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849B1 -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 Google Patents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849B1
KR101590849B1 KR1020150036197A KR20150036197A KR101590849B1 KR 101590849 B1 KR101590849 B1 KR 101590849B1 KR 1020150036197 A KR1020150036197 A KR 1020150036197A KR 20150036197 A KR20150036197 A KR 20150036197A KR 101590849 B1 KR101590849 B1 KR 10159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rtridge
filter
holder
protrusion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휘동
이재익
황필강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필터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필터, 정휘동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필터
Priority to KR102015003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849B1/ko
Priority to CN201610149590.3A priority patent/CN105999796B/zh
Priority to EP16000634.2A priority patent/EP3069771B1/en
Priority to US15/072,030 priority patent/US999375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31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2Devices for taking out of action one or more units of multi- unit filters, e.g. for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5Snap, latch or clip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84Snap or Seeger ring connect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를 사용하여 물을 정수하는 정수라인 상에 설치되는 필터헤드와 상기 필터헤드에서 탈.부착되는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터카트리지가 필터헤드에서 반복 밀어줌만으로 자동적인 탈착이 가능토록 한 것이고, 또한 반복 밀어줌에 의하여 탈착될 경우에 바이패스유로와 정수유로가 선택적으로 형성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고, 필터카트리지의 반복적인 밀어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탈착되면서 상승된 상태에서의 정지와 정지된 상태에서의 해제에 의한 하강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A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필터를 사용하여 물을 정수하는 정수라인 상에 설치되는 필터헤드와 상기 필터헤드에서 탈.부착되는 필터카트리지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터카트리지가 필터헤드에서 별도의 조작이 없이 수직으로 반복 밀어줌만으로 자동적인 탈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반복 밀어줌에 의하여 필터카트리지가 탈착될 경우에 바이패스유로와 정수유로가 선택적으로 형성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삭제
현재 물의 정수가 필요한 정수기나 냉장고 등의 정수라인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필터가 용도에 따라 사용되는데 이러한 필터는 카트리지 내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가 장착된 필터카트리지는 필터헤드와 탈착되어지면서 수시로 교환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필터카트리지가 탈착되게 장착되는 필터 헤드에는 필터카트리지를 끼우면 카트리지 내부의 필터를 경유하여 물이 정수되도록 정수 유로가 연통되며, 필터 헤드에서 필터카트리지를 제거하면 필터 헤드에 형성된 외부의 급수라인과 연결되는 인렛과 정수된 물이 토출되는 아웃렛이 직결되어 물이 필터헤드에서 누수되지 않도록 바이패스 기능을 갖도록 되기도 하는데 바이패스 기능이 존재치 아니할 경우에는 급수라인을 통하여 급수되는 물을 차단하고 필터카트리지를 교환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카트리지가 필터헤드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급수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수압등에 의하여 저항하도록 필터카트리지의 고정과 필터헤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헤드의 인렛과 아웃렛에 연통된 정수유로의 누수방지와 장착된 필터 카트리지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필터헤드의 바이패스유로의 연통에 대한 안정성이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대부분의 필터 카트리지의 장착은 필터 카트리지가 필터헤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압등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회전 등)이 요구되는 락킹수단이 사용되는 것이고 이러한 락킹수단은 필터의 견고한 고정에 역점을 두게 되면서 이러한 견고한 고정은 결국 수시로 교환되어지는 필터카트리지의 교환에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필터카트리지의 탈착시 바이패스유로와 정수유로가 자동으로 전환되는 것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11654호에서 제안되고 있다.
또한 바이패스유로와 정수유로가 자동으로 전환되면서 필터카트리지를 필터헤드에서 가압에 의하여 장착하는 방식으로는 미국특허출원공고 공개번호 US 2011/0139698 A1에서 필터헤드에 필터를 가압하여 끼워서 조립하면 필터의 측면으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필터에 걸리는 수압이 적게 작용하도록 한 방식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 경우 필터를 당겨서 빼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필터의 탈부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필터가 필터헤드에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무리 수압이 적게 걸린다 하더라도 필터가 필터헤드에 빡빡하게 끼워지면서 실링 부위의 오링이 긴밀히 밀착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필터를 탈부착시 많은 힘을 가해야 하므로 탈부착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필터를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실링부위에 장착된 오링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8,097,157 B2에서 브라켓에 가압에 의하여 일측으로 이동되고 가압이 해제되면 스프링에 의하여 원위치되는 래치 조립체가 조립되고, 래치 조립체는 스프링에 의하여 양측으로 회전방향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필터 카트리지의 탈부착에 의하여 래치 조립체가 회전하면서 필터 카트리지의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렇게 회전 작동하는 래치 구조로 조립되는 방식도 브라켓 및 래치조립체가 여러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회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며, 탄성복원력을 위하여 스프링이 반드시 장착되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또한 미국특허 제8,137,551 B1에서는 탈착 방식이 레크방식의 구조를 취하고, 필터카트리지에 필터헤드의 인렛과 아웃렛에 연통하기 위하여 각각의 공급유로와 배출유로가 좌우로 이격된 상태에서 그 중앙에 레크 구조를 취하도록 되며, 공급유로와 배출유로가 필터헤드에 구비되는 인렛과 아웃렛에 결합을 위하여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헤드에는 레크방식의 탈착을 위하여 상기 필터헤드의 인렛과 아웃렛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공급유로와 배출유로가 결합될 경우에 탄력 작동하게 하는 구조이므로 이러한 레크구조의 작동을 위해서는 또 다른 스프링을 사용해야함은 물론 각각의 공급유로와 배출유로의 이격으로 인하여 바이패스 기능이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은 모두 교환의 용이성보다는 체결의 안전성에 맞춰진 것이어서 실질적으로 교환시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KR 10-0873665 B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KR 10-1311654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카트리지를 필터헤드에 내입토록 한 후 수직으로 반복밀어주는 것만으로 필터헤드에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면서 필터카트리지의 분리시 바이패스 유로의 형성과 필터카트리지의 결합시 정수유로의 형성도 수압을 받지 않으면서도 간단하게 구현토록 한 것이다.
또한, 필터카트리지의 탈착 방향이 특정되지 않고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조작가능토록 한 필터카트리지의 필터헤드에서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필터헤드의 내부에 탄력작동되면서 승강되는 바이패스유로와 정수유로를 선택토록 되는 인너를 구비하고, 상기 인너에는 필터카트리지가 내입될 수 있는 내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입부로 필터카트리지의 선단부가 내입되어지면서 1차 밀어줌에 의하여 인너가 상승하면서 필터카트리지를 분리되지 않게 잡아주고 동시에 필터헤드에 인너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정지되고, 정지된 상태에서 다시 필터카트리지를 밀어주면 정지된 상태가 해제토록 하면서 하강토록 하는 락킹-언락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락킹-언락킹부에서 인너의 상승이 정지된 상태가 해제되면 인너가 하강하면서 상승시 잡고 있던 필터카트리지를 자동적으로 풀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인너의 상승시 정수유로가 연통되면서 락킹-언락킹부에 의하여 필터헤드에서 인너의 상승된 상태가 정지되는 것이고, 동시에 인너에 내입되어진 필터카트리지도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1차 밀어줌에 의하여 정수유로가 연통되면서 그 상태가 락킹된 상태에서 다시 2차 밀어줌이 있게 되면 락킹된 상태가 풀리게 되면서 필터카트리지가 하강하여 바이패스유로가 연결되어지면서 필터카트리지가 분리가능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필터카트리지의 선단부에 정수유로의 연통을 위한 인입구와 인출구가 동축에 형성토록 하면서 인너가 상승하면서 필터카트리지를 잡아주게 될 경우에 필터카트리지의 삽입방향이 특정되지 않토록 하면서도 필터카트리지를 잡아주고 풀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필터카트리지의 선단부에 인입구와 인출구가 동축에 형성되어 필터헤드에 탈착을 위한 방향이 특정되지 않게 되는 것이어서 조작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동시에 필터카트리지를 필터헤드에 장착함에 있어서 승강되는 인너를 사용하여 1차 밀어줌에 의한 정수유로의 연통과 동시에 필터카트리지가 필터헤드에서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토록 하고, 인너가 상승된 상태가 락킹되고, 락팅된 상태에서 2차 밀어줌에 의하여 락킹이 해제되면서 필터헤드에는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되면서 필터카트리지를 필터헤드에서 간단하게 분리토록 함으로서 단순한 밀어줌의 반복만으로 필터카트리지를 필터헤드에서의 결합과 분리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필터카트리지가 필터헤드에서 탈착(결합과 분리)될 경우에 인너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 수압이 필터카트리지에 직접전달되지 않게 됨으로 필터카트리지의 교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체결부위의 파손될 우려가 거의 없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필터헤드와 인너 및 락킹-언락킹의 체결 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부품의 제작이 용이하므로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터헤드와 필터카트리지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필터헤드와 인너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필터헤드의 인렛과 아웃렛이 인너와 연결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필터헤드에 승강되게 장착된 인너가 필터카트리지의 밀어줌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정수유로를 나타내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필터헤드에 승강되게 장착된 인너가 하강된 상태에서 바이패스유로를 나타내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너의 홀더에 대한 일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인너의 홀더에 대한 또 다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인너의 홀더에 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8의 조립된 상태도.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인너의 홀더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돌부가 필터헤드의 내입홈테에 내입되어 있다가 인너의 승강에 의하여 홀더가 작동되는 상태도.
도12 내지 도16은 본 발명의 홀더의 작동상태의 단계도.
도17 및 도18은 본 발명의 홀더가 날개체로 이루어진 것이 인너의 승강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개사시도.
도19 내지 도26은 본 발명의 락킹-언락킹부의 상승라인과 하강라인을 따라 선회하는 상태의 단계도.
이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작동구조는 필터가 내장되어 인입구와 인출구를 구비한 필터카트리지를 필터헤드의 내부로 내입하여 밀어주면 필터카트리지가 상승하면서 필터헤드에 결합되고, 상기와 같이 상승되어 결합된 상태에서는 임의대로 하강하지 않게 고정되면서 정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정수유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필터의 교환 등을 위하여 필터카트리지를 다시 한번 더 밀어주면 필터카트리지가 하강하면서 정수유로가 해제되고, 이때 가능하면 바이패스유로를 형성토록 할 경우에는 더욱 우수한 효과를 발생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필터카트리지가 필터헤드에서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어 필터헤드에서 분리 가능하게 될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필터카트리지가 필터헤드에서의 승하강(상승과 하강)을 위하여는 필터헤드의 내부에는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면서 승하강되어지는 인너가 장착되어지는 것이고, 상기 인너에는 상승시 필터헤드와의 정수유로 또는 하강시 바이패스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면서 필터카트리지기 상승할 경우에 필터카트리지를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게 잡아주는 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카트리지를 반복밀어주는 것만으로 필터헤드에서의 결합과 분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기밀유지와 수압에 의한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필터카트리지가 필터헤드와 분리된 상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필터헤드(100)에는 외부의 급수라인(도시생략)이 연결되는 인렛(110)과 상기 인렛(110)을 통하여 급수되는 물이 필터카트리지(200)에 내장된 필터(도시생략)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을 토출토록하는 아웃렛(120)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헤드(100)로 필터카트리지(200)가 내입되어 상승된 상태에서의 정지와 정지된 상태에서의 하강을 위하여 정지를 해제토록 하는 락킹-언락킹부(400)가 형성된다.
또한 필터카트리지(200)의 인입구(210)와 인출구(220)가 동축에 형성된 선단부(2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헤드(100)의 내부로 내입되어질 수 있는 것이고, 내입된 상태에서 밀어줌에 의하여 필터카트리지(200)가 상승될 경우에 필터카트리지(200)를 필터헤드(100)에서 잡아주기 위하여 걸림요소(240)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걸림요소(240)는 필터카트리지(200)가 필터헤드(100)에 결합을 위하여 내입될 경우에 특별한 방향성이 없이 삽입되어지면서 잡아줄 수 있도록 선단부(230)의 하단의 밀착면(231)을 가압하여 잡아주거나 또는 밀착면의 특정위치에 걸림을 위한 걸림테(241)의 형태로 구현토록 하거나 또는 밀착면(231)에 요철면(도시생략)을 형성하여 잡아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필터카트리지(200)가 상승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하강에 의한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요소(240)로 예시한 걸림테(241)는 물론 밀착면(231)을 가압하거나 또는 밀착면(231)을 가압할 경우에 마찰력을 크게 하면서도 걸림을 위한 요철면을 구비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 이러한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안하는 것이 아니고, 동일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균등물의 치환 등에 의하여 걸림요소(240)를 다양한 형태로 변경사용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필터헤드에 내입되는 필터카트리지가 가압에 의하여 상승될 경우에 상승을 유도하면서 정수유로와 바이패스유로를 형성하는 인너의 장착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너(300)의 용이한 조립을 위하여 필터헤드(100)가 등분된 상태에서 조립되어질 수 있는 것이고, 조립은 내부에 인너(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맞물려 결합수단(170)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는 나사조임의 방식을 채용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 하는 것이 아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170)은 나사조임일 수 있으나 열이나 고주파 또는 초음판 등의 융착일 수 있고 맞물림결합되는 후크형태의 결합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헤드(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인너(300)는 인너본체(330)와 인너(300)의 승하강시 필터카트리지(200)를 잡아주고 풀어주게 되도록 작동되는 홀더(3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300)에는 후술하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카트리지(200)가 내입되어질 수 있는 내입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내입부(320)로는 필터카트리지(200)의 선단부(230) 및 걸림요소(240)가 내입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인너(300)는 필터헤드(100)의 내부에서 상승과 하강(통상 승하강이라 함)을 하게 되고, 상기의 승하강시 상승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30)를 가압하게 되고, 하강할 경우에는 탄성부재(130)의 복원력에 의하여 신속하게 하강하게 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인너(300)의 승하강시 탄성력을 유지토록 함으로서 반복적인 밀어줌에 의한 승하강과 필터카트리지(200)의 탈착의 용이성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인너본체(330)의 하단에 구비되는 날개편을 포함하는 홀더(340)는 도2 및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본체와 일체로 구현가능하고, 도3 및 도 8과 도9 및 도17과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될 수 있는 분리형으로 구현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모두 인너(300)가 필터헤드(100)의 내부에서 상승할 경우에는 날개편을 포함하는 홀더(340)의 날개편이 필터헤드의 내벽과 밀착되면서 내측으로 오무라들게 작동되어 필터카트리지(200)를 잡아주게 되어 인너(30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필터카트리지(200)가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하강한 상태에서는 오무라듬이 해제되면서 자동적으로 분리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인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고, 필터헤드에 구비된 인렛과 아웃렛이 필터헤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승강되는 인너와 연결되면서 바이패스유로와 정수유로로 선택될 경우에 기밀유지를 위한 구조를 예시한 것이고, 동시에 락킹-안락킹부를 구성하는 작동부가 인너와 작동유도부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300)는 인너본체(330)와 홀더(340)로 구비되어지고, 인너본체(330)의 외벽(310)에는 정수유로홀(311)과 바이패스유로홀(312)이 구비되어지고, 승강되는 인너(300)의 외벽(310)이 밀착되는 필터헤드(100)의 내벽(140)에는 내입면(141)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면(141)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패킹링(150)이 장착되고, 상기 내입면(141)에 패킹링(150)이 장착된 상태에서 인너(300)의 외벽(310)이 필터헤드(100)의 내벽(140)과 밀착되어 승강됨으로서 패킹링(150)의 이탈방지는 물론 기밀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2에서는 패킹링(150)은 인너(300)의 승강에 의하여 정수유로홀(311)과 배이패스유로홀(312)이 선택될 경우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인렛과 아웃렛측에 각각 하나씩 오링을 장착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3에서는 인렛과 아웃렛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하나의 패킹링을 사용하여 인렛과 아웃렛을 분리토록 하는 2개의 오링을 사용하는 효과를 발생토록 함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인너(300)가 승강되면서 필터카트리지(200)가 필터헤드(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정수유로(2)와 바이패스유로(1)를 형성할 경우에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3 및 도8과 도9에서 인너(300)를 구성하는 인너본체(330)에 날개편을 포한하는 홀더(340)가 조립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인너본체에 다수의 날개편(342a)을 구비한 후 상기 날개편에 결합되는 결합날개편과 다수의 날개편의 이격되어진 개구부에 위치되어지는 작동날개편(352)으로 이루어지도록 홀더를 구성하여 조립토록 함으로서 인너의 승하강시 필터카트리지(200)의 잡아줌을 가능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것들을 사출성형할 경우에 성형성을 우수하게 한 것이다.
상기 날개편(342a)에 결합되는 걸림날개편과 작동날개편(352)으로 이루어지는 홀더(340)의 조립구조와 작동에 대하여는 인너(300)가 승강되면서 필터카트리지(200)를 잡아주고 풀어주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할 것이다.
또한 인너(300)가 필터헤드(10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승하강시 탄성부재(130)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면서도 필터헤드(100)에서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토록 하기 위한 일 실시 예로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300)를 구성하는 홀더(340)의 날개체(342,342a)에 인너(300)가 상승할 경우에 필터헤드(100)의 캡부의 내벽과 밀착되면서 날개체가 내측으로 오무라들도록 날개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부(343)가 형성되어 홀더의 날개체가 내측으로 오무라드는 것이고, 홀더의 날개체가 내측으로 오무라들면서 인너의 내입부에 내입되어지는 필터카트리지의 선단부의 걸림요소(240)을 잡아주게 되고 인너가 하강하게 되면 상승에 의하여 내측으로 오무라들었져 있던 홀더의 날개체의 돌부가 필터헤드의 캡부의 내벽의 하단에 형성되는 내입홈테(163)에 내입되어지면서 오무라든 것이 원상으로 복귀되면서 잡아주고 있던 필터카트리지의 걸림요소(240)를 풀어주게 되면서 필터카트리지(200)는 인너(300)에서 분리되어지고 동시에 인너(300)는 홀더의 날개체의 돌부가 내입홈테(163)에 내입되어 걸림되어지면서 하방으로의 빠지지 않게 되면서 필터헤드와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부(343)가 인너(30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내입홈테(163)에 내입되어지게 되면 홀더의 내입부로 필터카트리지(200)의 내입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의 승강시 동시에 승강되어지는 락킹-언락킹부(400)의 작동부(410)를 구성하는 승강판(411)은 승강판(411)에 형성된 끼임돌기(415)와 인너(300)에 형성된 끼임홈(313)의 결합에 의하여 승강판(411)이 승강시 좌우 유동가능하게 되면서 동시에 승강되어질 수 있는 것이고, 인너(300)가 상승된 상태에서의 임의적인 하강을 방지하게 될 수 있는 것이고 동시에 인너(300)와 필터헤드(100)의 이탈방지를 위한 보완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4 및 도5는 필터헤드에 승강되게 장착된 인너가 필터카트리지의 1차 밀어줌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정수유로와 2차 밀어줌으로 필터카트리지가 하강된 상태에서 바이패스유로를 나타내면서 인너(300)를 구성하는 홀더(340)의 분리되어진 다수개의 날개편(342)으로 이루어져 상기 홀더의 날개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카트리지(200)의 선단부(230)가 내입되는 내입부(320)가 형성된 인너(300)가 필터헤드(100)의 내부에 승강되게 장착되어지고, 인너가 필터헤드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임의적인 분리방지와 인너가 필터헤드에서 상승된 상태에서의 정지 그리고 정지상태에서의 하강을 위한 정지상태의 해제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300)와 필터헤드(100)는 인너를 구성하는 홀더의 날개체의 돌부(343)와 내입홈테(163)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고, 인너(300)의 상승된 상태에서의 정지와 정지된 상태에서의 하강을 위한 해제시 작동되는 락킹-언락킹부(400)에 의하여도 연결과 분리방지를 보완하게 되는 것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너(300)는 필터카트리지(200)의 선단부(230)가 내입되어 필터카트리지(200)의 밀어줌에 의하여 상승되어져 정수유로(2)를 구비하게 되거나 하강되어져 바이패스유로(1)를 구비하게 되는 인너본체(330)와 상기 인너본체(330)의 하단에 형성되어 필터카트리지(200)가 상승된 상태에서 필터카트리지(200)를 인너(300)에서 임의대로 분리되지 않토록 내측과 외측으로 작동되면서 잡아주는 분리되어지는 날개편을 포함하는 홀더(340)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날개편을 포함하는 홀더(340)는 필터카트리지(200)가 인너(300)의 내입부(320)로 내입되어지면 필터카트리지(200)의 선단부(230)에 구비된 인입구(210)와 인출구(220)에 장착된 오링(211,221)이 인너본체(330)의 헤드(331)의 내벽에 밀착되면서 선단부(230)의 밀착면(231)이 홀더(340)의 날개편과 밀착되어진 상태에서 필터카트리지(200)를 밀어주어 상승시키면 필터카트리지(200)의 상단턱(232)이 인너의 하단턱(332)에 밀착되면서 필터카트리지(200)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유로(2)가 형성되는 것이고, 동시에 홀더(340)의 날개편이 필터헤드(100)의 내벽(101)을 타고 상승하면서 날개편의 돌부(343)에 의하여 홀더의 날개편이 내측으로 오그라들면서 홀더(340)에 구비된 홀더돌기(341)가 필터카트리지(200)의 걸림요소(240)로 예시한 걸림테(241)에 걸림되면서 필터카트리지(200)를 잡아주게 되고, 동시에 1차 밀어줌에 의하여 상승된 인너는 상기 락킹-언락킹부(400)에 의한 락킹으로 인너가 상승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인너(300)가 필터카트리지(200)의 2차 밀어줌에 의하여 하강하기 전까지는 필터카트리지(200)는 인너(300)를 구성하는 홀더(340)의 날개편에 의하여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홀더가 필터카트리지를 잡아주는 다양한 실시예로는 홀더가 필터카트리지의 선단부의 밀착면을 가압하면서 상승된 상태에서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토록 하거나 이러한 밀착면의 가압을 밀착면(232)에 탄성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홀더(340)에 탄성면을 부여함으로서 홀더가 필터카트리지를 잡아줄 경우에 미끌림을 방지하여 결합력을 증대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동시에 상기 밀착면에 요철면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는 요철면과 맞물림되는 맞물림 요철면을 구비함으로서 미끌림방지를 더욱더 보완하여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력을 증진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는 하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이러한 일 실시 예가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도3과 도6 내지 도9는 인너를 구성하는 홀더가 날개편으로 이루어져 인너의 승강시 날개편이 작동되어 필터카트리리지의 승강에 따라 날개편의 작동상태와 날개편의 작동에 따른 홀더돌기가 필터카트리지의 걸림요소에 걸림되어지거나 풀림되어지면서 확실한 잡아줌과 풀어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300)가 인너본체(330)와 날개편을 포함하는 홀더(340)로 구비됨은 상술한 바와 같고, 상기 홀더(340)의 날개편의 안정적인 작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홀더(340)는 인너본체(330)의 하단으로 등분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2개 이상의 날개편(342)으로 구성하고, 상기 날개편(342)은 그 길이가, 필터카트리지(200)가 인너(300)의 내입부(320)에 내입된 상태에서, 필터카트리지(200)의 선단부(230)에 형성된 걸림요소(240)가 형성되는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이고, 필터카트리지(200)의 상단턱(232)이 인너헤드(330)의 하단턱(332)에 밀착될 경우에 홀더(340)에 형성된 홀더돌기(341)가 필터카트리지(200)의 선단부(230)의 밀착면(231)에 형성된 걸림요소(240)에 걸림되어지는 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홀더돌기(341)는 필터카트리지(200)가 인너(300)의 내입부(320)로 진입되어 1차로 밀어줌에 의하여 상승되기 이전에는 걸림수단(240)에 걸림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상기 홀더돌기(341)가 인너(300)의 상승시 필터카트리지(200)의 걸림수단(240)에 걸림토록 하기 위하여 날개편(342)의 내측에 홀더돌기(341)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대응되는 외측에 돌부(343)를 형성하여 인너(300)가 상승할 경우에만 돌부(343)가 필터헤드(100)의 캡부(160)의 내벽(161)을 타고 상승하면서 홀더돌기(341)가 인너(300)의 내입부(320)의 내측으로 오그라들면서 돌출되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필터카트리지가 상승되기 이전에는 인너의 내입부에 내입된 필터카트리지(200)를 인너(300)의 내입부(320)로 내입이 용이토록 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 필터카트리지를 1차 밀어줌에 의하여만 인너(300)가 상승하면서 인너(300)의 홀더(340)를 구성하는 날개편(342)의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부(343)가 필터헤드(100)의 캡부(160)의 내벽(161)에 의하여 내측으로 오무라들면서 날개편의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홀더돌기(341)가 필터카트리지(200)의 걸림요소(240)에 자연스럽게 내입되면서 필터카트리지(200)를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홀더를 구성하는 날개편(342)의 외측에 형성되는 돌부(343)는 평상시에는 필터헤드(100)의 캡부(160)의 하단에 형성되는 내입홈테(163)에 내입되어지게 되어 작동되지 않게 됨으로 필터카트리지(200)의 선단부(230)의 진입이 용이토록 하는 것이고, 상기 돌부(343)가 필터헤드(100)의 캡부(160)의 하단에 형성되는 내입홈테(163)에 내입되어짐으로서 인너(300)가 필터헤드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지지될 경우에도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는 것이다.
이때 홀더(340)를 구성하는 외측과 내측에 형성되는 돌부(343)와 홀더돌기(341)를 구비하는 날개편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이 이격되게 개구부가 형성되게 2개 이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편(342)을 각각 이격토록 한 상태에서 촘촘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공법에 의하여 홀더를 구성하는 돌부(343)와 홀더돌기(도시생략)를 갖는 일정간격이격되어진 복수의 날개편(도시생략)은 경질로 형성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연질로 인서트 성형함으로서 인너(300)의 상승시 경질로 성형된 각각의 날개편(도시생략)의 돌부(343)에 의하여 경질의 날개편이 인너(300)의 내입부(320)의 내측으로 오무라 들게 되면서 경질의 날개편의 내측에 형성되는 홀더돌기가 필터카트리지(200)의 걸림요소(240)에 걸림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인너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홀더에 날개편이 포함되는 구성의 형태는 하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의 형태가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300)를 인너본체(330)와 날개편을 포함하는 홀더(340)로 구비함에 있어서 홀더(340)의 날개편을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헤드(100)의 캡부(160)의 내벽(161)과 밀착되는 돌부(343)와 필터카트리지(200)의 걸림요소(240)에 걸림되어지는 홀더돌기(341)를 구비하는 날개편(342)으로 형성할 경우에 인너본체(330)와 일체로 사출성형함에 있어서 날개편(342)에 돌부(343)와 홀더돌기(341)를 서로 대응토록 한 상태에서 인너본체(330)와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것에 어려움(돌부와 홀더돌기로 인하여 금형의 형개가 이루어지기 위하여는 슬라이드 금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인너본체(330)의 내입부(320)에서 슬라이드 되기 위한 공간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점)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작동날개편(352)이 구비된 날개체(350)를 성형하여 인너(300)의 홀더(340)를 구성하는 날개편(342a)에 조립토록 함으로서 사출성형은 물론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일 실시 예로는 인너본체(330)의 하단에 형성되는 홀더(340)를 구성하는 날개편(342a)을 외측에만 돌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돌부를 형성치 아니할 수 있는 것이고, 가능하면 내측으로는 홀더돌기를 형성치 않는 것이다.
즉 내측으로 홀더돌기를 형성할 경우에는 인너본체의 구성으로 인하여 금형의 형개가 용이토록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내측으로 홀더돌기를 형성치 아니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고, 상기 날개편(342a)의 사이에는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개구부(344)를 형성토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개구부(344)에 별도로 조립되는 작동날개편이 구비되는 날개체를 조립할 경우에 작동날개편이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어지는 작동날개편의 선단에 외측으로는 돌부(353)가 형성되어야 하고 내측으로는 홀더돌기(351)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날개체(350)는 상단이 개구되어짐으로 작동날개편(352)의 선단의 외측과 내측의 양측으로 돌부(353)와 홀더돌기(351)가 형성된 상태에서도 금형의 형개가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날개체(350)가 조립되는 인너(300)의 홀더(340)를 구성하는 날개편(342a)을 성형할 경우에도 타측으로만 돌부(343)가 돌출형성될 경우에도 금형의 형개가 용이하게 됨으로서 성형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돌부(343)은 반드시 필수구성이 아니라는 점이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날개체(350)가 조립되기 이전의 상태에서의 인너(300)의 일부를 구성하는 홀더(340)의 날개체(342a)의 성형시 금형의 형개가 용이(즉 슬라이드 금형을 사용하게 될 경우에도 날개편(342a)에 형성된 걸림홈(345)이나 인너본체(330)에 형성되는 정수유로홀(311) 또는 바이패스유로홀(312) 등을 형성할 경우에는 공간의 확보가 이루어짐)하게 됨으로서 사출성형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너(300)를 구성하는 날개편(342a)에 날개체(350)가 조립될 경우에는 조립되는 날개체(350)가 인너를 구성하는 인너본체(330)와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날개체(350)를 구성하는 작동날개편(352)의 사이에 별도로 걸림날개편(354)을 형성하여 날개체(350)가 홀더(340)와의 결합시 걸림날개편(354)이 홀더의 날개편(342a)에 형성된 걸림홈(345)에 걸림되어지면서 결합되어 날개체(350)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걸림날개편(354)의 선단에는 걸림후크(354a)가 형성되어 홀더의 날개편(342a)에 형성되는 걸림홈(345)에 걸림되어지면서 날개체(350)가 인너본체(330)의 홀더(340)와의 결합후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게 결합됨으로 사출의 용이성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의 홀더에 날개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필터카트리지(200)의 선단부(230)가 인너(300)에 내입될 경우에 필터카트리지(200)의 선단부(230)의 하단에 형성된 밀착면(231)에 홀더(340)의 긴밀한 밀착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홀더(340)를 구성하는 각각의 날개편(342a)의 타측으로 돌부(343)가 형성될 경우에 상기 돌부(343)가 밀착되는 부분의 필터헤드의 내벽(161)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되게 레일홈(162)을 형성하여 인너(300)의 승강시 날개편(342a)은 작동되지 않게 되면서 날개편(342a)이 필터카트리지(200)의 선단부(230)의 밀착면(231)과 긴밀한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의 레일홈(162)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는 조립되는 날개체(350)의 작동날개편(352)이 인너(300)가 상승될 경우에 작동날개편(352)에 형성된 돌부(353)에 의하여 캡부(160) 내벽(161)과 밀착되면서 홀더돌기(351)가 내입부(320) 측으로 오무라 들게 되면서 내입부(320)에 내입되어 밀착되어진 필터카트리지(200)의 밀착면(231)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요소(240)에 작동날개편(352)의 홀더돌기(351)가 걸림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날개편(352)의 작동원리는 도 10 및 도11에 도시된 홀더의 잡아주는 구성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레일홈(162)에서 승강되는 홀더(340)의 날개편(342a)의 돌부(343)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레일홈(162)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단(162a)에 걸림되어지면서 더 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기능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날개체(350)의 작동날개편(352)이 위치되는 필터헤드(100)의 캡부(160)의 내벽(161)에는 인너가 상승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동날개편(352)의 돌부(353)가 내입되어지도록 단턱홈(164)이 형성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단턱홈(164)은 인너(300)가 상승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카트리지(200)가 인너의 내입부(320)로의 진입을 용이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날개편(352)의 돌부(353)가 필터헤드(100)의 캡부(160)의 내입홈테(163)에 위치할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발생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너와 필터헤드의 결합후 임의적인 분리방지를 위하여 홀더를 구성하는 날개편(342a)의 돌부(343)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입홈테(163)에 내입되어짐으로서 인너가 필터헤드와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입홈테(163)와 돌부의 형상이 내입홈테(163)의 하단이나 돌부의 하단이 내벽과 직각으로 이루어짐으로서 하방으로의 빠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내입홈테에서 빠져나감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각각 경사면을 형성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12 내지 도16과 도17 및 도18은 인너에 필터카트리지가 내입되어 지면서 인너의 홀더에 의하여 필터카트리지의 잡아주는 과정에서 락킹-언락킹의 작동개시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필터카트리지(200)가 인너(300)의 내입부(320)에 내입되어지면서 필터카트리지(200)를 1차 밀어줌을 개시하기 이전에는 인너의 홀더를 구성하는 날개편의 홀더돌기가 필터카트리지의 걸림요소에 위치되어지고 필터카트리지의 밀어줌이 개시되면 인너가 상승되면서 인너의 홀더를 구성하는 날개편의 돌부가 필터헤드의 캡부의 내벽과 밀착되면서 날개편이 내측으로 오무라들게 되어 홀더돌기가 필터카트리지의 걸림요소에 걸림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밀어줌이 개시되면 락킹-언락킹부(400)가 작동되어지면서 필터카트리지(200)는 인너(300)에서 임의적인 분리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상승된 인너(300)는 재차 밀어줌이 없는 이상 하강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19 내지 도26은 락킹-언락킹부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락킹-언락킹부(400)는 작동부(410)와 작동유도부(420)로 구분되고, 상기 작동부(410)는 인너(300)에 장착되고, 작동유도부(420)는 필터헤드(100)에 장착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락킹-언락킹부(400)는 인너가 상승된 상태에서의 정지상태유지와 정지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다시 가압에 의하여 정지가 해제되면서 하강하게 되는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예시되는 구조는 하나의 특정된 일 실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예시된 구성은 제작의 용이성과 작동의 반복정확성을 구현함은 물론 구조의 간단함으로 고장의 원인을 해소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인너(300)에 장착된 작동부(410)는 인너(300)가 승강할 경우에 동시에 승강되어지는 것이고, 정확한 승강유도를 위하여 승강판(411)이 구비되고, 승강판(411)에는 작동유도부(420)에 구비된 승강홈(421)에서 승강되어지는 승강유도돌기(412)와 승강판(411)이 상승된 상태에서의 정지를 위한 정지돌기(413)가 승강유도돌기(412)의 직상부에 위치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승강판(411)이 필터카트리지의 반복적인 밀어줌에 의하여 인너가 승강되면서 1차 밀어줌에 의하여 인너가 상승하면 동시에 승강판(411)이 상승하면서 정지돌기(413)가 상승된 상태에서의 정지와 정지된 상태에서의 2차 밀어줌에 의한 하강이 반복되도록 유도하는 탄성대(414)가 동시에 승강판(411)과 승강되면서 정지돌기(413)를 작동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대(414)는 승강판(41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측으로 굴곡(a)지면서 하측으로 하향되는 형상(b)으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보유하게 되는 것이고, 그 선단에는 탄성대유도홈(422)에서 작동되는 선단돌기(414a)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410)의 승강판(411)과 탄성대(414)가 승강될 경우에 승강을 유도하는 작동유도부(420)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필터헤드(100)에 장착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판(411)의 승강유도돌기(412)가 승강토록 하기 위한 승강홈(421)이 구비되고, 승강홈(421)의 일측으로는 승강판(411)과 동시에 승강되어지는 탄성대(414)가 승강될 수 있도록 탄성대유도홈(4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홈(421)의 직상부로는 인너(300)가 상승되어 승강판(411)의 정지돌기(413)가 상승될 경우에 정지돌기(413)가 정해진 일방향으로만 상승하도록 상승라인(423)이 형성되고, 상기 상승라인(423)을 따라 상승한 정지돌기(413)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지홈(4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지홈(424)의 일측으로는 상승되어 정지된 상태에서 하강토록 하기 위하여 인너(300)를 2차로 밀어줄 경우에 정지돌기(413)가 정지홈(424)에서 이탈되어 원위치토록 하기 위한 하강라인(4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판(411)의 일측에 장착되어 동시에 승강되어지는 탄성대(414)는 승강판(411)이 상승할 경우에 정지돌기(413)가 상승라인(423)을 따라 상승할 경우에 상측으로 굴곡(a)지면서 하측으로 하향되는 형상(b)으로 이루어져 상승될 경우에 상승라인으로따라 이동하면서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탄성대는 가압되어지고 가압된 상태에서 정지돌기(413)가 정지홈(424)을 형성하는 날개(424a)의 밑면과 밀착되면서 상승을 계속하다가 상기 날개(424a)의 이면 상단을 벗어날 경우에는 탄성대(414)의 가압되어 있는 가압력에 의하여 정지홈에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탄성력에 의하여 또는 밀어줌이 강할 경우에 정지돌기가 정지홈을 벗어나 하강라인(425)으로 바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고자 정지홈(424)의 상측으로는 넘어감 방지돌기(427)를 하향되게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하향돌출되어지는 넘어감방지돌기(427)에 부딪히게 되면서 정지돌기(413)는 정지홈(424)으로 낙하되어져 정지가 정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넘어감방지돌기(427)의 돌출된 선단과 상승라인(423)을 형성하는 정지홈(424)을 형성하는 날개(424a)의 간격의 갭은 승강판(411)에 형성된 정지돌기(413)의 굵기보다 작게 형성토록 함으로서 넘어감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넘어감방지돌기가 없을 경우에도 정지홈을 형성하는 또 다른 날개(424b)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높게 형성할 경우에도 넘어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필터카트리지(200)를 2차로 밀어주면 인너(300)가 스프링(130)을 가압하면서 좀더 상승하면 정지돌기(413)가 탄성대(414)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이기 때문에 정지홈(42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승라인(423)으로 넘어오지 못하고 바로 하강라인(425)으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하강라인(425)을 형성하는 정지홈(424)의 또 다른 날개(424b)는 그 각도가 상승라인(243)의 날개(424a)가 벌어진 각도보다 직립된 각도를 크게 형성함으로서 정지홈(424)에서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벗어남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넘어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지홈(424)의 또 다른 날개(424b)는 그 높이를 정지홈의 상승라인에 형성되는 날개(424a)의 선단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서 하강라인으로 바로 넘어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2차 밀어줌이 발생되면 인너를 탄성작동하는 스프링이 가압되면서 정지홈(424)에 정지되어 있던 정지돌기(413)는 상승하면서 탄성대(4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정지홈(424)에서 하강라인(425)으로 바로 벗어나게 되면서 하강라인(425)을 타게 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 정지돌기(413)는 하강한 상태에서 유동방지를 위하여 대기홈(428)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탄성대(414)가 탄성대유도홈(422)에서 승강될 경우에 탄성대(414)의 선단에 형성된 선단돌기(414a)가 가압이 유지되도록 하단에서 상단으로 가면서 곡면라인(422a)이 형성되고, 상기 곡면라인(422a)을 타고 탄성대의 선단돌기(414a)가 이동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필터카트리지(200)의 탈착을 위하여 필터카트리지(200)를 반복적인 밀어줌에 의하여 인너(300)가 상승될 경우에는 인너(300)는 락킹-언락킹부(400)에 의하여 상승된 상태에서 정지되고, 정지상태에서는 필터카트리지(200)가 상승된 상태이기 때문에 인너(300)에 형성되는 도6의 날개편(342)과 도8의 작동날개편(352)에 형성된 홀더돌기(341,351)가 필터카트리지(200)에 형성된 걸림수단(240)에 걸림되어지면서 필터카트리지(200)가 필터헤드(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정수라인(1)이 연결되어져 정수가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다시 가압을 하면 인너(300)가 약간 상승되었다가 하강하면서 락킹-안락킹부(400)의 정지돌기(413)가 정지홈(424)에서 이탈되면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강될 경우에는 인너(300)에 형성된 홀더(340)를 구성하는 날개편(342) 또는 작동날개편(352)이 하강하면서 필터헤드(100)의 내입홈테(241)나 단턱홈(164) 또는 하단테두리에 위치되면서 상승시 필터헤드(100)의 캡부(160)의 내벽(161)에 의하여 가압된 것이 해제되면서 필터카트리지(200)의 걸림요소(240)에 걸림되어지는 홀더돌기(341,351)가 원위치되면서 필터카트리지(200)가 필터헤드(100)에서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에는 인너(300)가 하강하면서 정수유로(1)에서 바이패스유로(2)로 전환되어지면서 누수가 방지되는 것이다.
100:필터헤드
200:필터카트리지
300:인너
400:락킹-언락킹부
1:정수유로
2:바이패스유로

Claims (19)

  1. 인렛과 아웃렛이 구비되는 필터헤드와 상기 필터헤드의 내부에서 탄성수단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인너와 상기 인너가 상승된 상태에서의 정지와 정지된 상태에서의 하강을 단속하기 위한 락킹-언락킹부에 의하여 인너가 승하강되면서 필터카트리지를 탈착토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필터헤드의 내부에서 승하강되는 인너는 직선으로 만 승강되면서 필터카트리지를 탈착토록 하고, 동시에 하강시에도 필터헤드에서 임의적인 분리가 발생되지 않게 되기 위하여
    인너를 인너본체와 날개편이 포함되는 홀더로 형성하고, 상기 인너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홀더에는 인너의 승하강시 외측과 내측으로 작동되는 각각 이격되어지는 복수의 날개편과
    상기 날개편은 인너가 상승할 경우에 필터헤드의 내벽과 밀착되어지면서 내측으로 오무라들도록 작동을 유도하는 돌부와
    그 반대편에는 필터카트리지를 잡아주기 위한 홀더돌기(341)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편의 돌부가 인너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필터카트리지를 잡아주고 있는 홀더돌기(341)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인너가 필터헤드에서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헤드에는 인너가 하강된 상태에서의 돌부가 위치되는 부분에 내입홈테(163)가 구비되어 내입홈테에 돌부가 내입되면서 걸림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가 상승시 내측으로 오무라 들면서 작동되는 날개편의 홀더돌기와 견고한 걸림을 위하여 필터카트리지가 상승된 상태에서의 홀더돌기가 위치되는 부위에 맞물림요소로 걸림테(241)가 인출구와 인입구가 동축상에 구비되는 선단부의 하단에 구비되어지는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이격된 복수의 날개편을 포함하는 홀더의 날개편의 외측과 내측에 형성되는 돌부와 홀더돌기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8. 인렛과 아웃렛이 구비되는 필터헤드와 상기 필터헤드의 내부에서 탄성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는 인너와 상기 인너의 상승된 상태에서의 정지와 정지된 상태에서의 하강을 단속하기 위한 락킹-언락킹부에 의하여 인너가 승하강되면서 필터카트리지를 탈착토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필터헤드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인너는 직선으로 만 승하강되면서 필터카트리지를 탈착토록 하고, 동시에 하강시에도 필터헤드에서 임의적인 분리가 발생되지 않게 되면서 사출성형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인너가 직하방으로 수직으로 만 승하강시 필터카트리지를 탈착토록 하기 위하여 2개 이상으로 이격된 날개편을 갖는 홀더를 구비되는 인너본체와
    상기 홀더의 날개편에 날개체(350)가 조립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날개체는 상기 홀더의 날개편과 결합되는 걸림날개편과 인너본체의 날개편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위치되어지는 작동날개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날개편에는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인너본체의 날개편의 걸림홈에 맞물림결합되고,
    상기 작동날개편에는 외측으로는 필터헤드의 내벽과 밀착되어 상승시 오무라들게 하기 위한 돌부(353)가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는 필터카트리지의 맞물림요소로 사용되는 걸림테(241)에 걸림되어지게 걸림수단(351)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날개편의 돌부가 인너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필터카트리지를 잡아주고 있는 걸림수단(351)의 작동을 해제하면서 인너가 필터헤드에서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헤드에는 인너가 하강된 상태에서의 돌부가 위치되는 부분에 내입홈테(163)가 구비되어 내입홈테에 돌부가 내입되면서 걸림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를 구성하는 날개편에는 외측으로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부가 승강되어지는 필터헤드의 내벽에는 레일홈(162)이 형성되어 홀더의 날개편은 작동되지 않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가 필터헤드에 결합시 특별한 방향성이 없도록 필터카트리지의 선단부의 밀착면의 하단에 형성되는 맞물림을 위한 요소는 걸림테로 형성되는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언락킹부는 필터헤드에 장착되는 작동유도부와 인너에 장착되는 작동부로 구분되고,
    상기 작동부는 승강체로 이루어져 일측에 형성된 끼임돌기로 인너에 형성된 끼임홈에 결합하고, 승강체의 상측으로는 정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부와 맞물리는 작동유도부는 작동부의 정지돌기가 순회할 수 있도록 상승라인과 하강라인을 구비하고, 그 중앙에는 정지홈을 구비토록 하는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18. (신설)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300)의 용이한 조립을 위하여 필터헤드(100)가 등분된 상태에서 조립되어지고, 그 내부에 인너(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맞물려 결합수단(170)에 의하여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19. (신설)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홈테(163)와 돌부의 형상이 내입홈테(163)의 하단이나 돌부의 하단이 내벽과 직각으로 이루어짐으로서 하방으로의 빠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내입홈테에서 빠져나감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각각 경사면을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KR1020150036197A 2015-03-16 2015-03-16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KR10159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197A KR101590849B1 (ko) 2015-03-16 2015-03-16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CN201610149590.3A CN105999796B (zh) 2015-03-16 2016-03-16 水净化过滤器的组件
EP16000634.2A EP3069771B1 (en) 2015-03-16 2016-03-16 Filter cartridge assembly
US15/072,030 US9993757B2 (en) 2015-03-16 2016-03-16 Filter cartridg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197A KR101590849B1 (ko) 2015-03-16 2015-03-16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849B1 true KR101590849B1 (ko) 2016-02-02

Family

ID=5535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197A KR101590849B1 (ko) 2015-03-16 2015-03-16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93757B2 (ko)
EP (1) EP3069771B1 (ko)
KR (1) KR101590849B1 (ko)
CN (1) CN10599979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412A (ko) * 2018-04-20 2019-10-30 조경희 필터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농업용 여과기
JP2020055003A (ja) * 2018-01-10 2020-04-09 株式会社寿通商 浄水機能付き吐水ヘッド、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水栓装置
CN113663434A (zh) * 2021-09-13 2021-11-19 刘月忠 一种自动更换滤芯的呼吸机
US11471802B2 (en) 2019-04-11 2022-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assembly for water purif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332092S (en) * 1991-03-11 1992-12-29 Kun-Nan Lo Monitor
KR101570193B1 (ko) * 2015-03-16 2015-11-18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반복밀어줌에 의하여 승강되는 승강체의 정방향의 상승을 유도하는 락킹-언락킹구조체
KR101572918B1 (ko) * 2015-03-16 2015-12-01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필터 어셈블리
KR101570188B1 (ko) * 2015-03-16 2015-11-19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반복적인 밀어줌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승강체를 상승된 상태에서의 정지와 정지 상태의 해제를 위한 락킹-언락킹구조체
US10525387B2 (en) 2017-04-06 2020-01-07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cartridge
CN107081004B (zh) * 2017-06-15 2019-05-24 李群 一种便于拆卸的可调节自来水净化设备
US10584040B2 (en) 2017-10-06 2020-03-10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cartridge
USD892265S1 (en) * 2018-10-30 2020-08-04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Filter unit
USD891577S1 (en) * 2018-10-30 2020-07-28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Filter unit
BR112021009599A2 (pt) 2018-11-21 2021-08-10 Donaldson Company, Inc. montagens; componentes e recursos de filtro dos mesmos; e métodos de uso e montagem
CN111346422A (zh) * 2018-12-20 2020-06-30 尹虎声 净水器用滤筒的连接结构
US20200197846A1 (en) * 2018-12-21 2020-06-25 Ho Sung Yoon Filter cartridge connecting structure for water purifier
KR102231895B1 (ko) * 2019-05-03 2021-03-26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유량 가변형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여 경도성 물질의 제거율 조절이 가능한 필터 어셈블리
CN112551603B (zh) * 2019-09-26 2022-11-04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旋钮锁芯式净水机
USD947319S1 (en) * 2020-03-10 2022-03-29 Xiaoping Huang Filter element
USD987772S1 (en) 2020-07-02 2023-05-30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WO2022229927A1 (en) 2021-04-30 2022-11-03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assembly
US11872510B2 (en) 2021-07-01 2024-01-16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D1019884S1 (en) 2021-08-03 2024-03-26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USD1016970S1 (en) 2021-09-03 2024-03-05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Water filter
CN115518444A (zh) * 2022-11-09 2022-12-27 厦门卫标洁具有限公司 一种滤芯快装机构
WO2024102914A1 (en) 2022-11-09 2024-05-1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usable water filter cartridge
WO2024102918A1 (en) 2022-11-09 2024-05-1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Cartridge and method for cleaning water lines of an appli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965B1 (ko) * 2014-04-30 2015-01-06 주식회사 엠씨엠 필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515B2 (ja) * 1995-01-06 2001-08-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ッシュロックスイッチ
CN101267869B (zh) * 2005-07-20 2012-07-04 3M创新有限公司 流体过滤系统
DE102008002727B4 (de) 2008-06-27 2020-12-17 Brita Gmbh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Wasser, insbesondere Filtervorrichtung, und Kartusche
KR100873665B1 (ko) 2008-07-30 2008-12-12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필터용 커넥터
US8137551B1 (en) 2008-08-08 2012-03-20 Kx Technologies, Llc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KR101311654B1 (ko) * 2011-11-02 2013-09-25 정휘동 유로전환 기능을 갖는 필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965B1 (ko) * 2014-04-30 2015-01-06 주식회사 엠씨엠 필터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55003A (ja) * 2018-01-10 2020-04-09 株式会社寿通商 浄水機能付き吐水ヘッド、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水栓装置
KR20190122412A (ko) * 2018-04-20 2019-10-30 조경희 필터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농업용 여과기
KR102114545B1 (ko) 2018-04-20 2020-05-22 조경희 필터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농업용 여과기
US11471802B2 (en) 2019-04-11 2022-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assembly for water purifier
CN113663434A (zh) * 2021-09-13 2021-11-19 刘月忠 一种自动更换滤芯的呼吸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9771B1 (en) 2021-09-29
CN105999796B (zh) 2019-02-15
US20160271536A1 (en) 2016-09-22
CN105999796A (zh) 2016-10-12
EP3069771A1 (en) 2016-09-21
US9993757B2 (en)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849B1 (ko) 필터카트리지의 조립체
EP2988845B1 (en) Liquid filtration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JP2625188B2 (ja) 圧力又は真空流体装置用のカップリング
KR101127426B1 (ko) 정수용 필터 장치
KR101572918B1 (ko) 필터 어셈블리
US7387725B2 (en) One-touch fitting type single or multiple adapter, filter assembly detachably engaged with the same and water purifying system employing these elements
EP3083000B1 (en) A filter group
KR100637044B1 (ko) 원터치 착탈식 단일 및 멀티 어댑터, 이에 착탈되는 필터조립체 및 이들 요소를 채용한 정수 시스템
US20090038690A1 (en) Solenoid mounting arrangement for liquid dispensing valve
KR101957684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JP2010180964A (ja) 真空吸着具
EP3636332A1 (en) Key structure for installing a filter cartridge on a cylinder and related filter device
CN112206557B (zh) 滤芯装置及净水机
CN109621534B (zh) 一种滤芯组件和安装座的装配结构
CN201303909Y (zh) 一种由使用状态控制的盖板快装机构
CN209752356U (zh) 一种滤芯组件及净水机
KR101828430B1 (ko) 냉온수기용 온수안전 코크
CN114940529A (zh) 软水设备
KR200449921Y1 (ko) 진공 흡착구
CN202263480U (zh) 过滤器滤芯的安装固定结构
JP3624157B2 (ja) 浄水器の取付装置
KR101514049B1 (ko) 주입구를 구비한 주조용 래들
KR102134118B1 (ko) 카트리지 교체형 샤워기
CN211547933U (zh) 一种进水阀的过滤组件的拆装结构
CN220133038U (zh) 喷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