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337B1 - 기포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기포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337B1
KR101592337B1 KR1020140048614A KR20140048614A KR101592337B1 KR 101592337 B1 KR101592337 B1 KR 101592337B1 KR 1020140048614 A KR1020140048614 A KR 1020140048614A KR 20140048614 A KR20140048614 A KR 20140048614A KR 101592337 B1 KR101592337 B1 KR 10159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bubbles
main body
rotating memb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836A (ko
Inventor
이동헌
송승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에스
Priority to KR1020140048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33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액체 속에 함유된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제거장치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사용처와 직접 연통되어, 액체를 사용처로 공급한다. 그러므로, 기포가 제거된 액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사용처로 공급되므로,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사용처로 이송하는 도중, 기포가 제거된 액체에 기포가 다시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묻어서 박막형태를 이루는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므로,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사용처로 직접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와 사용처의 장치를 인라인타입으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포제거장치{BUBBLE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 속에 함유된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윤활유, 유압유 또는 터빈유 등과 같은 액체, 코팅액 또는 접착제 등과 같은 액체의 경우에는 표면 또는 내부에 기포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런데, 기포가 존재하는 윤활유, 유압유 또는 터빈유를 기계장치에 주입하면 기계장치가 불만족스럽게 작동할 수 있고, 기포가 존재하는 코팅액 및 기포가 존재하는 접착제의 경우에는 코팅성능 및 접착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한 후에 그 액체의 용도에 맞게 적절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액정 또는 반도체소자 등을 밀봉하기 위한 페이스트 재료는 기포가 충분히 제거된 상태에서 사용되도록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종류의 기포제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기포제거장치는 액체를 교반하여 기포를 제거하거나, 액체를 진공상태의 공간에 투입하여 기포를 제거하거나, 액체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기포를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포제거장치는 액체가 저장된 용기를 기포제거장치에 반입한 후, 상기 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교반하거나, 감압하거나, 상기 용기를 회전시켜 기포를 제거한다. 그리고,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가 충분히 제거되면, 상기 용기를 기포제거장치로부터 반출한 후, 상기 용기를 사용처로 이송하여 액체를 사용처에 공급한다.
즉, 종래의 기포처리장치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사용처로 직접 공급할 수 없으므로, 기포처리장치로부터 용기를 꺼낸 후, 용기를 운반하여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사용처로 공급한다. 이로 인해,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용기에 저장하여 사용처로 이송하는 도중, 기포가 제거된 액체에 기포가 다시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소정 높이를 가지는 상기 용기에 액체를 저장하여 기포를 제거하므로, 상기 용기의 바닥 부위에 있는 기포까지 충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포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사용처로 직접 공급함으로써, 액체를 사용처로 이송하는 도중에 액체에 기포가 다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포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를 박막 형태로 편 상태에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를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는 기포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를 박막 형태로 편 상태에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고점도의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도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는 기포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포제거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으로 공급된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액체를 자신의 외주면에 묻혀서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감압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묻어 있는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부; 상기 회전부재에 묻어 있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수용하며 사용처와 연통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사용처와 직접 연통되어, 액체를 사용처로 공급한다. 그러므로, 기포가 제거된 액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사용처로 공급되므로,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사용처로 이송하는 도중, 기포가 제거된 액체에 기포가 다시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묻어서 박막형태를 이루는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므로,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를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고, 고점도의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도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사용처로 직접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와 사용처의 장치를 인라인타입으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의 개략 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위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100)는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고, 본체(110)는 상호 결합된 하부본체(111)와 상부본체(11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본체(111)는 상단면(上端面)이 개방되고, 상부본체(115)는 하단면(下端面)이 개방되며, 하부본체(111)의 상단면과 상부본체(115)의 하단면이 접촉 결합될 수 있다.
본체(110)의 내부 하면 좌측 부위에는 본체(110)의 외측에서 공급되는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상면이 개방된 저장용기(121)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저장용기(121)의 하측 부위는 공급관(131)을 매개로 액체저장탱크(미도시)와 연통될 수 있다. 저장용기(121)의 하측 부위를 상기 액체저장탱크와 연통시킨 이유는, 상기 액체저장탱크에서 먼저 공급된 액체가 나중에 공급된 액체보다 저장용기(121)의 상측 부위에 위치되게 하기 위함이다.
공급관(131)에는 밸브(131a)가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액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는 기포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런데, 기포가 존재하는 윤활유, 유압유 또는 터빈유 등과 같은 액체를 기계장치에 주입하면, 기계장치가 불만족스럽게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기포가 존재하는 코팅액 또는 접착제 등과 같은 액체의 경우에는 코팅성능 및 접착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100)는 액체를 박막형태로 편 후에,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한다.
이를 위하여, 본체(110)의 내부 중앙부측에는 원통형상의 롤러 등과 같은 회전부재(14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측을 향하는 회전부재(140)의 부위는 저장용기(121)에 저장된 액체에 감길 수 있다. 그러면, 회전부재(140)가 회전함에 따라, 저장용기(121)에 저장된 액체는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묻어서 박막형태로 이송된다. 액체가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묻어서 이송되기 위해서는, 액체가 소정의 점도를 가져야 함은 당연하다.
본체(110)의 외부 상면에는 기포제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기포제거부(150)는 감압펌프(151)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10)의 내부와 연통되어 본체(110) 내부의 압력을 감압할 수 있다. 그러면,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묻어서 기포제거부(150)측으로 이송된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는 기포제거부(150)에 의하여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본체(110) 내부의 압력은 액체의 점도, 액체의 두께에 따른 제거하고자 하는 기포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저장부(120)의 일측인 본체(110)의 내부 하면 우측 부위에는 회전부재(140)에 묻어 있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부(160)가 설치될 수 있다. 수용부(160)는 저장용기(12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면이 개방된 수용용기(161)로 마련될 수 있다.
수용용기(161)는 기포제거부(150)에 의하여 기포가 제거된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는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여 수용용기(161)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용기(161)는 배출관(135)을 매개로 사용처와 연통될 수 있다. 그러면,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배출관(135)을 통하여 직접 사용처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기포가 제거된 액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사용처로 이송하는 도중, 기포가 제거된 액체에 기포가 다시 발생할 우려가 없다.
그리고,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수용용기(161)와 사용처측을 배출관(135)을 매개로 연결하여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100)와 사용처측의 장치를 인라인타입으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들 중, 일부는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어 수용용기(161)에 수용되고, 일부는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지 않고 저장용기(121)로 재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100)에는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지 않은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묻어있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들 수거하여 수용용기(161)로 공급하기 위한 수거부재(170)가 설치될 수 있다.
수거부재(170)는 편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측 단면은 회전부재(140)의 외주면과 대향하고, 우측 단면은 수용용기(16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거부재(170)는 회전부재(140)에서 수용용기(161)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수거부재(170)의 좌측 단면(端面)은 회전부재(140)의 외주면과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할 정도로 인접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들 중,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지 않은 액체는 수거부재(170)의 좌측 단면에 의하여 수거되어 수용용기(161)에 수용된다.
수거부재(170)는 회전부재(140)의 외주면과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수거부재(170)의 좌측 단면과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의 접촉 여부, 수거부재(170)의 좌측 단면과 회전부재(1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은 액체의 점도, 액체의 두께에 따른 기포가 제거된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수용용기(161)는 하측 부위가 배출관(135)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용기(161)의 하측 부위를 배출관(135)과 연통시킨 이유는, 회전부재(140)로부터 수거된 순으로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사용처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본체(11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수거부재(170)를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 또는 등과 같은 구동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배출관(135)에도 밸브(135a)가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액체의 점도에 따라 회전부재(140)에 묻어서 기포제거부(150)측으로 이송되는 액체의 두께를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액체의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액체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하는 것이 필요하고, 액체의 점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면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액체가 얇은 두께로 묻게되므로 액체의 두께를 조절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회전부재(140)에 묻어 있는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할 때, 액체의 두께가 얇으면 더욱 용이하게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100)에는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묻어서 기포제거부(150)측으로 이송되는 액체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180)가 설치될 수 있다.
조절부재(180)는 저장부(120)와 기포제거부(150) 사이인 본체(110)의 좌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140)의 외주면과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체(110)의 내측을 향하는 조절부재(180)의 단면(端面)과 회전부재(1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묻어서 기포제거부(150)측으로 이송되는 액체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재(180)의 단면과 회전부재(1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은 액체의 점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는 액체를 박막형태로 펴서 액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므로,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를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고, 액체가 고점도일 경우에도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를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다.
도 1의 미설명부호 183은 조절부재(180)를 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이다.
제2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의 개략 단면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200)는 액체 이송용 제1펌프(233) 및 제2펌프(2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펌프(233)는 상기 액체저장탱크의 액체를 저장부(220)로 공급할 수 있고, 제2펌프(237)는 수용부(260)의 액체를 사용처로 공급할 수 있다. 제1펌프(233) 및 제2펌프(237)를 이용하여 액체를 이송 공급하는 이유는, 액체의 점도가 소정 이상이면, 액체의 자중만을 이용하여 액체를 이송 공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3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의 개략 단면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30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액체를 교반하는 교반부재(39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재(39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저장부(320)의 액체를 교반한다. 그러면, 교반부재(390)의 교반에 의하여,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가 제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부(320)에 저장된 액체가 골고루 섞인 균일한 상태가 되어 회전부재(340)의 외주면에 묻히게 된다.
제4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의 개략 단면도로서, 제3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400)는 제1펌프(433) 및 제2펌프(4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제1펌프(433) 및 제2펌프(437)의 구성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제1펌프(233) 및 제2펌프(237)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의 개략 단면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500)는 수용부(560)의 수용용기(561)를 이용하여 기포제거부(550)에 의하여 기포가 제거된 회전부재(54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용용기(561)의 좌측면 상단면(上端面)은 회전부재(540)의 외주면과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할 정도로 인접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회전부재(54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들 중,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지 않은 액체는 수용용기(561)의 좌측면 상단면에 의하여 수거되어 수용용기(561)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용기(561)의 좌측면 상단면(上端面)과 회전부재(5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은 액체의 점도, 액체의 두께에 따른 기포가 제거된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의 개략 단면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포제거장치(600)는 저장용기(621)로 마련된 저장부(620)와 수용판(661)으로 마련된 수용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621)는 상면이 개방되어 본체(610)의 내부 하면에 회전부재(640)와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수용판(661)은 좌측 단면(端面)은 회전부재(640)의 외주면과 대향하고, 우측 단면은 본체(610)의 우측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판(661)은 회전부재(640)에서 본체(610)의 우측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수용판(661)은 회전부재(240)의 외주면으로부터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수용하여 사용처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수용판(661)은 회전부재(64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들 중,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지 않은 액체를 수거하여 수용한 후 사용처로 공급할 수 있다.
수용판(661)의 상면에 수용된 기포가 제거된 액체가 용이하게 배출관(635)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용판(661)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완만한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판(661)은 본체(610)의 우측면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수용판(661)의 좌측 단면과 회전부재(6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회전부재(640)에 묻어 있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의 수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수용판(661)의 좌측 단면과 회전부재(6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은 액체의 점도, 액체의 두께에 따른 기포가 제거된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수용판(661) 하측의 본체(610)의 부위에는 수용판(661)과 본체(610) 사이의 틈으로 누설되는 액체를 수거하여 배출관(635)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수거판(665)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본체
120: 저장부
140: 회전부재
150: 기포제거부
160: 수용부
170: 수거부재
180: 조절부재

Claims (11)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으로 공급된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액체를 자신의 외주면에 묻혀서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감압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묻어 있는 액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부;
    상기 회전부재에 묻어 있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수용하며, 사용처와 연통된 수용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과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묻어서 상기 기포제거부측으로 이송되는 액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액체를 교반하는 교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저장부의 액체를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로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저장용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수거하여 상기 수용용기로 공급하는 수거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재는 일측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과 대향하고, 타측은 상기 수용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수용용기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과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는 상기 수용용기의 일단면에 의하여 수거되어 상기 수용용기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로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는 일측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과 대향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접촉 지지되며,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수용하여 사용처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기포가 제거된 액체를 수거하는 수용판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판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제거장치.
KR1020140048614A 2014-04-23 2014-04-23 기포제거장치 KR101592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614A KR101592337B1 (ko) 2014-04-23 2014-04-23 기포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614A KR101592337B1 (ko) 2014-04-23 2014-04-23 기포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836A KR20150122836A (ko) 2015-11-03
KR101592337B1 true KR101592337B1 (ko) 2016-02-11

Family

ID=5459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614A KR101592337B1 (ko) 2014-04-23 2014-04-23 기포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320A (ko) 2017-08-31 2019-03-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수형 우유 기포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4108A1 (zh) * 2020-12-25 2022-06-30 佛山市康思达液压机械有限公司 液压油路系统及液压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549A (ja) * 1998-10-21 2000-05-09 Asahi Glass Co Ltd 減圧脱泡によるガラスの製造方法
JP2005201486A (ja) * 2004-01-14 2005-07-28 Sekisui Aqua System Kk 減圧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603A (ja) * 1996-01-09 1997-07-22 Sato Tatsuhiko 脱気装置及び超音波洗浄装置の脱気装置
KR100323203B1 (ko) * 1998-12-22 2003-03-15 인바이오텍 주식회사 폐수내의부유물질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549A (ja) * 1998-10-21 2000-05-09 Asahi Glass Co Ltd 減圧脱泡によるガラスの製造方法
JP2005201486A (ja) * 2004-01-14 2005-07-28 Sekisui Aqua System Kk 減圧乾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320A (ko) 2017-08-31 2019-03-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수형 우유 기포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836A (ko)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1013272A (es) Capsula, sistema y metodo para preparar una cantidad predeterminada de bebida adecuada para consumo.
TW200605938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KR101592337B1 (ko) 기포제거장치
RU2012101442A (ru) Система, аппарат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FI66094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yllning av en deponeringsbehaollare med radioaktivt avfall
TW200605829A (en) Beverage extraction assembly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particulate substance contained in a cartridge
DE102007003972B4 (de) Vorrichtung zur luftfreien Entnahme und verbesserten Entlüftung mit porösen Trennplatten
AU47910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particles out of a liquid
MX2008002136A (es) Aparato para produccion, retiro y transferenca de suspension altamente viscosa.
CN105736354A (zh) 带旋转阀的活塞泵和液体药物灌装机
KR101592345B1 (ko) 기포제거장치
CN103159277B (zh) 加工废液处理装置
AU2003303616A1 (en) Container receiving unit with even distribution of beverage
US7243600B1 (en) Ink pan for a rotogravure printing press
KR20130067545A (ko) 스크류 타입 오일 스키머
JP2002283236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研削液配給システム
JP6551952B1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ES2141595T3 (es) Sistema para la preparacion de un liquido para limpieza de suelos en forma adecuada para su utilizacion.
JP2014047611A (ja) 貯水タンク及びこの貯水タンクを用いた冷却水供給・汚泥水回収方法
AU2006201416A1 (en) Spreading unit for bonding machines, with adhesive recirculation systems
KR20140126456A (ko) 원유 슬러지 분리장치 및 방법
JP4581054B2 (ja) 固形分の回収システム及び固形分の回収方法
KR20170000631A (ko) 롤러의 중량에 의해 텐션을 유지하는 화이바글라스 벨트와 벨트 양면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벨트타입 스키머
US20050103695A1 (en) Apparatus for use in reclaiming coolant used in cutting machines
US20090107855A1 (en) Additive saline dos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 lens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