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778B1 - 차량용 차선도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차선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778B1
KR101591778B1 KR1020150159463A KR20150159463A KR101591778B1 KR 101591778 B1 KR101591778 B1 KR 101591778B1 KR 1020150159463 A KR1020150159463 A KR 1020150159463A KR 20150159463 A KR20150159463 A KR 20150159463A KR 101591778 B1 KR101591778 B1 KR 101591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vehicle
paint
bead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기
Original Assignee
(주)원남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남건설산업 filed Critical (주)원남건설산업
Priority to KR1020150159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3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marking-out the location of the markings; Guiding or steering devices for marking apparatus, e.g. s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어 도로에 차선을 도색하는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구와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분사구를 구비하는 승강부재가 체결되는 로터리부재를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차선도색을 위하여 도로에 임시로 표시된 임시차선을 따라 차량이 정밀하게 주행하지 않아도, 로터리부재가 회전하며 승강부재에 구비된 도료분사구와 비드분사구를 임시차선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료와 비드를 임시차선과 일치시키며 차선을 도색할 수 있는 차량용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구와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분사구를 구비하는 승강부재가 체결된 로터리부재가 차량에 장착된 베이스부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차량이 임시차선을 따라 정확하게 주행하지 않아도 로터리부재를 회전시켜 도료분사구와 비드분사구의 수평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차량이 일정 간격 정도 임시차선에 따른 주행경로를 벗어나더라도 도료와 비드를 임시차선의 상부에 정확하게 도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차선도색장치{APPARATUS FOR MARKING LANES}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어 도로에 차선을 도색하는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구와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분사구를 구비하는 승강부재가 체결되는 로터리부재를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차선도색을 위하여 도로에 임시로 표시된 임시차선을 따라 차량이 정밀하게 주행하지 않아도, 로터리부재가 회전하며 승강부재에 구비된 도료분사구와 비드분사구를 임시차선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료와 비드를 임시차선과 일치시키며 차선을 도색할 수 있는 차량용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증가에 따라 차량의 원활한 주행과 흐름을 통해 차량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선이라는 것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차선으로는 고속도로나 국도 및 지방도 등의 상호 반대 차선 중앙을 가르는 중앙선이나 차량의 진행구간을 구분하는 차로선인 주행차선 등이 있다.
상기 중앙선이나 주행차선 등의 차선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선으로서, 상기의 차선은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이 되므로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시인성이 대단히 중요하다 할 수가 있다. 이처럼 차선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부터 차선의 도색방법에 대한 새로운 방법들이 연구되고 실제로도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장치로는 도료를 도로면 상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수단과 상기 도포수단을 탑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의 차선도색장치는 도료가 저장된 이동수단을 작업자가 일일이 끌고 다니면서 도로면 상에 도료를 도포하는 수레형 차선도색장치와 차량에 장착되는 도색작업을 하는 차량형 차선도색장치가 있다.
다음은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3289호는 이액형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탑재되어 차선도색을 위한 주제 및 경화제를 각각 공급하는 주제 공급부 및 경화제 공급부와, 상기 차량의 하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도색 지지체와, 상기 도색 지지체에 지지되어 상기 주제 공급부로부터 주제를 공급받아 도로 표면에 분사하는 주제 분사부와, 상기 도색 지지체에 지지되어 상기 경화제 공급부로부터 경화제를 공급받아 도로 표면에 분사하는 경화제 분사부와 각종 전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 공급부는 주제의 현장 교반을 위한 교반 수단과 교반된 주제의 균일한 분사를 위한 유압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배합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 주제와 경화제를 도로 표면에 각각 분사하면서 혼합하여 차선을 도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 중 또는 작업 후 도료가 분사장치 내에서 굳는 것을 방지하여, 차선도색의 연속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균일한 분사 등의 차선도색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차선도색장치는 차량 운전자가 도로에 표시된 임시차선을 따라 차량을 정교하게 운전하여, 차량의 주행방향과 일체하며 하방으로만 분사가능한 도료와 비드를 분사 가능하기 때문에, 주행 중인 차량이 임시차선을 일정간격 벗어나면 차선이 삐뚤어지게 도색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3289호(2014.05.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1144호(2012.06.2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0715호(2012.05.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3532호(2006.07.21.)
본 발명은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간이식 차선도색장치는 작업자가 도로에 표시된 임시차선을 따라 직접 간이식 차선도색장치의 주행방향을 도보로 운전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도색된 차선의 정밀도가 결정되는 문제가 있었고;
종래 차량에 장착된 차선도색장치 역시, 차량 운전자가 도로에 표시된 임시차선을 따라 차량을 정교하게 운전하여, 차량의 주행방향과 일체하며 하방으로만 분사가능한 도료와 비드를 분사 가능하기 때문에, 주행 중인 차량이 임시차선을 일정간격 벗어나면 차선이 삐뚤어지게 도색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간이식 차선도색장치 또는 차선도색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운전하는 작업자 또는 차량 운전자는 임시차선의 상부에 도료와 비드를 최대한 일치시키며 분사하기 위한 피로도가 상당한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로터리부재; 일측이 상기 로터리부재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구 및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분사구를 구비하는 승강부재 및; 상기 로터리부재와 승강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부재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차선도색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선도색장치는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구와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분사구를 구비하는 승강부재가 체결된 로터리부재가 차량에 장착된 베이스부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차량이 임시차선을 따라 정확하게 주행하지 않아도 로터리부재를 회전시켜 도료분사구와 비드분사구의 수평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차량이 일정 간격 정도 임시차선에 따른 주행경로를 벗어나더라도 도료와 비드를 임시차선의 상부에 정확하게 도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차량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임시차선에 따른 주행경로 상으로 운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차선도색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차선도색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차선도색장치의 로터리부재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차선도색장치를 장착한 차량이 곡선의 임시차선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차선도색장치를 장착한 차량이 임시차선에 따른 주행경로를 벗어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차선도색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차선도색장치를 장착한 차량에 가이드바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차선도색장치를 장착한 차량에 가이드바가 더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어 도로에 차선을 도색하는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10); 상기 베이스부재(10)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구동모터(30)에 의한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로터리부재(20); 일측이 상기 로터리부재(2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분사구(42)를 구비하는 승강부재(40) 및; 상기 로터리부재(20)와 승강부재(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부재(4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차선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선도색장치는 차량 측방의 하부 또는 후방부에 장착가능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차량 측방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선도색장치가 차량 측방의 하부에 장착되는 경우, 도로의 양쪽 부분 또는 중앙 부분에 도색되는 차선의 위치를 고려하여, 차선도색장치는 차량의 양쪽 측방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차량 주행방향의 어느 한쪽에 위치되는 차선을 도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차량에 장착되어 본 발명에 의한 차선도색장치를 차량에 장착시키는 구성으로서, 단수 또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일정의 지지력을 가지는 구성이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차선도색장치가 차량 측방의 하부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베이스부재(10)는 차량 측방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차량에 고정체결되거나 차량의 측방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재(10)가 차량의 측방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체결되면, 차선도색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차량 측방의 외측으로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하고, 차선도색장치를 미사용할 때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0)를 차량 측방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부재(10)가 차량의 측방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차선도색장치가 차량 측방의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여 도로에 도포된 도료 및 비드가 차량의 뒷바퀴에 의하여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고, 차량이 일반적인 주행을 할 때에는 차선도색장치가 차량 측방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차선도색장치가 다른 차량 또는 외부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실린더(61)는 차량에 장착되고 실린더 로드(62)는 차량의 측방으로 인출 및 인입되는 베이스실린더(60)의 실린더 로드(62)에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차량의 측방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실린더(60)는 차량에 구비된 압력생성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유압 또는 공압이 작용할 수 실린더(61)와 실린더(61)에 작용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실린더(61)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는 실린더 로드(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61)는 차량 측방의 하부 또는 차량의 하부에 고정체결되어 차량의 측방으로 길이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61)에 내재되어 인출 및 인입되는 실린더 로드(62)의 말단에 체결된 베이스부재(10)는 실린더 로드(62)의 인출 및 인입에 의한 수평이동으로 차량 측방에서 위치 변화된다.
또한 상기 로터리부재(2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구동모터(30)에 의한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단수 또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하기 승강부재(40)에 대한 일정의 지지력을 확보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터리부재(20)는 차량이 도로에 임시로 표시된 임시차선에 정확하게 맞추어 주행하지 않아도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에서 각각 분사되는 도료와 비드가 임시차선 위에 도포될 수 있도록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가 구비된 하기 승강부재(4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즉, 종래 차량에 장착되는 차선도색장치는 차량에 고정체결되고, 차선도색장치에 구비된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는 차량 및 차선도색장치에 대하여 위치가 항상 고정된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차량이 항상 임시차선을 따라 정교하게 운전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상기 로터리부재(20)는 베이스부재(10)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됨으로써, 로터리부재(20)와 체결된 승강부재(40)에 구비된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에서 각각 분사되는 도료와 비드가 로터리부재(20)의 회전반경만큼 수평이동되며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그 결과 차량이 임시차선에서 일정 간격 벗어나더라도 도료와 비드는 임시차선의 상부에 항상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재(10)와 로터리부재(20) 간의 체결은 차량에 장착된 베이스부재(10)와 체결된 로터리부재(20)가 체결부분(하기의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일정의 회전반경을 가지며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로터리부재(20)에 대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0)는 차량, 베이스부재(10) 또는 로터리부재(20) 중 어느 한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하부에는 원형의 체결홀(12)이 형성된 체결하우징(11)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터리부재(20)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하우징(11)의 체결홀(12)에 상부 말단부분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전축(21)이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홀(12)은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로터리부재(20)의 회전축(21)의 상부 일부분을 수용하며 로터리부재(20)의 회전축(21)을 회전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구성으로서, 체결홀(12)의 내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거나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홀(12)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로터리부재(20) 회전축(21)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홈과 걸림을 형성하는 돌출턱이 형성되거나 베어링과 체결되는 키(Key)가 삽입되는 키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일측에는 구동축의 말단에 풀리(32)를 구비하는 구동모터(30)가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터리부재(20)의 회전축(21)에는 상기 구동모터(30)의 풀리(32)와 벨트(31) 또는 체인으로 연동되어 구동가능한 풀리(22)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구동모터(30)는 베이스부재(10)에 체결된 상태로 로터리부재(20)에 구동력을 가하기 때문에, 로터리부재(20)가 회전할 때 구동모터(30) 자체는 회전하지 않아 구동모터(30)가 로터리부재(20)에 체결되는 경우보다 작은 구동력으로도 로터리부재(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축에 구비되는 풀리(32)와 로터리부재(20)의 회전축(21)에 구비되는 풀리(22)는 벨트(31) 또는 체인으로 상호 연결되어 구동모터(30)에 의한 구동력을 로터리부재(20)에 전달하여 로터리부재(20)를 회전시킨다.
더불어 상기 구동모터(30)는 차량이 임시차선을 기준하여 임시차선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간격 벗어나며 주행할 경우, 차량 운전자, 차량에 탑승한 보조자 또는 차량에 구비된 마이컴(Micom)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고, 구체적인 작동방법은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겠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40)는 일측이 상기 로터리부재(2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분사구(4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단일 또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로터리부재(20)에 대하여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를 수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승강부재(40)의 일측은 로터리부재(2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로터리부재(20)와 승강부재(40)의 사이에는 승강실린더(50)가 구비되어 로터리부재(20)를 기준하여 승강부재(40)를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실린더(50)의 하부에 해당하는 실린더 로드(62)(2)는 승강부재(40)의 길이방향 일정부분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승강실린더(50)의 상부에 해당하는 실린더(61)(2)는 로터리부재(20)의 길이방향 일정부분에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승강부재(40)의 하부에는 보조바퀴(43)가 구비되어 승강부재(40)가 도로 쪽으로 하강된 경우, 도로에 안착된 보조바퀴(43)에 의하여 승강부재(40)가 지지되며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부재(20)의 일측 일부분은 하방으로 굽은 형태로 구성되어 로터리부재(20)의 일측과 승강부재(40)의 일측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공간에는 승강실린더(50)가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료분사구(41)는 흰색, 황색 또는 파란색 등과 같은 일반적인 색을 가지는 도료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승강부재(40)의 중간부 또는 타측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도로의 표면이 위치된 하방 또는 하측방으로 도료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도료분사구(41)는 차량에 탑재된 도료주재 탱크(91), 경화제 탱크(92)로부터 공급되어 혼합된 도료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되는 도료는 압력펌프에 의하여 직접 분사압력이 형성되어 분사될 수도 있고, 분사노즐과 연통되며 도료분사구(41)의 몸체 일정 부분에 형성된 압력공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압에 의한 분사압력으로 분사될 수도 있다.
아울러 차선도색작업 시 상기 도료분사구(41)의 분사노즐은 차량 측방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도료는 차량의 뒷바퀴보다 외측의 도로에 도포되어 주행 중인 차량의 뒷바퀴에 도포된 도료가 밟히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드분사구(42)는 도료의 상부에 도포되어 도로에 도색된 차선의 휘도를 향상시켜 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비드(Bead)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도료분사구(41)의 후방에 해당하는 승강부재(40)의 중간부 또는 타측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도로의 표면이 위치된 하방 또는 하측방으로 비드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비드분사구(42)는 차량에 탑재된 비드 탱크(93)로부터 비드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2)에 공급되는 비드는 압력펌프에 의하여 직접 분사압력이 형성되어 분사될 수도 있고, 분사노즐(2)과 연통되며 비드분사구(42)의 몸체 일정 부분에 형성된 압력공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압에 의한 분사압력으로 분사될 수도 있다.
아울러 차선도색작업 시 상기 비드분사구(42)의 분사노즐(2)은 차량 측방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분사노즐(2)에서 분사되는 비드는 차량의 뒷바퀴보다 외측의 도로에 도포되어 주행 중인 차량의 뒷바퀴에 도포된 도료가 밟히지 않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도로에 도포된 도료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도포된다.
이때, 상기 비드는 빛을 받으면 받은 빛을 반사시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가루와 같은 일반적인 물질로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로터리부재(20)는 차량 운전자, 차량에 탑승한 보조자 또는 차량에 구비된 마이컴(Micom)에 의하여 작동되는 구동모터(30)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에 구비되는 차선감지센서(70), 분사구감지센서(80) 및 마이컴에 의하여 작동되는 구동모터(30)의 회전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은 차량 주행방향의 도로에 임시로 표시된 임시차선의 위치 및 곡선방향을 감지하여 임시차선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차선감지센서(70); 승강부재(40)에 구비되어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의 분사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분사구감지센서(80); 상기 임시차선 위치정보와 상기 분사구 위치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임시차선 위치정보와 분사구 위치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임시차선 위치정보에 포함된 임시차선의 위치 및 곡선방향과 동일한 위치 및 곡선방향으로 로터리부재(20)를 회전시키는 회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회전 정보를 이용하여 구동모터(30)를 회전시키는 마이컴(Micom);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선감지센서(70)는 차량 주행방향의 도로에 임시로 표시된 임시차선의 위치 및 곡선방향을 감지하여 임시차선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차량의 전방부 또는 측방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차선감지센서(70)는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또는 카메라센서 등과 같은 종류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차량의 주행방향에 위치된 임시차선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임시차선의 직선 및 곡선 형태를 임시차선 위치정보로서 정보화시킨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차선감지센서(70)는 임시차선(일반적으로 실제 차선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작업자에 의하여 그려진다.)의 색과 도로의 색을 구분하여 임시차선을 감지하고 임시차선의 위치 및 곡선방향이 포함된 임시차선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분사구감지센서(80)는 승강부재(40)에 구비되어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의 분사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차선감지센서(70)와 동일하게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또는 카메라센서 등과 같은 종류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 10과 같이 발신부(81)와 수신부(82)로 구성되어, 기준지점인 발신부(81)에서 발진한 적외선, 레이저 등과 같은 센싱수단이 변화지점인 수신부(82)의 위치 변화를 수신하여, 위치 변화에 관한 분사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발신부(81)는 베이스부재(10) 또는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수신부(82)는 발신부(81)와 대응되는 승강부재(40)의 일정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수신부(82)가 승강부재(40)에 구비되고, 발신부(81)가 베이스부재(10) 또는 차량에 구비될 수 있은 자명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마이컴은 상기 임시차선 위치정보와 상기 분사구 위치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임시차선 위치정보와 분사구 위치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임시차선 위치정보에 포함된 임시차선의 위치 및 곡선방향과 동일한 위치 및 곡선방향으로 로터리부재(20)를 회전시키는 회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회전 정보를 이용하여 구동모터(3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일 실시예로서, 임시차선이 직선 형태로 유지된 상태이거나 차량이 임시차선과 등간격을 유지하며 주행할 경우에는, 상기 임시차선 위치정보와 분사구 위치정보는 동일한 위치정보를 가져, 로터리부재(20)는 비회전된 상태로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 각각에서 도료와 비드가 분사되어 임시차선의 상부에 도료와 비드가 도포되도록 한다.
이후, 임시차선이 곡선 형태로 변화되는 상태가거나 차량이 임시차선에서 벗어남과 등간격 유지를 반복하여 주행할 경우에는, 상기 임시차선 위치정보와 분사구 위치정보는 서로 다른 위치정보를 가지고, 상기 마이컴은 서로 다른 위치정보에 따른 분사구감지센서(80)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회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회전 정보는 구동모터(30)를 회전시키는 정보로 이용되어 구동모터(30)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터리부재(2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로터리부재(20)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로터리부재(20)의 회전반경은 임시차선 위치정보에 포함된 임시차선의 위치와 분사구 위치정보에 포함된 분사구(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의 위치 차이에 의하여 형성된 간격만큼에 해당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로터리부재(20)는 마이컴에 의하여 제어되어 작동되는 구동모터(30)에 의하여 일정 반경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모터(3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마이컴에서 생성되는 회전 정보는 차선감지센서(70)에 의하여 감지된 임시차선의 위치 및 곡선방향을 포함하는 임시차선 위치정보와 분사구감지센서(80)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의 현재 주행상태에 따른 분사구의 위치를 포함하는 분사구 위치정보 간의 상호 비교에 의하여 생성된다.
또한 상기 로터리부재(20)는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의 위치를 임시차선의 위치 및 곡선방향의 변화, 임시차선에 대한 차량의 주행경로의 변화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화시켜, 도료와 비드가 항상 임시차선의 상부에 분사되어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차선감지센서(70)는 단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차량의 주행경로 이전 또는 주행경로 내에 위치된 임시차선의 위치 및 곡선방향을 계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방식을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마이컴은 차선감지센서(70)에서 생성한 임시차선 위치정보와 분사구감지센서(80)에서 생성한 분사구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회전 정보를 생성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방식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차량에는 차량의 측방으로 펼침 및 접힘 가능한 가이드바(9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90)에는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가 차량의 측방으로 일렬하여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 각각은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 내에 위치되는 임시차선의 위치 및 곡선방향을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각각의 임시차선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마이컴은 분사구감지센서(80)에서 생성된 분사구 위치정보와 상기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 각각에서 생성된 임시차선 위치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임시차선과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의 간격에 해당하는 만큼의 회전반경으로 로터리부재(20)를 회전시키는 회전 정보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바(90)는 도 9와 같이 차량 쪽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차량의 측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펼침가능하고, 가이드바(9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바(9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는 가이드바(90)의 하부로 통과하는 도로에 표시된 임시차선을 계속적으로 감지한다.
이때, 차량은 항상 임시차선이 가이드바(90)의 길이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주행되어야 하고, 주행 중인 차량은 가이드바(90)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간격 내에서 임시차선과의 주행 간격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주행 중인 차량이 임시차선의 위치 및 곡선방향의 변화 또는 차량 운전자의 운전에 의하여 임시차선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되면,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 중 임시차선을 감지하는 차선감지센서(70)가 바뀌게 되고, 이때, 각각의 차선감지센서(70)에서 생성된 서로 다른(각각의) 임시차선 위치정보는 마이컴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분사구감지센서(80) 역시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의 분사구 위치정보를 계속적으로 생성하는데, 상기 분사구 위치정보는 마이컴에 전달되어 상기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 각각에서 생성된 임시차선 위치정보와 지속적으로 상호 비교되어 서로 다른 회전정보를 계속적으로 생성한다.
더불어 분사구감지센서(80)에서 생성된 분사구 위치정보와 상기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 각각에서 생성된 임시차선 위치정보 간의 상호 비교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의 서로 다른 회전정보는 구동모터(30)를 임시차선과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의 간격에 해당하는 만큼의 회전반경으로 로터리부재(20)를 회전시키는 내용을 포함하고, 마이컴은 상기 회전정보를 이용하여 구동모터(30)에 회전을 위한 제어명령을 한다.
이때, 마이컴으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받은 구동모터(30)는 가이드바(9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 중 임시차선을 감지한 차선감지센서(70)가 위치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로터리부재(20)를 회전시켜, 로터리부재(20)와 연결된 승강부재(40)에 구비된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에서 각각 분사되는 도료와 비드가 임시차선의 상부에 정확하게 분사되어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선도색장치를 이용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바람직한 시공순서이다.
우선, 차량의 적재부에는 도료주재인 흰색 페인트가 수용된 도료주재 탱크(91), 경화제가 수용된 경화제 탱크(92) 및 유리가루인 비드가 수용된 비드 탱크(93)(고성능 비드 탱크(93) 및 일반 비드 탱크(93))가 적재되고, 상기 흰색 페인트와 경화제는 호스 및 배관을 통하여 도료분사구(41)에 공급되기 이전에 혼합되어 도료분사구(41)에 공급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차선도색장치는 차량 측방의 하부에 베이스부재(10)가 체결됨으로써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차량의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실린더(60)에 의하여 차량의 측방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또한 차량 프론트의 측방에는 펼침과 접힘이 가능한 가이드바(9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90)에는 레이저빔이 발진 및 수신되는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가 가이드바(90)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써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하부에는 베이스부재(10)의 일측에 체결된 구동모터(30)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로터리부재(20)가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축과 로터리부재(20)의 회전축(21)은 타이밍 벨트(31)에 의하여 상호 체결된다.
아울러 승강부재(40)의 측부에는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구(41)가 구비되고, 상기 도료분사구(41)의 후방에 해당하는 승강부재(40)의 측부에는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분사구(42)가 구비되되, 상기 비드분사구(42)는 휘도성이 더 큰 고성능 비드를 분사하는 제1 비드분사구(42a) 및 일반적인 비드를 분사하는 제 비드분사구(42b)가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비드분사구(42a)는 상기 고성능 비드 탱크(93)로부터 고성능 비드를 공급받고, 상기 제 비드분사구(42b)는 상기 일반 비드 탱크(93)로부터 일반적인 비드를 공급받는다.
또한 승강부재(40)의 전단(도료분사구(41)의 전방에 해당함.)의 하부에는 레이저빔이 발진 및 수신되는 분사구감지센서(80)가 구비된다.
아울러 차량의 내부에는 상기 차선감지센서(70), 분사구감지센서(80) 및 구동모터(30)와 연결되어 각종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발신하는 마이컴이 구비된 제어반에 구비된다.
더불어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차량 운전자 또는 보조자가 도료 및 비드의 분사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도료분사 스위치 및 비드 분사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도료분사 스위치는 도료 공급펌프와 연결되어 도료의 분사여부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비드분사 스위치는 비드 공급펌프와 연결되어 비드의 분사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차량 운전자는 상기 가이드바(90)를 펼치고, 도로에 임시로 표시된 임시차선이 가이드바(9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 내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도록 차량을 주행시킨다.
이후, 차량 운전자는 가이드바(90)의 길이 내의 영역 안쪽으로만 임시차선이 위치될 수 있도록 차량을 주행시키면, 가이드바(9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 중 어느 하나의 차선감지센서(70)에 의하여 임시차선이 감지되고, 임시차선이 감지된 어느 하나의 차선감지센서(70)에서 생성된 임시차선 위치정보는 마이컴에 전달된다.
이때, 승강부재(40)에 구비된 분사구감지센서(80)(도 10과 같이 발신부(81)는 베이스부재(10)에 구비되고, 수신부(82)는 승강부재(40)에 구비된 상태임.) 역시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분사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어느 하나의 차선감지센서(70)에서 생성된 임시차선 위치정보와 분사구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임시차선에 대한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의 벗어남 정도를 판단하여 분사구감지센서(80)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회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회전 정보는 구동모터(30)를 회전시키는 정보로 이용되어 구동모터(30)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터리부재(20)를 회전시킨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분사구감지센서(80)는 도 10과 같이 발신부(81)와 수신부(82)로 구성되고, 상기 발신부(81) 또는 수신부(82) 중 어느 하나는 승강부재(40)에
즉, 임시차선이 곡선 형태로 변화되는 상태가거나 차량이 임시차선에서 벗어남과 등간격 유지를 반복하여 주행할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은 계속적으로 임시차선 위치정보와 분사구 위치정보는 서로 다른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구동모터(30)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터리부재(20)를 회전시키고, 상기 로터리부재(20)의 회전에 의하여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가 임시차선의 상부에 게속적으로 위치되어 도료와 비드가 임시차선에 맞게 분사되어 도포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베이스부재 11 : 체결하우징
12 : 체결홀 20 : 로터리부재
21 : 회전축 22 : 풀리
30 : 구동모터 31 : 벨트
32 : 풀리 40 : 승강부재
41 : 도료분사구 42 : 비드분사구
43 : 보조바퀴 50 : 승강실린더
60 : 베이스실린더 61 : 실린더
62 : 실린더 로드 70 : 차선감지센서
80 : 분사구감지센서 81 : 발신부
82 : 수신부 90 : 가이드바
91 : 도료주재 탱크 92 : 경화제 탱크
93 : 비드 탱크

Claims (6)

  1.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10);
    상기 베이스부재(10)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구동모터(30)에 의한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로터리부재(20);
    일측이 상기 로터리부재(2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고,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분사구(42)를 구비하는 승강부재(40) 및;
    상기 로터리부재(20)와 승강부재(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부재(4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량은,
    차량 주행방향의 도로에 임시로 표시된 임시차선의 위치 및 곡선방향을 감지하여 임시차선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차선감지센서(70);
    승강부재(40)에 구비되어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의 분사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분사구감지센서(80);
    상기 임시차선 위치정보와 상기 분사구 위치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임시차선 위치정보와 분사구 위치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임시차선 위치정보에 포함된 임시차선의 위치 및 곡선방향과 동일한 위치 및 곡선방향으로 로터리부재(20)를 회전시키는 회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회전 정보를 이용하여 구동모터(30)를 회전시키는 마이컴(Micom);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도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실린더(61)는 차량에 장착되고 실린더 로드(62)는 차량의 측방으로 인출 및 인입되는 베이스실린더(60)의 실린더 로드(62)에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차량의 측방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도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하부에는,
    원형의 체결홀(12)이 형성된 체결하우징(11)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터리부재(20)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하우징(11)의 체결홀(12)에 상부 말단부분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전축(21)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도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일측에는,
    구동축의 말단에 풀리(32)를 구비하는 구동모터(30)가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21)에는,
    상기 구동모터(30)의 풀리(32)와 벨트(31) 또는 체인으로 연동되어 구동가능한 풀리(22)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도색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는,
    차량의 측방으로 펼침 및 접힘 가능한 가이드바(9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바(90)에는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가 차량의 측방으로 일렬하여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 각각은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 내에 위치되는 임시차선의 위치 및 곡선방향을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각각의 임시차선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마이컴은,
    분사구감지센서(80)에서 생성된 분사구 위치정보와 상기 복수 개의 차선감지센서(70) 각각에서 생성된 임시차선 위치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임시차선과 도료분사구(41) 및 비드분사구(42)의 간격에 해당하는 만큼의 회전반경으로 로터리부재(20)를 회전시키는 회전 정보를 생성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선도색장치.
KR1020150159463A 2015-11-13 2015-11-13 차량용 차선도색장치 KR101591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463A KR101591778B1 (ko) 2015-11-13 2015-11-13 차량용 차선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463A KR101591778B1 (ko) 2015-11-13 2015-11-13 차량용 차선도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778B1 true KR101591778B1 (ko) 2016-02-04

Family

ID=5535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463A KR101591778B1 (ko) 2015-11-13 2015-11-13 차량용 차선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4456A (zh) * 2018-01-12 2018-08-03 山东高速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确定高速公路桩号的方法、存储介质、装置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307B1 (ko) * 2013-10-22 2014-01-16 이영선 도로의 차선도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307B1 (ko) * 2013-10-22 2014-01-16 이영선 도로의 차선도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4456A (zh) * 2018-01-12 2018-08-03 山东高速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确定高速公路桩号的方法、存储介质、装置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255B1 (ko) 차량 장착형 도로표시장치
KR100706100B1 (ko) 도로 표식 도색 차량
KR100895652B1 (ko) 차선과 차선 도색 방법 및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EP0129551B1 (en) Line marking apparatus
EP2152973B1 (en) Line striper with automatic layout
KR100721510B1 (ko)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시공법
KR101351307B1 (ko) 도로의 차선도색장치
KR102071866B1 (ko) 듀얼구동 제어 및 3축 제어를 이용한 자동 차선도장장치
KR102271994B1 (ko) 차선을 보수하기 위한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CN108677675B (zh) 道路划线装置
KR101591778B1 (ko) 차량용 차선도색장치
KR101595462B1 (ko) 차선, 횡단보도, 문자기호의 미끄럼방지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공법
US67724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 aircraft with a passenger loading bridge
KR100817609B1 (ko)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JP2020050521A (ja) 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移動機システム
KR102357679B1 (ko) 차선 도색차량용 차선폭 자동 조절 장치
KR102057064B1 (ko) 스프레이 융착식 선명도 향상 차선 도색장치
KR101493778B1 (ko) 스프레드 노즐형 차선 시공장치
KR101483009B1 (ko) 차선 도색 자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자동화방법
KR101368458B1 (ko) 차선 폭을 일정하게 도색 할 수 있는 차선 도색 장치 및 방법
CN104865076A (zh) 一种甩泥试验装置及一种甩泥试验方法
KR101747370B1 (ko) 융착식 차선 도색장치
US20080185455A1 (en) Asphalt release agent automated spray system
KR20050096581A (ko) 노면용 문자도색장치 및 방법
KR20040026480A (ko) 선체 외판 자동 도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