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096B1 - 초전도 선재 - Google Patents

초전도 선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096B1
KR101592096B1 KR1020140038068A KR20140038068A KR101592096B1 KR 101592096 B1 KR101592096 B1 KR 101592096B1 KR 1020140038068 A KR1020140038068 A KR 1020140038068A KR 20140038068 A KR20140038068 A KR 20140038068A KR 101592096 B1 KR101592096 B1 KR 10159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perconducting
stabilizer
meta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126A (ko
Inventor
김상철
김효중
이상호
임성환
장재영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8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09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 B21F15/08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making use of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전도 선재에 관한 것으로, 금속기판, 완충층, 및 초전도층이 접합된 선재, 선재에 도금되어 형성되는 안정화제층, 선재 또는 안정화제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형성되는 금속보강층, 및 금속보강층의 외측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절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전도 선재 { Superconductive wire material }
본 발명은 초전도 선재에 관한 것으로서, 선재 절연 및 박리강도 향상의 효과를 가지는 초전도 선재에 관한 것이다.
초전도체는 일반 금속과 달리 어떤 온도 이하에서 저항이 0이 되는 물질을 의미하고, 다량의 전류를 손실 없이 흐르도록 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초전도체는 자기 부상 열차, 입자 가속기, 자기 공명 영상 장치, 전자 소자 등에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초전도체는 산화물로 존재하므로 연성이 부족하여 크랙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초전도체를 박막형태로 전성이나 연성이 좋은 금속기판 위에 증착한 구조인 초전도 박막선재가 이용된다.
또한, 코일에 초전도 선재를 권선하는 경우와 같이, 그 이용 과정에서의 연성이 요구되는 경우, 이를 확보하기 위한 금속보강층(구리(Cu), 구리(Cu)합금, 또는 스테인리스합금 등으로 구성)을 더 적층하여 사용한다. 즉, 납땜 등의 방식으로 라미네이트 처리를 하여 기계적 보강을 도모한다.
이 경우, 초전도 선재의 이용 과정에서 선재 간 발생하는 통전을 방지하기 위해 켑톤 테이프(Kapton tape) 등의 절연성 재질의 필름을 초전도 선재의 외측에 랩핑(Wrapping)하여 사용함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초전도 절연 선재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1-0099460호(특허문헌 1)가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초전도 절연 선재에 관한 것으로서, 완충층을 사이에 두고 초전도층과 금속기판이 접합된 선재에 안정화제층이 도금되는 초전도 선재에 있어서, 안정화제층의 전면에 에폭시 수지 절연재층이 코팅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종래의 초전도 선재는 절연성 재질의 필름이 초전도 선재 모서리에 생기는 버(Burr) 등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이 안정화제층과 별도의 에폭시 수지 절연재층이 요구되는 경우,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이로 인해 제조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1-0099460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부가 그 외측에 일체로서 형성된 금속보강층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강건한 절연 구조를 가지는 초전도 선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별도의 절연부가 요구되지 않고, 금속보강층의 외측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일체형 된 절연부를 포함함으로써, 제조공정 상의 효율성을 높이고 나아가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초전도 선재를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금속보강층 적층 구조의 변화를 통해 형성되는 돌출부를 연결하여 박리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초전도 선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는 금속기판, 완충층, 및 초전도층이 순차적으로 접합된 선재; 상기 선재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상기 선재에 도금되어 형성되는 안정화제층; 상기 안정화제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샌드위치 형으로 적층되는 금속보강층; 및 상기 금속보강층의 외측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절연부; 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보강층은 상기 안정화제층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안정화제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절연부는, 절연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보강층은 알루미늄(Al)로 형성되고, 절연부는 아노다이징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돌출부끼리 납땜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끼리 점납땜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끼리 용착금속으로 용접 또는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끼리 점용접 또는 점접합될 수 있다.
한편, 안정화제층은, 은(Ag) 또는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초전도 선재는 절연부가 그 외측에 일체로서 형성된 금속보강층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강건한 절연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초전도 선재는 별도의 절연부가 요구되지 않고, 금속보강층의 외측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일체형 된 절연부를 포함함으로써, 제조공정 상의 효율성을 높이고 나아가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초전도 선재는 금속보강층 적층 구조의 변화를 통해 형성되는 돌출부를 연결하여 박리강도의 향상을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초전도 선재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선도 선재를 설명하기 위한 일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선도 선재를 설명하기 위한 일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초선도 선재를 설명하기 위한 일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초전도 선재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초전도 선재는 금속기판(110), 완충층(120), 초전도층(130), 및 안정화제층(140, 15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는 기본적으로 금속기판(110), 완충층(120), 및 초전도층(130)이 접합된 선재, 및 선재에 도금되어 형성되는 안정화제층(140, 150)으로 이루어진다.
금속기판(110)은 초전도 선재의 토대를 형성한다. 즉, 초전도체는 산화물로 존재하므로 연성이 부족하여 크랙이 발생하기 쉬운 바, 초전도체를 박막형태로 전성이나 연성이 좋은 금속기판 금속기판(110) 위에 증착한 구조인 초전도 박막선재가 이용된다.
이 경우, 금속기판(110)은 주로 내산화성을 지닌 스테인리스합금 또는 니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음, 완충층(120)은 금속기판(110)과 초전도층(130) 사이에 형성되어 완충 작용을 한다. 즉, 금속기판(110)의 금속 물질이 초전도층(130)으로 확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초전도층(130)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 경우, 완충층(120)의 확산 방지층은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고, 특성 향상층은 MgO, MnO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초전도층(130)은 초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일반 금속과 달리 어떤 온도 이하에서 저항이 0이 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 경우, 초전도체는 히토류계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관하여는 다수의 기술이 공지되어있는바, 본 발명의 간명한 설명을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안정화제층(140, 150)은 임계전류 이상의 전류가 초전도층(130)으로 인가된 경우, 전류의 흐름을 분산시킴으로써 초전도 선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안정화제층(140, 150)은 은(Ag) 또는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정화제층은 은(Ag)안정화제층(140) 또는 구리(Cu)안정화제층(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안정화제층(140, 150)은 금속기판(110), 완충층(120), 및 초전도층(130)으로 이루어지는 선재의 외측 전부가 아니라 그 일부에만 도금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선도 선재를 설명하기 위한 일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는 금속기판(210), 완충층(220), 초전도층(230), 은(Ag)안정화제층(240), 구리(Cu)안정화제층(250), 금속보강층(260), 및 절연부(27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는 금속기판(210), 완충층(220), 및 초전도층(230)이 접합된 선재, 선재에 도금되어 형성되는 안정화제층(240, 250), 구리(Cu)안정화제층(250)의 상면에 적층된 금속보강층(260), 및 금속보강층(260)의 외측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절연부(270)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정화제층(240, 250)은 다양한 변형예를 상정할 수 있다. 즉, 안정화제층(240, 250)은 은(Ag) 또는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선재의 외측 전부가 아니라 그 일부에만 도금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금속보강층(260)은, 제 1 실시예와 달리, 선재 또는 안정화제층(240, 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금속기판(210), 완충층(220), 초전도층(230), 은(Ag)안정화제층(240), 및 구리(Cu)안정화제층(250)에 관하여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하였는바,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금속보강층(260)은 라미네이트 처리를 하여 기계적 보강을 이루는 층이다. 즉, 금속보강층(260)은, 코일에 초전도 선재를 권선하는 경우와 같이 그 이용 과정에서 연성이 요구되는 경우, 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더 적층된다.
이 경우, 금속보강층(260)은 구리(Cu), 구리(Cu)합금, 또는 스테인리스합금(STS, SUS)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그 비용 및 효용성에 있어 금속보강층(260)은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에는 금속보강층(260)이 구리(Cu)안정화제층(250)의 상면에 적층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은(Ag)안정화제층(240)이 최외각에 도금된 경우에는 은(Ag)안정화제층(240)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아울러, 그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고, 안정화제층(240, 250)이 선재의 외측 전부가 아니라 그 일부에만 도금되는 경우에는 선재에 직접 적층될 수도 있다.
한편, 절연부(270)는 초전도 선재의 이용 과정 상 필요에 의한 절연 효과를 확보하기 위한 층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는, 절연부(270)가 금속보강층(260)의 외측에 일체로서 형성된다.
이때, 절연부(270)는 금속보강층(260)을 형성하는 구리(Cu), 구리(Cu)합금, 또는 스테인리스합금(STS, SUS) 등의 금속재질이 절연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금속의 절연코팅에 관하여는 다수의 기술이 공지되어있는바, 본 발명의 간명한 설명을 위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금속보강층(260)이 알루미늄(Al)로 형성된 경우에는, 아노다이징 처리를 통해 절연부(27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금속보강층(260)을 형성하는 알루미늄(Al)의 표면을 알루마이트 처리가공으로 산화피막을 형성함으로써, 그 산화피막을 절연부(270)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는, 절연부(270)가 그 외측에 일체로서 형성된 금속보강층(260)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강건한 절연 구조를 가지는 한편, 제조공정 상의 효율성을 높이고 나아가 원가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선도 선재를 설명하기 위한 일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는 금속기판(310), 완충층(320), 초전도층(330), 은(Ag)안정화제층(340), 구리(Cu)안정화제층(350), 금속보강층(360), 및 절연부(37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는 금속기판(310), 완충층(320), 및 초전도층(330)이 접합된 선재, 선재에 도금되어 형성되는 안정화제층(340, 350), 구리(Cu)안정화제층(350) 상면과 하면에 샌드위치 형으로 적층된 금속보강층(360), 및 금속보강층(360)의 외측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절연부(370)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정화제층(340, 350)은 다양한 변형예를 상정할 수 있다. 즉, 안정화제층(340, 350)은 은(Ag) 또는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선재의 외측 전부가 아니라 그 일부에만 도금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금속보강층(360)은, 제 2 실시예와 달리, 선재 또는 안정화제층(340, 3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금속기판(310), 완충층(320), 초전도층(330), 은(Ag)안정화제층(340), 구리(Cu)안정화제층(350), 금속보강층(360), 및 절연부(370) 각각에 관하여는 제 1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하였는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는, 절연부(270)가 그 외측에 일체로서 형성된 금속보강층(260)이 샌드위치 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보다 그 단면적은 증가하나, 절연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초전도 코일의 권선 등 그 이용형태에 따라 제작설계 및 비용의 측면을 고려하여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초선도 선재를 설명하기 위한 일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는 금속기판(410), 완충층(420), 초전도층(430), 은(Ag)안정화제층(440), 구리(Cu)안정화제층(450), 금속보강층(460), 및 절연부(47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는 금속기판(410), 완충층(420), 및 초전도층(430)이 접합된 선재, 선재에 도금되어 형성되는 안정화제층(440, 450), 구리(Cu)안정화제층(450) 상면과 하면에 샌드위치 형으로 적층된 금속보강층(460), 및 금속보강층(460)의 외측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절연부(470)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정화제층(440, 450)은 다양한 변형예를 상정할 수 있다. 즉, 안정화제층(440, 450)은 은(Ag) 또는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선재의 외측 전부가 아니라 그 일부에만 도금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금속보강층(460)은, 제 3 실시예와 달리, 선재 또는 안정화제층(440, 4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선재의 최외각에 은(Ag)이 도금된 경우에는 은(Ag)안정화제층(440)의 상면과 하면에 적층될 수 있고, 은(Ag) 또는 구리(Cu)가 선재의 외측 전부가 아니라 그 일부에만 도금되는 경우에는 선재에 직접 적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금속기판(410), 완충층(420), 초전도층(430), 은(Ag)안정화제층(440), 구리(Cu)안정화제층(450), 금속보강층(460), 및 절연부(470) 각각에 관하여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하였는바, 여기서는 박리강도 향상을 도모하는 제 3 실시예의 특징적 구성에 입각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금속보강층(460)은, 안정화제층(440, 450)의 폭방향을 따라 안정화제층(440, 45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돌출부(401)를 가진다.
이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땜납(480)으로 돌출부(401)끼리 납땜될 수 있다.
이때, 납땜과정에서 초전도층(430)의 열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점납땜 방식을 통해 땜납(480)이 초전도층(430)에 접하지 않도록 납땜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용착금속(490)으로 돌출부(401)끼리 용접 또는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납땜과정에서 초전도층(430)의 열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점용접 또는 점접합 방식을 통해 용착금속(490)이 초전도층(430)에 접하지 않도록 납땜될 수 있다.
특히, 용접 또는 접합은 저항용접(Spot방식, Seam방식, Flash방식), 브레이징 방식, 압접 방식, 초음파 용접 방식, 전자빔 용접 방식, 플라즈마 용접 방식, 레이저 및 레이저 하이브리드 용접 방식, 용융 용접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다수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간명한 설명을 위하여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와 달리, 금속보강층(460) 적층 구조의 변화를 통해 형성되는 돌출부(401)를 연결하여 박리 강도의 향상을 도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초전도 선재에 관한 것으로서, 초전도 재료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10, 210, 310, 410: 금속기판
120, 220, 320, 420: 완충층
130, 230, 330, 430: 초전도층
140, 240, 340, 440: 은(Ag)안정화제층
150, 250, 350, 450: 구리(Cu)안정화제층
260, 360, 460: 금속보강층
270, 370, 470: 절연부
401: 돌출부 480: 땜납
490: 용착금속

Claims (9)

  1. 금속기판, 완충층, 및 초전도층이 순차적으로 접합된 선재;
    상기 선재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상기 선재에 도금되어 형성되는 안정화제층;
    상기 안정화제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샌드위치 형으로 적층되는 금속보강층; 및
    상기 금속보강층의 외측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절연부;
    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보강층은 상기 안정화제층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안정화제층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절연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보강층은 알루미늄(Al)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는 아노다이징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끼리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끼리 점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끼리 용착금속으로 용접 또는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끼리 점용접 또는 점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층은,
    은(Ag) 또는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
KR1020140038068A 2014-03-31 2014-03-31 초전도 선재 KR10159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068A KR101592096B1 (ko) 2014-03-31 2014-03-31 초전도 선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068A KR101592096B1 (ko) 2014-03-31 2014-03-31 초전도 선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126A KR20150114126A (ko) 2015-10-12
KR101592096B1 true KR101592096B1 (ko) 2016-02-05

Family

ID=5434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068A KR101592096B1 (ko) 2014-03-31 2014-03-31 초전도 선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0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124B1 (ko) * 2017-10-25 2021-10-15 한국전기연구원 접촉저항 개선식 금속절연방식 초전도 코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0241A1 (en) 2011-10-11 201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erconductive electromagnet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0241A1 (en) 2011-10-11 201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erconductive electromagnet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y, 23, 3, 4802408 (2013.02.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126A (ko) 201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3784B2 (ja) 超電導線材および超電導コイル
JP5933781B2 (ja) 酸化物超電導線材
JP6981119B2 (ja) コイル装置
JP5684961B2 (ja) 酸化物超電導線材
US20190172612A1 (en) Oxide superconducting wire
JP6725001B2 (ja) 超電導線材および超電導コイル
JP6364502B2 (ja) 超電導コイル
JP2013232297A (ja) 酸化物超電導線材
KR101624031B1 (ko) 초전도 선재와 그 접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초전도 코일
KR101592096B1 (ko) 초전도 선재
JP7074190B2 (ja) 超電導線材、積層超電導線材、超電導コイル及び超電導ケーブル
JP2004363178A (ja) 巻線コイル部品
JP6069269B2 (ja) 酸化物超電導線材、超電導機器及び酸化物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JP5701247B2 (ja) 酸化物超電導線材の接続構造体及び接続方法
JP2013247011A (ja) 酸化物超電導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106789B1 (ja) 酸化物超電導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超電導コイル
JP6729303B2 (ja) 超電導線材及び超電導コイル
JP4581353B2 (ja) 巻線コイル部品
JP6484658B2 (ja) 酸化物超電導線材及び超電導コイル
JP2023032075A (ja) 超電導コイル
JP2022057184A (ja) コイル部品
JP2023150136A (ja) インダ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dc-dcコンバータ
JP2014154331A (ja) 酸化物超電導線材及び酸化物超電導線材の接続構造体並びに酸化物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JP2013187103A (ja) 酸化物超電導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6185751A1 (ja) 超電導線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