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945B1 -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 Google Patents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945B1
KR101588945B1 KR1020140021573A KR20140021573A KR101588945B1 KR 101588945 B1 KR101588945 B1 KR 101588945B1 KR 1020140021573 A KR1020140021573 A KR 1020140021573A KR 20140021573 A KR20140021573 A KR 20140021573A KR 101588945 B1 KR101588945 B1 KR 101588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air supply
drying
sponge
w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151A (ko
Inventor
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2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945B1/ko
Publication of KR2015010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00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 B41F3/46Details
    • B41F3/52Apparatus for cooling, heating, or drying prin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00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 B41F3/46Details
    • B41F3/81Ink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2Lith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ing methods other than those involving the exposure to radiation, e.g. by st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게하게는, 인쇄롤 표면의 습윤 상태(wet condition)를 측정하고, 측정된 인쇄롤 표면의 습윤 상태에 근거하여 에어 공급 노즐 및 스펀지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인쇄롤 상에서의 습윤 상태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APPARATUS FOR DRYING AND WETTING ROLLER}
본 발명은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롤 표면의 습윤 상태(wet condition)를 측정하고, 측정된 인쇄롤 표면의 습윤 상태에 근거하여 에어 공급 노즐 및 스펀지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인쇄롤 상에서의 습윤 상태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회로 소자 및 LCD, PDP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미세 패턴은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에 의해 형성되는데, 대체로 코팅, 노광, 현상, 세정, 경화의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그러나, 포토리소그래피는 원하는 패턴을 정밀하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단계의 공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과 포토레지스트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재료들이 사용된다는 점, 그리고 코팅 등의 공정에서 많은 양의 포토레지스트가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포토리소그래피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롤 프린팅 방식에 의해 미세 패턴을 얻는 기술이 제안되어 연구 개발되고 있다.
패턴 형성을 위한 롤 프린팅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컬러 필터의 구성 요소인 R(Red), G(Green), B(Blue)의 컬러 및 BM(Black Matrix)패턴 뿐만 아니라 TFT(Thin Film Transistor), 및 PDP(Plasma Display Panel)의 전극 형성용 패턴과 격벽 재료의 패턴 전사 등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일반적인 롤 프린팅 장치는 대체로 코터, 인쇄롤(즉 블랭킷롤), 인쇄롤 구동 장치, 클리쉐 또는 기판 스테이지와 스테이지 얼라인을 위한 구동 장치를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하며, 이에 더하여 클리쉐 및/또는 배관 세정장치, 블랭킷롤에 흡수된 용제를 흡수하여 블랭킷롤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장치 및 각종 센서 장치 등을 부가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오프셋 인쇄를 수행함에 있어서 인쇄 정밀도나 인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클리쉐와 블랭킷롤 사이의 잉크(즉 인쇄물)의 오프(off)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잉크의 오프(off) 및 셋(set)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잉크 용제량, 클리쉐와 블랭킷롤 사이의 인압(롤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 블랭킷롤의 습윤 정도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블랭킷롤이 너무 건조하거나 반대로 너무 습윤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잉크의 오프, 셋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인쇄 정밀도나 인쇄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쇄롤(즉 블랭킷롤) 표면에서의 건조 정도와 습윤 정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안출하기에 이르렀다.
일본공개특허 제2012-143988호
이에, 본 발명은 인쇄롤 표면의 습윤 상태(wet condition)를 측정하고, 측정된 인쇄롤 표면의 습윤 상태에 근거하여 에어 공급 노즐 및 상기 스펀지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인쇄롤 상에서의 습윤 상태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롤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롤을 건조시키는 에어 공급 노즐; 상기 롤 표면에 접촉하여 롤을 웨팅시키는(wetting) 스펀지롤; 상기 롤 표면의 습윤 상태(wet condition)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부; 및 상기 습도 센서부에서 측정한 상기 롤 표면의 습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에어 공급 노즐 및 상기 스펀지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펀지롤과 연결된 에어 실린더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펀지롤의 위치를 조절하고, 그로 인해 상기 스펀지롤과 상기 롤 사이의 간격 및 접촉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펀지롤은 하나 이상 존재하며, 그리고 상기 스펀지롤은 상기 롤의 양측 말단부 및 중앙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는, 상기 스펀지롤이 용제를 함유할 수 있도록 상기 스펀지롤 내에 용제를 공급하는 니들형(niddle type) 용제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공급 노즐과 연결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에어 공급 노즐로부터 상기 롤로 공급되는 에어의 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 공급 노즐은 하나 이상 존재하며,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 공급 노즐의 에어 공급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 공급 노즐과 에어 공급부 사이에는 고온 히터부가 제공되어, 상기 에어 공급 노즐로부터 상기 롤로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는 인쇄롤, 하부 서포팅롤 및 피인쇄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적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습도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롤 표면의 습윤 상태가 일정한 값보다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펀지롤과 상기 롤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롤 표면의 습윤 상태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습도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롤 표면의 습윤 상태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공급 노즐을 제어하여 상기 롤 표면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롤 표면의 습윤 상태를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롤 표면의 습윤 상태(wet condition)를 측정하고, 측정된 인쇄롤 표면의 습윤 상태에 근거하여 에어 공급 노즐 및 스펀지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인쇄롤 상에서의 습윤 상태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에어 실린더를 이용하여 스펀지롤과 인쇄롤 사이의 간격 및 접촉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고 그리고 에어 공급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의 양, 온도 및 분사 타이밍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인쇄롤 표면의 습윤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스펀지롤이 제공됨으로써 인쇄롤의 양측 말단부, 중앙부 및 전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즉 국부적으로) 웨팅(wetting)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상술된 효과로 인하여, 인쇄롤과 클리쉐 사이의 인쇄물의 오프 및 셋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고 인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는 필름형 금속 메쉬의 오프셋 프린팅 방식에 사용되는 인쇄롤뿐만 아니라, 하부 서포팅롤 및 피인쇄필름 등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10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스펀지롤(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10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스펀지롤(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100)는 에어 공급 노즐(10), 스펀지롤(20), 습도 센서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100)는 후술되는 인쇄롤(50), 하부 서포팅롤 및 피인쇄필름(F)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에 적용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100)가 인쇄롤(50) 상에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에어 공급 노즐(10)은 인쇄롤(50)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인쇄롤(50)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에어 공급 노즐(10)의 일측은 에어 공급부(12)와 연결되고 타측은 인쇄롤(50) 표면과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에어 공급 노즐(10)과 인쇄롤(50) 사이의 간격은 적용 대상이나 작업 공정 등에 따라 제어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에어 공급부(12)는 에어 공급 노즐(10)로 에어를 공급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에어 공급부(12)는 압축기(air compressor)와 같이 에어 공급 노즐(10)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하면 충분하며 다양한 구성 요소가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에어 공급부(12)와 에어 공급 노즐(10) 사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1)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11)로 인하여 에어 공급부(12)로부터 에어 공급 노즐(10)로 유입되는 에어의 양을 제어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에어 공급 노즐(10)로부터 인쇄롤(50)로 분사되는 에어의 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에어 공급부(12)와 에어 공급 노즐(10) 사이에는 고온 히터부(도시 안됨)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고온 히터부로 인하여 에어 공급 노즐(10)에서 인쇄롤(50)로 분사되는 에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에어 공급 노즐(10)은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어 공급 노즐(10)의 개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100)가 적용되는 적용 대상이나 작업 공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에어 공급 노즐(10)이 하나 이상인 경우, 이러한 하나 이상의 에어 공급 노즐(10)의 에어 공급 타이밍은 적절하게 제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에어 공급 노즐(10)에서 인쇄롤(50)로 분사되는 에어의 양, 온도 및 각각의 에어 공급 노즐(10)의 분사 타이밍 등은 후술되는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스펀지롤(20)은 인쇄롤(50) 표면에 접촉하여 인쇄롤(50)을 웨팅시키는(wetting)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스펀지롤(20)의 일측은 에어 실린더(21)와 연결되고 타측은 인쇄롤(50) 표면과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에어 실린더(21)는 스펀지롤(20)과 연결되어 스펀지롤(20)의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러한 에어 실린더(21)로 인해 스펀지롤(20)과 인쇄롤(50) 사이의 간격 및 접촉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에어 실린더(21)는 스펀지롤(20)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면 충분하며 다양한 구성 요소가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스펀지롤(20)을 이용하여 인쇄롤(50)을 웨팅시키기 위해서는 스펀지롤(20)이 일정한 용제를 함유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스펀지롤(20) 상부측에는 스펀지롤(20) 내에 용제를 공급하는 니들형(niddle type) 용제 공급 장치(22)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니들형 용제 공급 장치(22)는 작업 공정 상에 필요한 용제량을 스펀지롤(20) 상에 주기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니들형 용제 공급 장치(22)는 그 선단부의 직경이 매우 작아 필요한 용제의 양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펀지롤(20)은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펀지롤(20)의 개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100)가 적용되는 적용 대상이나 작업 공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펀지롤(20)은 인쇄롤(50)의 양측 말단부 및 중앙부 측에 위치할 수 있다(즉 양측 말단부에 각각 1개, 중앙부 전면측에 1개). 이러한 경우, 각각의 스펀지롤(20)에 상응하도록 에어 실린더(21)도 제공되게 되며, 이러한 에어 실린더(21)는 각각의 스펀지롤(20)과 인쇄롤(50) 사이의 간격 및 접촉 상태 등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스펀지롤(20)을 이용하여 인쇄롤(50)의 양측 말단부, 중앙부 및 전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즉 국부적으로) 웨팅시킬 수 있게 된다(도 2(a) 및 도 2(b) 참고).
추가적으로, 각각의 스펀지롤(20)은 그 폭(즉, 롤의 너비)이 상이한 롤이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양측 말단부에 위치하는 스펀지롤 2개와 중앙부 전면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스펀지롤의 너비의 합이 인쇄롤(50)의 전체 너비와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스펀지롤(20)을 이용하여 (즉, 각각의 스펀지롤(20)을 사용하거나 비사용하는 제어를 통하여) 인쇄롤(50)의 일 부분을 선택적으로 웨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롤(50)의 전체 부분을 웨팅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에어 실린더(21)에 의한 스펀지롤(20)의 위치 및 간격 조정, 니들형 용제 공급 장치(22)에서의 용제의 공급 간격 및 공급양 등은 후술되는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습도 센서부(30)는 인쇄롤(50) 표면의 습윤 상태(wet condition)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습도 센서부(30)는 하나 이상의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습도 센서부(30)는 각각의 습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인쇄롤(50) 표면의 습윤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쇄롤(50) 표면의 습윤 상태를 수치적으로 산출하고, 이러한 산출값을 제어부(40)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습도 센서의 종류 및 습도 센서부(30)가 인쇄롤(50) 표면의 습윤 상태를 측정하여 일정한 수치값으로 산출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40)는 습도 센서부(30)에서 측정한 인쇄롤(50) 표면의 습윤 상태에 근거하여 에어 공급 노즐(10) 및 스펀지롤(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습도 센서부(30)는 하나 이상의 습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인쇄롤(50) 표면의 습윤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쇄롤(50) 표면의 습윤 상태를 수치적으로 산출하고 이러한 산출값을 제어부(40)로 전달하게 된다.
제어부(40)는 산출값을 기설정된 일정한 값과 비교하여 인쇄롤(50) 표면의 습윤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산출값이 일정한 값보다 미만인 경우(즉 인쇄롤(50) 표면의 습윤 상태가 상대적으로 건조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40)는 에어 실린더(21)를 제어하여 스펀지롤(20)을 이동시켜 스펀지롤(20)과 인쇄롤(50)을 접촉시킴으로써 인쇄롤(50) 표면의 습윤 상태를 상승시키게 된다.
반면에 산출값이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즉 인쇄롤(50) 표면이 상대적으로 웨팅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40)는 솔레노이드 밸브(11) 및 에어 공급 노즐(10)을 제어하여 인쇄롤(50) 표면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인쇄롤(50) 표면의 습윤 상태를 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산출값이 일정한 값인 경우에는 제어부(40)는 현재 인쇄롤(50) 표면의 습윤 상태가 적정한 상태라고 판단되어 별도의 추가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필요한 경우에는 스펀지롤(20)의 습윤 상태 점검이나 니들형 용제 공급 장치(22)를 이용한 스펀지롤(20)로의 용제 공급 등의 추가 공정 등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100)는 코팅부(60)가 인쇄롤(50)에 인쇄물을 도포하고, 클리쉐(70)가 인쇄롤(10)의 외주면과의 접촉하여 인쇄롤(50) 상에 도포된 인쇄물 중 일부를 제거하여 인쇄물 패턴을 형성한 후에, 에어 공급 노즐(10)을 이용한 건조 공정 및 스펀지롤(20)을 이용한 습윤 공정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나, 이러한 수행 단계는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에 의하면 인쇄롤 표면의 습윤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인쇄롤 표면의 습윤 상태에 근거하여 에어 공급 노즐 및 스펀지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인쇄롤 상에서의 습윤 상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그로 인해 인쇄롤과 클리쉐 사이의 인쇄물의 오프 및 셋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에어 공급 노즐
11 : 솔레노이드 밸브 12 : 에어 공급부
20 : 스펀지롤
21 : 에어 실린더 22 : 니들형 용제 공급 장치
30 : 습도 센서부
40 : 제어부
50 : 인쇄롤

Claims (10)

  1. 롤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롤을 건조시키는 에어 공급 노즐;
    상기 롤 표면에 접촉하여 롤을 웨팅시키는(wetting) 스펀지롤;
    상기 롤 표면의 습윤 상태(wet condition)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부; 및
    상기 습도 센서부에서 측정한 상기 롤 표면의 습윤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에어 공급 노즐 및 상기 스펀지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펀지롤과 연결된 에어 실린더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펀지롤의 위치를 조절하고, 그로 인해 상기 스펀지롤과 상기 롤 사이의 간격 및 접촉 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롤은 하나 이상 존재하며, 그리고
    상기 스펀지롤은 상기 롤의 양측 말단부 및 중앙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는,
    상기 스펀지롤이 용제를 함유할 수 있도록 상기 스펀지롤 내에 용제를 공급하는 니들형(niddle type) 용제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공급 노즐과 연결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에어 공급 노즐로부터 상기 롤로 공급되는 에어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노즐은 하나 이상 존재하며,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 공급 노즐의 에어 공급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 노즐과 에어 공급부 사이에는 고온 히터부가 제공되어, 상기 에어 공급 노즐로부터 상기 롤로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는 인쇄롤, 하부 서포팅롤 및 피인쇄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롤 표면의 습윤 상태가 일정한 값보다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펀지롤과 상기 롤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롤 표면의 습윤 상태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롤 표면의 습윤 상태가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공급 노즐을 제어하여 상기 롤 표면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롤 표면의 습윤 상태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KR1020140021573A 2014-02-24 2014-02-24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KR101588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573A KR101588945B1 (ko) 2014-02-24 2014-02-24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573A KR101588945B1 (ko) 2014-02-24 2014-02-24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151A KR20150100151A (ko) 2015-09-02
KR101588945B1 true KR101588945B1 (ko) 2016-01-26

Family

ID=5424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573A KR101588945B1 (ko) 2014-02-24 2014-02-24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9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1109A (ja) * 2002-03-29 2003-10-14 Bridgestone Corp 木質系床材の調湿方法
JP2008006775A (ja) * 2006-06-30 2008-01-17 Noritsu Koki Co Ltd プリント装置
JP2012143988A (ja) * 2011-01-13 2012-08-02 Ihi Corp ロールブランケット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195A (ko) * 2000-07-11 2002-01-19 이구택 슬래브 절단설 제거여부 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1109A (ja) * 2002-03-29 2003-10-14 Bridgestone Corp 木質系床材の調湿方法
JP2008006775A (ja) * 2006-06-30 2008-01-17 Noritsu Koki Co Ltd プリント装置
JP2012143988A (ja) * 2011-01-13 2012-08-02 Ihi Corp ロールブランケット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151A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437B1 (ko) 원통형 금형 표면을 코팅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US20150314323A1 (en) Imprinting apparatus and imprinting method thereof
JP2006289239A (ja) 溶液の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101722005B1 (ko)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코팅 강판의 제조장치
TW201300241A (zh) 印刷機
WO2019000823A1 (zh) 涂胶设备
CN102825907A (zh) 用于uv凝胶墨扩展的方法、设备和系统
KR101588945B1 (ko) 롤의 건조 및 습윤 장치
KR20170052740A (ko)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코팅 강판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0162729B1 (ko) 인쇄기 내의 웹의 습도 조절 방법 및 장치
JP2006289355A (ja) 薄膜形成装置及び薄膜形成方法
JP2008006705A (ja) 印刷装置
JP2008230177A (ja) 凸版印刷装置
KR101445442B1 (ko)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KR101207069B1 (ko) 롤 프린팅 장치
JP2004153005A (ja) 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と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の製造方法、ならびに、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装置
KR101598340B1 (ko) 롤투롤 프린트 에칭 시스템
JP6831753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クリーニング方法、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KR20110137970A (ko) 스크린 프린터
KR20190032866A (ko) 솔더 페이스트 인쇄용 스퀴지 장치
KR102110925B1 (ko) 스크린 인쇄장치
US20240059087A1 (en) Gravure printing device
JP2008006706A (ja) 印刷装置
JP2010181536A (ja) 乾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乾燥方法
CN107344151A (zh) 一种喷墨涂胶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