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075U -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 Google Patents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075U
KR20110004075U KR2020090013570U KR20090013570U KR20110004075U KR 20110004075 U KR20110004075 U KR 20110004075U KR 2020090013570 U KR2020090013570 U KR 2020090013570U KR 20090013570 U KR20090013570 U KR 20090013570U KR 20110004075 U KR20110004075 U KR 201100040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ainer
space
modul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633Y1 (ko
Inventor
윤종석
Original Assignee
윤종석
정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석, 정종필 filed Critical 윤종석
Priority to KR20090013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63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0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0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6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는내부공간이 마련된 내부용기를 외부용기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공간이 마련된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 외부에 설치되어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여 공간을 선택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간으로 선택된 온도를 제공하는 온도제공부를 포함한다.
전열소자, 냉온, 용기, 펠티에 효과

Description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CONTAINER PAPER FOR TOTAL HEAT EXCHANGER ELEMENT}
본 발명은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펠티에 효과 원리를 이용한 냉온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포 스티로폼 등과 같은 단열재나 진공을 이용하여 휴대가 가능한 보온병, 보온 도시락 케이스, 보온 박스 등의 보온용기는 뜨거운 음료나 음식을 보관할 때, 특히 겨울의 추운 날씨에 자연적인 온도차에 의하여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온도가 내려가서 몇 시간 후에는 차가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고, 보인시간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보온을 하려는 음료나 음식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관시점에는 예를 들어 섭씨 100도 정도의 고온이라 할지라도 불과 몇 시간만에 섭씨 80도 내지 50도 등으로 계속 온도가 내려가서 그 맛이 변하여 일정한 온도로 장시간 보관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보온병 개방 상태가 많아지면 쉽게 내용물이 상온으로 변하게 되고, 개방하지 않아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냉수는 더워지며, 온수는 차가워져 원하는 상태로 음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에 전열소자를 장착하여 보냉, 보온 기능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펠티에 효과를 냉온 기능의 원리로 적용하여 냉온 용기에 선택적으로 고온 또는 저온 온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냉온 용기 내부에 수납되는 보관 물품 또는 식품의 종류에 관계 없이 보관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와 전열소자의 결합과 더불어 이에 대한 방열 효과를 극대화 하여 열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보냉. 보온 기능을 하는 냉온용기의 전원, 온도제어의 조작성을 쉽게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내부용기를 외부용기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공간이 마련된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 외부에 설치되어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여 공간을 선택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간으로 선택된 온도를 제공하는 온도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용기부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이 내부에 마련되 고, 상부 외주연에 돌기를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킨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를 내부에 수납한 내주연과 내부용기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켜 상기 온도제공부에서 제공되는 가열. 냉각 온도를 갖는 공기가 보온. 보냉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부에는 숫나사를 형성시키고 상부 내주연에는 상기 돌기가 내입되는 홈을 형성시키며 바닥면에는 상기 온도제공부 하부가 관통되게 결합하도록 설치공이 마련된 외부용기와, 상기 숫나사와 체결되어 내부용기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덮개와, 상기 외부용기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온도제공부에서 발생되는 발열온도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방출하고, 내부에는 상기 온도제어부를 컨트롤 하는 제어부를 탑재한 받침대로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온도제공부는 이종인 금속으로 이루어진 저온모듈과 발열모듈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저온모듈과 발열모듈 사이에 전열모듈을 결합하여 외부에서 제공되는 직류전류를 발열모듈 또는 저온모듈측으로 선택적인 인가를 가하여 상기 온도제공부가 흡열. 발열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되, 냉각시에는 직류전류를 저온모듈에서 발열모듈측으로 인가시키면 내부용기의 내부공간의 열을 흡열하여 발열모듈을 통해 외부로 흡열한 열을 방출하여 내부공간의 온도를 이슬점 온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발열시에는 직류전류를 발열모듈에서 저온모듈측으로 인가시키면 상기 저온모듈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발열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온도제공부를 컨트롤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받침대의 탑재공간에 설치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제공부에 전원을 공급 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도 제어에 의해 현재 상황의 온도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과, 냉각 온도와 가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스위치와, 상기 전원스위차와 온도스위치의 인가 신호에 의해 전류 세기 및 전류 제공 방향을 변환시키거나 전원 차단 또는 공급을 컨트롤 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저온모듈 상부면과 발열모듈 하부면에는 세라믹 코팅이 이루어진 방열판을 각각 설치하여 저온모듈과 발열판에서 발생하는 저온 또는 고온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는 상하부로 각각 개구된 탑재공간과 발열공간을 각각 구획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탑재공간과 발열공간 사이에 형성된 격벽에는 환풍공을 천공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외부용기 하부는 이음부를 하부로 연장시키되 상기 이음부에는 길이를 갖는 고정홈을 형성시키고, 그 하부에 개방공을 등간격으로 형성시키며, 상기 받침대의 탑재공간의 둘레에 형성시킨 결합부에는 고정턱을 외향으로 돌출시켜 고정홈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고정홈 길이 내에서 고정턱이 회동되어 받침대를 연동시켜 상기 받침대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연통공이 개방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여 탑재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 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부용기 바닥면에는 등간격으로 통기공을 형성시켜 공간과 탑재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되, 상기 받침대의 탑재공간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가로막을 형성시켜 상기 받침용기의 연통공이 개방되면 통기공이 폐쇄되도 록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외부용기는 바닥면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순환벽을 순차되게 설치하여 방열판에서 발열되는 온도가 지그재그식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외부용기 내주연에는 단열재가 코팅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내부용기는 마그네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는 용기에 펠티에 효과 원리를 이용한 온도제공부를 장착하여 냉온용기 자체에서 보냉. 보온 기능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보관온도를 요하는 물품의 용이한 저장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는 용기 하부에 펠티에 효과 원리를 갖는 온도제공부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냉온용기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냉온용기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는 외부 환경(온도)에 맞추어 용기에 설치한 전열소자에서 발생하는 방열 온도를 효과적으로 배출토록 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는 보냉. 보온 기능을 하는 냉온용기의 온도제어 및 온.오프 제어를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냉온용기 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5a,b는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중 온도제공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펠티에 효과의 원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는 식품을 담는 용기부 100와, 상기 용기부 100 외부에 설치되어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여 공간 125을 선택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간 111으로 선택된 온도를 제공하는 온도제공부 200로 구성한다.
상기 용기부 100는 내부공간 111이 마련된 내부용기 110를 외부용기 120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내부용기 110와 외부용기 120 사이에 공간 125 이 마련된다.
즉, 상기 용기부 100는 내부용기 110, 외부용기 120, 덮개 130, 받침대 140로 구성한다.
상기 내부용기 110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 111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기 112를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킨다.
그리고, 외부용기 120는 상기 내부용기 110를 내부에 수납한 내주연과 내부용기 110의 사이에 공간 125을 형성시켜 상기 온도제공부 200에서 제공되는 가열. 냉각 온도를 갖는 공기가 보온. 보냉 기능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 120의 상부에는 숫나사 129를 형성시키고 상부 내주연에는 상기 돌기 112가 내입되는 홈 128을 형성시켜 상기 외부용기 120에서 내부용기 1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용기 120와 내부용기 110의 결합시 외부용기 120의 홈 128에는 내부용기 110의 돌기 112가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내부용기 110의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외부용기 120 바닥면에는 상기 온도제공부 200 하부가 관통되게 결합하도록 설치공 124을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용기는 바닥면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순환벽 126을 순차되게 설치하여 후술될 방열판 240에서 발열되는 온도가 순환벽 126에 의해 흐름 방향이 지그재그식으로 흐름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외부용기 내주연에는 단열재를 코팅하여 공간 125 내부의 보 온, 보냉 유지를 극대화하여 열손실을 최소화 한다.
상기 덮개 130는 외부용기 120의 숫나사 129와 체결되어 내부용기 110의 내부공간 111을 개폐시키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 140는 상기 외부용기 120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온도제공부 200에서 발생되는 발열 온도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방출하고, 내부에는 상기 온도제어부 200를 컨트롤 하는 제어부 150를 탑재한다.
여기서, 받침대 140는 상.하부로 각각 개구된 탑재공간 141과 발열공간 143을 각각 구획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탑재공간 141과 발열공간 143사이에 형성된 격벽 147에는 환풍공 142을 천공시킨다.
여기서, 용기부 100의 내부용기 110는 열전도율이 높은 마그네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온도제공부 200에서 제공되는 냉각온도 또는 가열온도의 전도율을 향상시켜 열 손실 없이 열 전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외부용기 120 하부에는 받침대 140를 결합하여 상기 온도제공부 200의 가열온도. 냉각온도를 컨트롤 하는 제어부 150를 장착한다.
즉, 상기 제어부 150는 상기 온도제공부 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151와, 상기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치 152와, 상기 전원스위치 152의 온도 제어에 의해 현재 상황의 온도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 155과, 냉각 온도와 가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스위치 153와, 상기 전원스위차 153와 온도스위치 153의 인가 신호에 의해 전류 세기 및 전류 제공 방향을 변환시키거나 전원 차단 또는 공급을 컨트롤 하는 회로기판 154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 150의 배터리 151, 회로기판 154은 탑재공간 141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창 155와 전원스위치 152 및 온도스위치 153은 발열공간 143 측의 격벽 147 하부면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온도제공부 200는 다음과 같다.
상기 온도제공부 200는 이종인 금속으로 이루어진 저온모듈 210과 발열모듈 220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저온모듈 210과 발열모듈 220 사이에 전열모듈 230을 결합하여 외부에서 제공되는 직류전류를 발열모듈 220 또는 저온모듈 210 측으로 선택적인 인가를 가하여 상기 온도제공부 200가 흡열. 발열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국, 온도제공부 200를 통해 냉각시에는 직류전류가 저온모듈 210에서 발열모듈 220측으로 인가되면 내부용기 110의 내부공간 111의 열을 흡열하여 발열모듈 220을 통해 외부로 흡열한 열을 방출하여 내부공간의 온도를 이슬점 온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발열시에는 직류전류를 발열모듈 220에서 저온모듈 210측으로 인가시키면 상기 저온모듈 210을 통해 내부공간 111으로 발열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발열모듈은 외부용기의 설치공 124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모듈이 받침대의 탑재공간에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온모듈 상부면과 발열모듈 하부면에는 세라믹 코팅이 이루어진 방열판 240을 각각 설치하여 저온모듈과 발열판에서 발생하는 저온 또는 고온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저온모듈에 장착된 방열판 240은 외부용기의 공간 125에 배치하고, 방열모듈에 장착된 방열판 240은 탑재공간에 배치되도록 하여 다른 온도를 갖는 각각의 방열판 240이 방열온도를 공간 125, 탑재공간측으로 각각 방열시키도록 한다.
이를 가능하도록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펠티에 효과를 원리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직류전류를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게 하면 전류가 A 도체에서 B 도체로 향하는 접점 A 지점에서는 온도가 내려가고, B 지점에서는 온도가 올라간다.
또, 전류를 반대로 흐르게 되면, A 지점에서는 온도가 올라가고, B 지점에서는 온도가 내려간다.
이것은 다른 종류의 금속에서는 금속 내의 전자의 피텐셜 에너지에 차가 있기 때문에 퍼텐셜에너지가 낮은 상태에 있는 금속으로부터 높은 상태에 있는 금속으로 전자를 운반하는데는 외부로 부터 에너지를 얻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접점에서 열에너지를 빼앗기고, 반대의 경우에는 열에너지가 방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펠티에 효과 원리에 의해 이종인 금속으로 이루어진 저온 모듈 210은 내부공간 111의 온도를 흡열하여 발열모듈 220으로 온도를 전열한다.
다시말해, 저온모듈 210은 내부의 열을 흡열하여 내부공간 111 내주의 온도를 이슬점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수증기가 이슬점 온도로 유지되어 저온모듈 210의 전면으로 수증기가 응결된 물방울이 전면에 맺히게 된다.
여기서, 이슬점온도란, 수증기를 포함한 대기의 기압과 수중기량을 변화시키 지 않고 기온을 떨어뜨렸을 경우 수증기가 포화에 달할 때의 온도(냉각)를 말한다.
이는, 특성이 다른 두 금속을 접합하고 직류전류를 흘렸을 때 한 쪽 접합며에서는 열이 발생하고 다른 한 쪽 접합면에서는 열이 흡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결국, 금속이 내부의 전자가 운동하기 위한 에너지가 필요하여 낮은 에너지 상태(비스무트의 특성)에서 높은 에너지(안티몬의 특성)로 전환하기 위한 에너지를 외부에서 제공받는다.
그러므로 열이 발생한다는 것은 높은 에너지 상태(안티몬의 특성)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비스무트의 특성)로 넘어갈 때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는 원리로 냉각 또는 가열 온도를 갖을 수 있다.
이렇게 저온모듈 210과 발열모듈 220로 전달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방열온도 또는 냉각온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냉온용기 10 내부에 수납한 물품 종류에 따라 저온, 고온의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온도제공부 200의 방열 효과를 극대화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성은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외부용기 하부는 이음부를 하부로 연장시키되 상기 이음부에는 길이를 갖는 고정홈을 형성시키고, 그 하부에 개방공을 등간격으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의 탑재공간의 둘레에 형성시킨 결합부에는 고정턱을 외향으로 돌출시켜 고정홈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고정홈 내에서 고정턱이 회동되어 받침대를 연동시켜 상기 받침대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연통공이 개방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여 탑재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 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탑재공간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발열모듈에 장착된 방열판 240의 방열온도를 식힐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외부용기 바닥면에는 등간격으로 통기공 127을 형성시켜 공간 125과 탑재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되, 상기 받침대의 탑재공간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가로막 149을 형성시켜 상기 받침대의 회동에 의해 가로막 149이 막고 있는 통기공 127이 개방되면 외부용기의 공간 125과 탑재공간을 연통시켜 공간 125 내부의 온도가 탑재공간, 환풍공을 거쳐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공과 통기공 127의 개방 및 폐쇄 상태는 상호 반대 상황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받침대 140의 회동을 도울 수 있도록 결합부 144 외주연에 손잡이 148를 장착한 것을 더 포함하여 상기 손잡이가 복수개의 고정홈 122 중 어느 한 개소의 고정홈 122에 관통시켜 상기 손잡이 148를 통해 받침대 140를 더욱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냉온용기의 내부용기에 냉각 온도를 제공한 상태에서 실내에서 냉온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개방공은 개방되고 통기공 127은 패쇄시켜 실내의 차가운 공기가 개방공을 통해 탑재공간으로 유입시켜 발열모듈의 방열판 240의 방열 온도를 신속시 낮추어 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저온의 온도를 갖는 외부용기의 공간 125의 냉각 온도가 탑재공간측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실외에서 냉온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개방공은 폐쇄시켜 실외의 뜨거운 공기가 탑재공간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열손실을 방지하고, 상기 통기공 127은 개방시켜 탑재공간측으로 공간 125의 저온 온도를 유입시켜 발열모듈의 방열판 240 방열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열 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온도제공부 200의 방열에 따른 열교환에 의해 냉온용기에 수납한 물품의 보관온도에 맞추어 해당 온도제공부 200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적절한 전력소비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저오디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a,b는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중 온도제공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펠티에 효과의 원리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식품용기 100 : 용기부
110 : 내부용기 111 : 내부공간
112 : 돌기 120 : 외부용기
121 : 이음부 122 : 고정홈
123 : 개방공 124 : 설치공
125 : 공간 126 : 순환벽
127 : 통기공 128 : 홈
129 : 숫나사 130 : 덮개
140 : 받침대 141 : 탑재공간
142 : 환풍공 143 : 발열공간
144 : 결합부 145 : 고정턱
146 : 연통공 147 : 격벽
148 : 손잡이 149 : 가로막
150 : 제어부 151 : 배터리
152 : 전원스위치 153 : 온도스위치
154 : 회로기판 155 : 디스플레이창
200 : 온도제공부 210 : 저온모듈
220 : 발열모듈 230 : 전열모듈
240 : 방열판

Claims (10)

  1. 내부공간이 마련된 내부용기를 외부용기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공간이 마련된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 외부에 설치되어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여 공간을 선택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간으로 선택된 온도를 제공하는 온도제공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기를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킨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를 내부에 수납한 내주연과 내부용기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켜 상기 온도제공부에서 제공되는 가열. 냉각 온도를 갖는 공기가 보온. 보냉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부에는 숫나사를 형성시키고 상부 내주연에는 상기 돌기가 내입되는 홈을 형성시키며 바닥면에는 상기 온도제공부 하부가 관통되게 결합하도록 설치공이 마련된 외부용기와,
    상기 숫나사와 체결되어 내부용기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덮개와,
    상기 외부용기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온도제공부에서 발생되는 발열 온도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방출하고, 내부에는 상기 온도제어부를 컨트롤 하는 제어부를 탑재한 받침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공부는,
    이종인 금속으로 이루어진 저온모듈과 발열모듈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저온모듈과 발열모듈 사이에 전열모듈을 결합하여 외부에서 제공되는 직류전류를 발열모듈 또는 저온모듈측으로 선택적인 인가를 가하여 상기 온도제공부가 흡열. 발열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되,
    냉각시에는 직류전류를 저온모듈에서 발열모듈측으로 인가시키면 내부용기의 내부공간의 열을 흡열하여 발열모듈을 통해 외부로 흡열한 열을 방출하여 내부공간의 온도를 이슬점 온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발열시에는 직류전류를 발열모듈에서 저온모듈측으로 인가시키면 상기 저온모듈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발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4.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공부를 컨트롤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받침대의 탑재공간에 설치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제공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도 제어에 의해 현재 상황의 온도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과,
    냉각 온도와 가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스위치와,
    상기 전원스위차와 온도스위치의 인가 신호에 의해 전류 세기 및 전류 제공방향을 변환시키거나 전원 차단 또는 공급을 컨트롤 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모듈 상부면과 발열모듈 하부면에는 세라믹 코팅이 이루어진 방열판을 각각 설치하여 저온모듈과 발열판에서 발생하는 저온 또는 고온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하부로 각각 개구된 탑재공간과 발열공간을 각각 구획되게 형성시키고, 상기 탑재공간과 발열공간 사이에 형성된 격벽에는 환풍공을 천공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 하부는 이음부를 하부로 연장시키되 상기 이음부에는 길이를 갖는 고정홈을 형성시키고, 그 하부에 개방공을 등간격으로 형성시키며,
    상기 받침대의 탑재공간의 둘레에 형성시킨 결합부에는 고정턱을 외향으로 돌출시켜 고정홈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고정홈 길이 내에서 고정턱이 회동되어 받침대를 연동시켜 상기 받침대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연통공이 개방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여 탑재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 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부용기 바닥면에는 등간격으로 통기공을 형성시켜 공간과 탑재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되, 상기 받침대의 탑재공간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가로막을 형성시켜 상기 받침용기의 연통공이 개방되면 통기공이 폐쇄되도록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바닥면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순환벽을 순차되게 설치하여 방열판에서 발열되는 온도가 지그재그식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 내주연에는 단열재가 코팅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마그네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KR20090013570U 2009-10-19 2009-10-19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KR200460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3570U KR200460633Y1 (ko) 2009-10-19 2009-10-19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3570U KR200460633Y1 (ko) 2009-10-19 2009-10-19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075U true KR20110004075U (ko) 2011-04-27
KR200460633Y1 KR200460633Y1 (ko) 2012-06-08

Family

ID=4420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3570U KR200460633Y1 (ko) 2009-10-19 2009-10-19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6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295B1 (ko) * 2011-08-16 2013-10-02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휴대용 냉온장치
KR101375134B1 (ko) * 2012-02-28 2014-03-17 (주)트리비스 찜질용 안대장치
KR20160049862A (ko) * 2014-10-28 2016-05-10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냉온 믹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979B1 (ko) * 2017-10-12 2019-02-08 김경화 가열식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148Y1 (ko) * 1999-09-22 2000-03-15 김태수 보온용기 내용물의 냉/온각장치
KR200273492Y1 (ko) 2002-01-16 2002-04-26 윤승현 쇼케이스
KR200300368Y1 (ko) 2002-10-22 2003-01-14 배길호 휴대가 가능한 차량용 음료 패트용기의 냉온기
KR100818697B1 (ko) * 2007-06-22 2008-04-02 황보의 소형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295B1 (ko) * 2011-08-16 2013-10-02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휴대용 냉온장치
KR101375134B1 (ko) * 2012-02-28 2014-03-17 (주)트리비스 찜질용 안대장치
KR20160049862A (ko) * 2014-10-28 2016-05-10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냉온 믹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633Y1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8519B1 (en)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KR200460633Y1 (ko)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KR20110069639A (ko) 전열소자를 이용한 냉온용기
KR20110028037A (ko) 배달용 용기함
JP2006300511A (ja) キムチ冷蔵庫
KR101478121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
KR200450277Y1 (ko) 가열 및 냉각 기능의 전환이 가능한 도시락
KR101200555B1 (ko) 온장고
EP1709895B1 (en) Trolley for carrying and distributing food trays, provided with at least two chambers at mutually different temperatures
KR20080109317A (ko) 냉장 기능을 갖는 조리기
KR200221103Y1 (ko) 무공해 냉온장고
CN213962176U (zh) 一种可制冷加热的智能温控多功能饭盒
JP3061554B2 (ja) 電子冷却保冷保温容器
KR101457534B1 (ko) 흡냉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냉풍기
CN207826059U (zh) 一种车用制冷加热杯
KR0153181B1 (ko)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온장고와 이 냉온장고의 제어방법
CN104859957A (zh) 温度可控的食物储存箱
JPH0791799A (ja) 冷温蔵庫
JP3120285U (ja) 保冷・保温容器
CN110513961A (zh) 同时能提供制冷保冷与制热保热的保温箱及其控温方法
JPH1047845A (ja) 家庭用冷蔵庫
JP2547699B2 (ja) 冷温蔵庫
WO2023005461A1 (zh) 冰箱
CN213963026U (zh) 一种电热温酒器
KR19990040938A (ko) 보온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