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312B1 -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312B1
KR101590312B1 KR1020140168721A KR20140168721A KR101590312B1 KR 101590312 B1 KR101590312 B1 KR 101590312B1 KR 1020140168721 A KR1020140168721 A KR 1020140168721A KR 20140168721 A KR20140168721 A KR 20140168721A KR 101590312 B1 KR101590312 B1 KR 10159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switch
heat
rotary dial
mode
thermoelectr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영
Original Assignee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8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온 보온용기 내부의 내부용기 하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펠티어(PELTIER)소자) 하부측으로 캡 형태의 다이얼을 설치하여 다이얼의 좌우 회전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는 물론, 가열온도 또는 냉각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Description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Rotary switch for hot and cold insulation container using a thermo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 보온용기 내부의 내부용기 하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펠티어(PELTIER)소자) 하부측으로 캡 형태의 다이얼을 설치하여 다이얼의 좌우 회전에 따라 온(On) t상대인 가열이나 냉각 및 오프(Off)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나 냉수 등을 보온 및 보냉하여 저장하는 보온병은 액상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중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보온병은 통상 진공의 이중벽으로 이루어지는 내·외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별도의 유출구가 형성된 마개 및 보온병의 유출구를 커버하는 캡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보온병은 내부용기의 입구를 막는 마개 내에 형성되는 유출구는 버튼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 예로, 일본국 실용신안공고번호 평2-20976호 및 평2-43327호를 들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대부분의 보온병은 보온 및 보냉 기능만이 가능한 구조가 전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보온병은 뜨거운 물이나 차가운 물을 내부용기에 충진한 다음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미지근한 물로 변하게 되는 것을 흔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온병을 통해서는 장시간 동안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가격이나 부피 및 중량 대비 그 효용성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장시간의 산행이나 트래킹 등에서는 사실상 보온병의 필요성을 느낄 수가 없게 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온병은 동절기나 하절기에는 내부용기와 외기의 온도차 심해 충진된 뜨거운 물이나 차거운 물은 보다 빠르게 발열되거나 흡열이 이루어져 미진근한 물로 변하는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물의 필요시 원하는 상의 물을 마실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어린이를 동반한 부모들의 경우에는 분유를 먹이기 위하여 혹은 어린이 음료용으로 식수나 음료수를 휴대하여야 할 필요성이 많은데, 하절기와 같이 무더운 날에는 갈증을 해소하고 더위를 식히기 위하여 집이나 상점에 설치되어 있는 냉·온장고에서 얼린 물이나 음료수를 휴대하나 이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휴대한 냉수가 더워지기 때문에 갈증이나 더위를 만족스럽게 해소시켜 주지 못한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보온병은 냉수와 온수를 휴대함에 있어 보온병을 자주 개방하였을 시에는 냉수와 온수가 대기 중에 노출되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냉·온수가 상온(常溫)으로 변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보온병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열전소자(펠티어소자)의 흡열 또는 발열 기능을 통해 내부용기에 충진된 물을 일정온도로 냉각하거나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는 야외에서 원하는 상으로 냉각된 시원한 물이나 가열된 따뜻한 물을 마실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의 온/오프 스위치는 전원의 온/오프만을 제어할 뿐 냉각온도나 가열온도는 조절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어 냉각온도 또는 가열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온/오프 스위치와는 별도로 온도조절수단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미국 공개실용실안 제2011-0004075호(2011.04.27.자 공개)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69353호(2001.07.25.자 공개)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19148호(2013.02.26.자 공개)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43338호(2013.12.31. 공개) 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4270호(2000.02.15. 공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온 보온용기 내부의 내부용기 하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펠티어(PELTIER)소자) 하부측으로 캡 형태의 다이얼을 설치하여 다이얼의 좌우 회전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는 물론, 가열온도 또는 냉각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냉온 보온용기 내부의 내부용기 하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펠티어(PELTIER)소자) 하부측으로 캡 형태의 다이얼을 설치하여 다이얼의 좌우 회전에 따른 전원의 온/오프와 온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의 온/오프와 온도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는 외부용기 내부의 내부용기 하부면 상에 설치되어 발열 또는 흡열을 통해 내부용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전소자, 외부용기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통기캡,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전환시켜 발열 또는 흡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변환수단 및 열전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에 있어서, 통기캡의 하부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원의 온/오프와 온도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의 좌우 회전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측으로 전원을 온/오프시켜 열전소자에 의한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온조절회로; 및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의 죄우 회전에 따른 온(On)모드인 가열모드와 냉각모드 및 오프(Off)모드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다른 구성에서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는 상부가 개방된 설치공간과 중심부 상에 구속홈이 형성되어 회전축을 통해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부싱이 구성되어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다른 구성에서 냉온조절회로는 통기캡과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의 중심부 사이에 설치 고정되는 회로기판의 중심부 상에 구성되어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의 좌우 회전에 따라 좌우 회전이 이루어져 가열이나 냉각을 위한 전원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이 구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냉온 보온용기 내부의 내부용기 하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펠티어(PELTIER)소자) 하부측으로 캡 형태의 다이얼을 설치하여 다이얼의 좌우 회전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와 함께 냉각온도 또는 가열온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의 온/오프와 온도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외부 구조를 보인 정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외부 구조를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용기(10), 외부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료의 충진이 이루어지는 내부용기(20), 내부용기(20)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마개(30) 및 외부용기(10)의 상단을 커버하는 캡(40)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채택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내부용기(20)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용기(10) 내부의 내부용기(20) 하부면 상에 설치되어 발열 또는 흡열을 통해 내부용기(20)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전소자(110), 외부용기(10)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다수의 통기공(124)이 형성된 통기캡(120), 열전소자(1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전환시켜 발열 또는 흡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변환수단(130) 및 열전소자(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100)의 구성에서 전원의 온/오프(On/Off)와 온도 조절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 구조를 적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원의 온/오프(On/Off)와 온도 조절을 하기 위한 구성은 통기캡(120)의 하부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원의 온/오프와 온도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좌우 회전에 따라 가열 또는 냉각측으로 전원을 온/오프시켜 열전소자(110)에 의한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온조절회로(160) 및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죄우 회전에 따른 온(On)모드인 가열모드(174)와 냉각모드(176) 및 오프(Off)모드(172)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수단(17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 장치는 냉온 보온용기(100)의 최하부에 구성되는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를 중심의 오프모드(172)로부터 좌회전시키면 가열모드(174)의 온(On) 상태가 되고, 중심의 오프모드(172)로부터 우회전시키게 되면 냉각모드(176)의 온(On) 상태가 된다. 즉,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지침이 오프모드(172)에 있으면 냉온 보온용기(100)의 전원은 오프(Off) 상태이고,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지침이 가열모드(174)나 냉각모드(176)에 있게 되면 냉온 보온용기(100)의 전원은 온(On) 상태가 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표시수단(170)의 온(On) 상태인 가열모드(174)와 냉각모드(176)는 도 2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 단위로 표시되어 있어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를 좌우 회전시켜 가열모드(174) 또는 냉각모드(176) 상태에서 가열온도나 냉각온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좌우 회전에 따라 전원이 온(On)되어 가열모드(174) 또는 냉각모드(176)가 이루어지게 되면 열전소자(110)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을 통한 가열 또는 흡열을 통한 냉각이 이루어져 내부용기에 충진된 물을 가열시키거나 냉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100)의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110)는 발열 또는 흡열을 통해 내부용기(20)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음료를 온수 또는 냉수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열전소자(110)는 도 1,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기(20) 하부면 상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전원의 인가에 의해 발열 또는 흡열을 통해 내부용기(20)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열전소자(110)는 얇은 판형으로 양면이 각각 흡열/발열부로 기능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펠티어소자(PELTIER)라고도 한다. 이러한 열전소자(110)는 전압이 인가되면 흡열부는 주변의 열을 흡수해서 실온 이하로(보통 영하로) 떨어지는 반면에 흡열부의 열+손실된 전기에너지는 모두 발열부에서 발산되고 보통 섭씨 백도 이상으로 치솟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열전소자(110)의 작동원리는 온도차 발전의 반대라고 생각하면 쉽다. N형/P형 반도체를 접합해서 전기를 인가할 때 자유전자가 정공으로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P형 반도체의 자유전자가 N형 반도체의 정공으로 이동할 때 조금씩의 열만 품고 있더라도 P형 반도체는 많은 열에너지를 잃게 되고, N형 반도체는 반대로 많은 열을 받게 되는 것이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은 열전소자(110) 자체의 발열을 해결하지 못할 경우 흡열부/발열부를 막론하고 뜨거워지기 시작한다. 비유하자면 두 개의 방이 있고 한 방에서 물을 다른 방으로 퍼내는 펌프와 같은데, 아무리 펌프의 성능이 좋아도 물의 총량이 늘어나면 두 방의 수위가 다같이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술한 열전소자(110)의 흡열부가 제대로 된 냉각성능을 보이려면 발열부의 열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열부의 열만 해소된다면 열전소자(110)는 전자제품의 온도 제어에 요긴하게 쓰일 수 있는 재료이다. 요즘은 수냉식이라고 하면 순수하게 물을 이용한 방식이지만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수냉식 쿨러는 열전소자(110)로 CPU를 식히고 물은 열전소자(110)의 발열부를 식히는 용도였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열전소자(110)에 인가되는 전압은 정전압 또는 역전압의 인가를 통해 열전소자(110)의 일면이 발열과 흡열이 이루어져 내부용기(20)를 통해 충진된 음료나 물을 고온이나 저온으로 가열 또는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서 열전소자(110)의 냉각온도는 영상 4∼10℃의 범위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열전소자(110)의 가열온도는 영상 60∼95℃의 범위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통기캡(120)은 열전소자(110)의 발열 또는 흡열시 발생하는 열을 외기로 통기시켜 원활한 가열과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통기캡(120)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용기(10)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122)과 내부공간(122)의 열을 외기로 통기시키는 다수의 통기공(124)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통기캡(120)의 상단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단 내주면 상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외부용기(10)의 하부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통기캡(120)을 외부용기(10)의 하부면에 결합시 내부공간(122)에 설치된 방열핀(182)의 상부면은 내부용기(20) 하부면 상에 밀착 설치된 열전소자(11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통기캡(120)은 전원의 인가에 의해 발열 또는 흡열이 이루어져 내부용기(20)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은 통기캡(120)의 내부공간(122)과 내외로 다수 관통 형성된 통기공(124)을 통해 외기로 발산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전원변환수단(130)은 전압의 방향을 조절하여 열전소자(110)의 발열 또는 흡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원변환수단(130)은 도 1,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좌우 회전에 따라 열전소자(110)에 인가되는 전압의 방향을 조절하여 열전소자(110)의 발열 또는 흡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전원변환수단(130)은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좌우 회전에 따른 신호에 의해 열전소자(110)의 발열 또는 흡열측에 전압을 인가하여 내부용기(20)의 가열 또는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원변환회로(132) 및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좌우 회전에 따른 신호에 의해 전원변환회로(132)를 제어하는 제어회로(134)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원변환수단(130)은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좌우 회전시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좌우 회전에 따른 검출신호를 통해 제어회로(134)는 전원변환회로(132)를 제어하여 열전소자(110)의 발열 또는 흡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회로(134)를 통해 디스플레이(190)에는 오프모드(172) 또는 가열모드(174)나 냉각모드(176)를 표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터리(140)는 보온용기(100) 전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배터리(140)는 도 1,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배터리(140)는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설치공간(152) 내부면 상에 설치된다. 이때, 이러한 배터리(140)는 1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용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는 좌우 회전을 통해 전원을 온/오프(On/Off)시켜 내부용기(20)에 충진된 물의 가열 또는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캡(120)의 하부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설치공간(152)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는 통기캡(120) 하부를 커버하되 좌우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설치공간(152)과 중심부 상에 구속홈(154)이 형성되어 회전축(156)을 통해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회전축(156)의 외주면에는 부싱(158)이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는 회전축(156)을 통해 통기캡(120) 하부 중심에 고정됨으로써 좌우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는 좌우로 무한정 회전되는 구조가 아닌 좌우의 가열모드(174)와 냉각모드(176)의 범위에서만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냉온조절회로(160)는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좌우 회전에 따라 가열모드(174)나 냉각모드(176) 또는 오프모드(172)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냉온조절회로(160)는 도 1,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캡(120)과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 중심의 사이에 설치 고정되어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좌우 회전에 따라 가열이나 냉각 또는 오프(Off)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냉온조절회로(160)는 통기캡(120)과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중심부 사이에 설치 고정되는 회로기판(162) 및 회로기판(162)의 중심부 상에 구성되어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을 구성하는 구속홈(154) 상에 삽입 구속되어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좌우 회전에 따라 좌우 회전이 이루어져 가열이나 냉각을 위한 전원의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16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냉온조절회로(160)를 구성하는 다이얼(164)은 통기캡(120)의 하부로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구속홈(134) 상에 삽입 구속되기 때문에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면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 역시 좌우 회전이 이루어져 전원의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태표시수단(170)은 전원의 온/오프(On/Off)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상태표시수단(170)은 도 1, 도 2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죄우 회전에 따른 온(On)모드인 가열모드(174)와 냉각모드(176) 및 오프(Off)모드(172)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태표시수단(170)은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를 중심의 오프모드(172)로부터 좌회전시키면 가열모드(174)의 온(On) 상태가 되고, 중심의 오프모드(172)로부터 우회전시키게 되면 냉각모드(176)의 온(On) 상태가 된다. 즉,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지침이 오프모드(172)에 있으면 냉온 보온용기(100)의 전원은 오프(Off) 상태이고,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의 지침이 가열모드(174)나 냉각모드(176)에 있게 되면 냉온 보온용기(100)의 전원은 온(On) 상태가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는 열전소자(110)에 의한 가열 또는 냉각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수단(180)이 구성된다. 이러한 방열수단(180)은 통기캡(120) 내부의 열을 보다 용이하게 통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방열수단(180)은 도 1,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110)의 발열 또는 흡열시 발생되는 열을 외기로 통기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방열수단(180)은 통기캡(120)의 내부공간(122) 상부에 설치되어 열전소자(110)의 발열 또는 흡열시 열을 내부공간(122)으로 발산하는 방열핀(182) 및 방열핀(182)의 하부에 설치 구성되어 전원의 인가에 의해 구동되어지되 내부공간(122)의 열을 통기공(124)을 통해 외기로 발산하는 방열팬(18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방열수단(180)은 전원의 인가에 의해 열전소자(110)의 발열 또는 흡열이 이루어지면 발생되는 열은 방열핀(182)으로 전달되어 통기캡(120)의 내부공간(122)으로 발산되어진다. 이때, 방열핀(182)을 경유하여 통기캡(120)의 내부공간(122)으로 발산된 열은 방열팬(184)의 구동에 의해 통기캡(120)의 통기공(124)을 외기로 발산되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방열수단(180)을 구성하는 방열핀(182)과 방열팬(184)은 열전소자(110)의 발열 또는 흡열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통기캡(120)의 내부공간(122)으로 발산된 열을 외기로 효과적으로 발산시킴으로써 열전소자(110)의 흡열부가 제대로 된 냉각성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미성명 부호 190은 통기캡(120)의 일측에 구성되어 가열 상태나 냉각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90)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냉온 보온용기(100) 내부의 내부용기(20) 하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110) 하부측으로 캡 형태의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150)를 설치하여 좌우 회전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는 물론, 가열온도 또는 냉각온도를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 외부용기 20. 내부용기
30. 마개 40. 캡
100. 냉온 보온용기 110. 열전소자
120. 통기캡 122. 내부공간
124. 통기공 130. 전원변환수단
132. 전원변환회로 134. 제어회로
140. 배터리 150.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
152. 설치공간 154. 구속홈
156. 회전축 158. 부싱
160. 냉온조절회로 162. 회로기판
164. 다이얼 170. 상태표시수단
172. 오프모드 174. 가열모드
176. 냉각모드 180. 방열수단
182. 방열핀 184. 방열팬
190. 디스플레이

Claims (3)

  1. 외부용기 내부의 내부용기 하부면 상에 설치되어 발열 또는 흡열을 통해 상기 내부용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전소자, 상기 외부용기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통기캡,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전환시켜 발열 또는 흡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변환수단 및 상기 열전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에 있어서,
    상기 통기캡의 하부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원의 온오프와 온도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
    상기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의 좌우 회전에 따라 가열 또는 냉각측으로 전원을 온오프시켜 상기 열전소자에 의한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온조절회로; 및
    상기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의 죄우 회전에 따른 온(On)모드인 가열모드와 냉각모드 및 오프(Off)모드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는 상부가 개방된 설치공간과 중심부 상에 구속홈이 형성되어 회전축을 통해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부싱이 구성되어 상기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조절회로는 상기 통기캡과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의 중심부 사이에 설치 고정되는 회로기판의 중심부 상에 구성되어 상기 회전식 다이얼 스위치의 좌우 회전에 따라 좌우 회전이 이루어져 가열이나 냉각을 위한 전원의 온오프(On Off)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이 구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KR1020140168721A 2014-11-28 2014-11-28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KR101590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721A KR101590312B1 (ko) 2014-11-28 2014-11-28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721A KR101590312B1 (ko) 2014-11-28 2014-11-28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312B1 true KR101590312B1 (ko) 2016-01-29

Family

ID=5531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721A KR101590312B1 (ko) 2014-11-28 2014-11-28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009A (ko) *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포충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270Y1 (ko) 1999-07-02 2000-02-15 김태엽 휴대용 냉.온장고
KR20010069353A (ko) 2001-03-13 2001-07-25 류영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수조절기
KR20040067252A (ko) * 2003-01-22 2004-07-30 한영태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휴대용 가열 장치
KR20110004075A (ko)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피케이엘 하드마스크용 원판 및 이를 이용한 하드마스크 제조방법
KR20110015267A (ko) * 2009-08-07 2011-02-15 최승철 레저용 냉, 온 보온병 및 스테이션
KR20110069639A (ko) * 2009-12-17 2011-06-23 윤종석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KR20110127914A (ko) * 2010-05-20 2011-11-28 구자동 전열장치
KR20130019148A (ko) 2011-08-16 2013-02-26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휴대용 냉온장치
KR20130143338A (ko) 2012-06-21 2013-12-31 이창원 펠티어 소자를 활용한 보온 텀블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270Y1 (ko) 1999-07-02 2000-02-15 김태엽 휴대용 냉.온장고
KR20010069353A (ko) 2001-03-13 2001-07-25 류영호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수조절기
KR20040067252A (ko) * 2003-01-22 2004-07-30 한영태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휴대용 가열 장치
KR20110004075A (ko)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피케이엘 하드마스크용 원판 및 이를 이용한 하드마스크 제조방법
KR20110015267A (ko) * 2009-08-07 2011-02-15 최승철 레저용 냉, 온 보온병 및 스테이션
KR20110069639A (ko) * 2009-12-17 2011-06-23 윤종석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KR20110127914A (ko) * 2010-05-20 2011-11-28 구자동 전열장치
KR20130019148A (ko) 2011-08-16 2013-02-26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휴대용 냉온장치
KR20130143338A (ko) 2012-06-21 2013-12-31 이창원 펠티어 소자를 활용한 보온 텀블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009A (ko) * 2017-11-29 2019-06-07 (주)다나티앤씨 포충기
KR101994264B1 (ko) 2017-11-29 2019-06-28 (주)다나티앤씨 포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2481A (en) Thermoregulating container
KR101478121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
KR102000682B1 (ko) 휴대용 냉기 송풍장치
KR10159031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KR101344711B1 (ko) 암레스트 냉온장고 장치
KR101471034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
KR20180122882A (ko) 자가발전형 보온용기
KR20180133294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냉장 가열기
KR20110069639A (ko)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CN210383677U (zh) 一种温差发电芯片的控温装置、液体容器及导散热装置
WO2023142818A1 (zh) 具有变温功能的搅拌棒
KR100785271B1 (ko) 냉/온 조절식탁
CN110063663A (zh) 一种温差发电芯片的控温装置、液体容器及导散热装置
KR200285179Y1 (ko) 와인 냉장기
JPH05161546A (ja) 電気ポット
KR20110004075U (ko)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JP2001304739A (ja) ワイン貯蔵庫
CN210383678U (zh) 一种可位移的热传导装置及使用其的液体容器
KR200377824Y1 (ko) 차량용 냉온수기
KR20050090661A (ko) 보온 용기
US20240148183A1 (en) Heating and cooling beverage container
US11906210B1 (en) Refrigeration and insulation bag
JP3120285U (ja) 保冷・保温容器
JP3128821U (ja) ドリンクの温度調整装置
JP2004294016A (ja) 飲料又は食品用卓上冷蔵・温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