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608B1 -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8608B1 KR101588608B1 KR1020150082318A KR20150082318A KR101588608B1 KR 101588608 B1 KR101588608 B1 KR 101588608B1 KR 1020150082318 A KR1020150082318 A KR 1020150082318A KR 20150082318 A KR20150082318 A KR 20150082318A KR 101588608 B1 KR101588608 B1 KR 1015886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late
- platen
- sewn
- sewing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톤백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제조방법에 비해 제조공정이 간편 및 신속하며 내구성이 강한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톤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적 수단은,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세로방향(LH)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대판(10)을 재단하고 상기 대판(1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복수개의 소판(20)을 재단하는 대판 및 소판 재단단계(S1)와,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으로 일체화된 밴드형태로서 상기 대판(10)의 세로방향(LH)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재단하여 상기 대판(10)의 가로방향 양끝단부(10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이 형성토록 재단한 대판 걸이부재(100)와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SH)보다 상대적으로 두배이상 긴 띠형상으로 양측에는 관통공(200)이 구비되도록 끝단부를 접어서 소정을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관통공(200)이 형성되도록 봉제처리한 복수개의 소판 걸이부재(210)를 재단하는 걸이부재 재단단계(S2)와,
상기 재단된 대판(10)의 배면 세로방향(LH)의 제1 중앙선(102)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양측으로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를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10)의 가로방향 양끝단부(10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1 걸이부(110)가 형성토록 봉제하는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S3)와,
상기 재단된 복수개의 소판(20) 각각마다 배면 세로방향(SH)의 제2 중앙선(201)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둔 일측에서 세로방향(SH)으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를 봉제한 후 상기 제2 중앙선(201)의 소정의 간격을 둔 타측까지 봉제하여 상기 소판(20)의 가로방향(SC)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2 걸이부(220)가 형성토록하고 타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봉제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끝단에는 상기 관통공(200)이 자유단으로 남아 있도록 하는 소판 걸이부재 봉제단계(S4)와,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가 봉제된 상태의 상기 대판(10)을 가로방향(LC)으로 3등분 절곡하여 바닥부(11)와 양측벽부(12)가 형성토록 절곡하는 대판절곡단계(S5)와,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 양끝단부(202)와 상기 대판(10)의 양측벽부(12) 를 봉제하고 상기 소판(20)의 제2 걸이부(220) 반대쪽인 타측 가로방향 끝단부(203)와 상기 바닥부(11)의 양끝단부(111)를 봉제처리하는 폼 형성단계(S6)와,
상기 폼 형성단계(S6)를 거쳐 상측은 개방되고 4면과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00) 후방부를 각각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 외측면에 봉제처리하는 바닥부 봉제단계(S7)와,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에 사각형상으로 4군데에 봉제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관통공(200)에 마감끈(30)을 관통 결합하여 고정하는 마감단계(S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은 대판 걸이부재는 대판 전체를 감싸면서 봉제처리하고 소판 걸이부재도 소판 전체를 감싸면서 봉제처리후 상기 소판 걸이부재의 끝단부 가까이를 대판의 바닥부 외측에 봉제처리하고 그 끝단에 형성된 관통공에 마감끈을 통해 고정 결합함으로서 내용물의 하중 또는 외부환경 즉, 파도의 세기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될 염려가 최소화됨과 동시에 제조공정이나 제조시간을 단축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톤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적 수단은,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세로방향(LH)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대판(10)을 재단하고 상기 대판(1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복수개의 소판(20)을 재단하는 대판 및 소판 재단단계(S1)와,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으로 일체화된 밴드형태로서 상기 대판(10)의 세로방향(LH)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재단하여 상기 대판(10)의 가로방향 양끝단부(10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이 형성토록 재단한 대판 걸이부재(100)와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SH)보다 상대적으로 두배이상 긴 띠형상으로 양측에는 관통공(200)이 구비되도록 끝단부를 접어서 소정을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관통공(200)이 형성되도록 봉제처리한 복수개의 소판 걸이부재(210)를 재단하는 걸이부재 재단단계(S2)와,
상기 재단된 대판(10)의 배면 세로방향(LH)의 제1 중앙선(102)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양측으로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를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10)의 가로방향 양끝단부(10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1 걸이부(110)가 형성토록 봉제하는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S3)와,
상기 재단된 복수개의 소판(20) 각각마다 배면 세로방향(SH)의 제2 중앙선(201)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둔 일측에서 세로방향(SH)으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를 봉제한 후 상기 제2 중앙선(201)의 소정의 간격을 둔 타측까지 봉제하여 상기 소판(20)의 가로방향(SC)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2 걸이부(220)가 형성토록하고 타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봉제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끝단에는 상기 관통공(200)이 자유단으로 남아 있도록 하는 소판 걸이부재 봉제단계(S4)와,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가 봉제된 상태의 상기 대판(10)을 가로방향(LC)으로 3등분 절곡하여 바닥부(11)와 양측벽부(12)가 형성토록 절곡하는 대판절곡단계(S5)와,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 양끝단부(202)와 상기 대판(10)의 양측벽부(12) 를 봉제하고 상기 소판(20)의 제2 걸이부(220) 반대쪽인 타측 가로방향 끝단부(203)와 상기 바닥부(11)의 양끝단부(111)를 봉제처리하는 폼 형성단계(S6)와,
상기 폼 형성단계(S6)를 거쳐 상측은 개방되고 4면과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00) 후방부를 각각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 외측면에 봉제처리하는 바닥부 봉제단계(S7)와,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에 사각형상으로 4군데에 봉제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관통공(200)에 마감끈(30)을 관통 결합하여 고정하는 마감단계(S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은 대판 걸이부재는 대판 전체를 감싸면서 봉제처리하고 소판 걸이부재도 소판 전체를 감싸면서 봉제처리후 상기 소판 걸이부재의 끝단부 가까이를 대판의 바닥부 외측에 봉제처리하고 그 끝단에 형성된 관통공에 마감끈을 통해 고정 결합함으로서 내용물의 하중 또는 외부환경 즉, 파도의 세기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될 염려가 최소화됨과 동시에 제조공정이나 제조시간을 단축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톤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톤백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제조방법에 비해 제조공정이 간편 및 신속하며 내구성이 강한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립, 준설, 사석 및 각종 보호공 투하, 제방 및 방조제 축조, 체절공 또는 가물막이공 설치 등 각종 해안 및 하천 공사시 공사수역 하부 지반의 교란 및 외부 토사의 유입으로 인하여 오탁수가 발생되며, 이러한 오탁수는 친환경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역민들의 민원의 대상으로, 주변 수역으로의 이송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탁방지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인 오탁방지시설로서 부구(浮具)식 오탁방지막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에 미세한 망체인 오탁방지막을 현수하고, 오탁방지막 하단에는 중량물을 결속하여 수중에서 전개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부구 또는 오탁방지막을 고정구조물 또는 수역하부 지반에 계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일반적으로 해상이나 댐과 같은 내수면에 설치되는 부양구조체는 주로 가두리 양식장의 설치시 사용되고, 상기 부양구조체는 가두리 양식장의 설치시 작업자가 수면위를 걸어다닐 수 있도록 발판 등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통로를 제공해왔다.
예를 들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59676호에는 폰툰(pontoon)의 측단부에 전동 구동되는 권취부 및 선체 외측으로 이격된 가이드롤을 구성하고, 이들 권취부와 가이드롤에 의하여 오탁방지막이 하강 및 인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탁방지장치의 신속한 구축 및 이동이 가능한 오탁수 확산을 방지하는 오탁방지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762307호에는 사각형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물위에 조립 설치됨과 아울러 그 상부에 미끄럼방지돌부가 형성된 발판과, 이 발판의 하부에서 물위에 떠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발판을 지지하도록 된 다수의 부력파이프와, 이 부력파이프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다수의 부력파이프를 고정함과 아울러 그 상부에 상기 발판이 고정되는 파이프 연결용 브라켓트와, 이 파이프 연결용 브라켓트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는 기둥과 이 기둥을 따라 연결되는 네트론망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립식 부양구조체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918308호에는 밑변의 길이보다 높이가 작은 사각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몸체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 일단에는 전후좌우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고리에 끼워져 개방된 상부를 묶을 수 있도록 한 묶음끈이 구비되는 덮개와; 4개의 벨트를 격자형태로 만들어 중앙에 사각형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사각형의 네 귀퉁이에는 직각을 이루는 잔여부위가 형성되게 하여 상기 사각형 부위는 몸체 저면을 감싸도록 하여 박음질하고 잔여부위는 몸체 측면의 네모서리 부근을 감싸도록 하여 박음질함과 동시에 네 모서리 부근을 감싸는 잔여부위의 끝단을 연결하여 몸체의 측면 네 모서리 상부에 웨빙고리가 형성되도록 한 보강벨트로; 구성된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앵커 시공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523238호에는 플로트부, 상기 플로트부와 하단에 연결되어 오탁수가 공사장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하단에 무게중심수단이 장착되고 가로 20m, 세로 3m인 커튼부로 이루어진 오탁방지막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플로트부의 양 방향으로 대칭되게 앵커로프의 일단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앵커로프의 타단을 앵커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앵커를 해수속으로 매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의 매립준설공사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73169호에는 여러개의 지지관을 여러개의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각 연결관의 하방으로는 지주를 절첩되게 설치하고 지주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횡간을, 외부에는 오탁방지막이 고정된 준설선의 오염방지장치가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행기술은 모두 오탁방지막을 설치하거나 오탁방지장치 및 오탁방지 시공방법 등에 관한 것으로서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의 제조에는 전혀 기술이 존재치 아니한다.
허나,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의 제조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그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면서 장기간 오탁방지막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톤백의 내구성이 매우 중요하고 부실하게 제조된 톤백의 경우는 내용물의 유출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노력이 무의미한 문제점이 있어 가장 중요한 톤백의 제조방법이 현 시점에서는 절실한 것이다.
한편, 토목공사용으로 축대를 쌓거나 수해복구용 톤백의 경우 중장비를 이용하여 포장을 해야되는데 기존의 톤백의 경우 규격이 한정되어 있어 중장비를 이용한 작업이 어렵고 또한 여러개의 톤백을 사용해야 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오래걸리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축대의 경우 여러단을 적재하여 축조하는데 첫단이 가장크고 올라가면서 규격을 줄여 사다리꼴 모양으로 축조함에 있어 기존 기술의 톤백으로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의 제조에 있어서 기존의 톤백의 제조와 달리 간편한 공정으로 편리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톤백을 제조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으며,
또한, 토목공사용으로 축대를 쌓거나 수해복구용 톤백의 경우 중장비를 이용하여 포장을 해야되는데 기존의 톤백의 경우 규격이 한정되어 있어 중장비를 이용한 작업이 어렵고 또한 여러개의 톤백을 사용해야 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오래걸리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해결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세로방향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대판을 재단하고 상기 대판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복수개의 소판을 재단하는 대판 및 소판 재단단계와,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으로 일체화된 밴드형태로서 상기 대판의 세로방향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재단하여 상기 대판의 가로방향 양끝단부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이 형성토록 재단한 대판 걸이부재와 상기 소판의 세로방향보다 상대적으로 두배이상 긴 띠형상으로 양측에는 관통공이 구비되도록 끝단부를 접어서 소정을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봉제처리한 복수개의 소판 걸이부재를 재단하는 걸이부재 재단단계와, 상기 재단된 대판의 배면 세로방향의 제1 중앙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양측으로 상기 대판 걸이부재를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의 가로방향 양끝단부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1 걸이부가 형성토록 봉제하는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와, 상기 재단된 복수개의 소판 각각마다 배면 세로방향의 제2 중앙선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둔 일측에서 세로방향으로 상기 소판 걸이부재를 봉제한 후 상기 제2 중앙선의 소정의 간격을 둔 타측까지 봉제하여 상기 소판의 가로방향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2 걸이부가 형성토록하고 타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봉제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끝단에는 상기 관통공이 자유단으로 남아 있도록 하는 소판 걸이부재 봉제단계와, 상기 대판 걸이부재가 봉제된 상태의 상기 대판을 가로방향으로 3등분 절곡하여 바닥부와 양측벽부가 형성토록 절곡하는 대판절곡단계와, 상기 소판의 세로방향 양끝단부와 상기 대판의 양측벽부 를 봉제하고 상기 소판의 제2 걸이부 반대쪽인 타측 가로방향 끝단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끝단부를 봉제처리하는 폼 형성단계와, 상기 폼 형성단계를 거쳐 상측은 개방되고 4면과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소판 걸이부재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 후방부를 각각 상기 대판의 바닥부 외측면에 봉제처리하는 바닥부 봉제단계와, 상기 대판의 바닥부에 사각형상으로 4군데에 봉제된 상기 소판 걸이부재의 관통공에 마감끈을 관통 결합하여 고정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과,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세로방향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대판을 재단하고 상기 대판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복수개의 소판을 재단하는 대판 및 소판 재단단계와,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으로 일체화된 밴드형태로서 상기 대판의 세로방향보다 짧게 재단한 대판 걸이부재와 상기 소판의 세로방향보다 상대적으로 두배 긴 띠형상으로 양측에는 끝단부를 접어서 소정을 간격을 유지하여 봉제처리함으로서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한 복수개의 소판 걸이부재를 재단하는 걸이부재 재단단계와, 상기 재단된 대판의 배면 세로방향의 제1 중앙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양측으로 상기 대판 걸이부재를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 걸이부재의 양측에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을 두어 미봉제 부위의 제1 걸이부가 형성토록 봉제하는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와, 상기 재단된 복수개의 소판 각각마다 배면 세로방향의 제2 중앙선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 형태로 상기 소판 걸이부재를 봉제하되 소판의 가로방향 일끝단 양측은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토록 하여 미 봉제인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이 자유단으로 남아 있도록 하고 라운딩된 타단은 미 봉제상태로 하여 제2 걸이부을 형성토록 하는 소판 걸이부재 봉제단계와, 상기 대판 걸이부재가 봉제된 상태의 상기 대판을 가로방향으로 3등분 절곡하여 바닥부와 양측벽부가 형성토록 절곡하는 대판절곡단계와, 상기 소판의 세로방향 양끝단부와 상기 대판의 양측벽부를 봉제하고 상기 소판의 제2 걸이부 반대쪽인 타측 가로방향 끝단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끝단부를 봉제처리하는 폼 형성단계와, 상기 폼 형성단계를 거쳐 4면과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소판 걸이부재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 후방부를 각각 상기 대판의 바닥부 외측면에 봉제처리하는 바닥부 봉제단계와, 상기 대판의 바닥부에 사각형상으로 4군데에 봉제된 상기 소판 걸이부재의 관통공에 마감끈을 관통 결합하여 고정하는 마감단계와, 상기 대판과 소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 모서리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체결끈으로 상부를 묶어 체결하여 밀폐한 후 상기 미봉제된 제1 걸이부와 제2 걸이부가 자연스럽게 최상부로 위치토록 하는 최종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과,
상기 대판 걸이부재의 제1 걸이부과 상기 소판 걸이부재의 제2 걸이부의 중앙을 각각 절단하여 절첩한 후 후반부를 봉제처리하여 총8개의 걸이공을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과,
상기 폼 형성단계를 거쳐 상측은 개방되고 4면과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소판 걸이부재 중 어느 하나의 소판 걸이부재의 양 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 후방부를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2 걸이부가 형성된 타측의 소판의 일끝단까지 봉제처리한 후 나머지 소판 걸이부재는 상기 타측의 소판의 타끝단에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2 걸이부가 형성한 후 봉제처리하여 상기 마감끈을 이용하여 상기 타측 소판의 일끝단 가까이에서 관통공에 관통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과,
상기 대판의 제1 중앙선 및 소판의 제2 중앙선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제1 보강부재를 봉제처리한 후 상기 대판 및 소판의 가로방향 양끝단에 상기 제1 보강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제2 보강부재를 봉제처리하는 보강부재 봉제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과,
상기 재단된 대판의 배면 세로방향의 제1 중앙선을 기준으로 일측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대판 걸이부재를 봉제처리하고 타측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또 다른 대판 걸이부재을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의 가로방향 양끝단부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복수개의 제1 걸이부가 형성토록 봉제하는 복수개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를 선택하여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 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대판 걸이부재는 대판 전체를 감싸면서 봉제처리하고 소판 걸이부재도 소판 전체를 감싸면서 봉제처리후 상기 소판 걸이부재의 끝단부 가까이를 대판의 바닥부 외측에 봉제처리하고 그 끝단에 형성된 관통공에 마감끈을 통해 고정 결합함으로서 내용물의 하중 또는 외부환경 즉, 파도의 세기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될 염려가 최소화됨과 동시에 제조공정이나 제조시간을 단축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톤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토목공사용으로 축대를 쌓거나 수해복구용 톤백의 경우 중장비를 이용하여 포장을 해야되는데 기존의 톤백의 경우 규격이 한정되어 있어 중장비를 이용한 작업이 어렵고 또한 여러개의 톤백을 사용해야 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오래걸리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및 소판의 재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와 소판 걸이부재를 재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를 대판의 배면에 봉제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소판 걸이부재를 소판의 배면에 봉제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를 대판의 배면에 봉제한 후 대판을 가로방향으로 절곡하여 3등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를 대판의 배면에 봉제한 후 대판을 가로방향으로 절곡하여 3등분한 상태에서 양측에 소판을 봉제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를 대판의 배면에 봉제한 후 대판을 가로방향으로 절곡하여 3등분한 후 양측에 소판을 봉제처리한 상태에서 바닥부의 외측면에 소판 걸이부재의 관통공 후방부를 봉제처리한 후 상기 관통공에 마감끈을 결합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완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제1 및 제2 보강부재를 추가적으로 봉제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대판 걸이부재를 복수개 봉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공지된 덮개를 봉제처리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대판 및 소판을 재단한 후 재단된 대판 및 소판에 각각 대판 걸이부재와 소판 걸이부재를 봉제처리한 후 대판을 절곡하고 대판의 양측에 소판을 봉제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대판과 소판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대판과 소판을 결합한 후 대판 및 소판의 상측을 절곡하여 체결끈으로 체결하여 완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소판 걸이부재의 길이를 상이하게 한 상태로 제작된 소판과 대판 결합하기 전의 분리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도 18을 결합한 후 대판 및 소판의 상측을 절곡하여 체결끈으로 체결하여 완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모두 적용되는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대판 걸이부 및 소판 걸이부의 중앙을 절단하여 각각 봉제하여 걸이공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및 소판의 재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와 소판 걸이부재를 재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를 대판의 배면에 봉제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소판 걸이부재를 소판의 배면에 봉제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를 대판의 배면에 봉제한 후 대판을 가로방향으로 절곡하여 3등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를 대판의 배면에 봉제한 후 대판을 가로방향으로 절곡하여 3등분한 상태에서 양측에 소판을 봉제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를 대판의 배면에 봉제한 후 대판을 가로방향으로 절곡하여 3등분한 후 양측에 소판을 봉제처리한 상태에서 바닥부의 외측면에 소판 걸이부재의 관통공 후방부를 봉제처리한 후 상기 관통공에 마감끈을 결합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완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제1 및 제2 보강부재를 추가적으로 봉제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대판 걸이부재를 복수개 봉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공지된 덮개를 봉제처리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대판 및 소판을 재단한 후 재단된 대판 및 소판에 각각 대판 걸이부재와 소판 걸이부재를 봉제처리한 후 대판을 절곡하고 대판의 양측에 소판을 봉제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대판과 소판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대판과 소판을 결합한 후 대판 및 소판의 상측을 절곡하여 체결끈으로 체결하여 완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소판 걸이부재의 길이를 상이하게 한 상태로 제작된 소판과 대판 결합하기 전의 분리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도 18을 결합한 후 대판 및 소판의 상측을 절곡하여 체결끈으로 체결하여 완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모두 적용되는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대판 걸이부 및 소판 걸이부의 중앙을 절단하여 각각 봉제하여 걸이공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및 소판의 재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와 소판 걸이부재를 재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를 대판의 배면에 봉제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소판 걸이부재를 소판의 배면에 봉제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를 대판의 배면에 봉제한 후 대판을 가로방향으로 절곡하여 3등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를 대판의 배면에 봉제한 후 대판을 가로방향으로 절곡하여 3등분한 상태에서 양측에 소판을 봉제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대판 걸이부재를 대판의 배면에 봉제한 후 대판을 가로방향으로 절곡하여 3등분한 후 양측에 소판을 봉제처리한 상태에서 바닥부의 외측면에 소판 걸이부재의 관통공 후방부를 봉제처리한 후 상기 관통공에 마감끈을 결합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완성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제1 및 제2 보강부재를 추가적으로 봉제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대판 걸이부재를 복수개 봉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공지된 덮개를 봉제처리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대판 및 소판을 재단한 후 재단된 대판 및 소판에 각각 대판 걸이부재와 소판 걸이부재를 봉제처리한 후 대판을 절곡하고 대판의 양측에 소판을 봉제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대판과 소판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대판과 소판을 결합한 후 대판 및 소판의 상측을 절곡하여 체결끈으로 체결하여 완성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소판 걸이부재의 길이를 상이하게 한 상태로 제작된 소판과 대판 결합하기 전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것으로서 도 18을 결합한 후 대판 및 소판의 상측을 절곡하여 체결끈으로 체결하여 완성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모두 적용되는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대판 걸이부 및 소판 걸이부의 중앙을 절단하여 각각 봉제하여 걸이공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2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한 후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톤백에 대한 실시예 1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13과 함께 설명하고 실시예 2의 구성을 도 14 내지 도 21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대판 및 소판 재단단계)----- S1
본 단계는 본 발명의 최초 단계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세로방향(LH)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대판(10)을 재단하고 상기 대판(1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복수개의 소판(20)을 재단하는 단계이다.
(걸이부재 재단단계)----- S2
본 단계는 상기와 같이 대판과 소판을 재단한 것과 별도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원형의 밴드로서 상기 대판(10)의 세로방향(LH)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재단하여 상기 대판(10)의 가로방향 양끝단부(10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이 형성토록 재단한 대판 걸이부재(100)와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SH)보다 상대적으로 두배이상 긴 띠형상으로 양측에는 관통공(200)이 구비되도록 끝단부를 접어서 소정을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관통공(200)이 형성되도록 봉제처리한 복수개의 소판 걸이부재(210)를 재단하는 단계로서,
대판 걸이부재(100)는 원형을 이루는 밴드 형상임이 매우 중요하고 소판 걸이부재(210)는 복수개로서 띠형상임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도 복수개로 재단할 수 있고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복수개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S10)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 S3
상기와 같이 대판(10)과 대판 걸이부재(100)를 재단한 후 본 단계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판 걸이부재(100)를 대판(10)의 배면에 봉제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재단된 대판(10)의 배면 세로방향(LH)의 제1 중앙선(102)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양측으로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를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10)의 가로방향 양끝단부(10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1 걸이부(110)가 형성토록 봉제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언급한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S10)에 대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하면,
상기 재단된 대판(10)의 배면 세로방향(LH)의 제1 중앙선(102)을 기준으로 일측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를 봉제처리하고 타측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또 다른 대판 걸이부재(100)을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10)의 가로방향 양끝단부(10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복수개의 제1 걸이부(110)가 형성토록 봉제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복수개의 대판 걸이부재(100)를 대판(10)에 상기와 같이 봉제하는 이유는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걸이부재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힘의 분산을 도모하여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이부(110)의 세로방향 중앙을 절단한 후 각각을 절곡하여 걸이공(213)을 형성한 상태에서 봉제처리하는 것이다.
(소판 걸이부재 봉제단계)----- S4
본 단계는 소판(20)과 소판 걸이부재(210)를 재단한 후 소판 걸이부재(210)을 소판(20)의 배면에 각각 봉제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단된 복수개의 소판(20) 각각마다 배면 세로방향(SH)의 제2 중앙선(201)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둔 일측에서 세로방향(SH)으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를 봉제한 후 상기 제2 중앙선(201)의 소정의 간격을 둔 타측까지 봉제하여 상기 소판(20)의 가로방향(SC)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2 걸이부(220)가 형성토록하고 타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봉제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끝단에는 상기 관통공(200)이 자유단으로 남아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이부(220)의 세로방향 중앙을 절단한 후 각각을 절곡하여 걸이공(213)을 형성한 상태에서 봉제처리하는 것이다.
(대판 절곡단계)----- S5
상기 대판(10)에 대판 걸이부재(100)를 봉제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가 봉제된 상태의 상기 대판(10)을 가로방향(LC)으로 3등분 절곡하여 바닥부(11)와 양측벽부(12)가 형성토록 절곡하는 단계가 본 단계이다.
(폼 형성단계)----- S6
본 단계는 상기와 같이 대판(10)을 절곡하여 양측벽부(12)와 바닥부(11)를 형성한 후 물론 대판 걸이부재(100)는 배면에 봉제처리된 상태에서 본 단계는 절곡된 대판(10)에 소판(20)을 봉제하여 사각형상의 폼을 형상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 양끝단부(202)와 상기 대판(10)의 양측벽부(12) 를 봉제하고 상기 소판(20)의 제2 걸이부(220) 반대쪽인 타측 가로방향 끝단부(203)와 상기 바닥부(11)의 양끝단부(111)를 봉제처리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폼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와 소판 걸이부재(210)의 제1 걸이부(110)와 제2 걸이부(220)가 상측의 사방으로 위치토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이 폼을 형성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판(10)의 제1 중앙선(101) 및 소판(20)의 제2 중앙선(201)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제1 보강부재(120)를 봉제처리한 후 상기 대판(10) 및 소판(20)의 가로방향 양끝단에 상기 제1 보강부재(120)를 덮은 상태에서 제2 보강부재(121)를 봉제처리하는 보강부재 봉제단계(S9)를 추가 포함함으로서 내용물의 하중이나 과다한 수납으로 인한 폼의 흐트러짐과 더불어 대판(10) 및 소판(20)의 손상을 방지하고 힘의 분산을 도모하여 더욱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바닥부 봉제단계)----- S7
본 단계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폼 형성단계(S6)를 거쳐 상측은 개방되고 4면과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00) 후방부를 각각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 외측면에 봉제처리하는 단계이다.
(마감단계)----- S8
본 단계는 본 발명의 마지막 단계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 봉제단계(S7)에 의해 관통공(200) 후방부가 바닥부(11)에 봉제처리된 상태에서 즉,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에 사각형상으로 4군데에 봉제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관통공(200)에 마감끈(30)을 관통 결합하여 고정하는 단계로서 단순히 소판 걸이부재(210)이 대판(10)의 바닥부(11)에 봉제된 것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관통공(200)에 별도의 마감끈(30)으로 관통공(200)을 결합 고정함으로서 바닥부(11)에 미치는 하중에 의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바닥부(11)의 손상으로 인한 내용물의 토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C는 덮개를 지시하는 것이며, 미설명 부호 K는 자크를 지시하는 것이며, 미설명 부호 S는 오탁방지막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1인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지시부호 10은 대판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판(10)은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세로방향(LH)으로 길게 직사각 시트형상의 배면 세로방향(LH)의 제1 중앙선(102)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양측으로 대판 걸이부재(100)를 봉제처리하되 가로방향 양끝단부(101)에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1 걸이부(110)를 구비하고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가 봉제된 상태에서 상기 직사각 시트형상을 가로방향(LC)으로 3등분 절곡하여 바닥부(11)와 양측벽부(12)가 형성토록 한 것이며,
지시부호 20은 소판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소판(20)은,
도 2 ,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세로방향(SH)으로 길게 직사각 시트형상의 배면 세로방향(SH)의 제2 중앙선(201)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둔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소판 걸이부재(210)를 봉제한 후 상기 제2 중앙선(201)의 소정의 간격을 둔 타측까지 봉제하여 가로방향(SC)의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2 걸이부(220)가 형성토록하고 타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봉제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끝단에는 관통공(200)이 자유단으로 남아 있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 양끝단부(202)와 상기 대판(10)의 양측벽부(12)를 봉제하고 상기 소판(20)의 제2 걸이부(220) 반대쪽인 타측 가로방향 끝단부(202)와 상기 바닥부(11)의 양끝단부(111)를 봉제처리를 거쳐 상측은 개방되고 4면과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00) 후방부를 각각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 외측면에 봉제처리하고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에 정사각형상으로 4군데에 봉제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관통공(200)에 마감끈(30)을 관통 결합하여 고정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판(10)의 제1 중앙선(101) 및 소판(20)의 제2 중앙선(201)에 세로방향(LH, SH)으로 길게 제1 보강부재(120)를 봉제처리한 후 상기 대판(10) 및 소판(20)의 가로방향(LC, SC) 양끝단에 상기 제1 보강부재(120)를 덮은 상태에서 제2 보강부재(121)를 봉제처리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단된 대판(10)의 배면 세로방향(LH)의 제1 중앙선(101)을 기준으로 일측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를 봉제처리하고 타측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또 다른 대판 걸이부재(100)을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10)의 가로방향 양끝단부(10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복수개의 제1 걸이부(110)가 형성토록 봉제한 것이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이부(110)의 세로방향 중앙을 절단한 후 각각을 절곡하여 걸이공(213)을 형성한 상태에서 봉제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이부(220)의 세로방향 중앙을 절단한 후 각각을 절곡하여 걸이공(213)을 형성한 상태에서 봉제처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1인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톤백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세로방향(LH)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대판(10)과 소판(20)을 재단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판 걸이부재(100)와 소판 걸이부재(210)을 재단한 다음,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판 걸이부재(100)는 대판(10)에 소판 걸이부재(210)은 소판(20)에 각각 봉제처리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판(10)을 가로방향으로 절곡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판(20)과 봉제처리한 다음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끈(30)을 이용하여 관통공(200)에 끼워 결합 고정하는 것이다.
물론,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부재(120)과 제2 보강부재(121)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고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판 걸리부재(100)을 복수개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덮개(C)를 대판(10) 및 소판(20)의 최상단에 봉제처리하되 상기 덮개(C)에는 공지된 자크(K)가 구비되어 상기 자크(K)를 개방한 후 내부에 골재, 사석, 사토 등의 속채움재를 충전한 다음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 설치지점에 투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즉, 상기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을 닻줄과 연결 후 바지선에 설치된 크레인으로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을 들어올려 오탁방지막(S) 설치지점에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으로 투하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함에 있어 속채움재의 하중 및 바닷속 외부환경에 의해 톤백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구성이 있는 톤백을 제조할 수 있어 경제적인 즉면이나 시공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톤백의 실시예 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2]
(대판 및 소판 재단단계)----- S1
본 실시예의 전체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본 단계는 실시예 1과 대동소이하여 도면상으로는 도시하지 아니하였고 실시예 1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세로방향(LH)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대판(10)을 재단하고 상기 대판(1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복수개의 소판(20)을 재단하는 대판 및 소판 재단단계(S1)이다.
(걸이부재 재단단계)----- S2
본 단계는 실시예 1과 대동소이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세한 설명은 실시예 1과의 중복으로 생략하고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으로 일체화된 밴드형태로서 상기 대판(10)의 세로방향(LH)보다 짧게 재단한 대판 걸이부재(100)와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SH)보다 상대적으로 두배 긴 띠형상으로 양측에는 끝단부를 접어서 소정을 간격을 유지하여 봉제처리함으로서 관통공(200)이 형성되도록 한 복수개의 소판 걸이부재(210)를 재단하는 걸이부재 재단단계(S2)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판 걸이부재(210)가 소판(20)의 일측 끝단으로 복수개의 관통공(200)이 소정을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점은 동일하나, 바람직하게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소판(20)에는 도 15에 도시된 소판 걸이부재(210)와 같지만 또 다른 소판(20)에는 소판 걸이부재(210)가 상대적으로 복수개의 관통공(200)쪽이 길게 자유단을 이루고 있어 하기에서 설명하지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판(20)의 측면에서 4개의 관통공(200)에 마감끈(30)을 이용하여 마감처리토록 하는 것이다.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 S3
본 단계는 상기와 같이 대판(10)과 대판 걸이부재(100)를 재단한 후 대판 걸이부재(100)를 대판(10)의 배면에 봉제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단된 대판(10)의 배면 세로방향(LH)의 제1 중앙선(102)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양측으로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를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의 양측에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을 두어 미봉제 부위의 제1 걸이부(110)가 형성토록 봉제하는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S3)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달리 대판(10)이 대판 걸이부재(10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의 양측에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을 두어 미봉제 부위의 제1 걸이부(110)가 형성토록 봉제하여 덮개(C)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이 비봉제된 부위를 절곡하여 체결끈(B)을 이용하여 체결토록 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이부(110)의 세로방향 중앙을 절단한 후 각각을 절곡하여 걸이공(213)을 형성한 상태에서 봉제처리하는 것이다.
(소판 걸이부재 봉제단계)----- S4
본 단계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단된 복수개의 소판(20) 각각마다 배면 세로방향(SH)의 제2 중앙선(201)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 형태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를 봉제하되 소판(20)의 가로방향 일끝단 양측은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토록 하여 미 봉제인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00)이 자유단으로 남아 있도록 하고 라운딩된 타단은 미 봉제상태로 하여 제2 걸이부(220)을 형성토록 하는 소판 걸이부재 봉제단계(S4)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달리 소판(20)이 소판 걸이부재(2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라운딩된 타단은 미 봉제상태로 하여 제2 걸이부(220)을 형성토록 하여 덮개(C)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이 비봉제된 부위를 절곡하여 체결끈(B)을 이용하여 체결토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이부(220)의 세로방향 중앙을 절단한 후 각각을 절곡하여 걸이공(213)을 형성한 상태에서 봉제처리하는 것이다.
(대판 절곡단계)----- S5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가 봉제된 상태의 상기 대판(10)을 가로방향(LC)으로 3등분 절곡하여 바닥부(11)와 양측벽부(12)가 형성토록 절곡하는 대판절곡단계(S5)이다.
(폼 형성단계)----- S6
본 단계는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 양끝단부(202)와 상기 대판(10)의 양측벽부(12)를 봉제하고 상기 소판(20)의 제2 걸이부(220) 반대쪽인 타측 가로방향 끝단부(203)와 상기 바닥부(11)의 양끝단부(111)를 봉제처리하여 사각형상의 폼을 형상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 양끝단부(202)와 상기 대판(10)의 양측벽부(12) 를 봉제하고 상기 소판(20)의 제2 걸이부(220) 반대쪽인 타측 가로방향 끝단부(203)와 상기 바닥부(11)의 양끝단부(111)를 봉제처리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이 폼을 형성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판(10)의 제1 중앙선(101) 및 소판(20)의 제2 중앙선(201)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제1 보강부재(120)를 봉제처리한 후 상기 대판(10) 및 소판(20)의 가로방향 양끝단에 상기 제1 보강부재(120)를 덮은 상태에서 제2 보강부재(121)를 봉제처리하는 보강부재 봉제단계(S9)를 추가 포함함으로서 내용물의 하중이나 과다한 수납으로 인한 폼의 흐트러짐과 더불어 대판(10) 및 소판(20)의 손상을 방지하고 힘의 분산을 도모하여 더욱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바닥부 봉제단계)----- S7
본 단계는 실시예 1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폼 형성단계(S6)를 거쳐 4면과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00) 후방부를 각각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 외측면에 봉제처리하는 바닥부 봉제단계(S7)이다.
(마감단계)----- S8
본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 봉제단계(S7)에 의해 관통공(200) 후방부가 바닥부(11)에 봉제처리된 상태에서 즉,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에 사각형상으로 4군데에 봉제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관통공(200)에 마감끈(30)을 관통 결합하여 고정하는 단계로서 단순히 소판 걸이부재(210)이 대판(10)의 바닥부(11)에 봉제된 것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관통공(200)에 별도의 마감끈(30)으로 관통공(200)을 결합 고정함으로서 바닥부(11)에 미치는 하중에 의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바닥부(11)의 손상으로 인한 내용물의 토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폼 형성단계(S6)를 거쳐 상측은 개방되고 4면과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 중 어느 하나의 소판 걸이부재(210)의 양 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00) 후방부를 상기 바닥부(11)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2 걸이부(220)가 형성된 타측의 소판(20)의 일끝단까지 봉제처리한 후 나머지 소판 걸이부재(210)는 상기 타측의 소판(20)의 타끝단에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2 걸이부(220)가 형성한 후 봉제처리하여 상기 마감끈(30)을 이용하여 상기 타측 소판(20)의 일끝단 가까이에서 관통공(200)에 관통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에 관통공(200) 4개가 형성되지 아니하고 일측 소판(20)에 형성토록 함으로서 체결 및 해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최종마감단계)----- S11
본 단계는 본 실시예의 마지막 단계로서 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판(10)과 소판(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 모서리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체결끈(B)으로 상부를 묶어 체결하여 밀폐한 후 상기 미봉제된 제1 걸이부(110)와 제2 걸이부(220)가 자연스럽게 최상부로 위치토록 하는 최종마감단계(S11)이다.
다음, 실시예 2인 본 발명인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세로방향(LH)으로 길게 직사각 시트형상의 배면 세로방향(LH)의 제1 중앙선(102)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양측으로 대판 걸이부재(100)를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의 양끝단에 소정의 길이만큼 미 봉제 부위를 형성하여 제1 걸이부(110)를 구비하고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가 봉제된 상태에서 상기 직사각 시트형상을 가로방향(LC)으로 3등분 절곡하여 바닥부(11)와 양측벽부(12)가 형성토록 한 대판(10)과,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세로방향(SH)으로 길게 직사각 시트형상의 배면 세로방향(SH)의 제2 중앙선(201)을 기준으로 하여 '∩' 형태로 소판 걸이부재(210)를 봉제하되 일단 양측 가까이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미봉제 부위를 형성한 후 끝단에는 관통공(200)을 형성하여 자유단으로 남아 있도록 하며 타단 라운딩된 부분은 미 봉제상태로 하여 제2 걸이부(220)를 형성한 소판(20)과,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 양끝단부(202)와 상기 대판(10)의 양측벽부(12)를 봉제하고 상기 소판(20)의 제2 걸이부(220) 반대쪽인 타측 가로방향 끝단부(203)와 상기 바닥부(11)의 양끝단부(111)를 봉제처리를 거쳐 4면과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00) 후방부를 각각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 외측면에 봉제처리하고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에 사각형상으로 4군데에 봉제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관통공(200)에 마감끈(30)을 관통 결합한 후 상기 대판(10)과 소판(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 모서리붕 어느 하나에 체결끈(B)으로 상부를 묶어 체결하여 밀폐한 후 상기 미봉제된 제1 걸이부(110)와 제2 걸이부(220)가 자연스럽게 최상부로 위치토록 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판(10)의 제1 중앙선(101) 및 소판(20)의 제2 중앙선(201)에 세로방향(LH, SH)으로 길게 제1 보강부재(120)를 봉제처리한 후 상기 대판(10) 및 소판(20)의 가로방향(LC, SC) 양끝단에 상기 제1 보강부재(120)를 덮은 상태에서 제2 보강부재(121)를 봉제처리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단된 대판(10)의 배면 세로방향(LH)의 제1 중앙선(101)을 기준으로 일측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를 봉제처리하고 타측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또 다른 대판 걸이부재(100)을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10)의 가로방향 양끝단부(10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복수개의 제1 걸이부(110)가 형성토록 봉제한 것이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이부(110)의 세로방향 중앙을 절단한 후 각각을 절곡하여 걸이공(213)을 형성한 상태에서 봉제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이부(220)의 세로방향 중앙을 절단한 후 각각을 절곡하여 걸이공(213)을 형성한 상태에서 봉제처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 2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목공사용으로 축대를 쌓거나 수해복구용 톤백의 경우 중장비를 이용하여 포장을 해야되는데 기존의 톤백의 경우 규격이 한정되어 있어 중장비를 이용한 작업이 어렵고 또한 여러개의 톤백을 사용해야 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오래걸리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본 발명이 해결함에도 유용한 것이다.
10 : 대판 11 : 바닥부
12 : 양측벽부 20 : 소판
100 : 대판 걸이부재 101 : 가로방향 양끝단부
102 : 제1 중앙선 110 : 제1 걸이부
111 : 바닥부의 양끝단부 120 : 제1 보강부재
121 : 제2 보강부재 200 : 관통공
201 : 제2 중앙선 202 : 세로방향 양끝단부
203 : 가로방향 끝단부 210 : 소판 걸이부재
213 : 걸이공 220 : 제2 걸이부
LC : 대판의 가로방향 LH : 대판의 세로방향
SC : 소판의 가로방향 SH : 소판의 세로방향
S1 : 대판 및 소판 재단단계 S2 : 걸이부재 재단단계
S3 :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 S4 : 소판 걸이부재 봉제단계
S5 : 대판절곡단계 S6 : 폼 형성단계
S7 : 바닥부 봉제단계 S8 : 마감단계
S9 : 보강부재 봉제단계 S10 : 복수개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
C : 덮개 B : 체결끈
K : 자크 S : 오탁방지막
T : 축대 또는 수해복구용 축대
12 : 양측벽부 20 : 소판
100 : 대판 걸이부재 101 : 가로방향 양끝단부
102 : 제1 중앙선 110 : 제1 걸이부
111 : 바닥부의 양끝단부 120 : 제1 보강부재
121 : 제2 보강부재 200 : 관통공
201 : 제2 중앙선 202 : 세로방향 양끝단부
203 : 가로방향 끝단부 210 : 소판 걸이부재
213 : 걸이공 220 : 제2 걸이부
LC : 대판의 가로방향 LH : 대판의 세로방향
SC : 소판의 가로방향 SH : 소판의 세로방향
S1 : 대판 및 소판 재단단계 S2 : 걸이부재 재단단계
S3 :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 S4 : 소판 걸이부재 봉제단계
S5 : 대판절곡단계 S6 : 폼 형성단계
S7 : 바닥부 봉제단계 S8 : 마감단계
S9 : 보강부재 봉제단계 S10 : 복수개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
C : 덮개 B : 체결끈
K : 자크 S : 오탁방지막
T : 축대 또는 수해복구용 축대
Claims (10)
-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세로방향(LH)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대판(10)을 재단하고 상기 대판(1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복수개의 소판(20)을 재단하는 대판 및 소판 재단단계(S1)와,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으로 일체화된 밴드형태로서 상기 대판(10)의 세로방향(LH)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재단하여 상기 대판(10)의 가로방향 양끝단부(10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이 형성토록 재단한 대판 걸이부재(100)와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SH)보다 상대적으로 두배이상 긴 띠형상으로 양측에는 관통공(200)이 구비되도록 끝단부를 접어서 소정을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관통공(200)이 형성되도록 봉제처리한 복수개의 소판 걸이부재(210)를 재단하는 걸이부재 재단단계(S2)와,
상기 재단된 대판(10)의 배면 세로방향(LH)의 제1 중앙선(102)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양측으로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를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10)의 가로방향 양끝단부(10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1 걸이부(110)가 형성토록 봉제하는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S3)와,
상기 재단된 복수개의 소판(20) 각각마다 배면 세로방향(SH)의 제2 중앙선(201)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둔 일측에서 세로방향(SH)으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를 봉제한 후 상기 제2 중앙선(201)의 소정의 간격을 둔 타측까지 봉제하여 상기 소판(20)의 가로방향(SC)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2 걸이부(220)가 형성토록하고 타측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봉제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끝단에는 상기 관통공(200)이 자유단으로 남아 있도록 하는 소판 걸이부재 봉제단계(S4)와,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가 봉제된 상태의 상기 대판(10)을 가로방향(LC)으로 3등분 절곡하여 바닥부(11)와 양측벽부(12)가 형성토록 절곡하는 대판절곡단계(S5)와,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 양끝단부(202)와 상기 대판(10)의 양측벽부(12) 를 봉제하고 상기 소판(20)의 제2 걸이부(220) 반대쪽인 타측 가로방향 끝단부(203)와 상기 바닥부(11)의 양끝단부(111)를 봉제처리하는 폼 형성단계(S6)와,
상기 폼 형성단계(S6)를 거쳐 상측은 개방되고 4면과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00) 후방부를 각각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 외측면에 봉제처리하는 바닥부 봉제단계(S7)와,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에 사각형상으로 4군데에 봉제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관통공(200)에 마감끈(30)을 관통 결합하여 고정하는 마감단계(S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세로방향(LH)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대판(10)을 재단하고 상기 대판(1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복수개의 소판(20)을 재단하는 대판 및 소판 재단단계(S1)와,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으로 일체화된 밴드형태로서 상기 대판(10)의 세로방향(LH)보다 짧게 재단한 대판 걸이부재(100)와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SH)보다 상대적으로 두배 긴 띠형상으로 양측에는 끝단부를 접어서 소정을 간격을 유지하여 봉제처리함으로서 관통공(200)이 형성되도록 한 복수개의 소판 걸이부재(210)를 재단하는 걸이부재 재단단계(S2)와,
상기 재단된 대판(10)의 배면 세로방향(LH)의 제1 중앙선(102)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양측으로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를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의 양측에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을 두어 미봉제 부위의 제1 걸이부(110)가 형성토록 봉제하는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S3)와,
상기 재단된 복수개의 소판(20) 각각마다 배면 세로방향(SH)의 제2 중앙선(201)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 형태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를 봉제하되 소판(20)의 가로방향 일끝단 양측은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토록 하여 미 봉제인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00)이 자유단으로 남아 있도록 하고 라운딩된 타단은 미 봉제상태로 하여 제2 걸이부(220)을 형성토록 하는 소판 걸이부재 봉제단계(S4)와,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가 봉제된 상태의 상기 대판(10)을 가로방향(LC)으로 3등분 절곡하여 바닥부(11)와 양측벽부(12)가 형성토록 절곡하는 대판절곡단계(S5)와,
상기 소판(20)의 세로방향 양끝단부(202)와 상기 대판(10)의 양측벽부(12) 를 봉제하고 상기 소판(20)의 제2 걸이부(220) 반대쪽인 타측 가로방향 끝단부(203)와 상기 바닥부(11)의 양끝단부(111)를 봉제처리하는 폼 형성단계(S6)와,
상기 폼 형성단계(S6)를 거쳐 4면과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00) 후방부를 각각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 외측면에 봉제처리하는 바닥부 봉제단계(S7)와,
상기 대판(10)의 바닥부(11)에 사각형상으로 4군데에 봉제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관통공(200)에 마감끈(30)을 관통 결합하여 고정하는 마감단계(S8)와,
상기 대판(10)과 소판(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 모서리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체결끈(B)으로 상부를 묶어 체결하여 밀폐한 후 상기 미봉제된 제1 걸이부(110)와 제2 걸이부(220)가 자연스럽게 최상부로 위치토록 하는 최종마감단계(S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의 제1 걸이부(110)과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의 제2 걸이부(220)의 중앙을 각각 절단하여 절첩한 후 후반부를 봉제처리하여 총8개의 걸이공(213)을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폼 형성단계(S6)를 거쳐 상측은 개방되고 4면과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소판 걸이부재(210) 중 어느 하나의 소판 걸이부재(210)의 양 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00) 후방부를 상기 바닥부(11)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2 걸이부(220)가 형성된 타측의 소판(20)의 일끝단까지 봉제처리한 후 나머지 소판 걸이부재(210)는 상기 타측의 소판(20)의 타끝단에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제2 걸이부(220)가 형성한 후 봉제처리하여 상기 마감끈(30)을 이용하여 상기 타측 소판(20)의 일끝단 가까이에서 관통공(200)에 관통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판(10)의 제1 중앙선(101) 및 소판(20)의 제2 중앙선(201)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제1 보강부재(120)를 봉제처리한 후 상기 대판(10) 및 소판(20)의 가로방향 양끝단에 상기 제1 보강부재(120)를 덮은 상태에서 제2 보강부재(121)를 봉제처리하는 보강부재 봉제단계(S9)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된 대판(10)의 배면 세로방향(LH)의 제1 중앙선(102)을 기준으로 일측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대판 걸이부재(100)를 봉제처리하고 타측면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또 다른 대판 걸이부재(100)을 봉제처리하되 상기 대판(10)의 가로방향 양끝단부(101)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여분의 복수개의 제1 걸이부(110)가 형성토록 봉제하는 복수개 대판 걸이부재 봉제단계(S10)를 선택하여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318A KR101588608B1 (ko) | 2015-06-11 | 2015-06-11 |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318A KR101588608B1 (ko) | 2015-06-11 | 2015-06-11 |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8608B1 true KR101588608B1 (ko) | 2016-01-28 |
Family
ID=5530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2318A KR101588608B1 (ko) | 2015-06-11 | 2015-06-11 |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860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4030A (ko) | 2018-07-31 | 2020-02-10 | 윤성호 | 보강벨트를 갖는 컨테이너 백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20124375A (ko) | 2021-03-03 | 2022-09-14 | 최용주 | 톤백의 보강벨트 재봉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보강벨트의 연속 재봉방법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88889U (ja) * | 1983-06-01 | 1984-12-14 | 小林 高明 | 角型粒体用網袋 |
JPS61194692U (ko) * | 1985-05-24 | 1986-12-04 | ||
JPH0654582U (ja) * | 1992-02-12 | 1994-07-26 | グンゼ株式会社 | ストッキング包装体 |
KR200173169Y1 (ko) | 1998-04-07 | 2000-03-02 | 조증언 | 준설선의 오염방지장치 |
KR100523238B1 (ko) | 2005-01-21 | 2005-10-24 | 전명춘 |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 |
KR100762307B1 (ko) | 2006-01-25 | 2007-10-09 | 한국해양연구원 | 조립식 부양구조체 |
KR20090003410U (ko) * | 2007-10-09 | 2009-04-14 | 최용주 | 컨테이너 백 |
KR100918308B1 (ko) | 2008-08-13 | 2009-09-18 | 변재남 |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앵커 시공방법 |
KR100959676B1 (ko) | 2009-12-17 | 2010-05-26 |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 선박형 승강식 오탁방지장치 |
-
2015
- 2015-06-11 KR KR1020150082318A patent/KR1015886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88889U (ja) * | 1983-06-01 | 1984-12-14 | 小林 高明 | 角型粒体用網袋 |
JPS61194692U (ko) * | 1985-05-24 | 1986-12-04 | ||
JPH0654582U (ja) * | 1992-02-12 | 1994-07-26 | グンゼ株式会社 | ストッキング包装体 |
KR200173169Y1 (ko) | 1998-04-07 | 2000-03-02 | 조증언 | 준설선의 오염방지장치 |
KR100523238B1 (ko) | 2005-01-21 | 2005-10-24 | 전명춘 |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 |
KR100762307B1 (ko) | 2006-01-25 | 2007-10-09 | 한국해양연구원 | 조립식 부양구조체 |
KR20090003410U (ko) * | 2007-10-09 | 2009-04-14 | 최용주 | 컨테이너 백 |
KR100918308B1 (ko) | 2008-08-13 | 2009-09-18 | 변재남 |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앵커 시공방법 |
KR100959676B1 (ko) | 2009-12-17 | 2010-05-26 |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 선박형 승강식 오탁방지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4030A (ko) | 2018-07-31 | 2020-02-10 | 윤성호 | 보강벨트를 갖는 컨테이너 백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20124375A (ko) | 2021-03-03 | 2022-09-14 | 최용주 | 톤백의 보강벨트 재봉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보강벨트의 연속 재봉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158149B (zh) | 全封闭式柔性深水围隔 | |
US7029205B2 (en) | Apparatus for pipeline stabilization and shoreline erosion protection | |
MXPA05012610A (es) | Balastro de tuberia y su metodo de empleo. | |
KR101588608B1 (ko) | 중량물의 포장이 가능한 초대형 톤백 제조방법 | |
JP4723892B2 (ja) | 越水防止装置および越水防止工法 | |
US20090297270A1 (en) | Artificial reef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rtificial reef | |
JP6209711B1 (ja) | 非常災害用水嚢堤防袋 | |
JP6162928B2 (ja) | 土嚢集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土嚢集合体 | |
KR101959724B1 (ko) | 섬유돌망태를 이용한 오탁방지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0918308B1 (ko) |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앵커 시공방법 | |
JP3911146B2 (ja) | 中繋ぎ材を設けた耐波浪性土木工事用袋材とこの袋材を用いた耐波浪性土木工事用袋体の製造方法。 | |
US10024014B1 (en) | Nonfloating oil fence boom | |
JPH11323936A (ja) |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安定化工法 | |
KR100617898B1 (ko) | 오탁방지막 앵커블록 | |
JP5100513B2 (ja) | 補強土壁及びその構築方法 | |
JP3144058U (ja) | 防災用水のう及び防災用水のう集合体 | |
US20180208277A1 (en) | Self-closing sheet for encapsulating and dumping a bulk of material | |
JP6600582B2 (ja) | 構造物の形成方法及び構造物 | |
JP4551985B2 (ja) | 岸壁構造体及びその形成方法 | |
JP4148737B2 (ja) | 土砂又は土砂と固化材との混合物を詰めた袋体の水底への設置方法 | |
CN208325567U (zh) | 抗风浪水上装置 | |
JP2015218552A (ja) | サンドパック、水中構造物、及び水中構造物の構築方法 | |
JP2003227117A (ja) | 防水用具および該防水用具を使用する防水方法 | |
JP2003171923A (ja) | 被覆材、被覆材の製作方法、洗掘防止構造、洗掘防止工法 | |
JP2007247309A (ja) | 遮水処理層の構築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