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914B1 -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914B1
KR101595914B1 KR1020140179653A KR20140179653A KR101595914B1 KR 101595914 B1 KR101595914 B1 KR 101595914B1 KR 1020140179653 A KR1020140179653 A KR 1020140179653A KR 20140179653 A KR20140179653 A KR 20140179653A KR 101595914 B1 KR101595914 B1 KR 101595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piral shaft
puncture
present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병승
Original Assignee
선병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병승 filed Critical 선병승
Priority to KR102014017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4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preformed elements
    • B29C73/06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preformed elements using plugs sealing in the 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4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preformed elements
    • B29C73/06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preformed elements using plugs sealing in the hole
    • B29C73/08Apparatus therefor, e.g. for inse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1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1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 B60C19/125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disposed removably on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10)의 양측에 설치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고무밀봉재(30)를 타이어(20)의 펑크위치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재(130)를 포함하는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타이어의 규격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편리하게 펑크를 수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의 펑크위치에 따라서 고무밀봉재를 정확하게 삽입하여 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가 손쉽게 수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Flat tire repair equipment}
본 발명은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규격의 타이어를 펑크 수리할 수 있음은 물론 타이어의 펑크위치에 따라서 편리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는 타이어의 펑크위치에 고무밀봉재를 삽입하여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수리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고무밀봉재를 타이어의 내부로 밀어 넣어서 수리해야 하므로 여성이나 힘이 부족한 운전자 등의 경우 수리작업이 힘들고 어려워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는 모터를 이용하여 고무밀봉재를 회전시켜 타이어의 내부로 밀어 넣어서 수리하고 있으나, 이는 대형 타이어의 경우 탄성력 및 내부 압력에 의해서 고무밀봉재를 쉽게 밀어 넣어서 수리할 수 없는 기능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는 균일한 압력으로 고무밀봉재를 밀어 넣어서 수리할 수 없으므로 타이어의 코드절상 및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12439호(1999.08.0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9169호(2000.10.02.) 한국등록특허 제10-0491603호(2005.05.27.)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4829호(2014.07.31.) 한국등록특허 제10-1425745호(2014.08.0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타이어의 규격에 관계없이 설치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수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확한 위치에 고무밀봉재를 삽입할 수 있는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100)는,
휠(10)의 양측에 설치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고무밀봉재(30)를 타이어(20)의 펑크위치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10)는 휠(10)의 일측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11)와; 상기 고정구(111)의 상부에 형성하는 제1나선축(112)과; 상기 지지부재(120)의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13)와; 상기 이동몸체(113)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2나선축(114)과; 상기 제1나선축(112) 및 제2나선축(114)과 동시에 나선결합하는 높이조절구(1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11)의 상부에는 받침대(111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130)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중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나선공(132)과 나선결합하는 나선축(133)과; 상기 나선축(133)의 하부에 형성하여 고무밀봉재(30)를 끼워서 타이어(20)의 펑크위치에 삽입하는 삽입구(1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나선축(133)의 상부에는 다각형상의 회전돌기(133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131)의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지지구(135)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135)의 하부에 나선결합하는 조절구(1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타이어의 규격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편리하게 펑크를 수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의 펑크위치에 따라서 고무밀봉재를 정확하게 삽입하여 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자가 손쉽게 수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휠(10)의 양측에 설치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고무밀봉재(30)를 타이어(20)의 펑크위치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재(13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110)는 휠(10)의 양측에 고정하여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타이어(20)의 규격(지름,폭)에 따라서 높이 및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고정부재(1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10)의 일측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11)와; 상기 고정구(111)의 상부에 형성하는 제1나선축(112)과; 상기 지지부재(120)의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13)와; 상기 이동몸체(113)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2나선축(114)과; 상기 제1나선축(112) 및 제2나선축(114)과 동시에 나선결합하는 높이조절구(11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구(111)의 상부에는 휠(10)의 표면에 맞닿는 특성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받침대(111a)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구(11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10)의 내측면을 가로질러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로프(111a)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나선축(112)과 제2나선축(114)은 서로 다른 방향(오른나사,왼나사)으로 나선가공하여 상기 높이조절구(115)를 회전시키면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하여 타이어(20)의 규격에 따라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몸체(113)는 타이어(20)의 폭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20)를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10)는 휠(10)의 양측에 고정하여 타이어(20)의 지름 및 폭에 따라서 높이 및 좌우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0)는 타이어(20)의 펑크위치 내부로 고무밀봉재(3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삽입부재(130)가 타이어(20)의 펑크위치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상기 삽입부재(130)는 고무밀봉재(30)를 타이어(20)의 펑크위치 내부로 삽입하여 펑크를 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상기 삽입부재(130)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중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나선공(132)과 나선결합하는 나선축(133)과; 상기 나선축(133)의 하부에 형성하여 고무밀봉재(30)를 끼워서 타이어(20)의 펑크위치에 삽입하는 삽입구(134)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몸체(131)는 타이어(20)의 펑크위치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나선축(133)과 삽입구(134)를 유도한다.
한편, 상기 나선축(133)은 상기 나선공(132)과 나선결합한 상태로 회전방향에 따라서 하부 또는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구(134)는 고무밀봉재(30)를 하부에 끼운 상태로 타이어(20)의 펑크위치 내부로 삽입하여 펑크를 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구(134)는 고무밀봉재(30)를 타이어(20)의 펑크위치 내부에 남겨두고 외부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대형타이어의 경우 펑크위치 내부에 고무밀봉재(30)와 함께 삽입한 상태로 상기 나선축(133)과 분리하여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나선축(133)의 상부에는 다각형상의 회전돌기(133a)를 형성하여 수동 또는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나선축(133)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31)의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지지구(135)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135)의 하부에 나선결합하는 조절구(136)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타이어(20)의 외경에 상기 조절구(136)가 맞닿도록 유도하여 상기 삽입구(134)를 타이어(20)의 펑크위치 내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조절구(136)는 상기 지지구(135)와 나선결합한 상태로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타이어(20)의 외경에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0)를 휠(10)의 양측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나선축(133)를 회전시켜 고무밀봉재(30)를 타이어(20)의 펑크위치 내부에 삽입하여 수리를 마무리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휠 20: 타이어
30: 고무밀봉재
100: 본 발명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110: 고정부재 111: 고정구
111a: 받침대 112: 제1나선축
113: 이동몸체 114: 제2나선축
115: 높이조절구
120: 지지부재
130: 삽입부재 131: 몸체
132: 나선공 133: 나선축
133a: 회전돌기 134: 삽입구
135: 지지구 136: 조절구

Claims (6)

  1. 휠(10)의 양측에 설치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110)와;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고무밀봉재(30)를 타이어(20)의 펑크위치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재(13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110)는 휠(10)의 일측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11)와; 상기 고정구(111)의 상부에 형성하는 제1나선축(112)과; 상기 지지부재(120)의 일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몸체(113)와; 상기 이동몸체(113)의 하부에 형성하는 제2나선축(114)과; 상기 제1나선축(112) 및 제2나선축(114)과 동시에 나선결합하는 높이조절구(1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11)의 상부에는 받침대(111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130)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중간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나선공(132)과 나선결합하는 나선축(133)과; 상기 나선축(133)의 하부에 형성하여 고무밀봉재(30)를 끼워서 타이어(20)의 펑크위치에 삽입하는 삽입구(1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축(133)의 상부에는 다각형상의 회전돌기(133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31)의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지지구(135)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135)의 하부에 나선결합하는 조절구(1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KR1020140179653A 2014-12-12 2014-12-12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KR101595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653A KR101595914B1 (ko) 2014-12-12 2014-12-12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653A KR101595914B1 (ko) 2014-12-12 2014-12-12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914B1 true KR101595914B1 (ko) 2016-02-19

Family

ID=5544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653A KR101595914B1 (ko) 2014-12-12 2014-12-12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9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20U (ko) * 2016-05-11 2017-11-21 윤세형 휴대가 용이한 자전거 펑크 수리장치
KR200486801Y1 (ko) * 2017-03-31 2018-06-29 신언중 타이어의 펑크 수리 장치
KR102253186B1 (ko) * 2020-01-13 2021-05-14 권대일 차량용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US20210283870A1 (en) * 2020-03-11 2021-09-16 Gentian Gjinaj Tire plu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220002825U (ko) 2021-05-24 2022-12-01 김대정 타이어 펑크 수리 장치
KR102493833B1 (ko) 2021-09-13 2023-01-31 선병승 타이어 펑크 수리키트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715A (en) * 1995-07-21 1997-03-11 Gallentine; Bill Tire puncture repair apparatus
KR100212439B1 (ko) 1996-05-28 1999-08-02 양재신 타이어의 펑크 수리용 장치
KR200199169Y1 (ko) 1998-02-04 2000-10-02 박현동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KR20000018452U (ko) * 1999-03-19 2000-10-16 이용녀 타이어 펑크 수리기
US6202510B1 (en) * 1998-11-20 2001-03-20 Charles A. Kupelian Tire plug insertion tool
KR100491603B1 (ko) 2002-03-25 2005-05-27 라병렬 타이어 펑크 수리용 봉합체구조
CN203125967U (zh) * 2012-10-17 2013-08-14 梁沐阳 野外补胎助力工具
KR20140094829A (ko) 2013-01-23 2014-07-31 김진식 자동차 타이어 펑크 지렛대 수리기
KR101425745B1 (ko) 2013-02-22 2014-08-05 송기섭 타이어 펑크용 수리공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715A (en) * 1995-07-21 1997-03-11 Gallentine; Bill Tire puncture repair apparatus
KR100212439B1 (ko) 1996-05-28 1999-08-02 양재신 타이어의 펑크 수리용 장치
KR200199169Y1 (ko) 1998-02-04 2000-10-02 박현동 자동차용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US6202510B1 (en) * 1998-11-20 2001-03-20 Charles A. Kupelian Tire plug insertion tool
KR20000018452U (ko) * 1999-03-19 2000-10-16 이용녀 타이어 펑크 수리기
KR100491603B1 (ko) 2002-03-25 2005-05-27 라병렬 타이어 펑크 수리용 봉합체구조
CN203125967U (zh) * 2012-10-17 2013-08-14 梁沐阳 野外补胎助力工具
KR20140094829A (ko) 2013-01-23 2014-07-31 김진식 자동차 타이어 펑크 지렛대 수리기
KR101425745B1 (ko) 2013-02-22 2014-08-05 송기섭 타이어 펑크용 수리공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20U (ko) * 2016-05-11 2017-11-21 윤세형 휴대가 용이한 자전거 펑크 수리장치
KR200485187Y1 (ko) 2016-05-11 2017-12-06 윤세형 휴대가 용이한 자전거 펑크 수리장치
KR200486801Y1 (ko) * 2017-03-31 2018-06-29 신언중 타이어의 펑크 수리 장치
KR102253186B1 (ko) * 2020-01-13 2021-05-14 권대일 차량용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US20210283870A1 (en) * 2020-03-11 2021-09-16 Gentian Gjinaj Tire plu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220002825U (ko) 2021-05-24 2022-12-01 김대정 타이어 펑크 수리 장치
KR102493833B1 (ko) 2021-09-13 2023-01-31 선병승 타이어 펑크 수리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914B1 (ko)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WO2018188595A1 (zh) 卸载装置、自卸式显示装置
CN102320482B (zh) 放料架
WO2014088883A3 (en) Rapid make up drive screw adapter
CN108015544B (zh) 一种石油液化气瓶阀的自闭阀组装生产线
CN104260016A (zh) 一种气动洁具装配工装夹具及其夹紧方法
CN105033803A (zh) 一种用于阀体的自动化去孔毛刺设备
CN104708536A (zh) 一种汽车十字轴磨削夹紧装置
CN105964818A (zh) 用于待修复汽车钣金件的夹持方法
US1017327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eparing wire rope
CN205733862U (zh) 一种钢球保持圈钻孔用夹持机构
JP2011168018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埋込部材固定装置
KR101792326B1 (ko) 튜브 홀더 서포트
KR101410224B1 (ko) 다차종 차체패널 고정을 위한 베벨기어타입 핀유닛
CN204074792U (zh) 一种用以将支撑条制成支撑管的设备
TWM503982U (zh) 皮帶輪拆卸裝置
CN208358179U (zh) 一种用于暖通管焊接的夹具
KR101676390B1 (ko) 타이어 가류기의 하형 비드링 몰드 고정 장치
CN104339262A (zh) 活塞内径加工工装
CN105864250A (zh) 一种膨胀螺丝
CN104275364B (zh) 一种用以将支撑条制成支撑管的设备
KR20120139169A (ko) 타이어 수리용 펑크탄
KR101696827B1 (ko) 클램핑 장치
US8567471B1 (en) Tire work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211728995U (zh) 一种汽车喇叭拆装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