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370B1 -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량용 이중 빔 거더 - Google Patents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량용 이중 빔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370B1
KR101594370B1 KR1020150040644A KR20150040644A KR101594370B1 KR 101594370 B1 KR101594370 B1 KR 101594370B1 KR 1020150040644 A KR1020150040644 A KR 1020150040644A KR 20150040644 A KR20150040644 A KR 20150040644A KR 101594370 B1 KR101594370 B1 KR 101594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girder
unit
lower beam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송백
Original Assignee
이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호 filed Critical 이용호
Priority to KR1020150040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예를 들면 차도교, 인도교, 가교, 자전거교 등의 거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도록 상향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유닛을 갖는 이중 빔 거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I-형 상부빔, 하부빔, 상기 상부빔과 상기 하부빔의 사이에 위치하는 U-형 유닛 및 상기 하부빔의 양단부와 상기 유닛의 양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2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중빔 거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향 모멘트를 도입하기 위한 유닛이 지점부에서 부모멘트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거더가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어 교대와 교대 또는 교각과 교각 사이의 경간을 더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성은 물론 공기도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량용 이중 빔 거더{Double Beam Girder For Enforceing Upward Moment In Bridge}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특허출원 제 10-1015-0011532 호("상향 모멘트를 갖는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와 관련된 개량발명이다.
본 발명은 교량, 예를 들면 차도교, 인도교, 가교, 자전거교 등의 거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도록 상향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유닛(이하, '유닛'이라 함)을 갖는 이중 빔 거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I-형 상부빔, 하부빔, 상기 상부빔과 상기 하부빔의 사이에 위치하는 U-형 유닛 및 상기 하부빔의 상기 하부빔과 상기 유닛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하부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웨브의 양단 상부에 설치되는 2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중빔 거더에 관한 것이다.
삭제
일반적으로 교량은 크게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나누어지는데, 상부구조는 거더, 슬래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구조는 상부구조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교대와 교각을 의미한다.
교량 건설에 있어서, 지간을 넓히어 교각의 수를 줄이고, 상부구조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간을 넓히고, 강재 거더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하부구조와 거더가 연결되는 지점부에서의 부모멘트를 낮추려는 연구와 노력을 기울여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46716 호에서는 벽체(교대) 내부에 분할재를 설치하고, 지점부에서 벽체와 거더를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화 함으로써 모멘트를 교량의 중앙부로 유도하여 벽체 상단의 부모멘트를 최소화하는 "모멘트 재분배를 통한 장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형 라멘교량 및 시공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벽체 내부에 분할재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고, 벽체와 거더를 콘크리트로 일체화 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사비는 물론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모멘트의 분산 효과에 있어서도 미흡하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47485 호에서는 거더의 상부 플랜지의 양측단에 철공을 연결하고, 영구정착 블록에 강봉을 삽입하고, 중앙부에 설치된 한쌍의 임시 정착블록에 설치된 강봉 정착구를 이용하여 다경간 연속화 교량 및 시공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도 철공을 연결하고, 강봉을 삽입하며, 강봉 정착구를 구비하는 데 따른 공사비용은 물론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마찬가지로 모멘트의 절감효과도 미흡하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향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유닛을 갖는 거더를 교대나 교각에 거치함으로써 상향 모멘트를 발생시켜 교량의 거더 지점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향 모멘트 도입을 위한 유닛을 갖는 특수 구조의 이중 거더를 교대나 교각에 거치함으로써 상향 모멘트를 발생시켜 교량의 거더 지점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거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을 건설하기 위한 거더에 있어서, 상부 플랜지, 하부 플랜지 및 웨브로 이루어진 I-형 상부빔; 교각 위에 설치되는 하부빔; 상기 상부빔과 상기 하부빔의 사이에 위치하는 U-형 유닛; 및 상기 하부빔과 상기 유닛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하부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시 웨브의 양단 상부에 설치되는 2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중빔 거더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하부빔은 상부 플랜지가 없이 웨브와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지되, 상기 웨브는 상변이 하변보다 길고, 상기 웨브의 측벽은 상변의 양단으로부터 하변의 양단을 향해 굴곡져 있으며, 상변에는 일정 길이만큼 돌출부 및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웨브의 상변으로부터 측벽을 따라 하변에 걸쳐 하부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중빔 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U-형 유닛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에서 둔각을 이루어 외향절곡된 날개부를 갖고 있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다수개의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향절곡된 날개부에는 다수개의 장방형 원형을 갖는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중빔 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지지부재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서 상기 하부빔의 상변에 있는 돌출부의 단턱에 삽입되도록 일정 길이만큼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중빔 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유닛의 하면이 상기 하부빔의 상변에 있는 돌출부와 용접되고, 상기 상부빔의 하부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 상기 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통해 지지부재, 상기 유닛 및 상기 상부빔이 볼트구멍, 및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통해 볼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중빔 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향 모멘트를 도입하기 위한 유닛이 지점부에서 부모멘트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거더가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어 교대와 교대 또는 교각과 교각 사이의 경간을 더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성은 물론 공기도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빔 거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교량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빔 거더가 설치된 도 1의 교량 구조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빔 거더가 설치된 교량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교각 위에 본 발명에 따른 하부빔(20)이 거치되고, 하부빔(20) 위에 유닛과 지지부재(4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이중빔 거더가 교각 위에 설치된 교량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빔 거더를 거치하여 연속교를 만든 교량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빔 거더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휨 모멘트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빔 거더를 사용했을 때의 휨 모멘트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빔 거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교량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그의 분해 사시도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빔 거더는 크게 상부빔(10), 하부빔(20), 지점부에서 상향 모멘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유닛(30) 및 상기 유닛(30)의 양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빔(10)은 상부 플랜지(11), 하부 플랜지(12)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를 연결하는 웨브(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빔(10)의 하부 플랜지(12)에는 상기 U-형 유닛(30)을 볼트(42)로 체결하도록 다수개의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빔(20)은 상부 플랜지가 없이 웨브(23)와 하부 플랜지(22)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빔 웨브(23)는 상변(23a)이 하변(23c)보다 길고, 상기 하부빔 웨브(23)의 측벽(23b)은 상변(23a)의 양단으로부터 하변(23c)의 양단을 향해 굴곡져 있으며, 상변(23a)에는 일정 길이만큼 돌출부(24) 및 단턱(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빔 웨브(23)의 상변(23a)으로부터 측벽(23b)을 따라 하변(23c)에 걸쳐 하부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거더는 이중빔, 즉 상부빔(10)과 하부빔(20)을 갖고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닛(30)은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처럼 둔각으로 외향절곡된 형태의 날개부(31)를 가지며, 상기 상부빔(10)의 하부플랜지(12)의 하면과 상기 하부빔(20)의 하부빔 웨브(23)의 상변(23a)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유닛(30)의 하면과 상기 하부빔(20)의 하부빔 웨브(23)의 상단 돌출부(24)가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유닛(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단부에는 상부빔(10)의 하부 플랜지(12)에 형성된 구멍에 상응하는 수만큼 볼트구멍(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닛(30)의 날개부(31)에는 지지부재(40)의 구멍과 일치하는 장방형 원형 볼트구멍(44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44a)이 장방형인 것은 상기 유닛(30)의 스프링 작용으로 인한 여유 공간을 주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유닛(30)은 상부빔(10)의 하부 플랜지(12)의 하면과 하부빔(20)의 하부빔 웨브(23)의 상변(23a)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가진채 위치하게 된다. 즉, 지점 중앙에서 일정 거리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향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어, 교량의 거더 지점부 휨모멘트가 완만한 포물선 형태로 되며 부모멘트가 감소하게 되는 구조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닛(30)의 탄성에 의해 교량의 상부 구조물인 이중빔 거더의 지점부에서의 부모멘트를 감소시킴으로써 교각 또는 교대들 간의 경간을 크게 넓힐 수 있다. 상기 이중빔 거더의 강재 두께와 파일(교각 또는 교대)들 간의 경간은 관련 공학적인 공식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4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서 상기 하부빔(20)의 상변(23a)에 있는 돌출부(24)의 단턱(21)에 삽입되도록 일정 길이만큼 슬릿홈(41)이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다수개의 볼트구멍(44)을 갖고, 그 하면 또한 상기 하부빔(20)의 하부빔 웨브(23)의 상변(23a)과 용접결합되어 상기 유닛(30)의 날개부분(31)의 스프링 작용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닛(30)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휨 모멘트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닛(30)을 사용했을 때의 휨 모멘트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유닛(30)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사용했을 때 교량의 상부 구조물인 거더 지점부에 작용하는 부모멘트는 본 발명의 유닛(30)을 사용한 경우가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훨씬 작으므로 거더의 강재 두께를 줄일 수 있고, 교대 또는 교각들 간의 거리를 크게 넓힐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상부빔 11: 상부 플랜지
12,22: 하부 플랜지 13: 웨브
20: 하부빔 21: 단턱
23: 웨브 24: 돌출부
30: U-형 유닛 31: 날개부
40: 지지부재 41: 슬릿홈
42: 볼트 43: 너트
44,44a: 볼트구멍 50: 교각

Claims (5)

  1. 상부 플랜지(11), 하부 플랜지(12) 및 웨브(13)로 이루어진 I-형 상부빔(10); 교각 위에 설치되는 하부빔(20); 상기 상부빔(10)과 상기 하부빔(20)의 사이에 위치하는 U-형 유닛(30); 및 상기 하부빔(20)과 상기 유닛(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빔 웨브(23)의 양단 상부에 설치되는 2개의 지지부재(40);를 포함하는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량용 이중빔 거더에 있어서,
    상기 하부빔(20)은 상부 플랜지가 없이 웨브(23)와 하부 플랜지(2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빔 웨브(23)는 상변(23a)이 하변(23c)보다 길고, 상기 하부빔 웨브(23)의 측벽(23b)은 상변(23a)의 양단으로부터 하변(23c)의 양단을 향해 굴곡져 있으며, 상변(23a)에는 일정 길이만큼 돌출부(24) 및 단턱(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빔 웨브(23)의 상변(23a)으로부터 측벽(23b)을 따라 하변(23c)에 걸쳐 하부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량용 이중빔 거더.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서 하부빔(20)의 상변(23a)에 있는 돌출부(24)의 단턱(21)에 삽입되도록 일정 길이만큼 슬릿홈(41)이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다수개의 볼트구멍(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량용 이중빔 거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30)의 하면이 상기 하부빔(20)의 상변(23a)에 있는 돌출부(24)와 용접되고, 상기 상부빔(10)의 하부 플랜지(12)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44), 상기 유닛(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된 볼트구멍(44,44a)을 통해 지지부재(40), 상기 유닛(30) 및 상기 상부빔(10)이 볼트구멍(44,44a), 및 상기 지지부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통해 볼트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량용 이중빔 거더.

KR1020150040644A 2015-03-24 2015-03-24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량용 이중 빔 거더 KR101594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44A KR101594370B1 (ko) 2015-03-24 2015-03-24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량용 이중 빔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44A KR101594370B1 (ko) 2015-03-24 2015-03-24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량용 이중 빔 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370B1 true KR101594370B1 (ko) 2016-02-16

Family

ID=5544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644A KR101594370B1 (ko) 2015-03-24 2015-03-24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량용 이중 빔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3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277B1 (ko) 2018-05-09 2019-07-26 정병목 지점부에 t형강을 보강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강재거더를 구비한 합성라멘교 시공방법
KR102295792B1 (ko) 2021-03-22 2021-08-31 한우코리아(주) 지점부 탄성빔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6599A (ja) * 1999-08-09 2003-02-18 マクス、ベグル、バウウンテルネームング、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多スパン梁
KR20050007048A (ko) * 2003-07-11 2005-01-17 노윤근 교량 상부 구조물에 중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역방향 변형하중을 도입하기 위한 레버시스템을 이용한역방향 변형하중 도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방향변형하중 도입방법
KR20100115117A (ko) * 2009-04-17 2010-10-27 주식회사 케이알티씨 다양한 단면형식의 합성으로 강성의 최대화와, 편심의 극대화를 통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합성단면빔을 이용하여 설치한 가설구조체
KR20110043904A (ko) * 2009-10-22 2011-04-28 김연호 전단력과 휨 모멘트의 특성을 이용한 단위 거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보 구조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6599A (ja) * 1999-08-09 2003-02-18 マクス、ベグル、バウウンテルネームング、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多スパン梁
KR20050007048A (ko) * 2003-07-11 2005-01-17 노윤근 교량 상부 구조물에 중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역방향 변형하중을 도입하기 위한 레버시스템을 이용한역방향 변형하중 도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방향변형하중 도입방법
KR20100115117A (ko) * 2009-04-17 2010-10-27 주식회사 케이알티씨 다양한 단면형식의 합성으로 강성의 최대화와, 편심의 극대화를 통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합성단면빔을 이용하여 설치한 가설구조체
KR20110043904A (ko) * 2009-10-22 2011-04-28 김연호 전단력과 휨 모멘트의 특성을 이용한 단위 거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보 구조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277B1 (ko) 2018-05-09 2019-07-26 정병목 지점부에 t형강을 보강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강재거더를 구비한 합성라멘교 시공방법
KR102295792B1 (ko) 2021-03-22 2021-08-31 한우코리아(주) 지점부 탄성빔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058B1 (ko) 확장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33576B1 (ko)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KR101594370B1 (ko) 지점부 휨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량용 이중 빔 거더
KR101655330B1 (ko) 단부합성 강재빔을 이용하여 제작된 라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08909B1 (ko) 철골 보 접합부 시공방법
KR101083303B1 (ko) 교량 또는 옹벽용 조립식 확장 보도
KR100838409B1 (ko) 데크형 복공판
KR101272278B1 (ko) 트러스-아치 복합교량
SE0004761L (sv) Fackverkskonstruktion
DE60136619D1 (de) Gerüst
RU2363821C1 (ru) Многопустотная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плит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работы в условиях повышенной сейсм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и
KR101562603B1 (ko) Pc보도육교 및 그 시공방법
CN103741857B (zh) U型钢梁与钢筋桁架楼承板楼面体系
KR101351806B1 (ko) 종·횡방향 프리모멘트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JP6992313B2 (ja) デッキプレートの配筋構造
KR101448390B1 (ko) 사각강관 띠장과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구조
KR20160141987A (ko) 거더 구조물
KR101705071B1 (ko) 일체형 상부판과 주형을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91466A (ko) 연속지점부의 거더 매립형 교량 시공 방법
KR101683694B1 (ko) 케이블 및 가동강판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구조체
CN209509171U (zh) 一种用于装配式干法施工时预制梁、柱构件间的连接结构
KR20180011528A (ko) 트러스 작용을 활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하이브리드 합성보
KR101819624B1 (ko) 교량확장형 데크부재 아치 인도교
JP4022158B2 (ja) X型交差張弦梁構造体
KR101607523B1 (ko) 측면보강판에 의해 지지되는 아치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