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307B1 -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마감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마감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307B1
KR101590307B1 KR1020150129965A KR20150129965A KR101590307B1 KR 101590307 B1 KR101590307 B1 KR 101590307B1 KR 1020150129965 A KR1020150129965 A KR 1020150129965A KR 20150129965 A KR20150129965 A KR 20150129965A KR 101590307 B1 KR101590307 B1 KR 101590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inishing
bead foam
finishing structure
exteri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흥식
Original Assignee
함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흥식 filed Critical 함흥식
Priority to KR102015012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마감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은, 건물 외벽면에 일정 두께로 뿜칠로 도포시켜 도막층을 형성하는 1단계;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틀체를 상기 건물 외벽면에 고정시키도록 다수의 고정핀을 박아 시공하는 2단계; 상기 틀체 내에 알갱이 형상의 비드 폼을 부어 충진하고, 상온에서 경화시켜 판형의 단열재를 형성하는 3단계; 상기 단열재의 표면 및 틀체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몰탈을 도포하여 마감층을 형성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독, 무취, 무해의 진환경적 소재를 사용하여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고, 종래 스티로폼보다 단열효과는 두배 이상이며, 불연재 사용으로 화재에 강하며, 유해가스 발생이 없다.
또한 방수, 차음효과를 얻을 수 있고, 스톤몰탈 마감으로 강도가 유지되어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스톤몰탈 마감으로 인해 외관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시공 절차가 간단하여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마감구조물{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and thereof product for the exterior wall's finish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마감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에 불연성 도막 방수 조성물을 일정 두께로 시공하여 열전도를 방지하고, 불연성, 단열성, 내화성, 방수성, 방미성(곰팡이 세균 서식방지), 방식성, 방부성, 전기절연 성, 내화학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후성, 내 구성, 부착성, 내노화성, 내염수성, 내습성, 라돈방사능방출방지, 열에너지손실방지 가능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마감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여 건물에 누수가 발생하여 단열성능이 저하되고, 건물 외관이 많이 오염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건물 외벽 벽면에 보강섬유를 부착하고 아크릴 도막 방수제를 도포하여 준 후 상기 아크릴 도막 방수제에 도료를 도포하여 줌으로써 균열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시공된다.
건축물의 벽체를 구축함에 있어서는,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 양면을 구성하도록 바닥면에 수직설치된 세로부재사이의 좌우양측에 거푸집용 패널을 연속하여 조립하고, 간격유지구 등의 철물을 결속하며, 그 양표면에 지지재를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철근을 배근한 다음 반죽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구축된다
국내 특허출원 10-2000-0025210호에는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바닥면에 설치된 기초구조물상에 복수개의 세로보와 가로보를 조립하고, 상기 세로보사이에 바탕판을 조립하는 기초단계; 상기 바탕판표면에 폴리우레탄폼을 분사하여 일정두께를 갖는 1차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1차 분사단계; 상기 1차 폴리우레탄층의 복수개소에 앵커핀의 머리부를 압착식으로 삽입고정하는 핀고정단계; 상기 앵커핀이 고정된 1차 폴리우레탄층 표면에 폴리우레탄폼을 분사하여 일정두께를 갖는 2차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2차 분사단계; 상기 2차풀리우레탄층 표면상에 노출된 앵커핀의 핀부선단에 내부구조재를 고정한 후에 시멘트몰타르를 뿜칠하여 일정두께를 갖는 시멘트층을 형성하는 뿜칠단계: 및 상기 시멘트층을 미장하거나 벽체로 외벽을 마감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공정이 복잡하고, 불연성을 갖는 불연재를 시공하는 경우 단가가 상승되어 현실적으로 건축물에 적용하기 어려워 안전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 많은 비용적이 부담 및 작업 공정의 지연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물 외벽의 표면에 접착성을 갖는 탄성도막수정재를 도포하고, 그 표면에 알갱이 형태의 비드폼을 일정 두께로 충진시킨 후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불연성, 난연성, 열차단성 등의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고, 작업 공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마감구조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외벽면에 일정 두께로 뿜칠로 도포시켜 도막층을 형성하는 1단계;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틀체를 상기 건물 외벽면에 고정시키도록 다수의 고정핀을 박아 시공하는 2단계; 상기 틀체 내에 알갱이 형상의 비드 폼을 부어 충진하고, 상온에서 경화시켜 판형의 단열재를 형성하는 3단계; 상기 단열재의 표면 및 틀체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몰탈을 도포하여 마감층을 형성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1단계의 도막층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 styrene butadiene rubber),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glycol), 부틸아크릴-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실란공중합체(butylacryl-2ethylhexylacrylatemethylmethacryl acid-acrylsilan ecopolymer),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2소듐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polyacrylate- 2Sodiumcarboxymethylcellulose), 이산화티타늄(TiO2), 백토세립제, 조개세립제, 탄산칼슘세립제, 무기질세립제, 무기질안료, 중성수, 콜로이달 실리카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계의 틀체는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다수의 철사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부착 형성되며 미세공을 갖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단계의 비드 폼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 styrene butadiene rubber),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glycol), 부틸아크릴-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실란공중합체(butylacryl-2ethylhexylacrylatemethylmethacryl acid-acrylsilan ecopolymer),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2소듐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polyacrylate- 2Sodiumcarboxymethylcellulose), 이산화티타늄(TiO2), 백토세립제, 조개세립제, 탄산칼슘세립제, 무기질세립제, 무기질안료, 중성수, 콜로이달 실리카을 혼합하여 1차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1차 조성물에 운모분말, 퍼라이트분말, 알루미나 분말, 리튬실리게이트, 마그네슘분말을 혼합 및 교반시켜 2차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2차 조성물에 규산소다, 규산칼륨, 발포폴리스티렌비드 및 중성수를 혼합하여 알갱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외벽면에 형성되는 도막층;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도막층의 외면에 설치되고 고정핀으로 고정되도록 시공되는 틀체;를 포함하고, 상기 틀체 내에 충진되는 알갱이 형상의 비드 폼을 부어 충진하고, 상온에서 경화시켜 형성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표면 및 틀체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몰탈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마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외벽의 표면에 접착성을 갖는 탄성도막수정재를 도포하고, 그 표면에 알갱이 형태의 비드폼을 일정 두께로 충진시킨 후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불연성, 난연성, 열차단성 등의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고, 작업 공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독, 무취, 무해의 진환경적 소재를 사용하여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고, 종래 스티로폼보다 단열효과는 두배 이상이며, 불연재 사용으로 화재에 강하며, 유해가스 발생이 없다.
또한 방수, 차음효과를 얻을 수 있고, 스톤몰탈 마감으로 강도가 유지되어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스톤몰탈 마감으로 인해 외관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시공 절차가 간단하여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 외벽마감구조물은 물론 공동주택층간소음방지 및 바닥단열과 토목구조물 등 상수관부식및동결방지에 다양하게 습식 시공 접목이 용이하여 용도가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은, 건물 외벽면(100)에 형성되는 도막층(2);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도막층의 외면에 설치되고 고정핀으로 고정되도록 시공되는 틀체(4);를 포함하고, 상기 틀체(4) 내에 충진되는 알갱이 형상의 비드 폼(5)을 부어 충진하고, 상온에서 경화시켜 형성되는 단열재(6); 상기 단열재(6)의 표면 및 틀체(4)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몰탈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마감층(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막층(2)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아크릴-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실란공중합체(butylacryl-2ethylhexylacrylatemethylmethacryl acid-acrylsilanecopolymer);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2소듐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polyacrylate-2Sodiumcarboxymethylcellulose); 콜로이달 실리카; 중성수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투명무광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인 것이다.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온도변화에도 물질의 혼합결합과 점성을 안정되게 유지되고, 유화분산성, 내광성, 방부성, 방미성(공기의살균, 곰팡이세균번식방지)을 강화시키기게 된다.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을 사용하는 이유는 친수성 유화제로서 온도변화에도 조성물의 유화안정성으로 점성을 안정되게 유지되고, 부패와 동결을 방지하고, 살균성에 의한 곰팡이세균번식방지와 내광성에 의한 노화를 방지하는 친수성의 수산이온 비전해질 제품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은 전체 중량에 대해 12 중량%를 미달할 경우 유화안정성과 점성 및 기능성이 저감되고, 16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착성이 저감되어 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부틸아크릴-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실란공중합체(butylacryl-2ethylhexylacrylatemethylmethacryl acid-acrylsilanecopolymer)는 온도변화에도 물질의 혼합결합과 점성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도막의 방오성, 방식성, 내후성, 내열성, 전기절연성, 신장성과 균일한 경화성 및 부착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상기 부틸아크릴-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실란공중합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소수성유화제로서 친수성물질과의 가교결합으로 온도변화에도 물질성분의 혼합결합을 안정되게 유지되고, 방오성, 방식성, 내후성, 내열성, 부착성의 기능성과 경질성의 비전해질 탄성고무도막형성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부틸아크릴-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실란공중합체는 전체 중량에 대해 18중량%를 미달할 경우 도막의 탄성력과 점도조정기능이 저감되고,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지고 불균일한 혼합결합에 의하여 도장의 경화시간이 길어지면서, 건조 후에 울퉁불퉁한 자국이 발생 할 수 있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2소듐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polyacrylate-2Sodiumcarboxymethylcellulose)은 온도변화에도 물질의 혼합결합과 점성을 안정되게 유지되고, 도막의 고온성, 내염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분산안정성, 거품안정성, 내마모성과 균 일한 경화성 및 부착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상기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2카르복시메칠셀루로스나트륨을 사용하는 이유는 친수성 유화제로서, 온도변화에도 물질성분의 점성과 혼합결합을 안정되게 유지되고, 도막의 고온성, 내염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분산안정성, 거품안 정성, 내마모성과 균일한 경화성 및 부착력의 기능성과 비전해질 물질로서 경질성 의 도막형성과 지촉건조시간 및 완전건조시간이 빠른 경화성 때문이다.
또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2소듐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은 전체중량에 대해 12 중량% 를 미달할 경우에는 경화성이 저감될 수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빠른 경화성으로 점성이 증가되고, 도막에 박리와 크랙이 발생 될 수 있다.
콜로이달 실리카는 친수성물질로서 온도변화에도 물질의 혼합결합과 점성을 안정되게 유지되고, 도막의 방수성, 내열성, 내마모성, 충격성, 내노화성, 대전방지성과 도막의 균일한 경도를 강화시키게 된다.
콜로이달 실리카를 사용하는 이유는 유해물질이 없는 친수성 콜로이달 실리카로서 온도변화에도 물질의 혼합결합 과 점성을 안정되게 유지되고, 분산성, 방수성, 내열성, 내마모성, 충격성, 대전방지성과 도막의 균질한 경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는 전체중량에 대해 13 중량% 를 미달할 경우에는 도막의 경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17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성이 높아지고, 경화시간이 빠르게 진행되어 불규칙한 도막이 형성될 수 있다.
중성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소이온농도 7PH 정도의 물로서, 조성물의 점도와 건조시간 및 색상선명도를 조정하고, 용제와 희석재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중성수는 전체중량에 대해 25 중량% 를 미달할 경우에는 조성물의 혼합이 어렵고, 물질성분의 결합이 저하될 수 있으며,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규칙한 도막이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막층(2)에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가 더 혼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 styrene butadiene rubber)는 건설물의 내, 외장 마감구조물용 친환경 탄성도막방수 수성페인트 조성 물은 온도변화에도 물질의 혼합결합과 점성을 안정되게 유지되고, 도막의 방수성, 방미성, 방식성, 방부성, 전기절연성, 내화학성, 내유성, 내후성, 신장성과 부착력 및 탄성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틀체(4)는 금속 봉체를 용접 연결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미세한 공극을 갖는 메쉬망(3)으로 둘러싸여 내부에 충진되는 비드폼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면서 공기가 통할 수 있어 경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메쉬망(3)은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강메쉬(32)와 화이바그라스메쉬(34)가 중첩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2중 구조의 메쉬망(3)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되 초기에 겔 성상인 비드 폼(5)이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틀체(4)는 도막층(2)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 후 다수의 고정핀(42)을 박아 건물 외벽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단열재(6)는, 알갱이 형태의 비드 폼(5)이 충전된 후 경화되어 이루어지며, 스티로폼에 비해 단열, 불연, 난연,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마모성을 갖는다.
상기 단열재(6)는 두께가 25~75mm로 형성된다.
상기 비드 폼(5)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 styrene butadiene rubber),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glycol), 부틸아크릴-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실란공중합체(butylacryl-2ethylhexylacrylatemethylmethacryl acid-acrylsilan ecopolymer),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2소듐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polyacrylate- 2Sodiumcarboxymethylcellulose), 이산화티타늄(TiO2), 백토세립제, 조개세립제, 탄산칼슘세립제, 무기질세립제, 무기질안료, 중성수, 콜로이달 실리카를 혼합하여 1차 조성물을 형성한다.
상기 1차 조성물에 운모분말, 퍼라이트분말, 알루미나 분말, 리튬실리게이트, 마그네슘분말을 혼합시켜 2차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2차 조성물에 규산소다, 규산칼륨, 발포폴리스티렌비드 및 중성수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층(8)은 비드 폼(5)이 충진된 틀체(4)의 외면에 도포되는 것이며, 돌가루가 혼합된 스톤몰탈을 소재로 하여 그 두께가 5~10mm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에 대한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에 대한 시공방법은,
건물 외벽면(100)에 일정 두께로 뿜칠로 도포시켜 도막층(2)을 형성하는 1단계(S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틀체(4)를 상기 건물 외벽면(100)에 고정시키도록 다수의 고정핀을 박아 시공하는 2단계(S2);
상기 틀체(4) 내에 알갱이 형상의 비드 폼(5)을 부어 충진하고, 상온에서 경화시켜 판형의 단열재(6)를 형성하는 3단계(S3);
상기 단열재(6)의 표면 및 틀체(4)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몰탈을 도포하여 마감층(8)을 형성하는 4단계(S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단계(S1)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아크릴-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실란공중합체(butylacryl-2ethylhexylacrylatemethylmethacryl acid-acrylsilanecopolymer),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2소듐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polyacrylate-2Sodiumcarboxymethylcellulose), 콜로이달 실리카, 중성수를 혼합하여 도막 원료를 제조한 후 스프레이어를 이용하여 건물 외벽면(100)에 뿜칠하여 일정 두께의 도막층(2)을 형성한다.
2단계(S2)
도막층(2)의 외면에 틀체(4)를 밀착한 후 고정핀()을 박아 건물 외벽면(100)에 시공하여 고정시킨다.
3단계(S3)
틀체(4) 내에 비드 폼(5)을 충진시킨다. 일정 시간동안 상온에서 자연건조시켜 경화시킨다.
상기 3단계(S3)는 틀체(4)에 진동을 가해 내부에 충진된 비드 폼(5)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공극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공정이 포함된다.
틀체(4)에 바이브레이터를 연결시켜 진동을 가함으로써 비드 폼(5)이 다져지도록 하고, 다져지면서 생기는 공간에 다시 비드 폼(5)을 더 충진시키는 작업을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단열재(6)는 두께가 25~75mm로 형성되도록 한다.
4단계(S4)
상기 단열재(6)의 표면 및 틀체(4)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몰탈을 도포하여 마감층을 형성한다.
상기 마감층(8)은 비드 폼(5)이 충진된 틀체(4)의 외면에 돌가루가 혼합된 스톤몰탈을 도포하여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마감층(8)의 두께는 5~10mm로 형성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도막층 4 : 틀체
5 : 비드 폼 6 ; 단열재
8 ; 마감층

Claims (10)

  1. 건물 외벽면에 일정 두께로 뿜칠로 도포시켜 도막층을 형성하는 1단계;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틀체를 상기 건물 외벽면에 고정시키도록 다수의 고정핀을 박아 시공하는 2단계;
    상기 틀체 내에 알갱이 형상의 비드 폼을 부어 충진하고, 상온에서 경화시켜 판형의 단열재를 형성하는 3단계;
    상기 단열재의 표면 및 틀체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몰탈을 도포하여 마감층을 형성하는 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막층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아크릴-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실란공중합체(butylacryl-2ethylhexylacrylatemethylmethacryl acid-acrylsilanecopolymer),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2소듐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polyacrylate-2Sodiumcarboxymethylcellulose), 콜로이달 실리카, 중성수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투명무광의 수성페인트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폼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 styrene butadiene rubber),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glycol), 부틸아크릴-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산-아크릴실란공중합체(butylacryl-2ethylhexylacrylatemethylmethacryl acid-acrylsilan ecopolymer),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2소듐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polyacrylate- 2Sodiumcarboxymethylcellulose), 이산화티타늄(TiO2), 백토세립제, 조개세립제, 탄산칼슘세립제, 무기질세립제, 무기질안료, 중성수, 콜로이달 실리카를 혼합하여 1차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조성물에 운모분말, 퍼라이트분말, 알루미나 분말, 리튬실리게이트, 마그네슘분말을 혼합하여 2차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조성물에 규산소다, 규산칼륨, 발포폴리스티렌비드 및 중성수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은 비드 폼이 충진된 틀체의 외면에 도포되는 것이며, 돌가루가 혼합된 스톤몰탈을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7. 건물 외벽면에 형성되는 도막층;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도막층의 외면에 설치되고 고정핀으로 고정되도록 시공되는 틀체;를 포함하고,
    상기 틀체 내에 충진되는 알갱이 형상의 비드 폼을 부어 충진된 후 상온에서 경화시켜 형성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표면 및 틀체의 표면에 일정두께로 몰탈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마감층;을 포함하고,
    상기 틀체는 금속 봉체를 용접 연결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미세한 공극을 갖는 메쉬망으로 둘러싸여 내부에 충진되는 비드폼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면서 공기가 통할 수 있어 경화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은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강메쉬와 화이바그라스메쉬가 중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은 비드 폼이 충진된 틀체의 외면에 도포되는 것이며, 돌가루가 혼합된 스톤몰탈을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KR1020150129965A 2015-09-14 2015-09-14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마감구조물 KR101590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965A KR101590307B1 (ko) 2015-09-14 2015-09-14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마감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965A KR101590307B1 (ko) 2015-09-14 2015-09-14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마감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307B1 true KR101590307B1 (ko) 2016-01-29

Family

ID=5531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965A KR101590307B1 (ko) 2015-09-14 2015-09-14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마감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3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314B1 (ko) * 2016-02-02 2018-01-25 그린코타인슐레이션주식회사 건축물 마감재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KR20180080598A (ko) 2017-01-04 2018-07-12 백종균 에이 빔을 이용한 친환경 벽체구조와 그 시공방법
KR20180080593A (ko) 2017-01-04 2018-07-12 백종균 날개빔 트러스를 이용한 친환경 벽체와 앵글
KR102002091B1 (ko) 2019-01-10 2019-07-22 임영석 외벽 마감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782A (ja) * 2002-03-01 2003-09-10 Kato Tosoten:Kk 断熱工法およびその断熱構造体ならびに樹脂モルタル
KR101369208B1 (ko) * 2013-08-20 2014-03-03 주식회사 에코인프라홀딩스 불연성 충진 단열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조립식 건식 벽체 시스템 및 마감일체형 조립식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782A (ja) * 2002-03-01 2003-09-10 Kato Tosoten:Kk 断熱工法およびその断熱構造体ならびに樹脂モルタル
KR101369208B1 (ko) * 2013-08-20 2014-03-03 주식회사 에코인프라홀딩스 불연성 충진 단열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조립식 건식 벽체 시스템 및 마감일체형 조립식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314B1 (ko) * 2016-02-02 2018-01-25 그린코타인슐레이션주식회사 건축물 마감재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KR20180080598A (ko) 2017-01-04 2018-07-12 백종균 에이 빔을 이용한 친환경 벽체구조와 그 시공방법
KR20180080593A (ko) 2017-01-04 2018-07-12 백종균 날개빔 트러스를 이용한 친환경 벽체와 앵글
KR102002091B1 (ko) 2019-01-10 2019-07-22 임영석 외벽 마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307B1 (ko) 건축물의 외벽 마감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마감구조물
ES2738525T3 (es) Materiales de uso general que incorporan una matriz de micropartículas
EA038281B1 (ru) Смесь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для защиты от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излучения
JP2022538945A (ja) 防音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19405B1 (ja) 建築用塗料組成物及び建築用塗料並びに建築物内外装の施工方法
KR101703881B1 (ko)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
US6730160B2 (en) Method of manufacture of structural insulating building materials
KR20220072001A (ko) 무수축 미장 몰탈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CN105239745B (zh) 一体化墙板及其板缝处理方法
RU2650144C2 (ru) Материал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KR101590305B1 (ko) 불연성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비드 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5429B1 (ko) 단열효과를 강화시킨 건축물의 단열방수공법
JP4745111B2 (ja) 無機質発泡板製造方法
KR101886180B1 (ko) 결로방지 단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결로방지 단열 시공 방법
RU617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гнезащиты строительны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 деревя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RU141514U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система теплоизоляции
KR102409842B1 (ko) 불소 우레아 발포액, 주입제 및 pud 아크릴 주입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배면방수공법
CN220704809U (zh) 一种阳台外墙保温板结构
JP2022543385A (ja) 断熱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051491A (zh) 隔离材料及其生产方法
KR200412082Y1 (ko) 불연과 난연의 건축물 내, 외장 패널
EP3994107A1 (en)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KR20200024974A (ko) 불연단열재 및 메탈라스망을 이용한 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0729846B1 (ko) 단열 소재 및 단열 소재의 제조 방법
JP2004204636A (ja) 断熱体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