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007B1 -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네비게이션 송출 장치에 친환경적 풍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네비게이션 송출 장치에 친환경적 풍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007B1
KR101592007B1 KR1020150148983A KR20150148983A KR101592007B1 KR 101592007 B1 KR101592007 B1 KR 101592007B1 KR 1020150148983 A KR1020150148983 A KR 1020150148983A KR 20150148983 A KR20150148983 A KR 20150148983A KR 101592007 B1 KR101592007 B1 KR 10159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ng
road
gp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유복
윤상현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아이씨티웨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씨티웨이(주) filed Critical 아이씨티웨이(주)
Priority to KR1020150148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합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치지도 제작시 기준점이 되는 송신기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미처 네비게이션장치를 확인하지 못하더라도 전방의 위험상황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전방의 위험상황에 대해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는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합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네비게이션 송출 장치에 친환경적 풍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Drawing of the image synthesis system reference point for improving the precision of digital maps}
본 발명은 공간영상 도화 기술분야 중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합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치지도 제작시 기준점이 되는 송신기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미처 네비게이션장치를 확인하지 못하더라도 전방의 위험상황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전방의 위험상황에 대해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는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합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GIS는 데이터화된 수치지도와, GPS수신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GIS에 이용되는 수치지도는 항공사진을 촬영한 후, 임의로 설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주변의 도로시설물의 좌표를 수치정보화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수치지도는 항공촬영과 지상촬영을 통해 수집한 이미지로부터 제작되고, 이렇게 수집된 이미지는 이웃하는 이미지들 간의 상호 연결을 통해 완전한 일체의 이미지로 완성되어 수치지도로 완성된다.
그런데, 이렇게 수집된 이미지의 상호 연결을 위해서는 이미지들 간의 정확한 연결을 위한 기준이 필요하고, 그 기준을 정확히 잡기 위해서는 GPS좌표에 따른 정확한 항공 영상이미지와 지상 영상이미지의 촬영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GPS좌표별로 항공촬영과 지상촬영을 정확히 수행해서 상기 GPS좌표별로 정확한 항공 영상이미지와 지상 영상이미지를 수집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촬영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이 요구되고, 상기 기준점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또한 요구된다.
종래에는 카메라가 신호 또는 빛을 수신해서 해당 지점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장치가 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 장치들은 자체적으로 조사하는 빛을 카메라가 정확히 수신해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대부분이었고, 특히 외부 오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이 전무했으므로 상기 장치의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었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기준점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도록 하므로,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였다.
한편,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는 주로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도로의 상태정보를 얻고 있는데, 네비게이션 장치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게 되면 운전자가 전방의 위험상황을 즉시에 인지할 수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았다.
이에, 수치지도 제작시 사용되는 기준점, 이를 테면 송신기와 연계하여 운전자가 인식하지 못한 주행 전방의 상황을 즉시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한 많은 시스템들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는 여전히 개발이 미진한 상태이므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04547호(2009.06.17.) '영상합성에 의한 수치지도의 업그레이드용 영상도화데이터 갱신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네비게이션장치를 통해 도로상태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운전자가 전방의 위험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지도 제작용 송신기가 친환경적인 자연력인 풍력을 응용하여 영구히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에 따른 관리인원 및 시간을 줄이며, 소비전력도 절약할 수 있는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합성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목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GPS(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인공위성(S)과; 도로상태정보를 송출하는 송신기(100)와; 차량에 탑재되며, 송신기(100)로부터 도로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네비게이션장치(200)를 포함하는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합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100)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11)와, 베이스(111)에 입설되는 지지대(112)와, 지지대(1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113)와, 지지대(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대(114)와, 받침대(114)에 안착되며 지지대(112)의 상부와 회전대(113)의 하부를 감싸면서 회전대(113)의 회전을 제한하는 관 형상의 고정대(115)를 갖춘 본체(110)와, 본체(110)의 지지대(112)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21)와, 구동모터(121)의 구동축(121a)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연결대(122)와, 연결대(122)의 단부에 설치되는 발광체(123)로 구성된 표시부(120)와, 복수의 GPS인공위성(S)이 송신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130)와, 도로상태정보를 송출하는 송출부(140)와, 구동모터(121) 및 발광체(123)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50)와, 배터리(150)으로부터 전력공급을 받으며 구동모터(121)·발광체(123)·GPS수신부(130)·송출부(140)를 작동제어하되 GPS수신부(130)가 수신한 GPS 위치정보와 미리 저장된 도로상태정보를 송출부(140)를 매개로 무선 송출하는 제어부(160)와, 제어부(160)를 ON/OFF하며 제어부(160)에 저장된 도로상태정보가 셋팅되도록 제어부(160)를 작동제어하는 입력부(170)와, 제어부(1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어부(160)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나타내는 출력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네비게이션장치(200)는, 복수의 GPS인공위성이 송신하는 항법 메세지를 수신하는 GPS수신부(210)와, 차량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기 위하여 항공촬영물을 기초로 제작된 수치지도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220)와, 송신기(100)의 송출부(140)로부터 도로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신호수신부(230)와, GPS수신부(210)가 수신한 항법 메세지와 송신기(100)의 송출부(140)로부터 수신한 도로상태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시키며 일정시간이 지나면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된 도로상태정보를 삭제하는 제어부(240)와,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차량의 현재위치 및 도로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150)는 축전지이며; 상기 고정대(115)의 일측면에는 상기 배터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발전기(300)가 고정되고; 상기 메인발전기(300)의 선단에는 보스(310)가 고정되며; 상기 보스(3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연결리브(320)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리브(320)의 단부에는 고정환(330)이 연결 고정되어 형틀을 이루며; 상기 고정환(330)에는 반경방향으로 확경되면서 전방으로 돌출된 바람가이드(340)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보스(310)에는 상기 메인발전기(300)와 연결된 메인발전축(350)이 관통되며; 상기 메인발전축(350)의 관통된 단부에는 메인회전날개(360)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리브(320)들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배터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서브발전기(370)가 설치되며; 상기 서브발전기(370)의 서브발전축(380)에는 서브회전날개(390)가 고정되되, 상기 메인회전날개(360)와 상기 서브회전날개(390)는 날개의 경사각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구성되며;
상기 메인발전축(350)과 서브발전축(380)에는 원기둥 형태의 날개고정구(400)의 일측면 중심이 끼워진 상태에서 키(KEY) 고정되고, 상기 날개고정구(40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원주방향으로 90°간격을 두고 4개의 제1고정홈(4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홈(410)은 'U' 형상으로 형성되고, 'U' 형상의 상단 양측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직연장된 제1걸림턱부(412)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고정구(40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원주방향으로 90°간격을 두고 4개의 제2고정홈(420)이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홈(410)과 엇갈리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홈(410)의 제1걸림턱부(412)들 사이의 거리 보다 상기 제2고정홈(420)에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2걸림턱부(422)들 사이의 거리가 최소한 2배 이상 유지되어야 하며, 상기 메인회전날개(360) 및 서브회전날개(390)는 하단 중앙에 타원형 절개부(530)가 형성되어 양측에 제1날개단편부(510)와 제2날개단편부(520)를 구성하고, 제1날개단편부(510)의 제1날개걸림부(512)는 제1고정홈(410)에 날개고정구(400)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제2날개단편부(520)의 제2날개걸림부(522)는 제2고정홈(420)에 제1날개단편부(520)와 동일한 방식으로 끼워지지만 제1,2고정홈(410,420)이 서로 엇갈려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제2날개단편부(520)는 제1날개단편부(510)에 대해 비틀린 상태로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합성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비게이션장치를 통해 도로상태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운전자가 전방의 위험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지도 제작용 송신기가 친환경적인 자연력인 풍력을 응용하여 영구히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에 따른 관리인원 및 시간을 줄이며, 소비전력도 절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합성시스템의 운용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합성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합성시스템에 따른 변형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풍력발전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날개가 조립되는 홈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조립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등록특허 제0904547호의 주요 구성을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904547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며, 주된 특징은 변형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용장치는 다음과 같은 시스템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다수의 GPS인공위성(S)과, 도로면에 배치되는 송신기(100)와, 차량에 설치되어 송신기(100)로부터 도로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네비게이션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신기(100)는, 도로면에 배치되는 본체(110)와, 경고표시를 외부로 알리는 표시부(120)와, 다수의 GPS인공위성(S)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130)와, 본체(110)에 설치되는 송출부(140)와, 본체(110)에 내설되는 배터리(150)와, 본체(110)에 내설되는 제어부(160)와, 본체(110)에 설치되는 입력부(170)와, 본체(110)에 설치되는 출력부(18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도로면에 배치되는 베이스(111)와, 베이스(111)에 입설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지지대(112)와, 하부가 지지대(112)의 상부에 회전축(H)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113)와, 지지대(112)에 설치되는 받침대(114)와, 받침대(114)에 안착되어 지지대(112)와 회전대(113)를 상호고정하는 고정대(11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의 베이스(111)에는 상부로 입설되는 설치대(116)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1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지면에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11)의 형상을 원판 형상으로 하였지만,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14)는, 지지대(112)의 상부에 설치되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115)는 상하로 관통된 관형상으로, 지지대(112)와 회전대(113)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받침대(114)에 안착된다. 이때, 고정대(115)는 받침대(114)에 안착되면서 회전대(113)가 회전축(H)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대(113)를 지지대(112)에 고정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회전대(113)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21), 구동모터(121)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대(122)와, 연결대(122)에 설치되는 발광체(123)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21)는, 구동축(121a)을 갖추며, 배터리(1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통상의 모터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대(122)는 상단부가 구동모터(121)의 구동축(121a)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발광체(123)는, 연결대(122)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경광등과 같이 빛을 발하는 통상의 것으로, 배터리(1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GPS수신부(130)는, 다수의 GPS인공위성(S)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통상의 것으로서, 본체(110)의 설치대(116)의 상부에 설치되어 GPS위성으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송출부(140)는, 본체(110)의 설치대(116)에 설치되어, 본체(110)의 위치정보 및 현재 도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로상태정보를 외부로 무선송출한다.
상기 배터리(150)는, 본체(110)의 베이스(111)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21)·발광체(123)·제어부(160)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160)은, 거리값과, 전기공사중·상수관 공사중·상수관 동파 등을 나타내는 도로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입력부(170)의 작동에 따라 각각의 도로상태정보가 셋팅되어, 셋팅된 도로상태 정보를 송출부(140)를 매개로 외부로 무선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배터리(1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구동모터(121)·발광체(123)·GPS수신부(130)·송출부(140)·출력부(180)를 작동제어한다.
상기 입력부(170)은, 제어부(160)을 작동제어하여, 제어부(160)가 공사중·교통사고발생 등의 도로상태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한편, 제어부(160)가 구동모터(121) 및 발광체(122)를 작동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180)은, 통상적인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제어부(1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어부(160)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나타낸다.
상기 네비게이션장치(200)는, 복수의 GPS인공위성(S)이 송신하는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는 GPS(GPS;Global Positioning System)수신부(210)와, 차량의 주행에 따른 주행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260)와, 차량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기 위한 수치지도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220)와, 송신기(100)의 송출부(140)로부터 도로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신호수신부(230)와, GPS수신부(210)가 수신한 항법 메세지와 상태신호수신부(230)로부터의 도로상태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시키는 제어부(240)과,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차량의 현재 위치 및 도로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GPS수신부(210)는 복수의 GPS위성이 송신하는 항법 메세지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다.
상기 센서부(260)는, 차량에 주행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자이로스코프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서 등을 비롯한 각종 센서들이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에 따른 주행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저장부(220)는 차량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기 위한 수치지도데이터가 미리 저장된다.
상기 상태신호수신부(230)는 송신기(100)의 송출부(140)로부터 도로상태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240)은, GPS수신부(210)가 수신하는 항법 메세지와 센서부(260)가 검출하는 차량의 주행 검출신호를 이용한 혼합항법으로 차량의 현재위치를 판단하고, 저장부(220)에 저장된 수치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를 탐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0)은 판단한 차량의 현재위치를 상기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시켜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며, 차량이 주행할 경우에 탐색한 주행경로에 따라 주행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40)은 상태신호수신부(230)로부터 도로상태정보를 받아, 도로의 상태를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시켜 표시한다. 즉, 제어부(240)은 표시부(250)에 지금 통과할 구간의 도로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제어부(240)가 도로의 상태를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시켜 표시하는 것을 영상도화한다고 칭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40)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도로상태정보를 삭제하여 불필요하게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250)는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통상적인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수치지도데이터와 차량의 현재 위치, 차량의 주행경로 시작위치, 주행경로 종료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경로 및 도로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린다.
이때, 상기 표시부(250)는 음성 경보장치가 더 구비되어, 도로공사를 시각적으로 알림과 함께 청각적으로도 운전자에게 경보할 수 있다.
이하, 본원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합성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통사고 등이 발생하면, 작업자가 사고 발생지역에 지역에 도착한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사고 발생지역의 전방에 송신기(100)를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송신기(100)는 도 4와 같이 회전대(113)가 하방으로 접혀 있고, 고정대(115)가 회전대(113)의 선단으로 내려가 있다.
계속해서, 상기 작업자가 회전대(113)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도 5와 같이 회전대(113)가 세워지고, 고정대(115)가 회전대(113)의 하부로 내려가 받침대(114)에 안착된다. 이때, 고정대(115)는, 지지대(112)와 회전대(113)를 고정하여, 회전대(113)가 입설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입력부(170)를 통해 교통사고 발생이라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60)은 GPS수신부(130)로부터 수신한 현재위치정보와 교통사고 발생이라는 도로상태정보를 송출부(140)를 매개로 외부로 무선출력한다.
이후, 상기 작업자가 입력부(170)를 통해 구동모터(121) 및 발광체(123)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121)의 구동축(121a)이 회전하면서, 연결대(122)가 회전한다. 이때, 연결대(122)에 연결된 발광체(123)는 빛을 발하면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송출부(140)를 통해 도로상태정보가 송출되면, 차량에 탑재된 네비게이션장치(200)의 상태신호수신부(230)는 송신기(100)의 송출부(140)로부터 송출된 도로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40)에 보낸다. 이를 수신한 제어부(240)은 도로의 상태를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시키고, 표시부(250)에 '전방에 교통사고발생'과 같은 문자를 나타내어, 운전자에게 전방에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알린다.
한편, 상기 네비게이션장치(200)의 제어부(240)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된 도로상태정보를 삭제하여 불필요하게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합성시스템은, 이상지점에 다다르기 전에 차량운전자가 네비게이션장치(200)를 통해 이상지점의 도로상태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며, 차량운전자가 미처 네비게이션장치(200)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송신기(100)의 표시부(120)를 통해 이상지점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차량운전자가 위험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네비게이션장치(200)에 저장된 도로상태정보가 삭제되어, 불필요하게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내용을 기본 전제로 포함하면서, 도 6과 같은 변형 실시예를 통해 친환경적인 자연력, 특히 풍력으로부터 전력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원공급원인 배터리(150)는 전기를 집전할 수 있는 축전지를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고정대(115)의 일측면에 메인발전기(300)가 고정된다.
상기 메인발전기(300)는 발전된 전기를 상기 배터리(150), 즉 축전지로 전송할 수 있도록 리드선이 인출된 후 상기 배터리(150)와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춰야 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발전기(300)의 선단에는 보스(310)가 고정되고, 상기 보스(3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연결리브(320)가 고정되며, 상기 연결리브(320)의 단부에는 고정환(330)이 연결 고정되어 형틀을 이룬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환(330)에는 반경방향으로 확경되면서 전방으로 돌출된 바람가이드(340)가 더 설치되어 불어오는 바람이 보스(310) 쪽으로 쉽게 모아지도록 하여 준다.
또한, 상기 보스(310)에는 상기 메인발전기(300)와 연결된 메인발전축(350)이 관통되고, 상기 메인발전축(350)의 관통된 단부에는 메인회전날개(360)가 고정된다.
상기 메인회전날개(360)는 도시와 같이, 4개의 날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3개, 2개 등 다양한 갯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리브(320)들 사이의 공간에도 다수의 발전기, 즉 서브발전기(370)가 설치되고, 상기 서브발전기(370)에서 인출된 리드선도 상기 배터리(15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발전기(370)의 서브발전축(380)에는 서브회전날개(390)가 상술한 메일발전기(300)의 설치 구조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발전기가 메인발전기(300)와 서브발전기(370)들을 포함한 다수의 발전기를 갖춤으로써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메인발전기(300)와 4개의 서브발전기(370)를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반드시 상기 갯수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얼마든지 개수 변경은 가능하다.
이때, 특히 상기 메인회전날개(360)와 서브회전날개(390)는 서로 경사각이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게 배열토록 함으로써 관류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한 압 변동을 증대시켜 발전효율이 더욱 더 향상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람가이드(340)는 대략 전방향을 향해 돌출되면서 확경된 형태, 다시 말해 일종의 나팔관처럼 구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대되도록 하고, 한번 흡입된 공기는 후방으로 빠져나가면서 공간이 좁아졌다 넓어지므로 유속차를 갖게 하여 공기 흐름을 증대시킴으로써 발전효율 향상에 영향을 미치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변형예에 따른 메인회전날개(360) 및 서브회전날개(390)는 주로 합성수지로 된 볼륨이 작은 것이므로 고풍압에 직면하게 되면 심하게 휘면서 부러지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것은 날개 자체가 유동성이 없어 메인발전축(350) 및 서브발전축(380)에 리지드(Rigid)하게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실시예에서는 이들 날개들이 바람의 세기에 따라 유동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쉽게 부러지지 않게 하고, 발전효율도 높일 수 있도록 개량된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개념은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인회전날개(360) 및 서브회전날개(390)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마찬가지로 메인회전날개(360) 및 서브회전날개(390)가 각각 고정되는 메인발전축(350) 및 서브발전축(38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도 7 및 도 8에 따르면, 상기 메인발전축(350)과 서브발전축(380)에는 원기둥 형태의 날개고정구(400)의 일측면 중심이 끼워진 상태에서 키(KEY)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고정구(40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원주방향으로 90°간격을 두고 4개의 제1고정홈(410)이 형성된다. 다만, 도면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날개만 예시하였다.
이때, 상기 제1고정홈(410)은 대략 'U' 형상으로 형성되고, 'U' 형상의 상단 양측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직연장된 제1걸림턱부(41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날개고정구(40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원주방향으로 90°간격을 두고 4개의 제2고정홈(420)이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홈(410)과 엇갈리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고정홈(410)의 제1걸림턱부(412)들 사이의 거리 보다 상기 제2고정홈(420)에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2걸림턱부(422)들 사이의 거리가 최소한 2배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이것은 후술될 제1,2날개단편부(510,520) 중 어느 하나는 견고히 끼움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제2고정홈(420) 내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바람이 셀 경우 두 개의 날개단편부 중 유동성을 갖도록 조립된 날개단편부가 움직이면서 충격량을 줄여 흡수 완충하게 하고, 이를 통해 파단되는 문제를 해소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메인회전날개(360) 및 서브회전날개(390)는 도 7의 예시와 같이, 하단 중앙에 타원형 절개부(530)가 형성됨으로써 이를 기준으로 양측에 제1날개단편부(510)와 제2날개단편부(52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날개단편부(510,520)는 동일 구조를 갖는데, 이들의 단부보다 폭이 커 상기 제1고정홈(410)에 끼워졌을 때 빠지지 않도록 제1,2날개걸림부(512,522)를 갖춘다.
이때, 제1날개단편부(510)의 제1날개걸림부(512)는 제1고정홈(410)에 날개고정구(400)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다시 말해, 측방으로 끼워진다.
때문에, 날개고정구(400)의 직경방향으로는 상기 날개단편부(510)가 빠지지 않는다. 이것은 제1날개걸림부(512)가 제1고정홈(410)의 제1걸림턱부(412)에 걸리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제2날개단편부(520)의 제2날개걸림부(522)는 제2고정홈(420)에 제1날개단편부(520)와 동일한 방식으로 끼워지지만 제1,2고정홈(410,420)이 서로 엇갈려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제2날개단편부(520)는 제1날개단편부(510)에 대해 트위스트, 즉 비틀린 상태로 끼워 맞춰지게 된다.
대신, 상기 제2날개걸림부(522)는 제2고정홈(420)이 제1고정홈(410) 보다 홈 폭이 크기 때문에 제2고정홈(420) 내에서 유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초기 끼움조립시에는 비틀림에 의한 탄성변형 때문에 당연히 제2고정홈(420) 내부의 걸림 지점에 견고히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쉽게 빠지지는 않는다.
그러다가, 바람이 세게 불면 제1날개단편부(510)는 움직일 수 없는 구조이므로 제2날개단편부(520)가 제2고정홈(420)의 움직일 수 있는 폭 내에서 유동되게 된다.
특히, 바람을 잘 받아 약한 바람에도 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바람의 방향에 상관없이 풍압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회전날개(360) 및 서브회전날개(390)는 날개의 끝단으로 가면서 도시와 같이 약간 비틀어지면서 양면에 제1,2오목부(OV1,OV2)가 형성되도록 성형한다.
그러면, 불어오는 바람이 제1오목부(OV1) 또는 제2오목부(OV2)에 집중되면서 풍압이 증가하므로 날개는 쉽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풍력 장치의 교체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 9와 같이, 발전기베이스(60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발전기베이스(600)는 판상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메인발전기(300)는 상기 발전기베이스(600)에 볼트 체결방식으로 견고히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발전기베이스(600)의 일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고정돌기(610)가 한 쌍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발전기베이스(6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이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돌기끼움구멍(620)이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대(115)의 대응면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6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돌기삽입홈(630)이 요입 형성되며, 또한 상기 돌기삽입홈(630)의 각 외측인 상측 혹은 하측에는 상기 돌기끼움구멍(620)을 관통하여 일부 노출되는 고정돌기(640)가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640)중 상측에는 상기 발전기베이스(600)의 두께보다 큰 간격을 두고 상하로 관통된 한 쌍의 꺽쇠끼움공(65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꺽쇠끼움공(650)에는 '∩' 형상의 꺽쇠(660)가 끼워져 발전기베이스(600)를 고정하게 된다.
즉, 발전기베이스(600)의 상단이 '∩' 형상의 꺽쇠(660) 양단 사이로 삽입되어 견고히 결속되게 된다.
반면, 상기 고정돌기(640)중 하측에는 발전기베이스(600)가 끼워진 후 더 돌출된 부위에 핀공(67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핀공(670)에는 고정핀(680)이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꺽쇠(660) 혹은 고정핀(680)만 끼워 넣으면 쉽게 고정할 수 있고, 이들을 빼내면 쉽게 분리할 수 있어 교체의 용이성이 확보된다.
100; 송신기 110; 본체
120; 표시부 130; GPS수신부
140; 송출부 150; 배터리
160; 제어부 170; 입력부
180; 출력부 200; 네비게이션장치
210; GPS수신부 220; 저장부
230; 상태신호수신부 240; 제어부
250; 표시부

Claims (1)

  1. GPS(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인공위성(S)과; 도로상태정보를 송출하는 송신기(100)와; 차량에 탑재되며, 송신기(100)로부터 도로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네비게이션장치(200)를 포함하는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네비게이션 송출 장치에 친환경적 풍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100)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11)와, 베이스(111)에 입설되는 지지대(112)와, 지지대(1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113)와, 지지대(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대(114)와, 받침대(114)에 안착되며 지지대(112)의 상부와 회전대(113)의 하부를 감싸면서 회전대(113)의 회전을 제한하는 관 형상의 고정대(115)를 갖춘 본체(110)와, 본체(110)의 지지대(112)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21)와, 구동모터(121)의 구동축(121a)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연결대(122)와, 연결대(122)의 단부에 설치되는 발광체(123)로 구성된 표시부(120)와, 복수의 GPS인공위성(S)이 송신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130)와, 도로상태정보를 송출하는 송출부(140)와, 구동모터(121) 및 발광체(123)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50)와, 배터리(150)으로부터 전력공급을 받으며 구동모터(121)·발광체(123)·GPS수신부(130)·송출부(140)를 작동제어하되 GPS수신부(130)가 수신한 GPS 위치정보와 미리 저장된 도로상태정보를 송출부(140)를 매개로 무선 송출하는 제어부(160)와, 제어부(160)를 ON/OFF하며 제어부(160)에 저장된 도로상태정보가 셋팅되도록 제어부(160)를 작동제어하는 입력부(170)와, 제어부(1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어부(160)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나타내는 출력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네비게이션장치(200)는, 복수의 GPS인공위성이 송신하는 항법 메세지를 수신하는 GPS수신부(210)와, 차량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기 위하여 항공촬영물을 기초로 제작된 수치지도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220)와, 송신기(100)의 송출부(140)로부터 도로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신호수신부(230)와, GPS수신부(210)가 수신한 항법 메세지와 송신기(100)의 송출부(140)로부터 수신한 도로상태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시키며 일정시간이 지나면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된 도로상태정보를 삭제하는 제어부(240)와,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차량의 현재위치 및 도로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150)는 축전지이며; 상기 고정대(115)의 일측면에는 상기 배터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발전기(300)가 고정되고; 상기 메인발전기(300)의 선단에는 보스(310)가 고정되며; 상기 보스(3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연결리브(320)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리브(320)의 단부에는 고정환(330)이 연결 고정되어 형틀을 이루며; 상기 고정환(330)에는 반경방향으로 확경되면서 전방으로 돌출된 바람가이드(340)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보스(310)에는 상기 메인발전기(300)와 연결된 메인발전축(350)이 관통되며; 상기 메인발전축(350)의 관통된 단부에는 메인회전날개(360)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리브(320)들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배터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서브발전기(370)가 설치되며; 상기 서브발전기(370)의 서브발전축(380)에는 서브회전날개(390)가 고정되되, 상기 메인회전날개(360)와 상기 서브회전날개(390)는 날개의 경사각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구성되며;
    상기 메인발전축(350)과 서브발전축(380)에는 원기둥 형태의 날개고정구(400)의 일측면 중심이 끼워진 상태에서 키(KEY) 고정되고, 상기 날개고정구(40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원주방향으로 90°간격을 두고 4개의 제1고정홈(4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홈(410)은 'U' 형상으로 형성되고, 'U' 형상의 상단 양측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직연장된 제1걸림턱부(412)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고정구(40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원주방향으로 90°간격을 두고 4개의 제2고정홈(420)이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홈(410)과 엇갈리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홈(410)의 제1걸림턱부(412)들 사이의 거리 보다 상기 제2고정홈(420)에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2걸림턱부(422)들 사이의 거리가 최소한 2배 이상 유지되어야 하며, 상기 메인회전날개(360) 및 서브회전날개(390)는 하단 중앙에 타원형 절개부(530)가 형성되어 양측에 제1날개단편부(510)와 제2날개단편부(520)를 구성하고, 제1날개단편부(510)의 제1날개걸림부(512)는 제1고정홈(410)에 날개고정구(400)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제2날개단편부(520)의 제2날개걸림부(522)는 제2고정홈(420)에 제1날개단편부(520)와 동일한 방식으로 끼워지지만 제1,2고정홈(410,420)이 서로 엇갈려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제2날개단편부(520)는 제1날개단편부(510)에 대해 비틀린 상태로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네비게이션 송출 장치에 친환경적 풍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KR1020150148983A 2015-10-26 2015-10-26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네비게이션 송출 장치에 친환경적 풍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KR101592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983A KR101592007B1 (ko) 2015-10-26 2015-10-26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네비게이션 송출 장치에 친환경적 풍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983A KR101592007B1 (ko) 2015-10-26 2015-10-26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네비게이션 송출 장치에 친환경적 풍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007B1 true KR101592007B1 (ko) 2016-02-04

Family

ID=5535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983A KR101592007B1 (ko) 2015-10-26 2015-10-26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네비게이션 송출 장치에 친환경적 풍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0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147B1 (ko) 2013-10-08 2014-01-09 제일항업(주) 다수의 gps를 이용한 고정밀 영상이미지의 항공촬영장치
KR101349254B1 (ko) 2013-09-05 2014-01-13 새한항업(주) 도화이미지와 지피에스정보가 합성된 수치지도에 적용하는 수치정보 기준점 업데이트 시스템
KR101355108B1 (ko) 2013-09-25 2014-01-23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동일지면의 유사촬영이미지 합성을 위한 항공촬영영상의 이미지인식 처리시스템
KR101583310B1 (ko) 2015-11-30 2016-01-21 아이씨티웨이(주) 기준점을 이용한 지형지물의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54B1 (ko) 2013-09-05 2014-01-13 새한항업(주) 도화이미지와 지피에스정보가 합성된 수치지도에 적용하는 수치정보 기준점 업데이트 시스템
KR101355108B1 (ko) 2013-09-25 2014-01-23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동일지면의 유사촬영이미지 합성을 위한 항공촬영영상의 이미지인식 처리시스템
KR101349147B1 (ko) 2013-10-08 2014-01-09 제일항업(주) 다수의 gps를 이용한 고정밀 영상이미지의 항공촬영장치
KR101583310B1 (ko) 2015-11-30 2016-01-21 아이씨티웨이(주) 기준점을 이용한 지형지물의 공간영상도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37673T3 (es) Sistema de reaprovisionamiento de combustible en vuelo asistido
KR100906802B1 (ko) 항공촬영 영상의 지형 대비 기준점 합성형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US7551130B2 (en) Wind turbine with data receiver
KR101517821B1 (ko) 지아이에스(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ES2553980T3 (es) Un sensor óptico de viento de turbina eólica
JP6219003B2 (ja) 紛失防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無人航空機、並びに無人航空機の紛失防止システム
JP3194258U (ja) 横風注意喚起表示・警報装置
JP2007178240A (ja) 離隔距離測定装置及び自走測定装置
IT201800002465A1 (it) Sistema per il monitoraggio automatico wireless da remoto e in tempo reale di strutture, infrastrutture e settori di versante ad elevato rischio idrogeologico finalizzato alla salvaguardia della pubblica e privata incolumità
KR101592007B1 (ko)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네비게이션 송출 장치에 친환경적 풍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KR101409189B1 (ko) 영상합성에 따른 수치지도의 업그레이드용 공간영상 도화 갱신 시스템의 운용장치
KR101362824B1 (ko)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N114929967A (zh) 用于疏导车辆交通并且增强工作区安全性的装置和方法
CN204307053U (zh) 视障导航仪
KR100905497B1 (ko) 수치지도의 정밀성 향상을 위한 기준점의 영상도화 합성시스템
KR100904547B1 (ko) 영상합성에 의한 수치지도의 업그레이드용 영상도화데이터 갱신 시스템
KR100918877B1 (ko) 항공촬영물과 좌표점의 합성을 위한 영상도화 보정시스템
KR100905505B1 (ko) 항공영상의 기준점 입력을 위한 영상도화용 수치지도 업그레이드 시스템
KR100907745B1 (ko) 지피에스 수신기의 위치점을 확인하여 디지털 영상의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도화시스템
JP2014137331A (ja) 自立型風検知装置、風検知システム及び車両
JP2008151678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緊急情報提供方法
JP5518154B2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469664B1 (ko) 항공촬영 영상물을 기초로 제작된 수치지도의 업그레이드용 공간영상도화 갱신기술이 적용된 시스템
KR101033227B1 (ko) 경적기능을 갖는 도로표지병
KR200465575Y1 (ko) 러버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