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형강의 상부측은 상기 제1 형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형강의 하부측은 상기 제2 형강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철재 콘크리트 인방은 상기 제1 형강과 상기 제2 형강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형강과 상기 제2 형강을 고정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형강과 상기 제2 형강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방본체와 접촉 면적을 넓히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재 빔의 길이는 상기 인방본체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재 콘크리트 인방 제조방법은 시멘트와 모래를 반죽한 반죽물을 형틀에 채우는 단계, 제1 및 제2 형강의 결합으로 형성한 철재 빔을 상기 반죽물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반죽물을 다지고, 상기 반죽물을 추가적으로 채우는 단계, 상기 반죽물을 상기 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죽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철재 빔을 상기 반죽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반죽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건조시키는 단계에서 건조는 자연건조이면 24시간 내지 96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철재 빔을 상기 반죽물 내부에 채우는 단계에서, 상기 철재 빔을 상기 반죽물 위에 놓은 상태에서 핸드 브레이커(breaker)를 이용하여 상기 철재 빔을 상기 반죽물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방본체 내부오 철재 빔이 배치되어 있어 휨 강도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철재 빔에 의해 인방본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철재 콘크리트 인방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중량을 줄이면서 휨 강도를 충분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방본체가 미장 콘크리트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미장 콘크리트는 인방본체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이에 미장 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철재 빔은 강판으로 형성되어 아연도금되어 있다. 이에 야전한 철재 콘크리트 인방과 빗물 등이 접촉되어도 철재 빔은 부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재 콘크리트 인방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철재 콘크리트 인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재 콘크리트 인방 제조방법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철재 콘크리트 인방 품질검사 성적서.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재 콘크리트 인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재 콘크리트 인방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철재 콘크리트 인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철재 콘크리트 인방(10)은 인방본체(11) 및 철재 빔(12)을 포함하며, 조적 공사로 형성한 벽체의 개구부(G) 위에 배치되어 조적물을 지지하고 하중이 벽체로 분사되도록 한다. 철재 콘크리트 인방(10)은 개구부(G) 하단에도 배치될 수 있다. 철재 콘크리트 인방(10)은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그 길이는 개구부(G)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인방본체(11)의 폭과 높이는 조절물인 벽돌(B)의 폭과 높이와 같다. 인방본체(11)는 시멘트와 모래가 반죽된 콘크리트(concrete)가 경화되어 형성된다. 인방본체(11)는 자갈 등의 골재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인방본체(11)의 외부 표면에는 미장용 콘크리트 따위가 발라질 수 있다. 미장콘크리트와 인방본체(11)가 동일한 재질이므로 미장 콘크리트는 인방본체(11)에 부착되어 떨어지지 않는다. 이에 벽체 시공이 향상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방본체(11)의 외부 표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은 미장 콘크리트와 인방본체(11)의 접촉면적을 확장하여 미장 콘크리트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철재 빔(12)은 인방본체(11)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철재 빔(12) 내부에는 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철재 빔(12)은 철재 콘크리트 인방(10)의 휨 강도를 높인다.
철재 빔(12)은 제1 형강(121) 및 제2 형강(122)을 포함한다. 제1 형강(121) 및 제2 형강(122)의 일면과 양측은 개방되어 있다. 제1 형강(121)과 제2 형강(122)을 정면에서 본 단면은 "["모양이다.
제1 형강(121)과 제2 형강(122)의 개방된 일면이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제1 형강(121)과 제2 형강(122)이 서로 겹쳐 결합되어 있다.
제2 형강(122)의 상부측(122a)은 제1 형강(12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부측(121a)과 접하고 있다. 제1 형강(121) 하부측(121b)는 제2 형강(122)내부에 위치하여 하부측(122b)과 접하고 있다. 제1 형강(121)과 제2 형강(122)의 내부에 공간(13)이 형성된다. 공간(13)의 넓이만큼 반죽물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고 철재 콘크리트 인방(1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형강(121)과 제2 형강(122)은 강판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 아연으로 도금되어 있다. 아연 도금에 의해 제1 형강(121)과 제2 형강(122)은 부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철재 콘크리트 인방(10)을 야적하여도 녹물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1 형강(121)과 제2 형강(122)은 각각 1mm 내지 2mm으로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두께가 1mm 미만인 경우 휨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2mm를 초과할 경우 철재 빔(12) 중량 및 제조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위 설명과 도면 도 2 및 도 3에서 철재 빔(12)이 1개인 것으로 하였으나, 개수는 철재 콘크리트 인방(10)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재 콘크리트 인방 제조방법은 시멘트, 모래 및 물을 기설저된 비율로 혼합한 반죽물을 형틀에 채우는 단계(S10), 철재 빔을 반죽물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S20), 반죽물을 다지고 추가적으로 채우는 단계(S30), 반죽물을 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S40) 및 반죽물을 건조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철재 콘크리트 인방(10)의 길이는 개구부(G)의 폭에 따라 다르다. 이에 반죽물이 채워지는 형틀의 길이를 설정한다. 형틀의 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므로 형틀의 하부를 막기 위한 테이블을 형틀 하부에 배치한다. 형틀은 승강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승강할 수 있다. 테이블을 형틀 하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형틀 내부에 반죽물을 채운다(S10). 테이블은 반죽물을 지지한다.
반죽물에 철재 빔(12)을 삽입한다. 반죽물의 응집력에 의해 철재 빔(12)이 반죽물 내부로 원활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철재 빔(12)을 반죽물 위에 놓은 상태에서 핸드 브레이커(breaker)를 이용하여 철재 빔(12)에 압력을 가하여 철재 빔(12)을 반죽물 내부로 삽입시킨다(S20). 철재 빔(12)은 반죽물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반죽물이 형틀 내부에 밀도 있게 채워지지 않으면 반죽물 내부에 공기층이 발생할 수 있다. 공기층은 철재 콘크리트 인방(10)의 휨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공기층 제거를 위해 반죽물을 다진다. 형틀과 연결된 바이브레이터(VIBRATOR)를 이용하여 형틀을 흔들면 반죽물은 다져지고 공기층은 제거된다. 공기층 제거로 발생한 공간에 반죽물을 추가적으로 채운다(S30).
테이블을 하강시켜 반죽물을 형틀에서 분리한다(S40).
반죽물은 자연건조 시켜 철재 콘크리트 인방(10)을 제조한다(S50). 하절기에는 반죽물을 24시간 정도 자연건조하며, 동절기에는 96시간 정도 자연건조 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그대로 가지면서 결속부재(14)를 더 포함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재 콘크리트 인방(10a)의 결속부재(14)는 제1 형강(121)과 제2 형강(122)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결속부재(14)는 케이블 타이, 철사, 고무줄 등의 밴드 따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속부재(14) 결합으로 제1 형강(121)과 제2 형강(122)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그대로 갖는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재 콘크리트 인방(10b)의 철재 빔(12) 외부 표면에는 요철(15a, 15b)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은 철재 빔(12)과 인방본체(11)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철재 빔(12)이 인방본체(11) 내부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LH전문시방서 41510-4에서는 인방의 품질이 아래 값을 만족하여야 한다고 고시하고 있다.
Figure 112015071337168-pat00001
본 실시예에 따른 철재 콘크리트 인방 시편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편크기: 1000mm X 81 mm X 51mm
시험/ 검사방법: LH전문시방서 41510, KS F 4735:2011
위 시험의 품질검사 성적서(도 7)를 참조하면, 건중비중이 1.9, 휨강도(N/mm2) 28.1 N/mm2, 흡수율 9%로 검사되어 LH전문시방서 41510-4의 규정을 충족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철재 콘크리트 인방은 하중을 줄이면서도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휨강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철재 콘크리트 인방 11: 인방본체
12: 철재 빔 121: 제1 형강
122: 제2 형강 121a, 122a: 상부측
121b, 122b: 하부측 13: 공간
14: 결속부재 15a, 15b: 요철
G: 개구부 B: 벽돌

Claims (10)

  1.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콘크리트 (concrete)로 형성된 인방본체(11) 그리고
    상기 인방본체(11) 내부에 결합되어 있고 공간(13)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철재 빔(12)
    을 포함하고,
    상기 철재 빔(12)은, 정면에서 본 단면이 "[" 모양인 제1 형강(121) 및 제2 형강(1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형강(121)과 상기 제2 형강(122)의 일면과 양측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형강(121)과 상기 제2 형강(122)은 일면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2 형강(122)의 상부측(122a)은 상기 제1 형강(12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부측(121a)과 접하며, 상기 제1 형강(121)의 하부측(121b)는 상기 제2 형강(122)내부에 위치하여 하부측(122b)과 접하고, 상기 제1 형강(121)과 상기 제2 형강(122) 사이에 상기 공간(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형강(121)과 상기 제2 형강(122)의 두께는 1mm 내지 2mm이고, 상기 제1 형강(121)과 상기 제2 형강(122)은 아연도금 한
    철재 콘크리트 인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제1 형강(121)과 상기 제2 형강(122)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형강(121)과 상기 제2 형강(122)을 고정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철재 콘크리트 인방.
  6. 제1항에서,
    상기 제1 형강(121)과 상기 제2 형강(122)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방본체(11)와 접촉 면적을 넓히는 요철(15a, 15b)이 형성되어 있는 철재 콘크리트 인방.
  7. 제1항에서,
    상기 철재 빔(12)의 길이는 상기 인방본체(11)의 길이보다 짧은 철재 콘크리트 인방.
  8. 시멘트와 모래를 반죽한 반죽물을 형틀에 채우는 단계,
    제1 및 제2 형강(122)의 결합으로 형성한 철재 빔(12)을 상기 반죽물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반죽물을 다지고, 상기 반죽물을 추가적으로 채우는 단계,
    상기 반죽물을 상기 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죽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철재 빔(12)은 정면에서 본 단면이 "[" 모양인 제1 형강(121) 및 제2 형강(1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형강(121)과 상기 제2 형강(122)의 일면과 양측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형강(121)과 상기 제2 형강(122)은 일면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2 형강(122)의 상부측(122a)은 상기 제1 형강(121)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부측(121a)과 접하며, 상기 제1 형강(121)의 하부측(121b)는 상기 제2 형강(122)내부에 위치하여 하부측(122b)과 접하고, 상기 제1 형강(121)과 상기 제2 형강(122) 사이에 공간(13)이 형성되는
    철재 콘크리트 인방 제조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건조시키는 단계에서 건조는 자연건조이면 24시간 내지 96시간 동안 건조하는 철재 콘크리트 인방 제조방법.
  10. 제8항에서,
    상기 철재 빔(12)을 상기 반죽물 내부에 채우는 단계에서,
    상기 철재 빔(12)을 상기 반죽물 위에 놓은 상태에서 핸드 브레이커(breaker)를 이용하여 상기 철재 빔(12)을 상기 반죽물 내부로 삽입하는 철재 콘크리트 인방 제조방법.
KR1020150103886A 2015-07-22 2015-07-22 철재 콘크리트 인방 및 그 제조방법 KR101596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886A KR101596637B1 (ko) 2015-07-22 2015-07-22 철재 콘크리트 인방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886A KR101596637B1 (ko) 2015-07-22 2015-07-22 철재 콘크리트 인방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637B1 true KR101596637B1 (ko) 2016-02-23

Family

ID=5544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886A KR101596637B1 (ko) 2015-07-22 2015-07-22 철재 콘크리트 인방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6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56B1 (ko) 2016-03-23 2016-07-13 한국토지주택공사 신한옥형 벽체 구조물
KR101891102B1 (ko) * 2018-01-05 2018-08-23 신만석 건축용 경량인방
KR102636277B1 (ko) * 2023-08-11 2024-02-13 김소윤 단일 골조빔을 갖는 콘크리트 인방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8347A (ja) * 1995-02-02 1996-08-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建築用耐火材及び耐火構造
KR200224352Y1 (ko) 2000-11-29 2001-05-15 쌍용건설주식회사 창호용 세라멘트 인방
KR200368320Y1 (ko) 2004-08-12 2004-11-18 주식회사 익성 압출성형 인방
KR100890403B1 (ko) 2007-10-05 2009-03-26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휴대용 철재 인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8347A (ja) * 1995-02-02 1996-08-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建築用耐火材及び耐火構造
KR200224352Y1 (ko) 2000-11-29 2001-05-15 쌍용건설주식회사 창호용 세라멘트 인방
KR200368320Y1 (ko) 2004-08-12 2004-11-18 주식회사 익성 압출성형 인방
KR100890403B1 (ko) 2007-10-05 2009-03-26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휴대용 철재 인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56B1 (ko) 2016-03-23 2016-07-13 한국토지주택공사 신한옥형 벽체 구조물
KR101891102B1 (ko) * 2018-01-05 2018-08-23 신만석 건축용 경량인방
KR102636277B1 (ko) * 2023-08-11 2024-02-13 김소윤 단일 골조빔을 갖는 콘크리트 인방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94387B (zh) 改进的后浇带超前止水施工方法
CN107268878B (zh) 预制夹芯墙板的制作安装方法
KR101596637B1 (ko) 철재 콘크리트 인방 및 그 제조방법
KR101021854B1 (ko) 하프 프리캐스트 합성 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4652B1 (ko) 이중 습식구조로 제작된 콘크리트 내화풍도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CN105113706A (zh) 带保温层的钢筋桁架石膏板、新型免拆模板及施工方法
CN209620361U (zh) 具有保温隔声功能的预制混凝土板式的浮筑楼板
WO1984001402A1 (en) Structural members
RU2643055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сущих трехслойных панелей
CN207110214U (zh) 一种预制内填充混凝土墙板
CN105297956A (zh) 一种现浇复合保温混凝土剪力墙及其制造方法
JP6249267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JP2010196345A (ja) 竹筋入りのコンクリート二次成形品、およびそのコンクリート二次成形品の成形方法
CN205444590U (zh) 一种现浇复合保温混凝土剪力墙
JP2008190117A (ja) 埋設型枠用ボード
JP2011069151A (ja) コンクリートパネル型枠
CN203373872U (zh) 免拆外模现浇混凝土自保温墙体
CN104032865B (zh) 建筑保温逆作法中填充墙现浇泡沫混凝土使用的龙骨组件及施工方法
CN109610750B (zh) 一种预制型防护楼梯及其生产方法
US20060059835A1 (en) Precast composite floor panel with integrated jois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NZ220693A (en) Load bearing structural member of cementitious laminate with tensioned reinforcing
CN220167223U (zh) 一种预制清水混凝土非结构填充墙
CN217500317U (zh) 一种综合管廊顶板防水保护层边模制作工具
CN108018986A (zh) 一种结构与节能一体化半装配式预制外墙板及其施工方法
CN212078280U (zh) 一种减少地下室外墙收缩裂缝的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