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489B1 -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489B1
KR101588489B1 KR1020120120270A KR20120120270A KR101588489B1 KR 101588489 B1 KR101588489 B1 KR 101588489B1 KR 1020120120270 A KR1020120120270 A KR 1020120120270A KR 20120120270 A KR20120120270 A KR 20120120270A KR 101588489 B1 KR101588489 B1 KR 101588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terminal
communication
ground
circu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4593A (ko
Inventor
이현철
허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12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489B1/ko
Priority to US14/361,340 priority patent/US8933723B2/en
Priority to CN201380004513.3A priority patent/CN104025535B/zh
Priority to JP2014547128A priority patent/JP5843121B2/ja
Priority to EP13838054.8A priority patent/EP2753040B1/en
Priority to PCT/KR2013/009536 priority patent/WO2014069839A1/ko
Priority to TW102138897A priority patent/TWI536734B/zh
Publication of KR20140054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6Bus impedance matching, e.g. 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05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2Arrangements for coupling to multiple lines, e.g.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78Arrangements for 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98Arrangement for terminating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Abstract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는, 제1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동작하는 제1 회로부; 제2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동작하는 제2 회로부;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중 하나가 연결되지 않아서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 중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는 종단 저항 발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terminating resistance for differential input mode communication and differential input mode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에서 복수의 동일한 통신 보드를 이용하되,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면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고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지 않으면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지 아니함으로써,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에서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구분하여 관리할 필요가 없고, 통신 장치 설치 시, 종단에 위치한 통신 보드에 종단 저항을 누락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통신 보드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통신 보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유지 및 관리가 편한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RS-485(Recommended Standard-485) 통신, RS-422(Recommended Standard-422) 통신 등의 차동 입력 방식의 시리얼 통신의 경우, 통신 장치의 종단에 종단 저항을 설치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차동 입력 방식 통신에서 통신 장치는 여러 설계 기준에 의한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어서 통신 장치의 종단에서 반사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통신 장치의 선로(11)의 양 종단에 저항(12, 13)을 연결하여 선로 전체에 일정 전류가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선로(11) 상의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반사 현상을 줄이고 노이즈에 강하도록 하는데, 이 때 설치하는 저항이 종단 저항(12, 13)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에서 종단 저항을 설치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단에 위치한 통신 보드(21, 22) 자체에 종단 저항(23, 24)을 설치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단에 위치한 통신 보드(31, 32)의 외곽 통신 커넥터(33, 34)에 종단 저항(35, 36)을 설치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종단 저항을 삽입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는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구분하여 관리하여야 하므로 통신 장치의 유지 및 관리가 불편하고, 통신 장치를 처음 설치할 때, 종단에 위치한 통신 보드에 종단 저항을 누락하는 실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674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에서 복수의 동일한 통신 보드를 이용하되,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면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고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지 않으면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지 아니함으로써,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에서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구분하여 관리할 필요가 없고, 통신 장치 설치 시, 종단에 위치한 통신 보드에 종단 저항을 누락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통신 보드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통신 보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유지 및 관리가 편한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는, 제1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동작하는 제1 회로부; 제2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동작하는 제2 회로부;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중 하나가 연결되지 않아서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 중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는 종단 저항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회로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온(ON) 상태가 되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부는,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온(ON) 상태가 되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단 저항 발생부는, 복수의 저항 및 상기 복수의 저항 사이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단 저항 발생부는,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 모두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오프(OFF) 상태가 되어 상기 복수의 저항이 연결되지 않아 상기 종단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종단 저항 발생부는,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 중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ON) 상태가 되어 상기 복수의 저항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종단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N채널 공핍형 모스펫(MOSFE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는, 차동 입력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통신 보드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 보드는 상기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는 종단 저항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종단 저항 발생 장치는, 제1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동작하는 제1 회로부; 제2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동작하는 제2 회로부;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중 하나가 연결되지 않아서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 중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는 종단 저항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통신 보드 중 종단에 위치한 통신 보드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중 하나가 연결되지 않아서 종단 저항이 발생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보드 중 종단에 위치하지 않은 통신 보드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모두가 연결되어 종단 저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온(ON) 상태가 되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부는,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온(ON) 상태가 되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단 저항 발생부는, 복수의 저항 및 상기 복수의 저항 사이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단 저항 발생부는,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 모두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오프(OFF) 상태가 되어 상기 복수의 저항이 연결되지 않아 상기 종단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종단 저항 발생부는,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 중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ON) 상태가 되어 상기 복수의 저항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종단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N채널 공핍형 모스펫(MOSFET)일 수 있다.
상기 차동 입력 방식의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RS-485(Recommended Standard-485) 통신 및 RS-422(Recommended Standard-422) 통신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에서 복수의 동일한 통신 보드를 이용하되,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면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고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지 않으면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지 아니함으로써,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에서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구분하여 관리할 필요가 없고, 통신 장치 설치 시, 종단에 위치한 통신 보드에 종단 저항을 누락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통신 보드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통신 보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유지 및 관리가 편한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에서 종단 저항을 설치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100)는 제1 회로부(110), 제2 회로부(120) 및 종단 저항 발생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100)는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의 통신 보드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통신 보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회로부(110)는 제1 그라운드 단자(111)를 포함하고, 제1 그라운드 단자(111)가 그라운드(ground)에 연결되었을 때만 동작한다. 그리고 제2 회로부(120)는 제2 그라운드 단자(121)를 포함하고, 제2 그라운드 단자(121)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동작한다. 여기서, '동작한다'라는 것은 해당 회로부가 온(ON) 상태가 되어 회로에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단 저항 발생부(130)는 제1 그라운드 단자(111) 및 제2 그라운드 단자(121) 중 하나가 연결되지 않아서 제1 회로부(110) 및 제2 회로부(120) 중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 종단 저항을 발생시킨다. 종단 저항 발생부(130)는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하이(high)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131)와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로우(low)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회로부(110)는 제1 그라운드 단자(111)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온(ON) 상태가 되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112, 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회로부(110)가 두 개의 트랜지스터(112, 113)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필요에 따라 트랜지스터는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일 수 있다.
제1 회로부(110)는 트랜지스터(112, 113)에 걸리는 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분압 저항(114, 115, 116, 11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로부(110)는 제1 회로부(110) 및 제2 회로부(120)가 동작하여 전류가 흐를 경우 전압이 걸리도록 하기 위한 부하 저항(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부(120)는 제2 그라운드 단자(121)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온(ON) 상태가 되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122, 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2 회로부(120)가 두 개의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122, 123)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필요에 따라 트랜지스터는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일 수 있다.
제2 회로부(120)는 트랜지스터(122, 123)에 걸리는 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분압 저항(124, 125, 126, 127)을 포함할 수 있다.
종단 저항 발생부(130)는 복수의 저항(133, 134) 및 복수의 저항(133, 134) 사이의 스위칭 소자(135)를 포함할 수 있다. 종단 저항 발생부(130)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을 통하여, 제1 그라운드 단자(111) 및 제2 그라운드 단자(121) 중 하나가 연결되지 않아서 제1 회로부(110) 및 제2 회로부(120) 중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 종단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단 저항 발생부(130)는 제1 회로부(110) 및 제2 회로부(120) 모두가 동작하는 경우, 스위칭 소자(135)가 오프(OFF) 상태가 되어 복수의 저항(133, 134)이 연결되지 않아 상기 종단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종단 저항 발생부(130)는 제1 회로부(110) 및 제2 회로부(120) 중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 스위칭 소자(135)가 온(ON) 상태가 되어 복수의 저항(133, 134)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종단 저항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 소자(135)는 N채널 공핍형 모스펫(MOSFET)일 수 있다. N채널 공핍형 모스펫은 게이트에 전압이 인가되면 오프(OFF) 상태가 되고, 게이트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온(ON) 상태가 되는 성질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 저항 발생 장치(100)의 종단 저항 발생부(130)의 스위칭 소자(135)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그라운드 단자(111) 및 제2 그라운드 단자(121)가 모두 연결되어 제1 회로부(110) 및 제2 회로부(120)가 동작하는 경우, 제1 회로부(110) 및 제2 회로부(120)의 트랜지스터(112, 113, 122, 123)가 모두 동작하게 되어, 제1 회로부(110)의 부하 저항(118)에 전압이 인가되게 되고 N채널 공핍형 모스펫(135)은 오프(OFF)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종단 저항 발생부(130)의 저항(133, 134)이 서로 연결되지 않아서 종단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1 그라운드 단자(111)가 연결되지 않아서 제1 회로부(110)가 동작하지 않고 제2 회로부(120)만 동작하는 경우, 제1 회로부(110)의 트랜지스터(112, 113)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제1 회로부(110)의 부하 저항(118)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되고 N채널 공핍형 모스펫(135)은 온(ON)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종단 저항 발생부(130)의 저항(133, 134)이 서로 연결되어 종단 저항이 발생한다.
제2 그라운드 단자(121)가 연결되지 않아서 제2 회로부(120)가 동작하지 않고 제1 회로부(110)만 동작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2 회로부(120)의 트랜지스터(122, 123)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제1 회로부(110)의 부하 저항(118)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되고 N채널 공핍형 모스펫(135)은 온(ON)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종단 저항 발생부(130)의 저항(133, 134)이 서로 연결되어 종단 저항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단 저항 발생 장치(100)는 제1 그라운드 단자(111) 및 제2 그라운드 단자(121)가 그라운드에 모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종단 저항 발생 여부가 결정되므로,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가지고 있더라도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구분하여 관리할 필요가 없고, 통신 장치 설치 시, 종단에 위치한 통신 보드에 종단 저항을 누락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100)가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RS-485(Recommended Standard-485) 통신 및 RS-422(Recommended Standard-422) 통신 중 하나의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는 차동 입력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통신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보드는 상기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는 종단 저항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단 저항 발생 장치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단 저항 발생 장치(100)일 수 있다.
도 6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100)는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의 통신 보드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의 통신 보드 중 종단에 위치한 통신 보드(100', 100'')는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제2 그라운드 단자 중 하나가 연결되지 않아서 종단 저항이 발생된다. 즉, 통신 보드(100')는 제2 그라운드 단자(121')가 연결되지 않았으므로 종단 저항이 발생하고, 통신 보드(100'')는 제1 그라운드 단자(111')가 연결되지 않았으므로 종단 저항이 발생한다.
그리고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의 통신 보드 중 종단에 위치하지 않은 통신 보드는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제2 그라운드 단자 모두가 연결되어 종단 저항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종단 저항 발생 장치
110 제1 회로부
120 제2 회로부
130 종단 저항 발생부

Claims (16)

  1. 제1 그라운드 단자, 하나 이상의 제1 트랜지스터 및 부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동작하는 제1 회로부;
    제2 그라운드 단자 및 하나 이상의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동작하는 제2 회로부; 및
    복수의 저항 및 상기 복수의 저항 사이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중 하나가 연결되지 않아서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 중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는 종단 저항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는, 각각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에 걸리는 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분압 저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모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가 모두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모두 동작하고, 상기 제1 회로부에 포함된 상기 부하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오프(OFF) 상태로 되어 상기 종단 저항 발생부의 복수의 저항 상호가 연결되지 않음에 따라, 종단 저항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중 하나만 연결되어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 중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회로부 또는 상기 제2 회로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동작하지 않고, 상기 제1 회로부에 포함된 상기 부하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며,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ON) 상태로 되어 상기 종단 저항 발생부의 복수의 저항 상호가 연결됨에 따라, 종단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온(ON) 상태가 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온(ON) 상태가 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N채널 공핍형 모스펫(MOS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8. 차동 입력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통신 보드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 보드는 상기 통신 보드가 종단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는 종단 저항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종단 저항 발생 장치는,
    제1 그라운드 단자, 하나 이상의 제1 트랜지스터 및 부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동작하는 제1 회로부;
    제2 그라운드 단자 및 하나 이상의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동작하는 제2 회로부; 및
    복수의 저항 및 상기 복수의 저항 사이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중 하나가 연결되지 않아서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 중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 종단 저항을 발생시키는 종단 저항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는, 각각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에 걸리는 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분압 저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모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가 모두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모두 동작하고, 상기 제1 회로부에 포함된 상기 부하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오프(OFF) 상태로 되어 상기 종단 저항 발생부의 복수의 저항 상호가 연결되지 않음에 따라, 종단 저항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중 하나만 연결되어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 중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회로부 또는 상기 제2 회로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가 동작하지 않고, 상기 제1 회로부에 포함된 상기 부하 저항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며,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ON) 상태로 되어 상기 종단 저항 발생부의 복수의 저항 상호가 연결됨에 따라, 종단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보드 중 종단에 위치한 통신 보드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중 하나가 연결되지 않아서 종단 저항이 발생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보드 중 종단에 위치하지 않은 통신 보드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모두가 연결되어 종단 저항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온(ON) 상태가 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었을 때만 온(ON) 상태가 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N채널 공핍형 모스펫(MOS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입력 방식의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RS-485(Recommended Standard-485) 통신 및 RS-422(Recommended Standard-422) 통신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KR1020120120270A 2012-10-29 2012-10-29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KR101588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270A KR101588489B1 (ko) 2012-10-29 2012-10-29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US14/361,340 US8933723B2 (en) 2012-10-29 2013-10-24 Terminating resistance generation device for differential input mode communication and differential input mode communication device
CN201380004513.3A CN104025535B (zh) 2012-10-29 2013-10-24 用于生成差分输入模式通信的终端电阻的装置和差分输入模式通信装置
JP2014547128A JP5843121B2 (ja) 2012-10-29 2013-10-24 差動入力方式通信の終端抵抗発生装置および差動入力方式通信装置
EP13838054.8A EP2753040B1 (en) 2012-10-29 2013-10-24 Terminating resistance generation device for differential input mode communication and differential input mode communication device
PCT/KR2013/009536 WO2014069839A1 (ko) 2012-10-29 2013-10-24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TW102138897A TWI536734B (zh) 2012-10-29 2013-10-28 用於產生差動輸入模式通訊的終端電阻之設備及差動輸入模式通訊設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270A KR101588489B1 (ko) 2012-10-29 2012-10-29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593A KR20140054593A (ko) 2014-05-09
KR101588489B1 true KR101588489B1 (ko) 2016-01-25

Family

ID=5062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270A KR101588489B1 (ko) 2012-10-29 2012-10-29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33723B2 (ko)
EP (1) EP2753040B1 (ko)
JP (1) JP5843121B2 (ko)
KR (1) KR101588489B1 (ko)
CN (1) CN104025535B (ko)
TW (1) TWI536734B (ko)
WO (1) WO2014069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7864A (zh) * 2014-11-27 2015-05-0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一种用于rs422总线的节点装置及其总线接入方法
TWI561952B (en) * 2015-08-27 2016-12-11 Self-feedback control circuit
US11068433B2 (en) * 2018-10-18 2021-07-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rial bus repeater with low power state det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0574A1 (en) * 2005-11-29 2007-05-31 Houston Timothy R Method and apparatus for can bus auto-termination
EP2166717A1 (en) * 2008-09-22 2010-03-24 Stoneridge Electronics AB A device for connection to a can-bu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980B2 (ja) * 1993-11-29 2001-05-28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5570037A (en) * 1994-07-20 1996-10-29 Methode Electronics Switchable differential terminator
US5977796A (en) * 1997-06-26 1999-11-02 Lucent Technologies, Inc. Low voltage differential swing interconnect buffer circuit
US6587968B1 (en) * 1999-07-16 2003-07-01 Hewlett-Packard Company CAN bus termination circuits and CAN bus auto-termination methods
JP3654823B2 (ja) * 2000-08-04 2005-06-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二線式バスにおける送受信ユニット
US6586964B1 (en) * 2001-12-10 2003-07-01 Xilinx, Inc. Differential termination with calibration for differential signaling
US6963219B1 (en) * 2003-04-08 2005-11-08 Xilinx, Inc. Programmable differential internal termination for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input or output buffer
KR20050064897A (ko) * 2003-12-24 200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종단회로의 저항 값에 따라 입력버퍼의 이득을 조절할 수있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입력버퍼의 이득조절 방법
KR100652391B1 (ko) 2004-12-17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압 차동 신호 드라이버
JP4577689B2 (ja) * 2005-05-25 2010-11-10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終端回路、および終端回路を備える半導体装置
KR101311685B1 (ko) * 2006-06-30 2013-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0756745B1 (ko) 2006-09-28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종단저항을 이용한 can 통신 복구 시스템
US8653853B1 (en) * 2006-12-31 2014-02-18 Altera Corporation Differential interfaces for power domain crossings
US7917042B2 (en) * 2007-06-29 2011-03-29 Alcatel-Lucent Usa Inc. High speed optoelectronic receiver
JP4384207B2 (ja) * 2007-06-29 2009-12-1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
JP2010028670A (ja) * 2008-07-23 2010-02-04 Hitachi Ulsi Systems Co Ltd シリアル通信システム
US8008944B2 (en) * 2008-11-25 2011-08-30 Qualcomm Incorporated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driver with programmable on-chip resistor termination
KR101030957B1 (ko) * 2008-12-29 2011-04-2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차동전류 구동 방식의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0980626B1 (ko) * 2010-05-25 2010-09-07 주식회사 조일에너지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0574A1 (en) * 2005-11-29 2007-05-31 Houston Timothy R Method and apparatus for can bus auto-termination
EP2166717A1 (en) * 2008-09-22 2010-03-24 Stoneridge Electronics AB A device for connection to a can-b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43121B2 (ja) 2016-01-13
TW201431284A (zh) 2014-08-01
EP2753040B1 (en) 2017-11-29
EP2753040A4 (en) 2015-07-15
TWI536734B (zh) 2016-06-01
CN104025535A (zh) 2014-09-03
KR20140054593A (ko) 2014-05-09
WO2014069839A1 (ko) 2014-05-08
EP2753040A1 (en) 2014-07-09
US20140312927A1 (en) 2014-10-23
JP2015507863A (ja) 2015-03-12
CN104025535B (zh) 2017-06-20
US8933723B2 (en)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9193B2 (en) Tri-state control for a line driver
US725366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lf-biasing differential signaling circuitry having multimode output configurations for low voltage applications
CN102811265A (zh) 半导体集成电路装置、电子装置以及无线通信装置
US20150137881A1 (en) High-Voltage-Tolerant Pull-Up Resistor Circuit
KR101588489B1 (ko)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KR101952857B1 (ko) 스위칭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고주파 스위치
US9948291B1 (en) 20V to 50V high current ASIC PIN diode driver
JP2006042136A (ja) 終端回路、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50280712A1 (en) Data output circuit of semiconductor apparatus
US20160149492A1 (en) Voltage adjusting apparatus
US10044526B2 (en) Transmitt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362912B2 (en) Data output circuit of semiconductor apparatus
WO2013161483A1 (ja) 出力ドライバ回路
US7208993B2 (en) Input current leakage correction for multi-channel LVDS front multiplexed repeaters
US7154318B2 (en) Input/output block with programmable hysteresis
US9846671B2 (en)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system
US7304526B2 (en) Switching circuit for handling signal voltages greater than the supply voltage
US8917112B1 (en) Bidirectional level shifter
CN107534441A (zh) 电平移位器
US20170199539A1 (en) Voltage selecting circuit
US883640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switch
CN107846564B (zh) 终端电路及输出级电路
CN105786143A (zh) 电子设备供电系统
KR101539909B1 (ko) 고주파 스위치
JP2009171102A (ja) コンパレータ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