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186B1 -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186B1
KR101588186B1 KR1020140147339A KR20140147339A KR101588186B1 KR 101588186 B1 KR101588186 B1 KR 101588186B1 KR 1020140147339 A KR1020140147339 A KR 1020140147339A KR 20140147339 A KR20140147339 A KR 20140147339A KR 101588186 B1 KR101588186 B1 KR 101588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vehicle
child
adult
pup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무선 통신부; 차량 내 각 좌석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하기 위한 영상 촬영부; 음원 및 동영상 재생을 비롯하여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필터링한 멀티미디어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MULTIMEDIA DEVICE FOR VEHICLE}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차량 안전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안전 장치는 차량의 도로 주행 시, 운전자의 핸들조작을 보조하여 주행차선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선이탈 경보 장치와 운전자에 의해서 선택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경로에 따른 주변 정보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내비게이션은 단순히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운전자가 운전 중에 음악을 듣고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오디오 장치와 비디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이 일체화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가 차량에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내비게이션은 휴대폰과 무선 통신 연결되어 휴대폰 내 저장된 음악을 재생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저장매체와 연결되어 저장매체 내 영화, 음악 등을 재생시키거나, 또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영화,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영화, 음악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는 연령별 등급을 정하여 어린이 및 청소년의 이용을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차량 내 어린이를 비롯한 가족 모두가 탑승할 때, 휴대폰을 이용하여 음악 및 영화를 비롯한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재생목록에 성인용 멀티미디어가 존재하는 경우, 별다른 제한없이 성인용 멀티미디어가 어린이에게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개시된 발명은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을 인지하여, 음악 및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재생 시,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여 재생을 제한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내비게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측면의 차량은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무선 통신부; 차량 내 각 좌석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하기 위한 영상 촬영부; 음원 및 동영상 재생을 비롯하여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으로부터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한 후, 멀티미디어를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는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내 멀티미디어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상기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를 상기 성인용 멀티미디어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가 음악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는 성인용 식별정보, 곡명, 저작자 및 음악 채널을 포함하는 ID3 태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기 설정된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각 좌석의 무게가 어린이 무게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기초로, 동공의 크기를 파악하고, 파악된 동공 크기가 어린이 동공 크기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 후석 도어의 오픈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은, 음악 재생 요청, 동영상 재생 요청 및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 요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의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이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 결과,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필터링된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한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는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필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상기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를 상기 성인용 멀티미디어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기 설정된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각 좌석의 무게가 어린이 무게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영상 촬영부를 통해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기초로, 동공의 크기를 파악하는 단계; 파악된 동공 크기를 어린이 동공 크기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상기 동공 크기가 상기 어린이 동공 크기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이 후석 도어의 오픈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은, 음악 재생 요청, 동영상 재생 요청 및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 요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무선 통신부; 음원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동영상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중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한 멀티미디어를 상기 음성 출력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인용 멀티미디어는 성인용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내 멀티미디어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상기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를 상기 성인용 멀티미디어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기 설정된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각 좌석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각 좌석의 무게가 어린이 무게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촬영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기초로, 동공의 크기를 파악하고, 파악된 동공 크기가 어린이 동공 크기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 후석 도어의 오픈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 음악 및 동영상을 비롯한 멀티미디어 재생 시 성인용 멀티미디어의 재생을 제한하기 때문에,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가 유해환경에 노출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차량 내 어린이 탑승을 인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성인용 멀티미디어 재생을 제한하기 위한 차량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차량 내 어린이 탑승 인지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차량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의 내부는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도어(10),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좌석(20), 차량(100)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 표시부(41, 42), 운전자가 차량(100)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 보드(dashboard)(50),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10)는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기능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의 기능까지 제공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일 수 있다.
대시 보드(50)는 윈드 스크린의 하부로부터 운전자를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 보드(50)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좌석(20)은 대시 보드(50)의 후방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100)의 전방과 대시 보드(50)의 각종 기기를 주시하며 차량(100)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석과 운전자를 제외한 사용자들이 착석할 수 있는 운전석을 제외한 좌석을 포함한다.
클러스터 표시부(41, 42)는 대시 보드(50)의 운전석 측에 마련되며, 차량(100)의 운행 속도를 표시하는 주행 속도 게이지(41), 동력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rpm 게이지(4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10)는 차량(100)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보 또는 운전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6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바퀴(미도시)을 회전시키는 동력 장치(미도시), 차량(100)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조향 장치(미도시), 바퀴(미도시)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제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장치는 차량(1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동력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주행 방향을 입력받는 조향 핸들(30), 조향 핸들(30)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 조향 기어(미도시), 조향 기어(미도시)의 왕복 운동을 앞바퀴에 전달하는 조향 링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향 장치는 바퀴의 회전축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차량(100)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제동 조작을 입력받는 제동 페달(미도시), 바퀴와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미도시), 마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드럼(미도시)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동 장치는 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100)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멀티미디어 재생 시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한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차량 내 어린이 탑승을 인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0)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10), 무선 통신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감지 센서(150), 영상 촬영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10)는 음원 및 동영상 재생을 비롯하여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10)는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의 기능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의 기능까지 제공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 차량(100) 내 존재하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을 비롯한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제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10) 내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부(130)는 별도의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제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10) 내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를 선택함에 따라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차량(100) 내 어린이 탑승 인식을 위한 정보,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10)와 관련된 정보를 비롯하여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감지 센서(150)는 차량(100) 내 각 좌석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감지 센서(150)는 차량(100) 내 각 좌석(20a, 20b, 20c, 20d, 20e) 내부에 구비되어 좌석(20)에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센서(150)의 장착 위치는 좌석(20)에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위치라면, 어디든 제한되지 않는다.
영상 촬영부(160)는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촬영부(160)는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하기 위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좌석(20e)에 어린이가 착석하였다고 가정할 경우, 전좌석(20b)의 뒷면에 구비된 영상 촬영부(160)를 통해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부(160)를 대시 보드(도 1의 50) 또는 백미러(미도시)에 구비하여, 전좌석(20a, 20b) 또는 후좌석 중 20d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차량(100)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으로부터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한 후, 멀티미디어를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1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멀티미디어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할 수 있다.
상술한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은 음악 재생 요청, 동영상 재생 요청 및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 요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는 멀티미디어명 및 멀티미디어 저작자를 비롯하여 멀티미디어 관련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시된 발명에서는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인용 식별정보는 해당 멀티미디어 정보가 어린이 및 청소년의 접근을 제한하는 성인용임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110)를 통해 재생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 외에 멀티미디어 재생 가능한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70)는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내 멀티미디어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를 성인용 멀티미디어로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는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가 음악인 경우,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는 성인용 식별정보, 곡명, 저작자 및 음악 채널 등을 포함하는 ID3 태그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무선 통신부(120)로부터 기 설정된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연결 정보(예를 들어, 페어링(pairing)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어린이가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소지한 상태로 차량(100)에 탑승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부(120) 간에는 무선 통신이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부(120)는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연결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가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사전 등록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때,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어린이가 소지 가능한 휴대폰 및 태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린이와 함께 자주 탑승하는 부모의 휴대폰을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로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170)는 감지 센서(150)로부터 전달되는 각 좌석(20)의 무게가 어린이 무게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각 좌석(20a ~ 20e)에 구비된 감지 센서(150)로부터 각 좌석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게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무게 정보를 어린이 무게 기준(예를 들어, 1kg 내지 50kg)과 비교하여, 어린이 무게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촬영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기초로, 동공의 크기를 파악하고, 파악된 동공 크기가 어린이 동공 크기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어린이가 후좌석(20e)에 착석하였다고 가정할 경우, 전좌석(20b)의 뒷면에 구비된 영상 촬영부(160)를 이용하여 동공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이다. 제어부(170)는 동공 이미지를 기초로 동공 크기를 파악하고, 이를 어린이 동공 크기 기준과 비교하여 차량(100)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 후석 도어의 오픈을 인지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어린이의 탑승 인지를 위한 도어를 후석 도어로 지정한 것은 어린이의 안전을 위해 대부분 뒷 좌석에 앉히는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운용자에 따라 다른 도어로 설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6은 성인용 멀티미디어 재생을 제한하기 위한 차량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차량 내 어린이 탑승 인지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100)은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1). 이때,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은 음악 재생 요청, 동영상 재생 요청 및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 요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차량(100)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S103).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결을 감지하거나, 어린이 무게를 감지하거나, 후석 차량도어 오픈을 감지하거나, 또는 어린이 동공 크기를 감지하는 경우,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100)은 무선 통신부(120)로부터 기 설정된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어린이가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소지한 상태로 차량(100)에 탑승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부(120) 간에는 무선 통신이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100)은 무선 통신 연결 인식을 통해 어린이의 탑승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어린이가 소지 가능한 휴대폰 및 태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린이와 함께 자주 탑승하는 부모의 휴대폰을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로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차량(100)은 감지 센서(150)로부터 전달되는 각 좌석(20)의 무게가 어린이 무게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00)는 각 좌석(20a ~ 20e)에 구비된 감지 센서(150)로부터 각 좌석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게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무게 정보를 어린이 무게 기준(예를 들어, 1kg 내지 50kg)과 비교하여, 어린이 무게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하는 것이다.
또한, 단계 S103은 차량(100)이 영상 촬영부(160)를 통해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기초로, 동공의 크기를 파악하는 단계, 파악된 동공 크기를 어린이 동공 크기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동공 크기가 어린이 동공 크기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어린이가 후좌석(20e)에 착석하였다고 가정할 경우, 전좌석(20b)의 뒷면에 구비된 영상 촬영부(160)를 이용하여 동공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100)은 차량(100) 내 후석 도어의 오픈을 인지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어린이의 탑승 인지를 위한 도어를 후석 도어로 지정한 것은 어린이의 안전을 위해 대부분 뒷 좌석에 앉히는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운용자에 따라 다른 도어로 설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인식 결과,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 차량(100)은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필터링할 수 있다(S105, S107).
단계 S107의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필터링하는 단계에서, 차량(100)은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를 성인용 멀티미디어로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는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필터링된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한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다(S109).
도 8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300)는 무선 통신부(310), 입력부(320), 저장부(330), 음성 출력부(340), 디스플레이(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10)는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입력부(320)는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을 비롯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300)와 관련된 각종 제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20)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300) 내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부(320)는 별도의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제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350)를 선택함에 따라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차량(100) 내 어린이 탑승 인식을 위한 정보,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300)와 관련된 정보를 비롯하여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340)는 음원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스플레이(350)는 동영상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360)는 사용자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차량(100)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중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한 멀티미디어를 음성 출력부(340) 또는 디스플레이(35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360)는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내 멀티미디어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를 성인용 멀티미디어로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성인용 멀티미디어는 성인용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무선 통신부(310)로부터 기 설정된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감지 센서(410)로부터 전달되는 각 좌석의 무게가 어린이 무게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0)은 각 좌석(20a ~ 20e)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4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영상 촬영부(42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기초로, 동공의 크기를 파악하고, 파악된 동공 크기가 어린이 동공 크기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촬영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차량(100) 내 후석 도어의 오픈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100)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차량 110, 300 :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120, 310 : 무선 통신부 130, 320 : 입력부
140, 330 : 저장부 150, 410 : 감지 센서
160, 420 : 영상 촬영부 170, 360 : 제어부
200 :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 340 : 음성 출력부
350 : 디스플레이

Claims (21)

  1.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무선 통신부;
    사용자의 동공을 인식하기 위한 영상 촬영부;
    음원 및 동영상 재생을 비롯하여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전달되는 기 설정된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 정보 및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으로부터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한 후, 멀티미디어를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는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내 멀티미디어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상기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를 상기 성인용 멀티미디어로 파악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가 음악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는 성인용 식별정보, 곡명, 저작자 및 음악 채널을 포함하는 ID3 태그 형태인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기 설정된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하는 차량.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기초로, 동공의 크기를 파악하고, 파악된 동공 크기가 어린이 동공 크기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하는 차량.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은,
    음악 재생 요청, 동영상 재생 요청 및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 요청 중 어느 하나인 차량.
  9. 차량이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 결과,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필터링된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한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식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0. 차량이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 결과,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필터링된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한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영상 촬영부를 통해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기초로, 동공의 크기를 파악하는 단계, 파악된 동공 크기를 어린이 동공 크기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상기 동공 크기가 상기 어린이 동공 크기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는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필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상기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를 상기 성인용 멀티미디어로 파악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은,
    음악 재생 요청, 동영상 재생 요청 및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 요청 중 어느 하나인 차량의 제어방법.
  16.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무선 통신부;
    음원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동영상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기 설정된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중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한 멀티미디어를 상기 음성 출력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 기 설정된 어린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17.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촬영부
    음원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동영상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 내 어린이의 탑승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중 성인용 멀티미디어를 제외한 멀티미디어를 상기 음성 출력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동공 이미지를 기초로, 동공의 크기를 파악하고, 파악된 동공 크기가 어린이 동공 크기 기준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 어린이가 탑승한 것으로 인지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성인용 멀티미디어는 성인용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목록 내 멀티미디어 각각의 멀티미디어 정보 태그를 확인하여, 상기 성인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를 상기 성인용 멀티미디어로 파악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40147339A 2014-10-28 2014-10-28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KR101588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339A KR101588186B1 (ko) 2014-10-28 2014-10-28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339A KR101588186B1 (ko) 2014-10-28 2014-10-28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186B1 true KR101588186B1 (ko) 2016-01-25

Family

ID=5530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339A KR101588186B1 (ko) 2014-10-28 2014-10-28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1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7831A (zh) * 2018-07-06 2020-01-14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车辆、车机设备及其车载人文关怀场景处理方法
WO2020222317A1 (ko) * 2019-04-29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5158120A (zh) * 2021-04-07 2022-10-11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智能侦测控制系统、控制方法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521A (ko) * 2002-12-30 2004-07-06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연령을 구별할 수 있는 인식장치를 통한 디지털 tv방송의 시청제어 장치
JP2004262347A (ja) * 2003-03-03 2004-09-24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システム
JP2010013054A (ja) * 2008-07-07 2010-01-21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電子装置、メディアソース選択方法およびメディアソース選択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521A (ko) * 2002-12-30 2004-07-06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연령을 구별할 수 있는 인식장치를 통한 디지털 tv방송의 시청제어 장치
JP2004262347A (ja) * 2003-03-03 2004-09-24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システム
JP2010013054A (ja) * 2008-07-07 2010-01-21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電子装置、メディアソース選択方法およびメディアソース選択プログラ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7831A (zh) * 2018-07-06 2020-01-14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车辆、车机设备及其车载人文关怀场景处理方法
WO2020222317A1 (ko) * 2019-04-29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142728A (ko) * 2019-04-29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52261B1 (ko) * 2019-04-29 2023-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752871B2 (en) 2019-04-29 2023-09-12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apparatus
CN115158120A (zh) * 2021-04-07 2022-10-11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智能侦测控制系统、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5158120B (zh) * 2021-04-07 2023-12-05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智能侦测控制系统、控制方法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1064B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EP3421285B1 (en) Interface system for vehicle
KR101930462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US8305234B2 (en) Vehicular information provision apparatus
KR101969805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US9613639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device
JP5522653B2 (ja) 車載av装置
US20100110314A1 (en) On-Vehicle Electronic Apparatus, Movie Reproduction Method, and Movie Reproduction Program
US7106184B2 (en) Rear entertain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818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WO2015141147A1 (ja) 車両用報知制御装置、及び車両用報知制御システム
US20130184932A1 (en) Video vehicle entertainment device with driver safety mode
JP2010013054A (ja) 車載用電子装置、メディアソース選択方法およびメディアソース選択プログラム
JP2022000960A (ja) 音出力装置
WO201906973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移動体
JP2008105608A (ja) 車両用音声対応制御装置
JP4647478B2 (ja) 入出力制御装置
JP2007008354A (ja) 入出力制御装置
JP7228996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1913866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701044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70056364A (ko) Avn 시스템 및 avn 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854338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JP6717537B2 (ja) 操作制限制御装置及び操作制限制御方法
JP4242791B2 (ja) 車載用画像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