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356B1 -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356B1
KR101591356B1 KR1020150098356A KR20150098356A KR101591356B1 KR 101591356 B1 KR101591356 B1 KR 101591356B1 KR 1020150098356 A KR1020150098356 A KR 1020150098356A KR 20150098356 A KR20150098356 A KR 20150098356A KR 101591356 B1 KR101591356 B1 KR 101591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axis extension
coordinate
extension cabl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관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씨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씨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씨앤피
Priority to KR102015009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지정한 위치에 정확히 대상물을 이송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에 따르면, 작업자가 모니터(80)를 확인하여 크레인(20)에 의해 드럼통(1)이 이송되는 위치의 좌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음으로, 컨트롤러(24)의 에러나 작업자의 입력실수 등에 의해 드럼통(1)을 잘못된 위치로 이송하는 경우, 이를 즉각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the system of confirming crain carrying position}
본 발명은 작업자가 지정한 위치에 정확히 대상물을 이송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방사능폐기물은 드럼통에 밀봉된 상태로 정해진 폐기물 처리장에 적재된다.
한편, 이와 같이, 방사능폐기물이 밀봉된 드럼통을 저장하는 폐기물 처리장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20)이 구비되어 운반차량에 의해 이송된 드럼통(1)을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여 쌓게 된다.
이때, 상기 폐기물 처리장(10)에는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급부(11)와, 저장부(12)가 형성되어, 상기 폐기물 처리장(10)의 공급부(11)로 상기 드럼통(1)이 공급되면, 상기 크레인(20)을 이용하여 드럼통(1)을 들어올려 상기 저장부(12)로 이송하여 적재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처리장(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21)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전후진되는 거더(22)와, 상기 드럼통(1)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원양장치(23a)가 구비되며 상기 거더(2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거더(22)를 따라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는 트롤리(2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폐기물 처리장(10)에는 상기 저장부(12)에 저장된 트럼통(1)에서 방출되는 방사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차폐된 별도의 조정실이 마련되며, 상기 조정실에는 상기 크레인(20)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러(2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폐기물 처리장(10)과 크레인(20)의 각 부분에는 크레인(20)의 각 부분의 작동을 관찰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조정실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가 구비된다.
따라서, 방사능폐기물이 밀봉된 드럼통(1)이 상기 공급부(11)로 공급되면, 작업자가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고 상기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상기 크레인(20)이 드럼통(1)을 저장부(12)의 정확한 위치로 이송하여 적재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한 한 많은 양의 드럼통(1)을 효율적으로 적재하여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폐기물 처리장(10)의 경우, 상기 드럼통(1)을 이송할 때 모니터를 통해 이송상태를 감시함으로, 작업자의 실수로 드럼통(1)을 저장부(12)의 정확한 위치로 이송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저장부(12)에서 드럼통(1)을 이송할 위치에는 좌표를 부여하고, 상기 크레인(20)을 자동화하여, 작업자가 상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드럼통(1)을 이송할 좌표를 입력하면, 상기 크레인(20)이 자동으로 드럼통(1)을 들어올려 입력된 좌표에 해당되는 위치로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컨트롤러의 에러나 작업자의 입력실수 등에 의해 드럼통(1)을 잘못된 위치로 이송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는데, 종래에는 이와 같이 드럼통(1)이 잘못된 위치로 이송되었을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폐기물 처리장(10)에 구비된 크레인(20) 뿐 아니라, 대상물을 정확한 위치로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크레인(20)에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크레인(20)이 드럼통(1)을 정확한 위치로 이송하는 지를 감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2011-0073748호, 공개특허 10-1998-000909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지정한 위치에 정확히 대상물을 이송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21)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전후진되는 거더(22)와, 대상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원양장치(23a)가 구비되며 상기 거더(2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거더(22)를 따라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는 트롤리(23)를 포함하는 크레인(20)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20)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이 이송되는 위치에는 좌표가 부여되고, 상기 크레인(20)의 상측에 위치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좌표에 대응되는 좌표표시부(30)가 형성된 좌표표시수단(A)과, 상기 트롤리(23)에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20)이 대상물을 이송할 때 상기 좌표표시수단(A)의 좌표표시부(30)를 촬영하는 좌표촬영카메라(70)와, 상기 좌표촬영카메라(70)에 촬영된 좌표표시부(30)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80)를 포함하여, 상기 크레인(20)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이송할 때, 작업자가 상기 모니터(80)에 디스플레이되는 좌표표시부(30)의 영상을 확인하여 상기 크레인(20)에 의해 대상물이 이송되는 좌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좌표표시수단(A)은 사각틀 형태로 구성된 지지프레임(4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전후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된 다수개의 X축 연장케이블(51)과,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된 다수개의 Y축 연장케이블(52)과,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의 교차부에 고정되며 하측면에 상기 좌표표시부(30)가 형성된 복수개의 표시패널(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60)에는 표시패널(60)을 절개한 후 상측으로 절곡하여 구성된 4개의 지지편(6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61)에는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이 결합되는 관통공(61a)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61a)에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을 결합하여 상기 표시패널(60)을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의 교차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40)에는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의 양단이 결합되는 결합공(41)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이 결합되는 결합공(41)을 선택하여, 상기 표시패널(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크레인(20)에는 컨트롤러(24)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24)에는 확인스위치(24a)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대상물을 이송할 좌표를 입력하면 상기 크레인(20)은 입력된 좌표의 상측으로 상기 대상물을 이송하고,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8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 상기 확인스위치(24a)를 조작하면, 상기 대상물을 하강시켜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에 따르면, 작업자가 모니터(80)를 확인하여 크레인(20)에 의해 드럼통(1)이 이송되는 위치의 좌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음으로, 컨트롤러(24)의 에러나 작업자의 입력실수 등에 의해 드럼통(1)을 잘못된 위치로 이송하는 경우, 이를 즉각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레인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크레인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의 좌표표시수단을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좌표표시수단을 도시한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좌표표시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좌표표시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의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방사능폐기물이 밀봉된 드럼통(1)을 저장하는 폐기물 처리장(10)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폐기물 처리장(10)에는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급부(11)와, 저장부(12)가 형성되어, 상기 폐기물 처리장(10)의 공급부(11)로 상기 드럼통(1)이 공급되면, 상기 크레인(20)을 이용하여 드럼통(1)을 들어올려 상기 저장부(12)로 이송하여 적재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21)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전후진되는 거더(22)와, 드럼통(1)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원양장치(23a)가 구비되며 상기 거더(2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거더(22)를 따라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는 트롤리(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폐기물 처리장(10)에서 상기 크레인(20)에 의해 이송되는 드럼통(1)이 이송되는 위치에는 좌표가 부여된다.
즉, 상기 드럼통(1)은 상기 폐기물 처리장(10)에 종횡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이송되어 적재되며, 상기 드럼통(1)이 이송되는 위치에는 알파벳과 숫자로 이루어진 좌표가 부여된다.
이때, 상기 좌표는 종방향 열을 따라 서로 다른 알파벳이 부여되고, 횡방향 열을 따라 서로 다른 숫자가 부여되어,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하여 저장부(12)에서 각각의 드럼통(1)이 배치될 구역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폐기물 처리장(10)에는 상기 저장부(12)에 저장된 드럼통(1)에서 방출되는 방사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차폐된 별도의 조정실(13)이 마련되고, 상기 조정실(13)에는 상기 크레인(20)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러(24)가 구비되며,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컨트롤러(24)를 이용하여 드럼통(1)을 이송할 좌표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드럼통(1)을 들어올려 자동으로 정해진 좌표로 이송하도록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폐기물 처리장(10)과 크레인(20)의 구조 및 작용은 종래와 동일함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폐기물 처리장(10)의 천정면(14)에는 상기 크레인(20)의 상측에 위치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좌표에 대응되는 좌표표시부(30)가 형성된 좌표표시수단(A)이 구비되고, 상기 트롤리(23)에는 상기 크레인(20)이 드럼통(1)을 이송할 때 상기 좌표표시수단(A)의 좌표표시부(30)를 촬영하는 좌표촬영카메라(70)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조정실(13)에는 상기 좌표촬영카메라(70)에 촬영된 좌표표시부(30)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80)가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좌표표시수단(A)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넓은 평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저장부(1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폐기물 처리장(10)의 천정면(14)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폐기물 처리장(10)의 천정면(14)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대(15)가 구비되며, 상기 좌표표시수단(A)은 상기 지지대(15)의 하단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표표시수단(A)은 상기 저장부(12)와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저장부(12)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좌표표시부(30)는 상기 저장부(12)의 좌표와 1:1로 대응되도록 좌표종방향과 횡방향의 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좌표표시부(30)에는 하측에 위치된 저장부(12)의 좌표가 인쇄된다.
즉, 상기 저장부(12)의 좌표에서 A5번의 상측에 위치되는 좌표표시부(30)에는 A5가 인쇄되며, 상기 저장부(12)의 좌표중에서 C15번의 상측에는 위치된 좌표표시부(30)에는 C15가 인쇄된다.
물론, 상기 저장부(12)의 다른 좌표의 상측에 위치되는 좌표표시부(30)에도 하측에 위치된 저장부(12)의 좌표가 인쇄된다.
상기 좌표촬영카메라(70)는 일반적인 CCD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트롤리(23)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드럼통(1)의 수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트롤리(23)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크레인(20)이 상기 공급부(11)로 공급된 드럼통(1)을 들어올려서 상기 저장부(12)의 지정된 좌표로 상기 드럼통(1)을 이송하면, 상기 좌표촬영카메라(70)에 상기 드럼통(1)이 이송된 좌표의 상부에 위치된 좌표표시부(30)가 촬영되며, 이와 같이 촬영된 좌표표시부(30)의 영상은 상기 모니터(8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좌표촬영카메라(70)에 의해 촬영된 좌표표시부(30)에는 상기 드럼통(1)이 이송되는 위치의 좌표가 인쇄되어 있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모니터(80)에 디스플레이되는 좌표를 확인하여, 드럼통(1)이 저장부(12)의 어디로 이송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에 따르면, 작업자가 모니터(80)를 확인하여 크레인(20)에 의해 드럼통(1)이 이송되는 위치의 좌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음으로, 컨트롤러(24)의 에러나 작업자의 입력실수 등에 의해 드럼통(1)을 잘못된 위치로 이송하는 경우, 이를 즉각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좌표표시부(30)에는 하측에 위치된 저장부(12)의 좌표가 인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좌표표시부(30)의 하측에 좌표가 인쇄된 인쇄지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폐기물 처리장(10)에 적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은 대상물을 정확히 정해진 곳으로 이송하여야 하는 모든 종류의 크레인(2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좌표표시수단(A)은 사각틀 형태로 구성된 지지프레임(4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전후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된 다수개의 X축 연장케이블(51)과,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된 다수개의 Y축 연장케이블(52)과,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의 교차부에 고정되며 하측면에 상기 좌표표시부(30)가 형성된 복수개의 표시패널(6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자 형태의 단면형태로 구성된 바를 사각형으로 조립하여 구성된 것으로, 둘레면에는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의 양단이 결합되는 결합공(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41)은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의 개수보다 많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이 결합되는 결합공(41)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의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단부에는 상기 결합공(41)의 외측에 걸리는 걸림턱(53)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축(5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일측의 결합공(41) 외측에서 상기 고정축(54)을 삽입결합하여, 고정축(54)이 타측의 결합공(41)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한 후, 상기 고정축(54)의 외측에 스프링(55)을 결합하고, 그 외측에 너트(56)를 결합하여 조임으로서,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이 지지프레임(40)에 팽팽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60)은 사각형의 금속판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면에는 4개의 지지편(61)이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편(61)에는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이 결합되는 관통공(61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61)은 상기 표시패널(60)의 중간부를 U자형으로 절개한 후, 상측으로 절곡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편(61)의 관통공(61a)에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이 교차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표시패널(6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은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이 결합되는 결합공(41)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이에 지지되는 표시패널(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12)에 드럼통(1)이 이송되는 위치를 바꿀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표시패널(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상기 좌표표시수단(A)은 금속패널로 구성되어, 드럼통(1)이 이송되는 위치가 바뀔 경우, 조표표시수단 전체를 교체하거나, 좌표표시수단(A)의 하측면에 형성된 좌표표시부(30)를 지우고 새로 인쇄하거나, 좌표표시부(30)에 부착된 인쇄지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으로, 매우 번거로운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이 결합되는 결합공(41)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상기 좌표표시부(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작업자는 단순히 상기 모니터(80)의 화면을 보고, 상기 드럼통(1)이 정확한 좌표로 이송되는 지를 확인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4)에 별도의 확인스위치(24a)를 더 구비하여, 작업자가 상기 드럼통(1)을 이송할 좌표를 입력하면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드럼통(1)을 입력된 좌표의 상측으로 이송한 상태에서 정지하고,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8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 상기 컨트롤러(24)에 구비된 확인스위치(24a)를 조작하면, 상기 드럼통(1)을 하강시켜 적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은, 작업자가 상기 모니터(8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크레인(20)에 의해 드럼통(1)이 정확한 위치의 상부로 이송된 것이 확인된 후, 상기 확인스위치(24a)를 조작하여야만 상기 드럼통(1)이 하강되어 저장부(12)에 적재됨으로, 작업자가 실수로 상기 모니터(80)를 확인하지 못하여 드럼통(1)이 잘못된 위치에 적재되는 것을 확인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작업자가 드럼통(1)을 이송할 좌표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크레인(20)이 드럼통(1)을 입력된 좌표의 상부로 이송한 후 자동으로 하강시켜 드럼통(1)이 입력된 좌표의 위치에 적재함으로, 이때, 작업자는 상기 모니터(8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드럼통(1)이 정확한 위치로 이송되는지를 확인하여야 하는데, 작업자가 모니터(80)를 계속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을 경우, 크레인(20)의 에러 또는 작업자의 입력실수로 드럼통(1)이 잘못된 위치로 이송되더라도 이를 확인하여 즉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크레인(20)이 공급부(11)로 공급된 드럼통(1)을 들어올려서 저장부(12)에서 입력된 좌표의 상부로 이송한 상태에서 일시정지하고, 작업자가 모니터(80)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스위치(24a)를 조작하여야만 드럼통(1)이 하강되어 적재되도록 함으로, 작업자가 실수로 드럼통(1)이 이송된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게 되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처리장 20. 크레인
A. 좌표표시수단 30. 좌표표시부
40. 지지프레임 51. X축 연장케이블
52. Y축 연장케이블 60. 표시패널
70. 좌표촬영카메라 80. 모니터

Claims (5)

  1.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21)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2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전후진되는 거더(22)와, 대상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원양장치(23a)가 구비되며 상기 거더(2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거더(22)를 따라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는 트롤리(23)를 포함하는 크레인(20)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20)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이 이송되는 위치에는 좌표가 부여되고,
    상기 크레인(20)의 상측에 위치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좌표에 대응되는 좌표표시부(30)가 형성된 좌표표시수단(A)과,
    상기 트롤리(23)에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20)이 대상물을 이송할 때 상기 좌표표시수단(A)의 좌표표시부(30)를 촬영하는 좌표촬영카메라(70)와,
    상기 좌표촬영카메라(70)에 촬영된 좌표표시부(30)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80)를 포함하여,
    상기 크레인(20)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이송할 때, 작업자가 상기 모니터(80)에 디스플레이되는 좌표표시부(30)의 영상을 확인하여 상기 크레인(20)에 의해 대상물이 이송되는 좌표를 확인하며,
    상기 좌표표시수단(A)은
    사각틀 형태로 구성된 지지프레임(4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전후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된 다수개의 X축 연장케이블(51)과,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된 다수개의 Y축 연장케이블(52)과,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의 교차부에 고정되며 하측면에 상기 좌표표시부(30)가 형성된 복수개의 표시패널(60)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60)에는 표시패널(60)을 절개한 후 상측으로 절곡하여 구성된 4개의 지지편(6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61)에는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이 결합되는 관통공(61a)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61a)에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을 결합하여 상기 표시패널(60)을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의 교차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40)에는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의 양단이 결합되는 결합공(41)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X축 연장케이블(51)과 Y축 연장케이블(52)이 결합되는 결합공(41)을 선택하여, 상기 표시패널(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20)에는 컨트롤러(24)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24)에는 확인스위치(24a)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대상물을 이송할 좌표를 입력하면 상기 크레인(20)은 입력된 좌표의 상측으로 상기 대상물을 이송하고,
    사용자가 상기 모니터(8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 상기 확인스위치(24a)를 조작하면, 상기 대상물을 하강시켜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
KR1020150098356A 2015-07-10 2015-07-10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 KR101591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356A KR101591356B1 (ko) 2015-07-10 2015-07-10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356A KR101591356B1 (ko) 2015-07-10 2015-07-10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356B1 true KR101591356B1 (ko) 2016-02-03

Family

ID=5535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356A KR101591356B1 (ko) 2015-07-10 2015-07-10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3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092A (ko) 1996-07-08 1998-04-30 이대원 천정 크레인
JP2006501115A (ja) * 2002-09-30 2006-01-12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貨物の位置決め方法と装置
JP2009166964A (ja) * 2008-01-16 2009-07-30 Seiko Precision Inc クレーン装置及び走行体の位置検出方法
KR20110073748A (ko) 2009-12-24 2011-06-30 (주)대성마린텍 천정 크레인
KR20110085494A (ko) * 2010-01-20 2011-07-2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092A (ko) 1996-07-08 1998-04-30 이대원 천정 크레인
JP2006501115A (ja) * 2002-09-30 2006-01-12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貨物の位置決め方法と装置
JP2009166964A (ja) * 2008-01-16 2009-07-30 Seiko Precision Inc クレーン装置及び走行体の位置検出方法
KR20110073748A (ko) 2009-12-24 2011-06-30 (주)대성마린텍 천정 크레인
KR20110085494A (ko) * 2010-01-20 2011-07-2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천장크레인 위치 인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01302A1 (en) Management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US10017323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icking-and-putting product
JP6617291B2 (ja) 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段取り作業の進捗表示システム
US20140229001A1 (en) Logistics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y from abnormality in logistics system
KR100873928B1 (ko) 생산시스템
KR101591356B1 (ko) 크레인의 이송위치 확인시스템
JPH08231013A (ja) タッチパネル式モニタによる異常処理方法及び異常処理装置
CN104716070B (zh) 尺寸检测装置及基板装载装置
CN109828978A (zh) 一种运单状态更新的方法及设备
EP3664441A1 (en) Monitoring system
JP6699510B2 (ja) 参拝設備
JP2016193778A (ja) クレーンの運転支援方法及びクレーンの運転支援装置
CN112478543B (zh) 物品搬送设备
KR20230137976A (ko) 화물 분류 시스템, 로봇 및 화물 분류 방법
JP2005138957A (ja) 自動倉庫における入出庫管理方法
EP0239668A1 (de) Kraftwerkswarte
CN110521295A (zh) 元件供给装置及托板移动方法
JP2015214408A (ja) 物品搬送設備
KR101958272B1 (ko) 인쇄회로기판 롯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3085019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2274611A (ja) スタッカクレーンシステム
JP7238612B2 (ja) カメラの姿勢ずれ評価方法及びカメラシステム
KR20140111761A (ko) 화상 데이터를 이용한 대형 로봇 교시 장치
JP2006193282A (ja) 物品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異常情報の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表示制御装置
KR102426475B1 (ko) 고압을 다루는 절연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