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117B1 -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117B1
KR101594117B1 KR1020130008264A KR20130008264A KR101594117B1 KR 101594117 B1 KR101594117 B1 KR 101594117B1 KR 1020130008264 A KR1020130008264 A KR 1020130008264A KR 20130008264 A KR20130008264 A KR 20130008264A KR 101594117 B1 KR101594117 B1 KR 10159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lluminating device
illumination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364A (ko
Inventor
이흥태
Original Assignee
(주)엘이디세이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이디세이버 filed Critical (주)엘이디세이버
Priority to KR1020130008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1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은 복수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조명장치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제2조명장치로부터 출력되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Wireless communication lighting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절약을 위해 이동체가 출현했을 때에만 점등되도록 할 수 있는 복수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간의 무선 통신이 공간 특성 등 다양한 외부환경에 의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는 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명이 설치된 공간에서 조명이 불필요한 경우임에도 조명을 점등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에만 필요한 조명을 점등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들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특히, 조명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불필요한 시점(예컨대, 사람이 존재하지 않을 때, 차량 등이 통행하지 않을 때 등)에 불필요하게 점등되는 조명의 개수가 많아질 수 있어서, 이처럼 이동체가 센싱되는 경우에만 조명을 할 수 있는 기술의 효과는 더욱 커진다.
한편, 소정의 이동체가 센싱된 경우에도 복수개의 조명을 모두 점등하는 것은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동체가 센싱되었을 때에는 상기 이동체의 움직임에 따라 필요한 조명만을 순차적으로 점등 및 점멸하는 것이 에너지 절약에 효과적이다. 즉, 이동체의 움직임에 따라 미리 주위의 조명까지 점등함으로써 이동체가 움직일 때 시야를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조명은 점등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001276,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이하, '선행특허')이 개시된 바 있다. 선행특허는 이동체의 속도에 따라 이동체를 센싱한 조명이 타 조명을 점등하기 위해 출력하는 제어신호의 출력파워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필요한 조명만을 점등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특허는 제어신호가 이동체를 센싱한 센싱조명으로부터 출력되면, 출력파워에 따라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조명들이 상기 제어신호를 정상적으로 모두 수신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이루어진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즉, 출력파워에 따라 상기 센싱조명으로부터의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조명들은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일정 거리 외에 존재하는 조명들은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복수의 조명장치들을 설치하여 조명장치들간의 무선통신(제어신호를 위한)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조명장치들이 설치된 공간특성(예컨대, 공간의 형상, 반사파나 외부기기에 의한 채널특성 등)으로 인해 제어신호를 출력한 센싱조명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조명은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오히려 먼 거리에 있는 조명은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이동체가 센싱되었을 때, 점등되어야할 조명들 중 적어도 일부가 점등되지 않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어서 이동체의 시야확보에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조명 시스템의 신뢰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써, 이동체를 센싱한 센싱조명이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이 상기 제어신호를 재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특성에 무관하게(또는 강인하게) 조명들간에 신뢰성 있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이동체가 효과적으로 시야확보를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신호의 재출력으로 인한 조명들간의 빈번한 무선신호 출력으로 인한 신호간의 혼선 및/또는 이동체의 속도에 비해 조명들간의 통신이 늦어져서 조명들이 제때에 점등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점등된 조명의 점멸 타이밍을 이동체의 속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컨트롤 함으로써, 이미 이동체가 지나가서 더 이상 점등되지 않아도 됨에도 불구하고 점등이 유지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은, 복수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조명장치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제2조명장치로부터 출력되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상기 식별정보와 상기 제1조명장치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각각에는 위치에 따라 넘버링(numbering)된 식별정보가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넘버링된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1조명장치의 식별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일정 시간내에 수신된 적이 있는지 여부 또는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적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의 출력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1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제어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1조명장치의 식별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제어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기준 딜레이(delay) 시간과 상기 차이값을 이용하여 상기 차이값에 비례하도록 딜레이 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딜레이 시간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2제어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딜레이 시간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가장 늦게 출력하는 조명장치의 제어신호 출력시점이 상기 특정 조명장치가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안에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조명장치는 상기 특정 조명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영역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역에서 이동체가 센싱된 시간에 따라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점멸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수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조명장치는, 제어부, 타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 및 소정의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에서 상기 이동체가 센싱되면, 상기 조명장치의 조명을 점등하고, 상기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영역에서 이동체가 센싱된 시간에 따라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점멸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수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조명장치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제2조명장치로부터 출력되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상기 식별정보와 상기 제1조명장치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일정 시간내에 수신된 적이 있는지 여부 또는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적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의 출력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1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제어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수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조명장치가 소정의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조명장치가 상기 조명장치의 조명을 점등하고, 상기 영역에서 이동체가 센싱된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가 상기 특정 조명장치를 점멸할 타이밍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이동체를 센싱한 센싱조명이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이 상기 제어신호를 재출력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야 했음에도 다양한 공간특성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조명이 존재할지라도 타 조명에 의해 재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서 공간특성에 무관하게(또는 강인하게) 조명들간의 신호전달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점등되어야할 조명은 공간특성에 무관하게(또는 강인하게) 점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들 각각에 식별정보(예컨대, ID 등)를 부여함으로써 제어신호의 수신여부로 조명의 점등여부를 결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명시스템의 제어에 있어서 다양한 응용(예컨대, 제어신호가 수신되어도 점등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조명들의 위치에 따라 식별정보를 순차적으로 넘버링하여 부여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제어신호의 재출력시의 타이밍 컨트롤을 수행함으로써, 조명들간의 빈번한 무선신호 출력으로 인한 신호간의 혼선 및/또는 이동체의 속도에 비해 조명들간의 통신이 늦어져서 조명들이 적시에 점등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등된 조명의 점멸 타이밍을 이동체의 속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컨트롤 함으로써, 이미 이동체가 지나가서 더 이상 점등되지 않아도 됨에도 불구하고 점등이 유지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의 동작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에 포함된 조명장치들이 제어신호를 재출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에 의한 점등 제어가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에 의한 제어신호의 출력 컨트롤이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에 의해 제어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컨트롤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에 의해 점멸시간 제어가 수행되는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의 동작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ID 1 ~ ID 15)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ID 1 ~ ID 1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공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공간이 T자형태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공간의 형태, 모양, 특성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ID 1 ~ ID 15) 각각은 빛을 출력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며, 이동체(10)를 센싱할 수 있는 소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절약을 위해 이동체(10)가 소정의 조명장치(예컨대, ID 1)에 의해 센싱되면 상기 이동체(10)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점등될 필요가 있다고 미리 결정된 조명장치들만이 점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ID 1 ~ ID 15)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은 이동체(10)를 센싱한 조명장치 즉,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를 기준으로 인접한 순서대로 소정 개수(예컨대, 3개)의 조명장치들(예컨대, ID 2 ~ ID 4)이 점등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체(10)를 센싱한 조명장치를 센싱 조명장치,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에 의해 이동체(10)가 센싱되었을 때 점등되어야 할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를 점등필요 조명장치로 정의하기로 한다.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에 상응하는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는 상기 이동체(10)의 속도,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ID 1 ~ ID 15)이 설치된 공간의 형태, 또는 미리 설정된 디폴트(defualt) 설정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에 의해 이동체(10)가 센싱되면, 상기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점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는 상기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들은 각각 점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선행특허는 상기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만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파워를 제어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특허와 같은 기술적 사상의 경우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와 상기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들 각각 간의 공간특성(예컨대, 공간의 형상, 물체의 존재여부, 반사파, 기타 외부신호와의 혼선여부 등)으로 인해 원하는 효과 즉,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가 수신할 수 있는 파워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였음에도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로 제어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가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들이 모두 수신할 수 있는 파워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였음에도,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들 중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와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특정 조명장치(예컨대, ID 2)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타 조명장치(예컨대, ID 4)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선행특허의 경우 제어신호의 출력파워로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를 특정함으로써,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의 방향성을 자유롭게 설정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체(10)가 이동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가 변경되고, 이에 따라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도 상기 이동체(10)의 진행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센싱 조명장치가 ID 3이고, 점등필요 조명장치가 ID 4 ~ ID 6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제어신호의 출력파워로 점등필요 조명장치를 특정하였으므로 제어신호를 방향성있게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 이동체(10)가 지나간 위치를 조명하도록 배치된 조명장치들(예컨대, ID 1 ~ ID 2)까지 재점등이 되어 불필요한 점등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제어신호의 출력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출력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거나, 이러한 하드웨어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공간특성에 따라 정확한 출력방향의 제어가 힘든 경우도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은 제어신호의 출력파워를 컨트롤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신호의 재출력(또는 재송신)을 통해 소정의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에 상응하는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보장하거나 수신확률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ID 1 ~ ID 15) 각각에 식별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소정의 조명장치가 제어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선택적으로 점등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조명 솔루션의 응용(예컨대, 점등필요 조명장치의 개수, 방향성의 선택, 점등필요 조명장치의 연속성 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출력파워를 제어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신호의 재출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신호의 혼선 또는 적시에 점등필요 조명장치가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해서 발생할 수 있는 적시성 역시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ID 1 ~ ID 15) 각각에 부여된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한 타이밍 컨트롤을 통해 해결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가 이동체(10)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는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를 점등하기 위한 제1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에 상응하는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는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점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간특성에 따라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 중에서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조명장치(예컨대, ID 3)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장치들(예컨대, ID 2, ID 4)는 다시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에 의해 상기 이동체(10)가 센싱되었음을 나타내는 제어신호 즉, 제2제어신호를 재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조명장치(예컨대, ID 3)가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제어신호는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장치들(예컨대, ID 2, ID 4)로부터 출력된 제2제어신호는 수신할 수 있을 확률이 매우 높다. 왜냐하면, 상기 조명장치(예컨대, ID 3)와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간의 공간특성과 상기 조명장치(예컨대, ID 3)와 조명장치들(예컨대, ID 2, ID 4) 각각 간의 공간특성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들(예컨대, ID 2, ID 4)이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에 상응하는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가 아닌, 타조명장치(예컨대, ID 5, ID 6 등) 역시 상기 제2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타조명장치(예컨대, ID 5, ID 6 등)는 상기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점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제어신호 등의 제어신호에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의 식별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장치들은 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제어신호에는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의 식별정보(ID 1)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장치들 각각은 상기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이 점등되어야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특허와 같이 상기 제1제어신호가 반드시 점등필요 조명장치에만 수신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 역시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의 식별정보(ID 1)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조명장치들 역시 상기 식별정보(ID 1)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이 상기 제2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점등되어야 할 조명장치 즉,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에 상응하는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가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 모두 또는 일부가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이미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장치가 다시 제2제어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조명장치(예컨대, ID 3)이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제2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신호는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 또는 이미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장치(예컨대, ID 2, ID 3)에 수신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동일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소정의 조명장치에 의해 반복적으로 수신될 수 있는데, 이처럼 반복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는 이미 점멸된 조명장치가 다시 점등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일정기간내에 동일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재수신되는 경우에는, 제어신호가 재수신되어도 점등을 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물론, 점등이 된 상태에서는 제어신호가 수신 또는 재수신되어도 해당 제어신호는 무시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정보에는 소정의 카운터 값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카운터 값은 이동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식별정보는 해당 조명장치를 식별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이동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도 같이 포함됨으로써 소정의 조명장치에 의해 이동체가 짧은 시간내에 연속적으로 센싱되는 경우에도, 어떠한 이동체의 센싱에 의해 출력된 제어신호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식별정보는 동일한 조명장치가 동일한 이동체를 센싱했을때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이동체(10)가 이동함에 따라서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가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가 이동체(10)를 센싱했을때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들의 점등 또는 상기 점등필요 조명장치(예컨대, ID 2 ~ ID 4)의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의 수신(이하,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에 의한 점등 프로세스'라 정의하기로 함)은 소정의 시점(예컨대, 상기 이동체(10)가 다음 조명장치(예컨대, ID 2)에 의해 센싱되는 시점) 이전에 완료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타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2)에 의한 점등 프로세스에 의해 점등될 필요가 없는 조명장치가 점등이 되거나 또는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에 의한 제1점등 프로세스를 위한 제어신호들과 타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2)에 의한 제2점등 프로세스를 위한 제어신호들간의 혼선으로 인해 조명장치들의 점등제어가 불확실해질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에 의한 점등 프로세스 즉, 상기 제1점등 프로세스를 위한 제어신호들(즉, 제1제어신호 및 제2제어신호들)의 출력 타이밍 컨트롤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출력 타이밍 컨트롤 역시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ID 1 ~ ID 15) 각각에 식별정보가 부여됨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ID 1 ~ ID 15) 중 어느 하나의 제1조명장치(100)는 제어부(110), 수신부(120), 및 송신부(130)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제1조명장치(100)는 이동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140) 및 빛을 출력하는 조명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의 구성들(예컨대, 전원부, 메모리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명장치(100)가 소정의 특정 조명장치(예컨대, 센싱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네1조명장치(100)의 점등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할지 여부 및/또는 출력할 경우에 출력 타이밍을 컨트롤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송신부(130)를 제어해 상기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0)는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예컨대, ID 1 ~ ID 15) 중 소정의 제2조명장치로부터 특정 조명장치(예컨대, 센싱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13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무선신호 즉,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센서(140)는 소정의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5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기초하여 조명을 점등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0)가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 조명장치 즉, 제2조명장치는 상기 센싱 조명장치일 수도 있고, 상기 센싱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점등필요 조명장치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조명장치(100)가 수신한 제어신호를 출력한 제2조명장치가 센싱 조명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제1조명장치(100)는 상기 센싱 조명장치가 출력한 제어신호(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제2제어신호)를 재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조명장치(100)는 상기 센싱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점등필요 조명장치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조명장치(100)가 점등필요 조명장치가 아닌 경우라도 단지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점등을 하지 않을 뿐, 상기 제1조명장치(100)는 상기 센싱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재출력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조명장치(100)가 수신한 제어신호를 출력한 제2조명장치가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센싱 조명장치(즉,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센싱 조명장치)가 아닐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센싱 조명장치로부 출력된 제어신호(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제어신호(제2제어신호)를 출력한 조명장치가 상기 제2조명장치일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제1조명장치(100)는 상기 제2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다시 동일한 식별정보(즉, 센싱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제3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에 포함된 조명장치들이 제어신호를 재출력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에는 조명장치들(20, 21, 22)이 포함될 수 있다. 소정의 시점에서 상기 조명장치(20)가 센싱 조명장치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센싱 조명장치(20)는 자신의 식별정보(예컨대, ID 1)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신호는 상기 조명장치(21) 및 상기 조명장치(22)에 각각 수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장치(21) 및/또는 상기 조명장치(22)는 상기 센싱 조명장치(20)에 상응하는 점등필요 조명장치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조명장치(21) 및/또는 상기 조명장치(22)가 상기 센싱 조명장치(20)에 상응하는 점등필요 조명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조명장치(21) 및 상기 조명장치(22)는 상기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조명장치의 조명부를 점등시킬 수 있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점멸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21) 및 상기 조명장치(22) 각각은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ID 1)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제2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21) 또는 상기 조명장치(22)가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출력된 제2제어신호는 다시 상기 조명장치(22) 또는 상기 조명장치(21)로 수신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조명장치(22) 또는 상기 조명장치(21)는 상기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다시 동일한 식별정보(ID 1)를 포함하는 제어신호 즉, 제3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불필요한 제어신호가 반복하여 재출력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제어신호를 출력한(또는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장치(예컨대, 22)가 일정 시간 내에 타조명장치(예컨대, 21)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가 상기 제2제어신호 또는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ID 1)와 동일한 경우라면 제어신호(제3제어신호)를 재출력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무한정 제어신호가 반복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식별정보(ID 1)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예컨대,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점등을 한 조명장치(예컨대, 21)는 일정 시간내에 동일한 식별정보(ID 1)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예컨대, 조명장치(22)로부터 출력된 제2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뒤에 수신된 제어신호(예컨대, 조명장치(22)로부터 출력된 제2제어신호)는 점등여부 판단에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조명장치들에는 각각 식별정보가 부여되고, 부여된 식별정보를 제어신호에 포함시킴으로써 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장치의 점등여부 및/또는 동일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의 재출력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조명장치들 각각에 부여된 식별정보를 제어신호에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장치가 점등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와 같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에 의한 점등 제어가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조명장치(20)가 센싱 조명장치인 경우, 제1조명장치(21)는 상기 제2조명장치(20)로부터 제2조명장치(20)의 식별정보(ID 1)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예컨대, 제1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0).
그러면, 상기 제1조명장치(21)에 포함된 제어부(110)는 상기 제어신호(예컨대,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ID 1)를 확인할 수 있다(S110).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식별정보(ID 1)와 동일한 식별정보(ID 1)를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이전 일정 시간내에 수신된 적이 있는지(또는 출력한 적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상기 제2조명장치(20)가 센싱 조명장치라고 가정했으므로, 상기 제1제어신호가 수신되기 전 일정 시간내에는 상기 식별정보(ID 1)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는 수신된적이 없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식별정보(ID 1)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21)의 점등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조명장치(21)에는 어떤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어야 점등을 할지를 결정할 식별정보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조명장치(21)에 저장된 식별정보 리스트에 상기 제2조명장치(20)의 식별정보(ID 1)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ID 1)를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점등되도록 조명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조명장치들(20, 21, 22)의 위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들(20, 21, 22) 각각의 식별정보가 소정의 숫자로 넘버링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예컨대, 제2조명장치(20)의 식별정보 1)와 상기 제1조명장치(21)의 식별정보(예컨대, 2)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조명장치(21)의 점등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만약, 센싱 조명장치에 상응하는 점등필요 조명장치의 개수가 3개라면, 상기 제어부(110)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와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장치의 식별정보의 차이값이 3 이하인 경우인지 여부에 따라 점등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에 상응하는 점등필요 조명장치의 개수가 3이고, 조명장치들(ID 1 ~ ID 9)의 식별정보가 각각 1 내지 9 라면,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ID 1)로부터 출력된 제1제어신호에는 식별정보 1이 포함되고, 상기 제1제어신호를 조명장치들(ID 1 ~ ID 9) 각각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조명장치들(ID 2 ~ ID 4)은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1)와 자신의 식별정보(2~4)의 차이값이 각각 1~3이되고, 점등필요 조명장치의 개수인 3이하이므로 점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조명장치들(ID 5 ~ ID 9)은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라도 차이값은 각각 4~8이되고, 점등필요 조명장치 개수인 3보다 크므로 점등이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다고 하더라도 조명장치들(ID 5 ~ ID 9)은 점등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점등필요 조명장치의 개수가 이동체(10)의 속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되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이 구현되는 경우라면, 센싱 조명장치는 이동체(10)의 속도를 소정의 방식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속도에 따라 출력할 제어신호에 자신의 식별정보 뿐만 아니라 점등필요 조명장치의 개수를 같이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장치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와 자신의 식별정보의 차이값과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개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이 점등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어부(110)가 수신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점등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조명부(150)를 제어하여 점등을 할 수 있다(S140).
그리고, 상기 제1조명장치(21)는 수신된 제어신호(예컨대,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예컨대, 1)와 동일한 식별정보(1)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예컨대, 제2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조명장치(22) 역시 마찬가지 방식으로 상기 제2조명장치(2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점등을 한 후, 동일한 식별정보(1)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예컨대, 제2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3조명장치(22)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예컨대, 제2제어신호)가, 상기 제1조명장치(21)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시점(또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다시 상기 제1조명장치(21)로 수신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과정(S120)를 통해 상기 제3조명장치(22)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예컨대, 제2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이를 무시할 수도 있다.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다시 출력할지 여부 및/또는 언제 출력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에 의한 제어신호의 출력 컨트롤이 수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에 의해 제어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컨트롤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소정의 제1조명장치(21)가 제어신호(예컨대, 제1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00). 그러면, 상기 제1조명장치(21)의 제어부(110)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예컨대, 제2조명장치(20)의 식별정보 1)를 확인할 수 있다(S210).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식별정보(예컨대, 1)를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된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수신된 적이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다시 출력하지 않고 제어신호의 출력제어는 종료될 수 있다. 수신된 적이 없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110)는 동일한 식별정보(예컨대, 1)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예컨대,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송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S240).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어신호(예컨대, 제2제어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S230). 상기 출력 타이밍은 수신된 제어신호(예컨대, 제1제어신호)가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딜레이 시간 후에 제어신호(예컨대,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딜레이 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장치들(예컨대, 20, 21, 22)의 식별정보가 위치에 따라 넘버링 된 경우, 수신된 제어신호(예컨대,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예컨대, 1)와 상기 제어신호(예컨대,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장치(예컨대, 제1조명장치(21))의 식별정보(예컨대, 2)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차이값과 미리 결정된 기준 딜레이 시간에 기초하여 출력 타이밍 즉, 딜레이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딜레이 시간이 (t) 로 설정된 경우라면,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제2조명장치(20)의 식별정보 1)는 제1제어신호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d)에 걸쳐 출력할 수 있다. 도 6a에는 예시적으로 센싱 조명장치는 제1제어신호를 상기 기준 딜레이 시간(t) 간격으로 두 번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무선신호의 전파속도를 고려할 때 상기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20)가 제1제어신호를 출력되는 시점으로부터 제1조명장치(21) 및 제2조명장치(20)가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시점간의 시간차이는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명장치(20)의 식별정보가 1이고, 상기 제1조명장치(21)의 식별정보가 2, 상기 제3조명장치(22)의 식별정보가 3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센싱 조명장치(20)는 최초 제1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기준 딜레이 시간(t) 후에 제1제어신호를 다시 출력할 수 있다. 물론, 한번만 제1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최초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조명장치(21)의 제어부(110)는 상기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예컨대, 1)와 자신의 식별정보(예컨대, 2)의 차이값(1)에 기초하여 딜레이 시간(예컨대,Δt + 차이값×(Δt))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최초 제1제어신호의 출력시점(또는 최초 제1제어신호의 수신시점)부터 {Δt+ 1×(Δt)}의 딜레이 시간 후에 제2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1제어신호를 수신한 제3조명장치(22)는 상기 제1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예컨대, 1)와 자신의 식별정보(예컨대, 3)의 차이값(2)에 기초하여 딜레이 시간(예컨대, Δt + 차이값×(Δt))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조명장치(22)는 상기 센싱 조명장치로부터 최초 제1제어신호의 출력시점(또는 최초 제1제어신호의 수신시점)부터 {Δt + 2×(Δt)}의 딜레이 시간 후에 제2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센싱 조명장치가 제1제어신호를 한번만 출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딜레이 시간은 예컨대, {차이값×(Δt)}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딜레이 시간은 소정의 조명장치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와 해당 조명장치의 식별정보의 차이값 및 기준 딜레이 시간(t)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예컨대, 소정의 센싱 조명장치(20)의 식별정보가 ID이고, 상기 센싱 조명장치(20)에 상응하는 점등필요 조명장치의 개수가 9개, 기준 딜레이 시간(t)이 10ms인 경우, 조명장치들(예컨대, ID +1 ~ ID +9) 각각의 딜레이 시간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20)에 의한 점등 프로세스 즉, 상기 센싱 조명장치(20)에 의해 이동체(10)가 센싱됨으로 인해 점등되어야할 조명장치들의 점등(또는 점등을 위한 제어신호들의 출력)은 적시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센싱 조명장치(20)에 의한 점등 프로세스는, 다음 조명장치(예컨대, 21)에 의해 상기 이동체(10)가 센싱되어 다음 조명장치(예컨대, 21)에 의한 점등 프로세스가 시작되기 전에 완료되거나 상당부분 완료되는 것(예컨대, 점등필요 조명장치의 일정 수 이상이 제어신호를 재출력할 수 있도록)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조명장치(예컨대, 21)에 의한 점등 프로세스를 위한 제어신호들에 의해 이전 점등 프로세스에 의해 점등되어야할 조명장치의 점등에 영향을 받거나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같이 제어신호의 재출력으로 인해 너무 많은 제어신호들이 출력 또는 재출력됨으로 인해 트래픽의 과다 또는 신호간의 혼선이 발생할 수도 있는 염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기준 딜레이 시간(t)은 소정의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20)에 의한 점등 프로세스 즉, 제1점등 프로세스가, 다음 센싱 조명장치(예컨대, 21)에 의한 점등 프로세스 즉, 제2점등 프로세스의 시작 전에 완료되거나 상당부분 완료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준 딜레이 시간(t)은 조명장치들간의 거리 및 이동체(10)의 (평균)속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 제어신호의 출력시간(d)이 80ms이고, 기준 딜레이 시간(t)이 10ms 인 경우라면, 제1점등 프로세스에 의해 가장 마지막으로 제어신호(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조명장치(센싱 조명장치의 ID +9에 해당하는 조명장치)는 80ms + 90ms 후에 제어신호(제2제어신호)를 상기 출력시간(d) 80ms 동안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점등 프로세스의 완료시간은 약 250ms 가 될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 딜레이 시간(t)이 10ms로 설정된 경우는, 예컨대, 이동체(10)가 인접한 조명장치들을 약 250ms 또는 그 이상의 시간동안에 이동하는 경우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10)가 인접한 조명장치들(예컨대, 20, 21)에 의해 센싱되는 평균시간이 더 짧은 경우라면, 상기 기준 딜레이 시간(t)은 좀더 짧아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에는 좀더 길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절한 기준 딜레이 시간(t)이 설정됨에 따라, 서로 다른 점등 프로세스간의 신호간의 혼선을 줄일 수 있으며, 동 시간대에 트래픽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이동체(10)를 센싱한 센싱 조명장치의 점등 유지시간 즉, 점멸시간을 상기 이동체(10)의 속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오랜 시간동안 조명장치가 점등되어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한다. 즉, 이동체(10)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경우에는, 상기 이동체(10)가 지나간 후에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내에 해당 조명장치를 점멸하여도 상기 이동체(10)의 시야확보에는 영향이 없을 수 있으므로, 이이동체(10)의 속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점멸시간을 컨트롤 함으로써 에너지 절약을 보다 증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일 예는 도 7에 도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에 의해 점멸시간 제어가 수행되는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정의 조명장치에 포함된 센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역(빗금영역)에 존재하는 물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예컨대, PIR(Pyroelectric InfraRed) 센서 또는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센서등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러면, 상기 조명장치에 포함된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기간(t1~t2)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점멸시간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간이 짧으면 상기 이동체(10)의 속도가 빠름을 의미하면, 그러면 상기 이동체(10)가 더 이상 센싱되지 않은 후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내에 상기 조명장치의 조명부(150)를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면, 상기 이동체(10)의 속도가 느림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체(10)가 더 이상 센싱되지 않은 후 상대적으로 긴시간 후에 상기 조명부(150)를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복수의 조명장치들의 신뢰성있는 점등, 필요한 조명장치만의 선택적 점등과 더불어 점등된 조명장치의 적응적인 점멸을 통해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위치에 따라 넘버링(numbering)된 식별정보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조명장치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제2조명장치로부터 출력되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넘버링된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1조명장치의 식별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1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제어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는 상기 특정 조명장치에 의해 이동체가 센싱된 경우에 점등되어야할 조명장치의 개수에 상응하는 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과 상기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하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위치에 따라 넘버링(numbering)된 식별정보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조명장치는,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제2조명장치로부터 출력되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넘버링된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1조명장치의 식별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1조명장치의 식별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제어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기준 딜레이(delay) 시간과 상기 차이값을 이용하여 상기 차이값에 비례하도록 딜레이 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딜레이 시간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2제어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딜레이 시간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가장 늦게 출력하는 조명장치의 제어신호 출력시점이 상기 특정 조명장치가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안에 이루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조명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명장치는,
    상기 특정 조명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영역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역에서 이동체가 센싱된 시간에 따라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점멸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조명 시스템.
  11. 삭제
  12. 위치에 따라 넘버링(numbering)된 식별정보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제1조명장치가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들 중 제2조명장치로부터 출력되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조명장치가 넘버링된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1조명장치의 식별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조명장치가 넘버링된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1조명장치의 식별정보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조명장치의 점등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조명장치가 상기 특정 조명장치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1조명장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제어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제공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2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08264A 2013-01-24 2013-01-24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594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264A KR101594117B1 (ko) 2013-01-24 2013-01-24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264A KR101594117B1 (ko) 2013-01-24 2013-01-24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364A KR20140095364A (ko) 2014-08-01
KR101594117B1 true KR101594117B1 (ko) 2016-02-15

Family

ID=5174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264A KR101594117B1 (ko) 2013-01-24 2013-01-24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036B1 (ko) * 2016-11-28 2019-04-03 한국공항공사 항공 장애등 제어 장치 및 항공 장애등 제어 방법
KR101983373B1 (ko) * 2018-07-05 2019-05-28 (주)엘이디세이버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870A (ja) * 1999-11-29 2001-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KR101001276B1 (ko) * 2010-07-22 2010-12-14 이흥태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870A (ja) * 1999-11-29 2001-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KR101001276B1 (ko) * 2010-07-22 2010-12-14 이흥태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364A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0676B2 (en) Sensing system for recognition of direction of moving body
US9578721B2 (en) Instrument control device, instrument control system, instrument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214235B1 (ko) 무선 센싱 모듈,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무선 조명 시스템
KR101594117B1 (ko)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2010102514A (ja) 信号機制御システム
JP2019533171A (ja) 位置特定システムのための電子ビーコン
JP2005135644A (ja) 照明用通信システム
CN104272877A (zh) 用于调试网络的节点的方法和设备
JP200918174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463139B1 (ko) 효율적인 조명제어가 가능한 주차구역 안내시스템
KR20150104016A (ko) 무선 통신 비상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116787A (ko) 도로 조명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자동 제어 방법
CN111223330A (zh) 基于无线传感网络与云平台的停车场智能监控方法与系统
JP2006071620A (ja) 非接触型検出装置及び制御装置
KR102034351B1 (ko)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9198A (ko) 교통 신호 정보 제공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75899B1 (ko)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2006249719A (ja) 車載機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車載機遠隔操作方法
KR101673801B1 (ko)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57506B1 (ko) 그룹 센서등을 위한 무선 자율중계 기반의 조명환경 설정 방법
JP5240705B2 (ja) 点灯保持時間可変式照明システム
JP2008065443A (ja) データ読み取り装置
KR20190019473A (ko) 센서등 무선 자율 그룹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 자율제어 센서등 장치
KR20100055267A (ko)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13279A (ko) 조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