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861B1 - 애니메이션 협업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애니메이션 협업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861B1
KR101594861B1 KR1020080052070A KR20080052070A KR101594861B1 KR 101594861 B1 KR101594861 B1 KR 101594861B1 KR 1020080052070 A KR1020080052070 A KR 1020080052070A KR 20080052070 A KR20080052070 A KR 20080052070A KR 101594861 B1 KR101594861 B1 KR 101594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e
animation
user
presentation data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963A (ko
Inventor
민욱희
김여진
심억수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2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861B1/ko
Priority to US12/292,954 priority patent/US9454284B2/en
Publication of KR2009012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4Navigation, e.g. using categorised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애니메이션 협업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가 개시된다. 본 웹서버는 웹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애니메이션 제작에 필요한 장면별 연출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입력받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UI부 및, UI에 입력된 연출 데이터를 장면별로 조합하여, 조합된 연출 데이터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애니메이션을 협업하여 제작함으로써 애니메이션 제작시간을 단축하며, 양질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애니메이션, UI, 협업, 파트, 실시간

Description

애니메이션 협업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그 방법{Web server for supporting collaborative animation production ser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사용자가 협업하여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UCC(User Created Contents)의 저작 및 배포가 활성화됨에 따라, 컨텐츠를 보다 쉽게 제작, 수정 및 공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UCC의 한 종류로 사용자 제작 애니메이션(User Created Animation)이 있으며, 애니메이션 제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한편, 종래 애니메이션은 일반 개인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총괄적으로 제작됨에 따라, 제작자는 연출에 필요한 전문적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며, 애니메이션 규모에 따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2명 이상의 사용자에 의해 애니메이션이 제작될 시에도 실시간 협업 작업이 아닌 순차적 협업 작업으로 이뤄져 효과적인 애니메이션 협업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협업하여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는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애니메이션 제작에 필요한 장면별 연출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입력받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UI부, 및, 상기 UI에 입력된 연출 데이터를 장면별로 조합하여, 조합된 연출 데이터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I는 애니메이션 대본의 각 장면 번호를 제1축으로 하고, 상기 애니메이션 제작에 관여하는 각 파트를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I부는 상기 제1 및 제2 축이 교차되는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장면 및 파트의 연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제2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I부는 상기 제2 UI를 통해 연출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연출 데이터가 입력된 장면 및 파트에 해당하는 교차 영역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UI는 상기 애니메이션 대본 상에서, 상기 선택된 영 역에 대응되는 장면을 묘사하는 문장들 각각에 대하여 마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UI는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파트에서 관할하는 스크립트 코맨드 및 속성만을 입력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상기 제2 UI가 제공된 경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출 데이터가 타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상에 표시되도록, 각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를 동기화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I는 애니메이션 대본의 각 장면 번호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I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선택 영역 중, 상기 연출 데이터가 입력된 장면에 해당하는 선택 영역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I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선택 영역 중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선택 영역에 해당하는 장면의 연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제2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출 데이터는 TVML(TV program Making Language)로 작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채팅 창을 제공하는 채팅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방법은 (a)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애니메이션 제작에 필요한 장면별 연출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입력받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UI 에 입력된 연출 데이터를 장면별로 조합하여, 조합된 연출 데이터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I는 애니메이션 대본의 각 장면 번호를 제1축으로 하고, 상기 애니메이션 제작에 관여하는 각 파트를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축이 교차되는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장면 및 파트의 연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제2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단계는 상기 제2 UI를 통해 연출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연출 데이터가 입력된 장면 및 파트에 해당하는 교차 영역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UI는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파트에서 관할하는 스크립트 코맨드 및 속성만을 입력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상기 제2 UI가 제공된 경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출 데이터가 타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상에 표시되도록, 각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는 상기 복수 개의 선택 영역 중, 상기 연출 데이터가 입력된 장면에 해당하는 선택 영역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선택 영역 중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선택 영역에 해당하는 장면의 연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제2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상기 제2 UI가 제공된 경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출 데이터가 타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상에 표시되도록, 각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채팅 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애니메이션을 협업하여 제작함으로써 애니메이션 제작시간을 단축하며, 양질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웹서버(100)는 UI부(110) 및 생성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웹서버(100)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1 내지 n)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서비스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1 내지 n)에 웹페이지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는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 내지 n)는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100)에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애니메이션 제작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100)에서 제공된 웹 페이지 상의 게시판 등을 통해 애니메이션 제작과 관련한 대본 및 파트 담당자들을 모집할 수 있다. 여기서, 파트 담당자는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카메라, 소품담당, 대본에 등장하는 다수의 캐릭터, 조명 등을 연출한다.
이후, 대본 및 파트 담당자가 결정되면, 웹서버는 대본에 근거하여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대본은 장면(Scene) 단위로 작성된다.
UI부(110)는 웹 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애니메이션 제작에 필요한 장면별 연출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입력받기 위한 UI를 제공한다. 다수의 사용자가 UI를 동시에 이용할 경우,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 내지 n)에 제공된 UI를 통해 사용자들은 연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연출데이터는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브로드 캐스팅되어 실시간 업데이트될 수 있다. 여기서, UI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파트 담당자들이 될 수 있다.
한편, 연출 데이터는 TVML(TV program Making Language)로 작성된 스크립트가 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 내지 n)에 연결된 카메라, 스피커, 데이터 전송기기 등의 외부기기를 통해 입력된 영상/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 등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된 영상/음성데이터 또는 텍스트 등을 대응되는 TVML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기기가 부가적으로 필요하다.
생성부(120)는 UI에 입력된 연출 데이터를 장면별로 조합하여, 조합된 연출 데이터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한편, 웹서버(10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1 내지 n)를 이용하는 사용자 중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도 서비스 유/무료에 따라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애니메이션을 관람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웹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웹서버(100)는 도 1의 구성에 제어부(130) 및 채팅처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UI부(110) 및 생성부(120)는 도 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UI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a에 따르면, UI(30)는 애니메이션 대본의 각 장면 번호(31)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선택영역(32) 및, 각 장면별로 미리보기를 수행할 수 있는 미리보기 영역(33)을 포함한다. 도 3a와 같이, 대본의 장면이 1 내지 N으로 구분될 경우, 각 파트 담당자들은 각 장면의 해당 선택영역(32)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연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장면에 대응하는 선택영역은 컬로 등으로 변환표시되며, 입력이 없는 경우 작성버튼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변환표시된 영역은 편집이 가능하다.
미리보기 영역(33)은 해당 장면에 대하여 사용자들에 의해 작성된 TVML스크 립트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을 재생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미리보기 영역(33)이 선택되면, 생성부(120)는 해당 장면에 대하여 작성된 TVML스크립트를 해석하여 재생시킨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인 도 3b에 따르면, UI(40)는 애니메이션 대본의 각 장면 번호를 제1축으로 하고, 애니메이션 제작에 관여하는 각 파트를 제1축에 수직한 제2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축과 제2축이 교차되는 복수 개의 선택영역 및, 각 장면별로 미리보기를 수행할 수 있는 미리보기 영역을 포함한다.
UI부(110)는 제공된 UI의 선택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연출데이터 입력을 위한 제2UI를 사용자의 단말기(1 내지 n)로 제공한다. 즉, 도 3a의 경우, 복수 개의 선택영역(32) 중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선택영역에 해당하는 장면의 연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제2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b의 경우, 제1 및 제2축이 교차되는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장면 및 파트의 연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제2 UI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UI는 애니메이션 대본 상에서,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장면을 묘사하는 문장들 각각에 대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문장들은 순서에 따라 ID를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제2 UI가 제공된 경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출 데이터가 타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상에 표시되도록, 각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를 동기화시킨다. 한편, 제 2UI에 대한 실시 예는 도 4a 및 도 4b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도 4a는 파트 담당자 중 캐릭터 담당자가 장면 1에 대하여 연출 데이터를 입력한 실시 예이다. 즉, 캐릭터 담당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된 제2 UI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4b는 카메라 담당자가 연출 데이터를 입력한 실시 예로, 카메라 담당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된 제2 UI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b는 도 4a의 캐릭터 담당자의 연출 데이터 입력을 업데이트하여 동기화된 상태이다.
여기서, 제2 UI는 장면 1의 문장단위로 ID번호가 1, 2, 3, 4로 부여되고, 문장들 각각에 대한 연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영역의 표시 면적이 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 일 측에 스크롤 바를 표시하며, 스크롤 바의 이동에 따라 입력영역을 스크롤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도 3b와 같은 UI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선택영역이 선택되면,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파트에서 관할하는 스크립트 코맨드 및 속성만을 제2 UI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UI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축의 장면1과 제2축의 카메라 파트가 교차하는 선택영역을 선택하면, 장면1에 대한 연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제2 UI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2 UI는 카메라와 관련된 스크립트 코맨드와 속성만을 입력받으며, 다른 파트에 관할된 스크립트 코맨드 및 속성은 입력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또한, TVML 스트립트를 작성한 사용자의 파트를 기록하여 구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파트에 관할된 연출데이터만 작성함으로써, 오류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a와 같은 UI에서는 사용자의 파트 구분없이 연 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a 및 도 3b의 UI에서 제공된 미리보기 기능에 의해, 특정 장면에 대해 작성된 연출데이터에 대응하여 실행된 애니메이션이다. 즉, 도 5a 장면 1에 대한 애니메이션이며, 도 5b가 장면2에 대한 애니메이션인 경우, 도 5a는 캐릭터1, 소품배경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제2UI를 통해 작성한 TVML스크립트에 의해 실행된 미리보기 영상이다. 또한, 도 5b는 도 5a에 대한 TVML스크립트에 캐릭터2 및 소품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추가적을 TVML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실행된 미리보기 영상이다.
채팅 처리부(140)는 웹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 내지 n)상에 채팅 창을 제공하여 사용자 간의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이에 따라, 각 파트 담당자들은 애니메이션 제작과 관련하여 실시간으로 의견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생성부(120)는 UI를 통해 대본에 대응하는 장면별 연출데이터가 모두 입력된 경우, 장면조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장면에 대한 연출데이터를 해석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파트 별로 역할을 분담하여 다른 사용자의 연출데이터 작성 정도와 관련없이 애니메이션을 제작함으로써, 애니메이션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간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양질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애니메이션 대본에 근거하여, 애니 메이션 제작에 필요한 장면별 연출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입력받기 위한 UI를 제공한다(S610). 여기서, UI는 대본상의 각각의 장면, 연출을 위한 파트 등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소정 장면에 대하여 연출데이터의 입력을 요구하면(S620), 제2 UI를 제공하여(S630) 연출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 UI는 애니메이션 대본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 장면을 묘사하는 문장들 각각에 대하여 입력영역을 제공한다.
여기서, 다수의 사용자가 연출 데이터 입력을 요구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2 UI가 제공된 경우(S630), 다수의 사용자가 입력한 연출 데이터를 애니메이션 제작과 관련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하여 동기화를 수행한다(S640).
한편, 애니메이션 제작과 관련한 파트 담당을 위한 사용자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웹서버는 해당 파트의 대본에 근거하여, 연출데이터를 자동생성하게 된다(S660).
한편, 1 편의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출데이터 입력이 모두 완료되면(S650), 각 장면별로 작성된 연출데이터를 조합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S670).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 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 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웹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니메이션 제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웹서버 1 내지 n : 사용자 단말기
110 : UI부 120 : 생성부
130 : 제어부 140 : 채팅처리부

Claims (25)

  1.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애니메이션 제작에 필요한 장면을 선택하기 위한 UI와 상기 선택에 따라 선택된 장면에 대응되는 연출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제2 UI를 제공하는 UI부; 및,
    상기 사용자들 각각에 의해 UI에 입력된 연출 데이터를 장면별로 조합하여, 조합된 연출 데이터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UI는 상기 선택된 장면에 대응되는 파트에서 관할하는 스크립트 코맨드 및 속성만을 입력받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애니메이션 대본의 각 장면 번호를 제1축으로 하고, 상기 애니메이션 제작에 관여하는 각 파트를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I부는,
    상기 제1 및 제2 축이 교차되는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장면 및 파트의 연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상기 제2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I부는,
    상기 제2 UI를 통해 연출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연출 데이터가 입력된 장면 및 파트에 해당하는 교차 영역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는,
    상기 애니메이션 대본 상에서,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장면을 묘사하는 문장들 각각에 대하여 마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상기 제2 UI가 제공된 경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출 데이터가 타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상에 표시되도록, 각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를 동기화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애니메이션 대본의 각 장면 번호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I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선택 영역 중, 상기 연출 데이터가 입력된 장면에 해당하는 선택 영역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I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선택 영역 중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선택 영역에 해당하는 장면의 연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상기 제2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는,
    상기 애니메이션 대본 상에서,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장면을 묘사하는 문장들 각각에 대하여 마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상기 제2 UI가 제공된 경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출 데이터가 타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상에 표시되도록, 각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를 동기화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
  13.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 데이터는 TVML(TV program Making Language)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웹서버.
  14.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채팅 창을 제공하는 채팅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
  15.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애니메이션 제작에 필요한 장면을 선택하기 위한 UI와 상기 선택에 따라 선택된 장면에 대응되는 연출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제2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들 각각에 의해 입력된 연출 데이터를 장면별로 조합하여, 조합된 연출 데이터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UI는 상기 선택된 장면에 대응되는 파트에서 관할하는 스크립트 코맨드 및 속성만을 입력받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애니메이션 대본의 각 장면 번호를 제1축으로 하고, 상기 애니메이션 제작에 관여하는 각 파트를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축이 교차되는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장면 및 파트의 연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상기 제2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제2 UI를 통해 연출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연출 데이터가 입력된 장면 및 파트에 해당하는 교차 영역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19. 삭제
  20. 제17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상기 제2 UI가 제공된 경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출 데이터가 타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상에 표시되도록, 각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애니메이션 대본의 각 장면 번호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상기 복수 개의 선택 영역 중, 상기 연출 데이터가 입력된 장면에 해당하는 선택 영역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선택 영역 중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선택 영역에 해당하는 장면의 연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상기 제2 U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상기 제2 UI가 제공된 경우, 각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출 데이터가 타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상에 표시되도록, 각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2 UI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25. 제15항 내지 제18항 및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채팅 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서버의 애니메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80052070A 2008-06-03 2008-06-03 애니메이션 협업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그방법 KR101594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070A KR101594861B1 (ko) 2008-06-03 2008-06-03 애니메이션 협업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그방법
US12/292,954 US9454284B2 (en) 2008-06-03 2008-12-01 Web server for supporting collaborative animation production servi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070A KR101594861B1 (ko) 2008-06-03 2008-06-03 애니메이션 협업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963A KR20090125963A (ko) 2009-12-08
KR101594861B1 true KR101594861B1 (ko) 2016-02-19

Family

ID=4138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070A KR101594861B1 (ko) 2008-06-03 2008-06-03 애니메이션 협업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54284B2 (ko)
KR (1) KR1015948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8059B2 (en) * 2014-07-28 2016-10-25 PocketGems, Inc. Animated audiovisual experiences driven by scripts
KR102335110B1 (ko) * 2014-11-26 2021-12-03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번역문 에디터 제공 장치 및 번역문 에디터 제공 방법
WO2018105762A1 (ko) * 2016-12-06 2018-06-14 (주)아이디어콘서트 콘텐츠 제작을 위한 다자간 협업 시스템
US10586399B2 (en) * 2017-04-12 2020-03-10 Disney Enterprises, Inc. Virtual reality experience scriptwriting
KR102186293B1 (ko) * 2019-12-30 2020-12-04 주식회사 애니웨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서버
CN117710534B (zh) * 2024-02-04 2024-04-23 昆明理工大学 基于改进教与学优化算法的动画协同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8154A (en) * 1990-12-04 1992-09-15 Sony Corporation Of America Multi-dimensional user interface
JPH08509824A (ja) * 1993-02-26 1996-10-15 タリジェ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共同作業システム
JP3345473B2 (ja) * 1993-08-03 2002-1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ニメーション生成方法
US5680619A (en) * 1995-04-03 1997-10-21 Mfactory, Inc. Hierarchical encapsulation of instantiated objects in a multimedia authoring system
US5986675A (en) * 1996-05-24 1999-11-1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imating an object in three-dimensional space using a two-dimensional input device
US6208357B1 (en) * 1998-04-14 2001-03-27 Avid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animating characters having associated behavior
JP2001101440A (ja) * 1999-09-29 2001-04-13 Sega Corp アニメーションデータを記録した記録媒体、それを利用した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948131B1 (en) * 2000-03-08 2005-09-20 Vidiator Enterprises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rich media tools
US6924803B1 (en) * 2000-05-18 2005-08-02 Vulcan Portal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 character motion animation tool
KR20020025448A (ko) 2000-09-29 2002-04-04 박기호 온라인 만화제작서비스 제공 방법
JP2003150527A (ja) * 2001-11-05 2003-05-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チャットシステム、その端末装置及びチャットサーバ並びにプログラム
GB2404315A (en) * 2003-07-22 2005-01-26 Kelseus Ltd Controlling a virtual environment
US20050231512A1 (en) * 2004-04-16 2005-10-20 Niles Gregory E Animation of an object using behaviors
KR20060030179A (ko) 2004-10-05 2006-04-10 (주)인터넷엠비씨 전자 만화 및 그 제작방법
US20070005694A1 (en) * 2005-06-30 2007-01-04 Pando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ulti-media production, sharing and low-cost mass publication
US7596598B2 (en) * 2005-10-21 2009-09-29 Birthday Alarm, Llc Multi-media tool for creating and transmitting artistic works
US20070146367A1 (en) * 2005-11-14 2007-06-28 Alion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editing and conversion of distributed simulation data for visualization
WO2008014487A2 (en) * 2006-07-28 2008-01-31 Accelerated Pictures, Inc. Scene organization in computer-assisted filmmaking
KR20080041934A (ko) * 2006-11-08 2008-05-14 심훈보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의 다자간 멀티 저작 솔루션
JP4945236B2 (ja) * 2006-12-27 2012-06-06 株式会社東芝 映像コンテンツ表示装置、映像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80244418A1 (en) * 2007-03-30 2008-10-02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multi-party software construction for a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
US8788589B2 (en) * 2007-10-12 2014-07-22 Watchit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simultaneous edits of shared digital data
US20090219291A1 (en) * 2008-02-29 2009-09-03 David Brian Lloyd Movie anim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963A (ko) 2009-12-08
US9454284B2 (en) 2016-09-27
US20090300515A1 (en)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70698B (zh) 一种在线教学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US10223930B2 (en) Action data generation device and client and system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JP6734852B2 (ja) イベントを追跡し、仮想会議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TWI533198B (zh) 於虛擬區域及實體空間之間通訊的技術
CN103530096B (zh) 远程控制方法、远程控制设备和显示设备
KR101594861B1 (ko) 애니메이션 협업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그방법
JP5613978B2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制御システム
WO2011159680A2 (en) Method,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nd displaying of presentations
KR102224785B1 (ko) 모바일에서 연동 가능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EP3024223B1 (en) Videoconference terminal, secondary-stream data accessing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9391848A (zh) 一种互动广告系统
CN106878825B (zh) 基于直播的声效展示方法和装置
KR101198091B1 (ko) 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7026170A1 (ja) クライアント機器、サーバ機器、表示処理方法、及び、データ配信方法
JP2013033105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pc端末プログラム及び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
JP2011090350A (ja) 電子会議システム
WO2021031940A1 (zh) 放映厅业务管理方法、互动方法、显示设备及移动终端
CN103631576A (zh) 多媒体评注编辑系统与相关的多媒体评注编辑方法和装置
JP2008257450A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及び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
KR20190068339A (ko) 온라인 게임 내 게임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26599B1 (ko)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
KR102657002B1 (ko) 공연 영상 컨텐츠의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N114697699B (zh) 一种多人连麦直播方法及装置
WO2023138346A1 (zh) 一种在线活动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5111422B2 (ja) コンテンツ制作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制作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