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373B1 -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373B1
KR101983373B1 KR1020180078076A KR20180078076A KR101983373B1 KR 101983373 B1 KR101983373 B1 KR 101983373B1 KR 1020180078076 A KR1020180078076 A KR 1020180078076A KR 20180078076 A KR20180078076 A KR 20180078076A KR 101983373 B1 KR101983373 B1 KR 101983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unit
received
illumin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태
이종범
Original Assignee
(주)엘이디세이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이디세이버 filed Critical (주)엘이디세이버
Priority to KR102018007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72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은, 다수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다수의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는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일부가 수신하며,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일부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나머지에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WIRELESS MULTI RELAY COMMUNICATION ILLUMINATING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공간에 설치된 조명을 무선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조명이 설치된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구간 별로 스위치 등을 설치하여 제어한다. 더욱이 주차장 등이나 주차 유도 등에 이용할 때, 몇 개의 스위치 등으로 수많은 조명을 제어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에 따라 종래에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중계기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조명을 제어하는 연구가 개시된다.
도 1은 종래의 조명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서버(11)에서 무선통신부(12)를 통해 다수의 무선 중계기(13)를 각각 제어한다. 이때, 종래의 조명 시스템은 계층적으로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무선 중계기(13)는 각각 소정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커버영역(C)이 있고, 커버영역(C) 내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무선통신부(12)에서 무선 중계기(13)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무선중계기(13)는 무선통신부(12)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 대한 응답을 무선통신부(12)에 전송한다. 그에 따라 무선 중계기(13)에서 응답이 없으면, 무선 중계기(13)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계층적으로 무선통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중간에 배치된 무선 중계기(13)에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무선 중계기(13)의 하부에 배치된 무선 중계기(13)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4452호 (2012.12.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수의 조명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은, 다수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다수의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는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일부가 수신하며,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일부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나머지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일부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다른 일부에 송신하고,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다른 일부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또 다른 일부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조명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적어도 한번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조명부 각각은,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는 커버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일부에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수신부에 나중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다수의 조명부를 일률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에는 상기 다수의 조명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된 시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조명부는 설정된 위치에 대한 범위 내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조명부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분산형으로 제어함으로서, 다수의 조명을 분산형으로 제어할 수 있어, 시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조명부가 각각 무선통신의 커버영역 내의 조명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함에 따라 다수의 조명부 중 일부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전체 조명 시스템의 통신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다수의 조명부 중 일부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조명부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명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에서 조명부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에서 조명부 간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의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100)은, 제어서버(110), 무선통신부(120) 및 조명부(130)를 포함한다.
제어서버(110)는, 다수의 조명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신호는 다수의 조명부(130)를 동시에 일률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하지만, 제어신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수의 조명부(130)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거나 다수의 조명부(130)를 그룹별로 제어할 수 있는 신호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서버(11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PC,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무선통신부(120)는 제어서버(11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다수의 조명부(130)에 전송하기 위해 구비된다. 무선통신부(120)는 제어서버(110)와 유선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서버(110)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다수의 조명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무선통신부(120)는 다수의 조명부(130) 중 일부에 무선통신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부(120)에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조명부(130) 중 일부는 무선통신부(12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조명부(130)들일 수 있다.
다수의 조명부(130)는 무선통신부(120)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이 제어될 수 있다. 다수의 조명부(130)는 소정의 공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조명부(130)는 사무실이나 주차장 등과 같이, 넓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130)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점멸되거나 발광부(137)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조명부(130) 각각은 수신된 제어신호를 다시 무선통신으로 커버영역(C) 내의 다른 조명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다수의 조명부(130)들은 각각 동일한 제어신호에 따라 일률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에서 조명부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100)에서 조명부(130)들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원형은 각각 조명부(130)를 표시한 것이며, 도 3은, 각 조명부(130)들 중 어느 하나가 무선통신부(1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즉, 각 조명부(130)는 무선통신부(120)에서 수신된 신호를 커버영역(C) 내의 다른 조명부(130)로 재송신한다. 도 3은 14개의 조명부(130)가 배치되며, 하나의 조명부(130)가 양쪽으로 각각 여섯 개의 조명부(130)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하나의 조명부(130)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양측에 배치된 열두 개의 조명부(130)에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조명부(130)에서 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부(130)는, 해당 신호를 다시 커버영역(C) 내에 배치된 조명부(130)에 송신한다.
이때, 하나의 조명부(130)에서 송신하는 제어신호는 해당 조명부(130)의 커버영역(C) 내에 있는 다른 조명부(130) 모두에 송신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조명부(130)는 다른 다수의 조명부(130)의 커버영역(C)이 겹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여러 조명부(13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부(130)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그대로 재송신하는데, 조명부(130)에서 이루어지는 재송신은 제어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제어신호가 여러 번에 걸쳐 수신되더라도 최초 수신된 제어신호만 재송신하고, 그 이후에 수신되는 동일한 제어신호는 제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130)에 제어신호가 수신된 이후에, 먼저 수신된 제어신호와 다른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조명부(130)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제어신호를 구분할 수 있으며, 나중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나중에 수신된 제어신호를 재송신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먼저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도중에 다른 종류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나중에 수시된 제어신호에 따라 즉시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조명부(130)는 설정된 위치에 대한 범위 내에서의 제어신호에 대해서만 구동될 수 있다. 즉, 일례로, 건물의 각 층에 다수의 조명부(130)가 각각 설치된 경우, 다수의 조명부(130)는 각 층별로 독립적으로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소정의 층에 설치된 조명부(130)에 다른 층에 설치된 조명부(130)에서 송신된 제어신호가 수신되더라도 해당 조명부(130)는 다른 층에 설치된 제어신호에 대해 따라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구동되는 범위를 위치에 대해 설정하여 다수의 조명부(130)가 구동되는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소정의 그룹을 지정하여 그룹 단위로 다수의 조명부(130)가 구동되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다수의 조명부(130)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에서 조명부 간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제어신호가 다수의 조명부(130) 중 제1 조명부(130a)에 수신되면, 제1 조명부(130a)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즉시 커버영역(C) 내의 다른 조명부로 송신한다. 이때, 무선통신부(120)에서 제어신호를 수신한 제1 조명부(130a)는 무선통신부(120)로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2 조명부(130b)는 제1 조명부(130a)에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2 조명부(130b)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즉시 커버영역(C) 내의 다른 조명부로 송신하는데, 이때, 제1 조명부(130a)도 그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조명부(130b)는 제1 조명부(130a)로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3 조명부(130c)는 제2 조명부(130b)에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3 조명부(130c)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즉시 커버영역(C) 내의 다른 조명부로 송신하는데, 이때, 제1 조명부(130a) 및 제2 조명부(130b)도 포함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제4 조명부(130d)는 제3 조명부(130c)에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4 조명부(130d)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즉시 커버영역(C) 내의 다른 조명부로 전송하는데, 이때, 제1 조명부(130a), 제2 조명부(130b) 및 제3 조명부(130c)도 포함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제5 조명부(130e)는 제4 조명부(130d)에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5 조명부(130e)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즉시 커버영역(C) 내의 다른 조명부로 전송하는데, 이때, 제1 조명부(130a), 제2 조명부(130b), 제3 조명부(130c) 및 제4 조명부(130d)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어신호를 수신한 조명부(130)가 커버영역(C) 내의 다른 조명부(130)로 제어신호를 재송신하는 것은 시간적으로 거의 차이가 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재송신은 거의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제어신호가 송신되면, 제어신호가 수신된 조명부(130)들은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즉, 일례로, 제어신호가 조명부(130)가 턴온(turn on)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무선통신부(120)에서 송신된 제어신호가 다수의 조명부(130)들에 거의 동시에 수신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수의 조명부(130)들은 거의 동시에 턴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의 조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100)에 포함된 조명부(130)는, 수신부(131), 송신부(133), 제어부(135) 및 발광부(137)를 포함한다.
수신부(131)는 무선통신부(120)나 다른 조명부(13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구비된다. 수신부(131)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부(131)는 송신부(133) 및 제어부(135)로 수신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송신부(133)는 수신부(131)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그대로 외부로 송신한다. 이때, 송신부(133)는 송신부(133)에서 송신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소정의 커버영역(C)이 있어, 커버영역(C) 내에 위치한 조명부(130)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송신부(133)는 수신부(131)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만 외부로 전송하고, 제어신호가 수신에 따른 응답신호를 별도를 송신하지 않는다.
제어부(135)는 수신부(131)에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부(137)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5)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순서에 따라 발광부(137)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둘 이상의 다른 제어신호가 수신될 때, 수신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부(137)를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제어신호가 반복적으로 수신될 수 있는데, 일례로, 제1 제어신호가 첫 번째로 수신되고, 이후, 반복적으로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제2 제어신호가 첫 번째로 수신되면, 제어부(135)는, 제1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부(137)를 제어하는 것을 중지하고, 제2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부(137)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된 이후에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된 이후에 수신되는 제1 제어신호는 무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신호에는 무선통신부(120)에서 생성된 시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조명부(130)가 동일하게 구동되는 제어신호가 무선통신부(120)에서 송신되더라도, 제어부(135)는, 시각 정보에 따라 나중에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부(137)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5)는 후순위의 시각 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부(137)를 구동시키는 도중에 선순위의 시각 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선순위 시각 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가 무시될 수 있다.
발광부(137)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따라 광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137)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이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밝기가 조절될 수 있는 램프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37)는 제어부(135)의 제어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명 시스템
110: 제어서버
120: 무선통신부
130: 조명부
131: 수신부
133: 송신부
135: 제어부
137: 발광부
C: 커버영역

Claims (9)

  1. 다수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다수의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는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일부가 수신하며,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일부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나머지에 송신하고,
    상기 다수의 조명부 각각은,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조명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적어도 한번 수신하고, 설정된 위치에 대한 범위 내에서 송신된 제어신호를 따라 구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수신부에 나중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되,
    상기 제어신호에는 상기 다수의 조명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된 시각(time)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조명부에 동일하게 구동되는 제어신호가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송신되더라도, 상기 제어부는 시각 정보에 따라 나중에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후순위의 시각 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발광부를 구동시키는 도중에 선순위의 시각 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상기 선순위 시각 정보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후순위의 시각 정보는 상기 선순위의 시각 정보보다 더 나중의 시각 정보를 갖고,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일부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다른 일부에 송신하고,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다른 일부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또 다른 일부에 송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커버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조명부 중 일부에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조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다수의 조명부를 일률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조명 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78076A 2018-07-05 2018-07-05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 KR101983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76A KR101983373B1 (ko) 2018-07-05 2018-07-05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76A KR101983373B1 (ko) 2018-07-05 2018-07-05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373B1 true KR101983373B1 (ko) 2019-05-28

Family

ID=6665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076A KR101983373B1 (ko) 2018-07-05 2018-07-05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240B1 (ko) * 2022-11-30 2023-05-26 (주)영진이엘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452A (ko) 2011-06-02 2012-12-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신 서비스의 부하 분산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6944A (ko) * 2012-06-12 2014-01-16 절강 성휘 라이팅 컴퍼니 리미티드 엘이디 조명장치 및 엘이디 조명 네트워크 시스템
KR101414083B1 (ko) * 2013-12-11 2014-07-01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40095364A (ko) * 2013-01-24 2014-08-01 (주)엘이디세이버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665559B1 (ko) * 2015-05-07 2016-10-24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Led 조명등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452A (ko) 2011-06-02 2012-12-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신 서비스의 부하 분산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6944A (ko) * 2012-06-12 2014-01-16 절강 성휘 라이팅 컴퍼니 리미티드 엘이디 조명장치 및 엘이디 조명 네트워크 시스템
KR20140095364A (ko) * 2013-01-24 2014-08-01 (주)엘이디세이버 무선 통신 조명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414083B1 (ko) * 2013-12-11 2014-07-01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665559B1 (ko) * 2015-05-07 2016-10-24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코리아 Led 조명등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240B1 (ko) * 2022-11-30 2023-05-26 (주)영진이엘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7547B2 (en) System bridge and timeclock for RF controlled lighting systems
KR100670490B1 (ko) 조명 시스템의 설정방법, 설정기, 조명장치 및, 조명시스템
CN101491161B (zh) 开关设备、用于控制灯的系统以及用于带有至少一个发光装置的建筑物的光控制系统
US20110184577A1 (en) Wireless ballast control unit
KR101983373B1 (ko) 무선 다중 중계통신 조명 시스템
WO2010067654A1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EP370030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in a lighting system
WO2021049750A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2005063859A (ja) 照明装置
JP437093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9130567A (ja) 単方向無線通信システム
KR102249141B1 (ko) 적외선 통신에 의한 조명 제어장치
KR101929523B1 (ko) 적외선 통신에 의한 조명 제어장치
JPH05276117A (ja) 赤外線遠隔制御方式
JPH0969816A (ja) 光通信装置
JP2000083287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KR20050001584A (ko) 컴퓨터양방제어와 지피에스를 활용한 가로등 중앙집중 관리 시스템
JP7256962B2 (ja) 照明システム
CN100517145C (zh) 用于rf受控照明系统的系统桥接器和时钟
KR101957506B1 (ko) 그룹 센서등을 위한 무선 자율중계 기반의 조명환경 설정 방법
JPH07150527A (ja) 自発光式視線誘導装置
KR101768609B1 (ko) 지능형 옥외 조명등의 연동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200329155Y1 (ko) 컴퓨터양방제어와 지피에스를 활용한 가로등 중앙집중 관리 시스템
JPH05191357A (ja) 光空間伝送システム
JPS62193489A (ja) リモ−トコントロ−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