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613B1 - 컴포짓로드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컴포짓로드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613B1
KR101589613B1 KR1020140116408A KR20140116408A KR101589613B1 KR 101589613 B1 KR101589613 B1 KR 101589613B1 KR 1020140116408 A KR1020140116408 A KR 1020140116408A KR 20140116408 A KR20140116408 A KR 20140116408A KR 101589613 B1 KR101589613 B1 KR 101589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composite
loader
ro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유석
Original Assignee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6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포짓로드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컴포짓로드를 오븐으로 이송하는 오븐컨베어; 상기 오븐컨베어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로딩머신본체; 상기 로딩머신본체의 상단에 고정된 로딩테이블; 상기 로딩테이블상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수평상으로는 상기 오븐컨베어까지 연장된 로더; 상기 로딩테이블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딩안착대; 상기 로딩안착대의 직상방에 대응설치되고, 상기 로더를 따라 왕복운동되며, 상기 로딩안착대에 안착된 컴포짓로드를 파지하는 로딩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짓로드 로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로드 형태의 컴포짓로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어 공급효율이 향상되고, 정확한 공급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컴포짓로드 로딩장치{COMPOSITE ROD LOADING DEVICE}
본 발명은 컴포짓로드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포짓로드를 원활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컴포짓로드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범퍼빔은 차량의 저속 충돌시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차량의 물리적인 손상을 최초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자동차 전,후방에 배치되는 완충수단이다.
이러한 범퍼빔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중량을 늘려야 되는데, 중량을 증대시키게 되면 비용이 함께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중량을 줄이게 되면 강도가 줄어 들게 되므로 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게 되는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
이에, 경량화 소재를 사용하면서 강도는 높인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 이를 테면 GMT(Glass fiber Mat Thermoplastic) 소재가 개발된 바 있다.
여기에서, 상기 GMT 소재는 범용수지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와 글래스 파이버 매트(Glass fiber Mat) 강화재로 이루어진 판상 형태의 복합 소재로서, 특히 T-Die를 통해 압출된 용융상태의 폴리프로필렌과 글래스 파이버 넌-우븐 매트(Glass fiber non-woven Mat)가 직접 함침되어 수지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고, 글래스(Glass) 자체의 강도가 매트(Mat)상으로 보강되어 기존의 어떤 소재보다도 우수한 강도를 보이며, 플라스틱 고유의 특성인 경량성, 디자인 자유도는 물론 열가소성 수지에서 기인하는 높은 생산성, 재활용성 등의 특징을 갖는 신소재이다.
이와 같은 GMT 소재는 경량화가 가능하고, 충돌 에너지의 흡수성이 우수하며,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되고, 조립성은 물론 내부식성, 강성, 복원성, 차음성, 제진성, 탄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여 범퍼빔, 시트백(Seat Back), 언더커버(Undercover) 등에 사용될 차세대 복합소재로서 주목 받고 있다.
한편, 차량이 보행자와 충돌시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행자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해 도 1과 같이, 범퍼빔(100) 하부에 로워 스티프너(200)를 개시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0691199호, 공개특허 제2001-0103288호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도 2의 예시와 같이, 범퍼빔(100)을 오븐에 투입하기 위한 장치는 범퍼빔(100)을 만들기 위한 원재료인 GMT가 시트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주로 에어섹션방식으로 시트상의 GMT를 흡입한 다음 오븐으로 투입하였다.
하지만, 로워 스티프너(200)로 사용되는 컴포짓로드는 원형막대인 로드(rod) 형태이므로 흡착하여 함께 공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GMT와 함께 공급하지 않더라도 컴포짓로드 자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필요성 때문에 창출된 것으로, 원형로드 형태의 컴포짓로드를 범퍼빔에 장착하기 위해 오븐 상에서 성형되도록 오븐쪽으로 공급할 때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킨 컴포짓로드 로딩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컴포짓로드를 오븐으로 이송하는 오븐컨베어; 상기 오븐컨베어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로딩머신본체; 상기 로딩머신본체의 상단에 고정된 로딩테이블; 상기 로딩테이블상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수평상으로는 상기 오븐컨베어까지 연장된 로더; 상기 로딩테이블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딩안착대; 상기 로딩안착대의 직상방에 대응설치되고, 상기 로더를 따라 왕복운동되며, 상기 로딩안착대에 안착된 컴포짓로드를 파지하는 로딩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짓로드 로딩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로딩클램프는 작동로드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로드는 작동실린더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실린더는 볼스크류에 치결합되고, 상기 볼스크류는 상기 로더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볼스크류는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로더의 선단 일측면에 고정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로딩안착대의 양측에는 검출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로딩안착대 상에서 컴포짓로드의 유무를 확인 검출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검출센서는 근접센서 또는 포토센서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로딩머신본체의 전방에는 상기 로딩테이블을 향해 경사 연장된 투입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가이드는 다수의 컴포짓로드가 수납된 수납대 상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가이드의 내부에는 상기 수납대 상의 컴포짓로드를 하나씩 상승이동시키는 무한궤도형 컨베어가 설치되고, 상기 투입가이드의 상단에는 상기 로딩안착대를 향해 경사배열된 로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로드 형태의 컴포짓로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어 공급효율이 향상되고, 정확한 공급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범퍼빔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범퍼빔 성형소재의 공급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짓로드 로딩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짓로드 로딩장치의 예시적인 샘플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포짓로드 로딩장치는 오븐컨베어(100)를 포함한다.
상기 오븐컨베어(100)는 피성형재료를 오븐(Oven)으로 투입 공급하기 위한 이송수단이다.
이러한 오븐컨베어(100)는 통상 롤러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오븐컨베어(100)의 투입단 전방에는 오븐컨베어(100)와 간격을 두고 로딩머신본체(200)가 구비된다.
상기 로딩머신본체(200)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하며, 다수의 프레임들이 사각형상으로 짜여진 일종의 틀체이다.
아울러, 상기 로딩머신본체(200)의 상단에는 로딩테이블(210)이 고정되고, 상기 로딩테이블(210)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딩안착대(2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로딩안착대(220)는 로딩테이블(21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되며, 로딩된 컴포짓로드가 안정적으로 안착지지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로딩안착대(220)의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딩클램프(230)가 구비되는데, 상기 로딩클램프(230)는 상기 로딩안착대(220)의 갯수와 대응되게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로딩안착대(220) 및 로딩클램프(230)의 갯수는 많을 수록 처리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다수개 구비할 수 있지만, 하나를 사용해도 무방한 바, 이는 공정속도에 맞춰 상기 로딩클램프(230)의 전후진 속도를 조절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면상 2개의 로딩안착대(220)와 로딩클램프(230)가 도시되어 있지만 한 개의 경우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로딩클램프(230)는 로더(240)에 설치된다.
상기 로더(240)는 다수의 지지대(250)를 통해 로딩테이블(210) 상에 고정되며, 상기 로딩머신본체(200)로부터 오븐컨베어(100)를 향해 연장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로더(240)에는 볼스크류(260)이 설치되고, 상기 볼스크류(260)의 일단에는 구동모터(270)가 연결되어 상기 볼스크류(260)를 제자리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270)는 상기 로더(240) 상에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클램프(230)는 작동로드(280)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로드(280)는 작동실린더(290)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실린더(290)는 상기 볼스크류(260)에 끼워진 채 치결합되어 이의 회전시 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실린더(290)에는 상기 볼스크류(260)와 치결합할 수 있는 스크류블럭(미도시)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볼스크류(260) 회전시 상기 작동실린더(290)가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가이드바(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다만, 너무 일반적인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하지 않았을 뿐이다.
또한, 상기 로딩머신본체(200)의 전방측에는 상기 로딩테이블(210)을 향해 경사연장된 투입가이드(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가이드(300)의 상단은 상기 로딩테이블(210) 보다 높게 배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가이드(300)의 내부에는 무한궤도 형태로 반복회전하는 로딩컨베어(미도시)가 내장되어 컴포짓로드(C)를 퍼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투입가이드(300)의 상단에는 상기 로딩안착대(220)를 향해 경사 연장된 로딩가이드(31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가이드(300)의 하측에는 수납대(32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대(320)는 다수의 컴포짓로드(C)가 로딩을 위해 대기하도록 수납되는 장소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로딩안착대(220)에는 검출센서, 바람직하게는 근접센서 혹은 포토센서가 설치되어 로딩안착대(220) 상에 컴포짓로드가 존재하는지 안하는지를 검출하고, 이 신호를 기반으로 컨트롤패널이 본 발명 로딩머신, 즉 로딩장치의 동작을 세밀하게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먼저, 수납대(320)에 적치되어 있던 컴포짓로드(C)가 투입가이드(300)를 타고 한 개씩 상승하여 투입가이드(300)의 상단에 이른다.
상단에 이른 컴포짓로드(C)는 로딩가이드(310)를 타고 자연스럽게 굴러 내려 로딩안착대(220) 상에 안착된다.
그러면, 검출센서가 이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컨트롤패널은 작동실린더(290)를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로딩클램프(230)는 로딩안착대(220) 상에 안착되어 있는 컴포짓로드(C)를 클램핑하고, 클램핑이 완료되면 상승하며, 상승이 완료되면 구동모터(270)가 회전하면서 볼스크류(260)를 돌려 작동실린더(290)를 오븐컨베어(100) 쪽으로 이송시킨다.
이송이 완료되면, 다시 작동실린더(290)가 하강하여 컴포짓로드(C)가 오브컨베어(100)의 직상방에 위치되도록 하며, 그 상태에서 언클램핑함으로써 컴포짓로드(C)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공급이 완료되면, 상술한 역순으로 동작하여 다음 컴포짓로드(C)를 동일한 방식으로 이송하게 된다.
물론, 다수개의 로딩클램프(230)가 구비된 경우라면 동작 순서를 정하여 제어함으로써 더욱 더 빠른 속도로 로딩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오븐컨베어 200: 로딩머신본체
300: 투입가이드

Claims (5)

  1. 컴포짓로드를 오븐으로 이송하는 오븐컨베어;
    상기 오븐컨베어의 전방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로딩머신본체;
    상기 로딩머신본체의 상단에 고정된 로딩테이블;
    상기 로딩테이블상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수평상으로는 상기 오븐컨베어까지 연장된 로더;
    상기 로딩테이블 상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딩안착대;
    상기 로딩안착대의 직상방에 대응설치되고, 상기 로더를 따라 왕복운동되며, 상기 로딩안착대에 안착된 컴포짓로드를 파지하는 로딩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로딩머신본체의 전방에는 상기 로딩테이블을 향해 경사 연장된 투입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가이드는 다수의 컴포짓로드가 수납된 수납대 상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가이드의 내부에는 상기 수납대 상의 컴포짓로드를 하나씩 상승이동시키는 무한궤도형 컨베어가 설치되고, 상기 투입가이드의 상단에는 상기 로딩안착대를 향해 경사배열된 로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짓로드 로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딩클램프는 작동로드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로드는 작동실린더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실린더는 볼스크류에 치결합되고, 상기 볼스크류는 상기 로더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볼스크류는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로더의 선단 일측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짓로드 로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딩안착대의 양측에는 검출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로딩안착대 상에서 컴포짓로드의 유무를 확인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짓로드 로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검출센서는 근접센서 또는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짓로드 로딩장치.
  5. 삭제
KR1020140116408A 2014-09-02 2014-09-02 컴포짓로드 로딩장치 KR101589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408A KR101589613B1 (ko) 2014-09-02 2014-09-02 컴포짓로드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408A KR101589613B1 (ko) 2014-09-02 2014-09-02 컴포짓로드 로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613B1 true KR101589613B1 (ko) 2016-01-29

Family

ID=5531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408A KR101589613B1 (ko) 2014-09-02 2014-09-02 컴포짓로드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6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760A (ko) * 1991-11-28 1993-06-21 하기주 지관의 확관장치
KR20030004200A (ko) * 2002-11-26 2003-01-14 삼협산업 주식회사 자동으로 파이프를 확관 포밍 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78805A (ko) * 2012-12-17 2014-06-2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빔류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760A (ko) * 1991-11-28 1993-06-21 하기주 지관의 확관장치
KR20030004200A (ko) * 2002-11-26 2003-01-14 삼협산업 주식회사 자동으로 파이프를 확관 포밍 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78805A (ko) * 2012-12-17 2014-06-2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빔류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120B1 (ko) 합성수지 발포 패널 커팅기
CN104028986B (zh) 一种垫片自动贴合装置
US7637471B2 (en) Component loading tool for assembly operations
CN113787536B (zh) 喇叭平板组装线
KR20180061987A (ko) 가변 롤 포밍 시스템용 소재이송장치
CN103042381A (zh) 车灯调光马达用调节螺杆总成自动套o型圈治具
KR101589613B1 (ko) 컴포짓로드 로딩장치
KR102053476B1 (ko) 창호용 프로파일의 보강재 자동 체결장치 및 방법
CN210258629U (zh) 一种改进型物流搬运agv
CN111017538A (zh) 一种石球自动输送架
WO2011122992A3 (ru) Двухмерная двухъярусная парковка с зацеплением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поддона за боковую поверхность
CN211140513U (zh) 板材对中架
CN103723449B (zh) 一种用于砂型运输的翻转式清砂结构
CN110871920B (zh) 一种家装板材运输用包装机器人
CN210451715U (zh) 一种三料道机器人汽车门板卡扣安装机构
CN208198973U (zh) 料箱出库运输系统
KR101362404B1 (ko) 클램프 조립체 구조
CN210212986U (zh) 瓶胚精确定位装置
KR101614729B1 (ko) 승용이앙기용 햇빛 가리개
CN208761637U (zh) 一种货箱的自动搬运装置
CN106586584B (zh) 空调地脚搬送机
CN216827259U (zh) 一种快递分拣设备
CN214269271U (zh) 一种车用空调铝管加工上料装置
CN111203490A (zh) 一种两工位钣金冲压上料装置
CN219216708U (zh) 一种自动下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