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374B1 -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 Google Patents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374B1
KR101595374B1 KR1020130139690A KR20130139690A KR101595374B1 KR 101595374 B1 KR101595374 B1 KR 101595374B1 KR 1020130139690 A KR1020130139690 A KR 1020130139690A KR 20130139690 A KR20130139690 A KR 20130139690A KR 101595374 B1 KR101595374 B1 KR 101595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eth
adhesive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8538A (ko
Inventor
타케시 나가쿠라
류스케 시마구치
료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8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 1㎛∼20㎛의 박막에도 불구하고 고점착력, 고밀착성의 성능을 갖는 점착제층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주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과,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고, 다른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과,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 및/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며,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20㎛이고, 두께가 5㎛일 때의 점착력이 4.0(N/25㎜) 이상인 점착제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ADHESIVE LAYER AND ADHESIVE FILM}
본 발명은 광학 부재의 층간 첩합(貼合) 등에 사용되는, 두께 1㎛∼20㎛의 박막에도 불구하고 고점착력, 고밀착성의 성능을 갖는 점착제층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편광판, 위상차판 등의 광학 부재를 액정 셀 등의 피착체에 첩합하기 위해, 다양한 점착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2 참조).
특허문헌 1에는, 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을 주성분 모노머로 하고 아크릴아미드 화합물 등을 함유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탄소수 4∼8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 모노머로 하고,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및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를 함유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굴절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한 점착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8 참조).
특허문헌 3에는, 방향족 고리를 갖고 굴절률 1.51∼1.75의 점착 부여제(tackifier)를 함유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방향족 고리를 함유하는 아크릴산 변성 모노머의 공중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점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방향족 고리를 갖는 점착 부여 수지와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함유하는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6에는, 아크릴계 수지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1개 함유하는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7에는, 방향족 모노머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개재하여 위상차 필름 및 복굴절판을 서로 고착시켜 이루어지는 광학 부품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8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디올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770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017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847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5316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6718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2114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9328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091522호
근래에 있어서, 광학 부재의 층간을 첩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착 필름에 대해 요구되고 있는 사항은, 광학 부재의 박막화를 도모하기 위해 점착제층의 두께를 20㎛ 이하로 얇게 한 점착 필름으로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착제층의 점착력은 점착제층의 두께에 대략 비례한다는 점에서, 점착제층의 두께를 얇게 하면 거기에 수반되어 점착력이 저하된다.
그러나, 근래에 요구되고 있는 점착 필름은 점착제층의 두께를 얇게 해도, 종래의 점착 필름(점착제층의 두께가 약 30㎛로 두껍다)과 동등한 점착력을 가지면서, 또한 고온·고습도 분위기하에 장시간 방치한 후의 내구성에 있어서도 종래의 점착 필름과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및 에이징 처리(항온에서 양생을 행하는 것)를 실시할 필요가 없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점착 필름의 기재를 생략한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점착제층/이형 필름」의 부재 구성으로 한 NCF(Non Carrier Film)의 형태로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점착 필름에서는 피착체에 점착 필름을 첩합한 후에 에이징 처리가 실시되기 때문에, 피착체와 점착제층의 밀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그러나, NCF의 형태를 한 점착 필름은 이미 점착제층의 에이징이 종료되어 있다는 점에서, 피착체와 점착제층의 밀착력이 부족해진다. 이 때문에, 피착체의 표면에 대해서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들 요구 사항 및 문제를 극복한 점착 필름이 필요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두께 1㎛∼20㎛의 박막에도 불구하고 고점착력, 고밀착성의 성능을 갖는 점착제층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을 주성분 모노머로 하고, 다른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공중합 가능한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시켜 공중합 및 가교시킴으로써, 강인한 점착력과 고밀착성의 성능을 갖는 점착제층으로 하는 것을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주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과,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고, 다른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과,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 및/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며,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20㎛이고, 두께가 5㎛일 때의 점착력이 4.0(N/25㎜) 이상인 점착제층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한 70∼95중량부와, (B)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한 5∼30중량부를 포함한 주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C)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의 1종 이상을 5∼50중량부와, (D)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 및/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0.1∼5중량부 함유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 20만∼200만의 공중합체, 및 (E) 가교제를 0.01∼5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주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1종 이상을 2.0중량부 이하, 및/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1종 이상을 5.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굴절률이 1.47∼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층이 이형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이형 필름/점착제층/이형 필름의 구성인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의 한쪽 면 위에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점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 필름이 사용된 편광판의 주변 부재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 필름이 사용된 터치 패널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 필름이 사용된 전자 종이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 필름이 사용된 유기 EL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요구 사항 및 문제를 극복하여 두께 1㎛∼20㎛의 박막에도 불구하고 고점착력, 고밀착성의 성능을 갖는 점착제층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주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과,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고, 다른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과,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 및/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며,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20㎛이고, 두께가 5㎛일 때의 점착력이 4.0(N/25㎜) 이상이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알킬기는 직쇄, 분기형, 고리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는, 점착제 조성물의 아크릴계 폴리머(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한 비율이 50∼9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나프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1-나프틸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2-나프틸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6-(1-나프틸옥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6-(2-나프틸옥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8-(1-나프틸옥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8-(2-나프틸옥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굴절률이 높은 점착제층을 얻기 위해서는,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주성분 모노머인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굴절률을 상승시켜 조정할 수 있고, 광학 부재간의 굴절률차를 줄여 전반사를 저감시킴으로써 전광선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주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0중량부 중, 5∼3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고리형 질소 비닐 화합물, N-에틸-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N-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N-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디알킬 치환 (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틸-N-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틸-N-프로필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틸-N-이소프로필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프로필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부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디알킬아미노(메타)아크릴레이트, N-에틸-N-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N-프로필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N-이소프로필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디알킬 치환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로는, 후술하는 (D)의 화합물과 구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수산기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산기 및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노머로는 상기 예시한 모노머, 예를 들면, N,N-디알킬 치환 아미노기나 N,N-디알킬 치환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모노머;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N-비닐 치환 락탐류; N-(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N-(메타)아크릴로일 치환 고리형 아민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는 점착제층에 대해서 필요한 점착력 및 내구성을 부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는 주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5∼5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로는, N-비닐피롤리돈,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카프로락탐 등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말레산, 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는 점착제층에 대해서 필요한 응집력을 부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는 주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0.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류나, N-히드록시(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메타)아크릴아미드류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는, 얻어지는 점착제층이 투명 도전성 필름의 ITO 표면 등 부식되기 쉬운 피착체에 대한 부식성에 영향을 준다고 여겨지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는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부식성을 저감시키기 위해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는 주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0.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의 공중합체는,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한 70∼95중량부와, (B)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한 5∼30중량부를 포함한 주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C)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의 1종 이상을 5∼50중량부와, (D)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 및/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0.1∼5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1종 이상을 2.0중량부 이하, 및/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1종 이상을 5.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 적절히 공지된 중합 방법을 사용 가능하다.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만∼2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나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아미드류 등의 아크릴계 모노머를 50∼10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공중합체에 가교제나 적절히 임의의 첨가제를 배합함으로써, 필요로 되는 물성값 등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류의 뷰렛 변성체나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트리메틸올프로판이나 글리세린 등 3가 이상의 폴리올과의 어덕트체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금속계 킬레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등의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등 광가교에 의해 점착제를 가교시켜도 된다.
가교제를 사용하여 공중합체를 가교시키는 경우, 공중합체가 가교제와 가교 반응 가능한 관능기(가교제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히드록실기나 카르복실기 등)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들의 관능기를 측쇄에 갖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이 (E) 가교제를 0.01∼5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부의 기준은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A) 내지 (D)와 동일하다.
그 외 임의의 성분으로서, 실란 커플링제, 산화 방지제, 계면활성제, 경화 촉진제, 가소제, 충전제, 가교 촉매, 가교 지연제, 경화 지연제, 가공 보조제, 노화 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함께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나 이형 필름에 도포한 후,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광학 부재의 층간 첩합 등에 사용되는 경우, 얇은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점착제층의 점착력은 점착제층의 두께에 대략 비례하고 있지만, 두께가 5㎛일 때의 점착력이 4.0(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가 5㎛가 아닌 경우, 「두께가 5㎛일 때의 점착력」(N/25㎜)은 점착제층의 두께를 T(㎛),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F(N/25㎜)로 하여, 수식 「(두께가 5㎛일 때의 점착력)〓5F/T」에 의해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을 광학 부재의 층간 첩합 등에 사용하는 경우, 점착제층과 광학 부재의 계면에서의 광선의 반사를 저감시키기 위해, 굴절률차가 가능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상기 점착제층의 굴절률이 1.47∼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기재 또는 이형 필름의 한쪽 면 위에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이나 점착면을 보호하는 이형 필름(세퍼레이터)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에는 수지 필름의 점착제층이 형성된 측과는 반대 면에, 실리콘계, 불소계의 이형제나 코트제, 실리카 미립자 등에 의한 방오 처리, 대전 방지제의 도포나 혼입 등에 의한 대전 방지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형 필름에는 점착제층의 점착면과 맞춰지는 측의 면에, 실리콘계, 불소계의 이형제 등에 의해 이형 처리가 실시된다.
1개의 점착제층의 양면에 각각 이형 필름의 이형 처리가 실시된 면을 맞춤으로써, 「이형 필름/점착제층/이형 필름」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측의 이형 필름을 순차적으로, 혹은 동시에 박리하여 점착면을 표출시킴으로써, 광학 필름 등의 광학 부재와 첩합 가능하게 된다.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방현(안티 글레어) 필름, 자외선 흡수 필름, 적외선 흡수 필름,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편광판을 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주변 부재용의 각종 광학 필름, 터치 패널용의 각종 광학 필름, 전자 종이용의 각종 광학 필름, 유기 EL용의 각종 광학 필름 등의 첩합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점착제층/광학 필름」, 「광학 필름/점착제층/이형 필름」, 「광학 필름/점착제층」, 「광학 필름/점착제층/광학 필름/점착제층/광학 필름」, 「광학 필름/점착제층/광학 필름/점착제층/이형 필름」, 「이형 필름/점착제층/광학 필름/점착제층/이형 필름」 등의 구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필름/점착제층/이형 필름」과 같이 이형 필름으로 보호된 점착제층을 갖는 경우,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광학 필름/점착제층」과 같이 점착제층을 표출시키고 다른 광학 필름과 첩합함으로써, 점착제층이 층간의 첩합에 사용된 「광학 필름/점착제층/광학 필름」과 같은 구성이 얻어진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크릴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반응 장치 내의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하였다. 그 후, 반응 장치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0중량부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와, 디에틸아크릴아미드 10중량부와, 아크릴산 1.0중량부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와 함께, 용제(초산에틸)를 60중량부 첨가하였다. 그 후,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중량부를 2시간에 걸쳐 적하시키고, 65℃에서 6시간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 50만의 실시예 1에 사용되는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1)을 얻었다. 아크릴 공중합체의 일부를 채취하여, 후술하는 산가의 측정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5 및 비교예 1∼3]
모노머의 조성을 각각 표 1의 (A), (B), (C), (D-1), (D-2)의 기재와 같이 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에 사용되는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5 및 비교예 1∼3에 사용되는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또한, 특별히 측정 결과를 나타내지 않지만, 실시예 2∼5 및 비교예 1∼3의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에 포함되는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만∼200만의 범위 내이다.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1의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1)에 대해서, 코로네이트 L-45(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화합물의 어덕트체) 0.1중량부와 알루미늄킬레이트(알루미늄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0.1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수지 코트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필름 위에 도포한 후, 90℃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용제를 제거하였다. 그 후, 23℃, 50%RH의 분위기하에서 7일간 에이징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박리 필름의 한쪽 면 위에 갖는 실시예 1의 점착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5 및 비교예 1∼3]
첨가제의 조성을 각각 표 1의 (E)의 기재와 같이 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의 점착 필름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5 및 비교예 1∼3의 점착 필름을 얻었다.
Figure 112013104573075-pat00001
표 1에서는, (A)군과 (B)군의 합계를 100중량부로 하여 구한 (C)군 내지 (E)군까지의 첨가 비율로서, 중량부의 수치를 괄호로 둘러싸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사용된 각 성분의 약기호의 화합물명을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코로네이트(등록상표) L-45는 니혼 폴리우레탄 공업 주식회사의 상품명이고, D-110N은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의 상품명이다. TDI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의미하고, XDI는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의미한다.
Figure 112013104573075-pat00002
<시험 방법 및 평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 있어서의 점착 필름으로부터 박리 필름(실리콘 수지 코트된 PET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표출시키고, 편광판(필름)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전사하였다.
<점착력의 측정 방법>
두께 180㎛인 편광판(필름)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시료가 되는 점착 필름(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을 얻었다.
이 점착 필름을 소다 석회 유리의 아세톤으로 세정한 비주석면에, 압착 롤로 첩합하였다. 그 후, 50℃, 0.5MPa×20분간의 조건에서 오토클레이브 처리한 후, 23℃×50%RH의 분위기하에 되돌리고, 1시간 경과 후의 점착 필름의 박리 강도를 인장 시험기에 의해 측정하였다. JIS Z0237 「점착 테이프·점착 시트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하고, 180°방향으로 300㎜/min의 속도로 박리했을 때의 박리 강도를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의 점착력으로 하였다.
<밀착성의 시험 방법>
점착력을 측정한 후의 시료인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기재층의 편광판(필름)으로부터의 탈락 상태로 밀착성을 판단하였다.
○…기재층으로부터 점착제층이 전혀 탈락되어 있지 않다.
△…기재층으로부터 점착제층이 일부 떠올라 탈락되어 있다.
×…기재층으로부터 점착제층이 탈락되어, 피착체인 유리에 전착되어 있다.
<내구성의 시험 방법>
점착력의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한 사방 10㎝의 점착 필름을, 동일한 방법으로 소다 석회 유리의 비주석면에 첩합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이 시료를 60℃×90%RH의 분위기하에 250시간 방치한 후, 23℃×50%RH 분위기하에 취출하고, 1시간 후에 점착 필름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내구성을 판단하였다.
○…점착 필름의 박리 및 발포가 전혀 없다.
△…점착 필름의 일부에 박리 및 발포가 발생되어 있다.
×…점착 필름의 전체에 박리 및 발포가 발생되어 있다.
<굴절률의 측정 방법>
23℃의 점착제층의 굴절률을 아베식 굴절계(메이커명: ERMA, 형식: ER-2S)로 측정한다.
표 3에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3104573075-pat00003
실시예 1∼5의 점착 필름은 두께 5㎛인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4.0N/25㎜ 이상이고, 점착제층의 굴절률이 1.47∼1.50의 범위 내이며, 밀착성 및 내구성도 우수하였다. 즉, 실시예 1∼5의 점착 필름에서는 요구 사항 및 문제를 극복할 수 있었다.
표 4에,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두께 3㎛, 5㎛, 10㎛, 15㎛, 20㎛인 점착 필름에 대해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점착제층의 점착력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점착제층의 두께에 대략 비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3104573075-pat00004
비교예 1의 점착 필름은 점착제 조성물에 질소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인지, 두께 5㎛인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약하였다. 또한,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굴절률이 낮았다. 게다가, 밀착성 및 내구성도 떨어져 있었다.
비교예 2의 점착 필름은 점착제 조성물에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기 때문인지, 두께 5㎛인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약하였다. 또한,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굴절률이 낮았다. 게다가, 밀착성 및 내구성도 다소 떨어져 있었다.
비교예 3의 점착 필름은 점착제 조성물에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도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도 포함하지 않기 때문인지, 두께 5㎛인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약하고, 밀착성 및 내구성도 떨어져 있었다.
이와 같이, 비교예 1∼3의 점착 필름에서는 종래의 요구 사항 및 문제를 극복할 수 없었다.

Claims (10)

  1. 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4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한 70∼95중량부와, (B)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한 5∼30중량부를 포함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합계 100중량부와, (C)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의 1종 이상을 5∼50중량부와, (D)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0.1∼5.0중량부 및/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0.1∼5중량부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20만∼200만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및 (E) 가교제를 0.01∼5중량부 함유하며,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20㎛이고, 두께가 5㎛일 때의 점착력이 4.0(N/25㎜) 이상이고,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 필름을 피착체에 첩합하기 전에 에이징 처리가 이미 실시되어,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 필름을 피착체에 첩합한 후에는 에이징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는 점착제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D)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0.1∼2.0중량부, 및/또는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을 0.1∼5.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고,
    상기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성 비닐 모노머가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히드록시(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점착제층.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굴절률이 1.47∼1.50인 점착제층.
  4. 제 1 항의 점착제층이 이형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이형 필름/점착제층/이형 필름의 구성인 점착 필름.
  5. 기재의 한쪽 면 위에 제 1 항의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점착 필름.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의 점착 필름이 사용된 편광판의 주변 부재용 필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제 1 항의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
KR1020130139690A 2012-12-17 2013-11-18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1595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74797A JP6026260B2 (ja) 2012-12-17 2012-12-17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JPJP-P-2012-274797 2012-12-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101A Division KR101679181B1 (ko) 2012-12-17 2015-12-28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20160016156A Division KR101764747B1 (ko) 2012-12-17 2016-02-12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538A KR20140078538A (ko) 2014-06-25
KR101595374B1 true KR101595374B1 (ko) 2016-02-18

Family

ID=5090444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690A KR101595374B1 (ko) 2012-12-17 2013-11-18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20150187101A KR101679181B1 (ko) 2012-12-17 2015-12-28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20160016156A KR101764747B1 (ko) 2012-12-17 2016-02-12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20170095978A KR101801157B1 (ko) 2012-12-17 2017-07-28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20170154547A KR101908916B1 (ko) 2012-12-17 2017-11-20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101A KR101679181B1 (ko) 2012-12-17 2015-12-28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20160016156A KR101764747B1 (ko) 2012-12-17 2016-02-12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20170095978A KR101801157B1 (ko) 2012-12-17 2017-07-28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20170154547A KR101908916B1 (ko) 2012-12-17 2017-11-20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26260B2 (ko)
KR (5) KR101595374B1 (ko)
CN (1) CN103865409B (ko)
TW (1) TWI4943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858A (ko) * 2013-08-08 2015-02-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JP6002701B2 (ja) * 2014-01-27 2016-10-05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JP6511659B2 (ja) * 2015-06-08 2019-05-15 藤森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及び光学フィルム用粘着フィルム
JP6521896B2 (ja) * 2016-04-25 2019-05-29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JP6521906B2 (ja) * 2016-06-16 2019-05-29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TWI634001B (zh) * 2016-12-27 2018-09-0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膜片、顯示面板模組及其製造方法
CN109844049B (zh) 2017-02-10 2021-11-02 株式会社Lg化学 无基底的转移胶带
JP6730348B2 (ja) * 2017-03-29 2020-07-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片保護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JP6688822B2 (ja) * 2017-03-29 2020-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片保護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US11424511B2 (en) 2017-10-20 2022-08-23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electrode assembly
KR102470967B1 (ko) 2017-12-27 2022-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호 필름
JP6777771B2 (ja) * 2019-01-23 2020-10-28 藤森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及び光学フィルム用粘着フィルム
JP6775616B2 (ja) * 2019-01-23 2020-10-28 藤森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光学フィルム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らを作製するための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
JP6775042B2 (ja) * 2019-01-23 2020-10-28 藤森工業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光学フィルム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らを作製するための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
JP7201529B2 (ja) * 2019-04-26 2023-01-10 藤森工業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粘着シート
JP7342507B2 (ja) * 2019-08-08 2023-09-12 Dic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JP7421927B2 (ja) * 2019-12-25 2024-01-25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JP7092823B2 (ja) 2020-04-07 2022-06-28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518B1 (ko) 2008-01-15 2012-1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202571B1 (ko) 2008-02-05 2012-1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3994A (ja) * 2004-03-18 2005-09-29 Soken Chem & Eng Co Ltd 光拡散反射遮光性粘着テープ及びそれを用いるフラットパネ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293281A (ja) 2005-03-17 2006-10-26 Seiko Epson Corp 光学部品及びプロジェクタ
JP4800722B2 (ja) 2005-09-26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091522A (ja) 2007-10-12 2009-04-30 Toyo Ink Mfg Co Ltd 粘着剤組成物及び該粘着剤組成物を使用してなる積層体
KR101019064B1 (ko) * 2008-01-14 2011-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5379409B2 (ja) * 2008-02-15 2013-12-2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379410B2 (ja) * 2008-03-14 2013-12-2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455302B1 (ko) * 2008-09-24 2014-10-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JP2010155974A (ja) * 2008-12-01 2010-07-15 Nitto Denko Corp アクリル系感圧性接着シート、アクリル系感圧性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積層構成
JP5344224B2 (ja) * 2009-02-10 2013-11-20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
JP5524640B2 (ja) 2010-01-26 2014-06-18 大王製紙株式会社 粘着シート
CN102791815A (zh) * 2010-03-10 2012-11-21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用粘合片
JP2012021148A (ja) 2010-06-16 2012-02-0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剤、光学部材用粘着剤、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
WO2012050049A1 (ja) * 2010-10-12 2012-04-19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583048B2 (ja) 2011-02-14 2014-09-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剤層及び光学用粘着性積層体
JP5614328B2 (ja) 2011-02-25 2014-10-29 藤倉化成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品
JP5842439B2 (ja) * 2011-03-10 2016-01-13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JP5760571B2 (ja) 2011-03-24 2015-08-12 Dic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固定用着色粘着テープ
JP5683370B2 (ja) * 2011-04-22 2015-03-11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887066B2 (ja) * 2011-05-17 2016-03-16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加工製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518B1 (ko) 2008-01-15 2012-1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202571B1 (ko) 2008-02-05 2012-1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538A (ko) 2014-06-25
CN103865409A (zh) 2014-06-18
KR20160022845A (ko) 2016-03-02
KR101801157B1 (ko) 2017-11-24
KR20170092501A (ko) 2017-08-11
KR101908916B1 (ko) 2018-10-17
KR101764747B1 (ko) 2017-08-03
KR101679181B1 (ko) 2016-11-24
JP2014118486A (ja) 2014-06-30
KR20170136462A (ko) 2017-12-11
CN103865409B (zh) 2016-08-17
JP6026260B2 (ja) 2016-11-16
KR20160010857A (ko) 2016-01-28
TW201431994A (zh) 2014-08-16
TWI494394B (zh) 201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916B1 (ko)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1908291B1 (ko)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1968917B1 (ko)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1707841B1 (ko) 광확산 점착제층 및 광확산 점착 필름
KR101679652B1 (ko)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101962116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1953605B1 (ko)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JP7092823B2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JP2021169627A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