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685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685B1
KR101311685B1 KR1020060060157A KR20060060157A KR101311685B1 KR 101311685 B1 KR101311685 B1 KR 101311685B1 KR 1020060060157 A KR1020060060157 A KR 1020060060157A KR 20060060157 A KR20060060157 A KR 20060060157A KR 101311685 B1 KR101311685 B1 KR 101311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lines
differential signal
voltage supply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805A (ko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0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685B1/ko
Publication of KR20080001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4Use of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for display data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부품수를 절감하여 비용을 줄이고 인쇄회로 기판의 유효면적을 증가시키며 전자파 장애(EMI)를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차동 신호 전송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및 제 2 신호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 상의 정전기를 방지하며 상기 데이터를 유지하여 주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 상에 구비된 연결 패키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동 신호 전송방식, 종단 저항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LVDS 구동방식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연결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연결 패키지의 내부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2:액정패널 104:게이트 드라이버
106:데이터 드라이버 108:타이밍 컨트롤러
110:시스템 112:차동 신호 송신부
113:연결 패키지 114a:제 1 정전기 방지부
114b:제 2 정전기 방지부 115a ~ 115d:제 1 내지 제 4 다이오드
116a:제 1 신호라인 116b:제 2 신호라인
118:종단 저항 120:액정표시모듈(LCM)
122:차동 신호 수신부 124:인쇄기판
130:제너 다이오드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수를 줄여 유효면적을 증가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점증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하 '액정표시장치'라 함),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등 여러가지 평판표시장치가 연구되어 왔고 일부는 이미 여러장비에서 표시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 현재 화질이 우수하고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이동형 화상 표시장치의 용도로 브라운관(CRT)을 대체하면서 액정표시장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는 노트북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은 이동형의 용도 이외에도 텔레비전 모니터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성질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은 구조가 가늘고 길기 때문에 분자의 배열에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위적으로 액정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분자배열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공통전극과 컬러필터 어레이 등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기판과 복수의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와 복수의 화소전극 등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두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생기고, 이에 따라 전기장이 생성되며, 상기 전기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액정층의 액 정 분자들의 배열을 바꾼다. 상기 액정 분자들의 배열이 변화하면,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이 바뀌므로 원하는 소정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 데이터를 전송할때 많은 양의 전송 라인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송 라인에서 많은 양의 전자파 장애(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이하 'EMI' 라 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이하, '차동 신호 전송방식'라 한다)와 RSDS(Reduced Swing Differential Signaling) 방식과 같이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LVDS는 주로 다른 시스템에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표시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할때 사용되며, 상기 RSDS는 상기 액정표시장치 내의 타이밍 컨트롤러에서 액정패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차동 신호 전송방식은 극성이 반대인 정극성(+) 신호와 부극성(-) 신호가 각각 전달되는 두 라인 양단의 전압차를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상기 두 라인 양단의 전압차가 낮아도 데이터가 쉽게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동 신호 전송방식에서는 상기 정극성(+) 및 부극성(-) 신호의 전자기파의 소거에 의해 상기 전자파 장애(EMI) 방사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상기 정극성(+) 및 부극성(-)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두 신호의 차이로 데이터를 인식하므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LVDS 구동방식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모듈(20)과 상기 액정표시모듈(20)로 복수의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공급하는 시스템(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시스템(10)은 상기 액정표시모듈(20)로 복수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차동 신호 송신부(1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액정표시모듈(20)은 상기 시스템(10)으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차동 신호 수신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동 신호 송신부(12)와 차동 신호 수신부(22)는 인쇄기판(24) 상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라인(16a, 16b)들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기판(24) 상에는 상기 차동 신호 송신부(12)에서 상기 차동 신호 수신부(22)로 공급되는 데이터 및 제어신호들을 외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는 복수의 정전기 방지부(14a, 14b)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동 신호 송신부(12)와 상기 차동 신호 수신부(22) 사이에 연결된 신호라인들(16a, 16b) 사이에는 종단 저항(18)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16a, 16b) 각각에는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14a, 14b)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16a, 16b) 사이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단 저항(18)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차동 신호 송신부(12)와 상기 차동 신호 수신부(22)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신호라인(16a, 16b) 각각에는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14a, 14b)가 연결되고 두 쌍의 신호라인(16a, 16b) 사이에는 각각 종단 저항(18)이 연결되어 있 다.
결국, 상기 인쇄기판(24) 상에 상기 차동 신호 송신부(12)와 차동 신호 수신부(22)를 연결하는 복수의 신호라인들(16a, 16b)과 상기 신호라인 각각에 구비된 정전기 방지부(14a, 14b)와, 상기 한 쌍의 신호라인(16a, 16b) 사이에 구비된 종단 저항(18) 등으로 인해 유효면적이 감소되고, 각 신호라인 별로 정전기 방지부(14a, 14b)와 종단 저항(18)이 연결되기 때문에 부품 수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부품 수가 증가하게 되면 비용 또한 증가하게 되고 상기 인쇄기판(24)의 유효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인쇄기판(24)의 면적을 증가시키게 되면 외부에서 발생한 정전기 등으로 인해 손실을 입게되어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데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비용을 절감하고 차동 신호 전송방식을 이용해서 안정적으로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차동 신호 전송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및 제 2 신호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 상의 정전기를 방지하며 상기 데이터를 유지하여 주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 상에 구비된 연결 패키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복수의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공급하는 시스템(110)과 상기 시스템(110)으로부터 공급된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시스템(110)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모듈(LCM, 12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시장치의 일예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를 전송할때 LVDS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LVDS는 차동 신호 전송방식의 한 종류로써, 상기 차동 신호 전송방식은 극성이 반대인 정극성(+) 데이터와 부극성(-) 데이터가 각각 전달되는 두 라인 양단의 전압차로 데이터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상기 두 라인 양단의 전압차가 낮아도 데이터가 쉽게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10)은 상기 액정표시모듈(LCM, 120)로 수직/수평동기신호(Vsync/Hsync)와 데이터 이네이블(DE) 신호 및 소정의 클럭신호를 공급하고 또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공급한다.
상기 액정표시모듈(LCM, 120)은 상기 수직/수평동기신호(Vsync/Hsync)와 데이터 이네이블(DE) 신호 및 소정의 클럭신호를 이용해서 게이트 제어신호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08)와,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104)와,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터 드라이버(106) 및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102)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패널(102)에는 복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L0 ~ GLn)과 데이터라인(DL1 ~ DLm)이 배열되며 그 교차부에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102)은 제 1 및 제 2 유리기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유리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분자의 배열에 따라 상기 액정패널(102)에 표시되는 화상이 결정된다.
상기 액정분자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과 상기 제 1 유리기판에 형성된 공통전극(미도시)으로 공급되는 공통전압(Vcom)의 전위차에 따라 구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액정분자의 배열이 결정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04)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생성된 게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이트라인(GL0 ~ GLn)에 순차적으로 스캔신호, 즉 게이트 하이 전압(VGH) 및 게이트 로우 전압(VGL)을 공급한다.
상기 게이트라인(GL0 ~ GLn)으로 게이트 하이 전압(VGH)이 공급되면 상기 게이트라인(GL0 ~ GLn)과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턴-온(turn-on)되고, 상기 게이트라인(GL0 ~ GLn)으로 게이트 로우 전압(VGL)이 공급되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는 턴-오프(turn-off)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DL1 ~ DLm)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정렬된 데이터를 감마전압을 이용해서 아날로그 값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복수 의 데이터라인(DL1 ~ DLm)으로 공급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상기 시스템(110)으로부터 공급된 수직/수평동기신호(Vsync/Hsync)와 데이터 이네이블(DE) 신호 및 소정의 클럭신호을 이용해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04)를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신호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상기 시스템(110)으로부터 공급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정렬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로 공급한다.
상기 시스템(110)은 상기 액정표시모듈(LCM, 120) 특히, 타이밍 컨트롤러(108)로 복수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차동 신호 송신부(11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상기 시스템(110)으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차동 신호 수신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동 신호 수신부(122)는 차동 신호 전송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110)의 차동 신호 송신부(112)로부터 차동 신호 전송방식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차동 신호 송신부(112)와 차동 신호 수신부(122)는 인쇄기판(124) 상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라인들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인쇄기판(124) 뿐 아니라 FFC(Flexible Flat Cable) 등과 같은 것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동 신호 송신부(112)와 차동 신호 수신부(122)는 복수의 신호라인들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은 두 개의 신호라인이 한쌍을 이루며 연결 패키지(113)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 패키지(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114a, 114b)와 종단 저항(11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 정전기 방지부(114a)는 제 1 신호라인(116a)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정전기 방지부(114b)는 제 2 신호라인(116b)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116a, 116b) 사이에는 종단 저항(118)이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114a, 114b)와 상기 종단 저항(118)이 하나의 연결 패키지(113)를 이루며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의 한쌍에 연결되어 상기 인쇄기판(124) 상에 실장된다.
상기 연결 패키지(113)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이 상기 차동 신호 송신부(112)로부터 상기 차동 신호 수신부(122)로 공급하는 데이터를 보호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116a, 116b)으로 공급되는 데이터들의 전압 차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연결 패키지(113) 내부에 형성된 종단 저항(118)은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116a, 116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종단 저항(118)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도 2의 연결 패키지의 내부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패키지(113)의 내부 회로는 제 1 및 제 2 다이오드(115a, 115b)로 이루어진 제 1 정전기 방지부(114a)와, 제 3 및 제 4 다이오드(115c, 115d)로 이루어진 제 2 정전기 방지부(114b)와 종단 저 항(118)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패키지(113)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압(Vcc)과 그라운드 전압(GND)이 공급된다. 정확히 하면, 상기 연결 패키지(113) 내부에는 제너 다이오드(1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너 다이오드(130)는 상기 입력전압(Vcc)과 상기 그라운드 전압(GND)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다이오드(115a)는 제 2 다이오드(115b)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3 다이오드(115c)는 제 4 다이오드(115d)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오드(115a)는 상기 제 3 및 제 4 다이오드(115c, 115d)와 서로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114a, 114b)를 구성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다이오드(115a ~ 115d)는 상기 연결 패키지(113)로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정전기가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116a, 116b)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정전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종단 저항(118)은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116a, 116b)으로 공급된 정극성(+)의 데이터와 부극성(-)의 데이터 사이의 전압차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116a, 116b)을 통해 공급된 정극성(+) 데이터와 부극성(-) 데이터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의 차동 신호 수신부(122)로 공급된다. 상기 차동 신호 수신부(122)로 공급된 정극성(+) 데이터와 부극성(-)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로 공급되어 상기 액정패널(102) 상에 소정의 화상으로 표시된다.
외부에서 유입된 정전기가 상기 제 1 신호라인(116a)으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정전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114a, 114b)에 구비된 다이오드로 공급되고 상기 다이오드로 구비된 정전기는 상기 제너 다이오드(130)로 공급된다.
또한, 외부에서 유입된 정전기가 상기 제 2 신호라인(116b)으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정전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114a, 114b)에 구비된 다이오드로 공급되고 상기 다이오드로 구비된 정전기는 상기 제너 다이오드(130)로 공급된다.
외부에서 유입된 정전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116a, 116b)으로 공급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114a, 114b)를 통해 상기 제어 다이오드(130)로 공급된다.
이로인해, 외부에서 유입된 정전기는 상기 연결 패키지(113)의 제어 다이오드(130)로 공급되어 상기 외부에서 유입된 정전기로 인해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116a, 116b)으로 공급된 정극성(+) 및 부극성(-) 데이터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114a, 114b)와 종단 저항(118)이 하나의 연결 패키지(113)를 이루며 상기 인쇄기판(124) 상에 실장된다. 상기 연결 패키지(113)는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에 한쌍의 제 1 및 제 2 신호라인(116a, 116b) 사이에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을 모두 연결할 수 있는 IC 형태로 집적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패키지(113)가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114a, 114b)와 종단 저항(118)을 포함하여 상기 인쇄기판(124) 상에 실장되므로 상기 인쇄기판(124) 상에 상기 연결 패키지(113)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114a, 114b)와 종단 저항(118)이 각각 차지하는 면적보다 감소될 수 있다.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상기 차동 신호 송신부(112)와 차동 신호 수신부(122)를 연결하는 신호라인들 사이에 각각 정전기 방지부와 종단 저항을 연결함에 따라 부품수가 증가하게 되어 비용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정전기 방지부(114a, 114b)와 종단 저항(118)을 함께 하나의 연결 패키지(113)로 패키지화 하여 상기 차동 신호 송신부(112)와 차동 신호 수신부(122)를 연결하는 신호라인들과 연결함으로써 종래의 표시장치에 비해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부품수가 감소됨에 따라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상기 인쇄기판(124)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패키지(113)가 상기 인쇄기판(124) 상에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어 상기 인쇄기판(124)의 유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패키지(113)가 상기 신호라인들을 연결함에 따라 상기 차동 신호 송신부(112)와 상기 차동 신호 수신부(122)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고 신호라인들의 길이와 상기 길이의 증가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차동 신호 송신부(112)와 상기 차동 신호 수신부(122) 사이의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외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가 상기 신호라인들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동 신호 전송방식 으로 상기 시스템(110)으로부터 데이터를 공급받는다. 상기 시스템(110) 또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 데이터를 공급할때 차동 신호 전송방식을 이용해서 공급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 차동 신호 전송방식을 통해 공급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로 공급되는데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 또한 차동 신호 전송방식으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데이터를 공급받는다.
즉,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 또한 차동 신호 전송방식으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데이터를 공급받는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 사이에서도 상기 연결 패키지(113)가 사용되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로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에는 차동 신호 전송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차동 신호 전송부를 통해 데이터를 차동 신호 전송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로 전송한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를 연결하는 복수의 신호라인들은 상기 연결 패키지(113)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에서 정렬된 데이터는 상기 연결 패키지(113)를 경유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로 공급된다.
결국, 상기 시스템(110)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 및 데이터 드라이버(106) 모두 차동 신호 전송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시스템(110)의 차동 신호 전송부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의 차동 신호 수신부 사이에 상기 연결 패 키지(113)가 형성되며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08)의 차동 신호 전송부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6) 사이에 상기 연결 패키지(113)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스템과 타이밍 컨트롤러 사이에 차동 신호를 송/수신 하는 신호라인들 사이에 연결 패키지를 연결하고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와 데이터 드라이버 사이에 차동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라인들 사이에 연결 패키지를 연결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동 신호 전송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든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차동 신호 전송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복수의 신호라인들 사이에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와 종단 저항을 하나로 패키지화 한 연결 패키지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신호라인들 사이에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와 종단 저항이 각각 따로 구비된 종래의 표시장치에 비해 부품수가 감소되며 부품수가 감소됨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패키지가 차지하는 면적이 상기 제 1 및 제 2 정전기 방지부와 종단 저항이 각각 따로 구비된 종래의 표시장치에 비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차동 신호 전송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고 이로인해 신호라인들의 길이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패키지가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기판 상에 실장됨에 따라 상기 인쇄기판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차동 신호 전송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및 제 2 신호라인;
    상기 제1 및 제2 신호라인 상의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 상에 구비된 정전기 방지부; 및
    상기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 간에 연결된 종단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정전기 방지부는,
    제1 내지 제5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신호라인 및 그라운드(Ground) 전압 공급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신호라인 및 입력전압 공급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다이오드는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그라운드 전압 공급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다이오드는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입력전압 공급 단자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5 다이오드는 상기 입력전압 공급 단자 및 상기 그라운드 전압 공급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신호 전송방식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지부와 상기 종단 저항은 하나의 패키지로 집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으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LVDS 송신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을 경유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LVDS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다이오드는 애노드(Anode) 단자가 상기 그라운드 전압 공급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4 다이오드는 캐소드(Cathode) 단자가 상기 입력전압 공급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5 다이오드는 애노드 단자가 상기 그라운드 전압 공급 단자에 연결되며 캐소드 단자가 상기 입력전압 공급 단자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다이오드는 제너(Zener) 다이오드인 표시장치.
KR1020060060157A 2006-06-30 2006-06-30 표시장치 KR10131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157A KR101311685B1 (ko) 2006-06-30 2006-06-30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157A KR101311685B1 (ko) 2006-06-30 2006-06-30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805A KR20080001805A (ko) 2008-01-04
KR101311685B1 true KR101311685B1 (ko) 2013-09-25

Family

ID=3921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157A KR101311685B1 (ko) 2006-06-30 2006-06-30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489B1 (ko) * 2012-10-29 2016-0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동 입력 방식 통신의 종단 저항 발생 장치 및 차동 입력 방식 통신 장치
CN114255670B (zh) * 2021-12-17 2024-01-0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及拼接显示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752A (ko) * 2002-08-08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04208303A (ja) * 2002-12-23 2004-07-22 Lg Phillips Lcd Co Ltd 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用リセット回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752A (ko) * 2002-08-08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04208303A (ja) * 2002-12-23 2004-07-22 Lg Phillips Lcd Co Ltd 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用リセット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805A (ko) 200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0888B2 (en) Display device with signal lines detouring around opening inside display area
KR101167314B1 (ko) 액정표시장치
US8379011B2 (en) Driving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US841616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28505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4067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6195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42446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1001911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1893773B (zh) 显示器及其伽玛调整电路
KR10113784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633103B1 (ko) 액정표시장치
US9711076B2 (en) Display device
KR20100076590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11685B1 (ko) 표시장치
KR10161576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270257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070068030A (ko) 액정표시장치
KR10086497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18542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65570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00143A (ko) 감마발생회로, 이를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 및감마발생회로의 구동방법
JPH03264922A (ja) 液晶の多階調表示における視角補正方式とそれを用いた多階調液晶表示装置
KR20070116373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16184A (ko) 제어신호발생회로와 구동회로가 일체화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