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009A - 포충기 - Google Patents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009A
KR20190063009A KR1020170161746A KR20170161746A KR20190063009A KR 20190063009 A KR20190063009 A KR 20190063009A KR 1020170161746 A KR1020170161746 A KR 1020170161746A KR 20170161746 A KR20170161746 A KR 20170161746A KR 20190063009 A KR20190063009 A KR 20190063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ed
coupling
catcher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264B1 (ko
Inventor
고승진
이석제
Original Assignee
(주)다나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나티앤씨 filed Critical (주)다나티앤씨
Priority to KR1020170161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2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유인등과 유인제로서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포충기로서, 포충기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포함하고, 상부본체는 개구된 그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스커트부와, 결합스커트부에 형성되어 해충이 출입하는 유인구와, 상부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인제의 향이 발산되는 한편 해충이 접착되어 포획되는 접착트랩을 포함하며, 하부본체는 그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UV LED와, UV 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본체의 결합스커트부에 의해 온/오프되어 UV LED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충기{Insect trap}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을 유인하여 잡을 수 있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 및 산업화 등으로 인하여 파리, 모기 등의 해충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해충은 각종 병원균 및 유해 세균을 옮기는 요인이며, 특히 모기에 의해 전염되는 말라리아, 뎅기열 및 일본뇌염과 같은 전염병은 감염자의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해충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해충의 개체 수를 줄이는 해충 방제 작업이 수행되는데, 이러한 방제 작업은 주로 농경지, 임지 등과 같은 해충의 서식지나 방대한 구역의 주택가를 대상으로 행해진다.
이러한 방제 작업의 방법으로는 기생성·포식성 천적 또는 병원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 생리활성물질 또는 살충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 기계나 기구 또는 광선, 온도, 색채나 음파 등을 이용한 기계·물리적 방제와 같은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규모 해충 방제 작업을 한다 하더라도 이는 해충의 개체 수를 줄이기 위한 것일 뿐, 생태계에서 해충을 완전히 박멸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심지나 주택가에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한편, 주택가에 유입된 해충으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택 등의 건물에는 주택 내로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충시설을 설치하기도 하며, 이미 주택 내로 유입된 해충에 대해서는 파리채, 살충제, 유인식 포충기, 전기식 파리채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살상하는 방법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리채를 이용하여 파리 또는 모기 등을 처리하는 경우 해충이 앉은 자리에 해충 사체 또는 체액의 흔적이 남게 되어 비위생적이고, 살충제를 이용하는 경우 살충제에 함유된 유해 성분이 인체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해충 유인 수단으로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는 유인식 포충기는 주간에 활용성이 현저하게 낮아지고, 특정 장소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능동적인 살충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고,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대형화로 인해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전기식 파리채는 도선에 흐르는 고전압을 이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비행성 해충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도선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감전될 우려가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해충을 찾아가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5-0126439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는 위생 전기식 포충기가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포충기는 전면이 개방된 관의 형태로 형성되는 포충관과, 후면이 개방된 관의 형태로 포충관의 후단에 연장 형성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관경이 좁아지는 오목부와, 오목부와 연통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포획통과, 포획통과 연통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사체보관통과, 오목부와 포획통의 사이에 배치되고, 포획통에 유입된 벌레가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필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포충기는 파리나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을 포충관을 통해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으며, 포획된 해충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포충기는 포충기의 사용자가 직접 해충을 찾아다니며 처리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5-012643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원거리의 해충은 유인등으로 유인하고 근거리의 해충은 유인제로 유인하여 포획함으로써 해충을 직접 찾아다니지 않고서도 해충의 포획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포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유인등과 유인제로서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포충기로서, 포충기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포함하고, 상부본체는 개구된 그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스커트부와, 결합스커트부에 형성되어 해충이 출입하는 유인구와, 상부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인제의 향이 발산되는 한편 해충이 접착되어 포획되는 접착트랩을 포함하며, 하부본체는 그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UV LED와, UV 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본체의 결합스커트부에 의해 온/오프되어 UV LED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본체의 결합스커트부에는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본체에는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나선형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부본체를 하부본체에 회전시켜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본체의 내부에는 UV LED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소켓부가 형성되고, 소켓부의 개구부에는 관통구를 갖는 커버가 구비되어, UV LED의 빛을 커버의 관통구를 통해 접착트랩 측으로 집중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충기에 따르면, 포충기에서 점등되는 UV LED로서 멀리 있는 원거리의 해충을 유인할 수 있고, 접착트랩에서 발생되는 유인제로서 포충기 주변에 가까이 있는 근거리의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함으로써 해충을 직접 찾아다니지 않고서도 해충을 잡을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해충의 포획효과가 향상되며,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결합상태에서의 단면도로서, 도 3의 (a)는 포충기를 일방향으로 절개한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의 (b)는 (a)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사용상태로서, 도 5의 (a)는 비사용시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5의 (b)는 사용시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상기의 용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에 형성" 및 "측면에 형성" 등은, 당해 구성요소들이 직접 접하여 형성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구성요소들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형성되어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에 형성된다" 라는 것은 제 1 구성요소에 제 2 구성요소가 직접 접하여 형성되는 의미는 물론,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의 사이에 제 3 구성요소가 더 형성될 수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 및 이의 작동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인등과 유인제로 해중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장치로서, 포충기 본체와 충전기를 포함한다.
포충기 본체는 통상의 알과 같은 형태로서,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본체(10)와 하부본체(20)를 포함한다.
상부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개구된 하면의 외주연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스커트부(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결합스커트부(11)는 하부본체(2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부본체(1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스커트부(11)의 외주면에는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구(13)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 유인구(13)를 통해 유인등 즉 후술될 UV LED(24)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어 해충을 유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합스커트부(11)의 외주면 일측에는 반구 형상의 결합돌기(12)가 돌출 형성되어, 후술될 하부본체(20)의 결합홈(22)에 나선 결합되어 체결된다.
게다가, 상부본체(10)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충이 접착되어 포획되는 끈끈이 재질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착트랩(40)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이 접착트랩(40)에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이 좋아하는 향이 발산되는 유인제가 도포 또는 코팅되어 있어, 포충기(1) 주변의 근거리에 있는 해충을 유인제로서 유인하여 포획하게 된다.
상부본체(10)에 대응한 하부본체(20)는 그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개구된 상면의 테두리면에는 상부본체(10)의 결합돌기(1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반원 형상의 결합구(21)가 형성되고, 이 결합구(21)에서부터 하부본체(20)의 내주면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나선형의 결합홈(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본체(10)의 결합돌기(12)가 하부본체(20)의 결합구(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본체(10)를 하부본체(20)에서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본체(10)를 하부본체(20)에 나선 결합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부본체(20)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소켓부(23)가 형성되고, 이 소켓부(23)는 하부본체(20)의 내부에 구비된 스위치부(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소켓부(23)에는 UV LED(24)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켓부(23)에 구비된 UV LED(24)는 소켓부(23)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면서 스위치부(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한편, 하부본체(20)의 스위치부(25)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부본체(20)에 결합되는 상부본체(10)의 결합스커트부(11)에 의해 스위칭되어 스위칭 온/오프 된다.
즉, 상부본체(10)가 하부본체(20)에 결합되어 결합스커트부(11)가 스위치부(25)를 누르면 스위치부(25)는 스위칭 오프되어 UV LED(24)가 소등되고, 상부본체(10)가 하부본체(20)의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결합스커트부(11)가 스위치부(25)에서 떨어지면 스위치부(25)는 스위칭 온되어 UV LED(24)가 점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소켓부(23)의 개구된 상면에는 커버(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소켓부(23)를 덮되, 커버(30)에는 UV LED(24)의 빛을 상부본체(10)의 접착트랩(40) 측으로 집중적으로 조사하도록 한 복수의 관통구(31)가 형성되고, 커버(30)의 하면에는 소켓부(23)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소켓부(23)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원호 형상의 결합리브(32)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UV LED(24)에서 발산하는 빛의 파장은 340 ㎚ 내지 390 ㎚ 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UV LED(24)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제공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다. 곤충이 유인되는 파장과 관련하여, 파리 및 벼멸구의 경우 약 340 nm 또는 약 575 nm의 파장의 빛을 선호하며, 나방과 모기의 경우 약 366 nm 파장의 빛을 선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기타 일반적인 해충의 경우, 약 340 nm 내지 380 nm 파장의 빛을 상대적으로 선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곤충이 유인되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과 관련하여, 흰색, 녹색, 파란색, 노란색, 빨간색 광에 의한 곤충의 유인활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하여, UV LED(24)에서 발산하는 빛의 파장은 340 nm 내지 390 nm의 흰색, 녹색, 파란색, 노란색, 빨간색 중 어느 하나의 광으로 조사되되, 곤충 특히 모기는 강하게 유인되는 반면 인체에의 유해성이 낮다는 점에서 약 365 nm 파장의 흰색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UV LED(24)는 자외선의 조사 방향을 제어하기 쉽고, 소비전력이 낮아 충전용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하부본체(20)의 외측면 하면에는 충전용 충전접속구(26)가 형성될 수 있다.
충전기(50)는 그 상면이 반구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포충기(1)의 하부본체(2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고, 함몰된 중앙부에는 하부본체(20)의 충전접속구(26)와 일치되는 충전접속구(51)(또는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포충기(1)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본체(20)의 하면에는 하부본체(20)를 바닥면에 안정적되게 구비하는 받침판(52)이 구비되고, 받침판(52)의 하면에는 받침판(52)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포충기(1)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상부본체(10)와 하부본체(20)가 도 5의 (a)에서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본체(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부본체(20)의 상부로 이동시키면, 도 4의 (a)와 (b) 및 도 5의 (b)에서와 같이 상부본체(10)의 결합스커트부(11)가 하부본체(20)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유인구(13)가 하부본체(20) 상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부본체(10)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결합스커트부(11)가 하부본체(20)의 스위치부(25)에서 떨어져 이격되면, 스위치부(25)는 스위칭 온되어 UV LED(24)에 전원이 공급된다.
즉, 전원이 공급되면, 하부본체(20)의 소켓부(23) 내에서 UV LED(24)가 점등되고, UV LED(24)의 빛은 커버(30)의 관통구(31)를 통해 상부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접착트랩(40) 측으로 집중적으로 조사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사되는 UV LED(24)의 빛은 상부본체(10)의 결합스커트부(11)에 형성된 유인구(13)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므로 원거리의 해충이 이 빛을 보고 포충기(1)로 달려들게 되고, 포충기(1) 주변에 있는 근거리의 해충은 UV LED(24)의 빛과 더불어 접착트랩(40)에서 발산되는 유인 향에 의해 포충기(1)로 달려들게 된다.
포충기(1)로 달려든 해충은 유인구(13)를 통해 들어가 UV LED(24)의 빛과 유인제의 향을 따라 상부본체(10)의 접착트랩(40)으로 유인되어 접착됨으로써 포획된다.
따라서, 포충기(1)를 휴대한 상태로 이동시켜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원하는 곳에서 포충기(1)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해충을 찾아다니지 않고서도 해충을 잡을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해충의 포획효율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포충기(1)의 사용 후에는 상부본체(10)를 하부본체(20)에 역회전시켜 결합시키면, 상부본체(10)의 결합스커트부(11)가 하부본체(20)의 스위치부(25)를 눌러 스위치부(25)를 오프시킴으로써 UV LED(24)가 소등되어 포충기(1)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포충기 10 : 상부본체
11 : 결합스커트부 12 : 결합돌기
13 : 유인구 20 : 하부본체
21 : 결합구 22 : 결합홈
23 : 소켓부 24 : UV LED
25 : 스위치부 26 : 충전접속구
30 : 커버 31 : 관통구
32 : 결합리브 40 : 접착트랩
50 : 충전기 51 : 충전접속구
52 : 받침판

Claims (3)

  1. 유인등과 유인제로서 해충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포충기로서,
    포충기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포함하고,
    상부본체는 개구된 그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스커트부와, 결합스커트부에 형성되어 해충이 출입하는 유인구와, 상부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인제의 향이 발산되는 한편 해충이 접착되어 포획되는 접착트랩을 포함하며,
    하부본체는 그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UV LED와, UV 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본체의 결합스커트부에 의해 온/오프되어 UV LED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포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본체의 결합스커트부에는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본체에는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나선형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부본체를 하부본체에 회전시켜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구비되는 포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본체의 내부에는 UV LED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소켓부가 형성되고, 소켓부의 개구부에는 관통구를 갖는 커버가 구비되어, UV LED의 빛을 커버의 관통구를 통해 접착트랩 측으로 집중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포충기.
KR1020170161746A 2017-11-29 2017-11-29 포충기 KR101994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746A KR101994264B1 (ko) 2017-11-29 2017-11-29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746A KR101994264B1 (ko) 2017-11-29 2017-11-29 포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009A true KR20190063009A (ko) 2019-06-07
KR101994264B1 KR101994264B1 (ko) 2019-06-28

Family

ID=6685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746A KR101994264B1 (ko) 2017-11-29 2017-11-29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384B1 (ko) * 2019-12-11 2021-12-02 주식회사 에이디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트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862Y1 (ko) * 2004-10-21 2005-01-14 신용호 전등 겸용 소화기
KR20050104689A (ko) * 2004-04-29 2005-11-03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차량의 공조기용 스위치
KR20150126439A (ko) 2014-05-02 2015-11-12 최성현 위생 전기식 포충기
KR101590312B1 (ko) * 2014-11-28 2016-01-29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JP2016509843A (ja) * 2013-03-01 2016-04-04 アースロポッド バイオサイエンシーズ エルエルシー 捕虫器装置および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689A (ko) * 2004-04-29 2005-11-03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차량의 공조기용 스위치
KR200371862Y1 (ko) * 2004-10-21 2005-01-14 신용호 전등 겸용 소화기
JP2016509843A (ja) * 2013-03-01 2016-04-04 アースロポッド バイオサイエンシーズ エルエルシー 捕虫器装置および使用方法
KR20150126439A (ko) 2014-05-02 2015-11-12 최성현 위생 전기식 포충기
KR101590312B1 (ko) * 2014-11-28 2016-01-29 한양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264B1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5122B1 (en) Mosquito killing apparatus and mosquito trapping apparatus
KR100810051B1 (ko) 휴대용 해충 퇴치기
US20090000183A1 (en) Insect trap
KR200453375Y1 (ko) 엘이디를 이용한 해충 트랩 장치
JP2004521641A (ja) 虫取り器
KR101545083B1 (ko) 휴대용 전자 살충기
KR100922329B1 (ko)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
US20180035657A1 (en) Pest control system
KR20090085394A (ko) 해충 포집기
KR100538043B1 (ko) 전자 포충기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KR20150126439A (ko) 위생 전기식 포충기
KR101105832B1 (ko) 점착시트가 구비된 빛 유인식 포충기
KR101994264B1 (ko) 포충기
KR102017537B1 (ko) 큐브형 포충기
KR20170037741A (ko) Uv led가 적용된 포충기
JPH11346629A (ja) 蚊の誘殺器又は蚊の捕獲器
KR101965568B1 (ko) 포충기
KR101810102B1 (ko) 친환경 모기 퇴치기
KR200478938Y1 (ko) 해충 포획기
KR102021366B1 (ko) 포충기
KR200484173Y1 (ko) 모기 퇴치기
KR101822098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살충 소음이 최소화된 휴대용 해충 기피 및 유인 살충기
KR20090009594A (ko) 해충 포획장치
JP3246344U (ja) 飛翔及び歩行害虫の捕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