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626B1 -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626B1
KR101587626B1 KR1020140091333A KR20140091333A KR101587626B1 KR 101587626 B1 KR101587626 B1 KR 101587626B1 KR 1020140091333 A KR1020140091333 A KR 1020140091333A KR 20140091333 A KR20140091333 A KR 20140091333A KR 101587626 B1 KR101587626 B1 KR 10158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wire
wing
support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4009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는 전선관에 삽입되는 호 형상의 지지부; 상기 전선관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삽입 한계를 형성하는 경계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GUIDE DEVICE FOR CABLE PROTECTION}
본 발명은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관에 전선을 삽입할 때, 전선관의 단부에 전선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하네스에서 전선은 전선관에 삽입됨으로써, 전선을 보호할 수 있다.
전선은 개구된 전선관의 단부로부터 삽입하여 전선관에 전선을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전선관의 단부는 절단면으로 인해 날카로운 모서리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전선관에 전선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전선관의 단부에 전선이 접촉되는 경우,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거나 벗겨질 수 있다. 또한, 피복의 손상으로 인해 전선의 심선이 노출되는 경우, 합선 또는 누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6736호(2006. 05. 23. 공고, 고안의 명칭 : 전선 보호용 콜게이트 튜브 조립체)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관에 전선을 삽입할 때, 전선관의 단부에 전선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는 전선관에 삽입되는 호 형상의 지지부; 상기 전선관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삽입 한계를 형성하는 경계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계턱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경계돌부; 및 상기 전선관이 삽입되는 고정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경계돌부에서 상기 전선관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파지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계턱부는, 상기 고정홈에 돌출되도록 상기 파지돌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호 형상에 따른 곡률이 변경되도록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자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는, 중공의 함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전선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에는, 자유단에서 둥글게 연장되는 만곡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전선관이 삽입되는 고정홈;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는 전선관에 삽입되는 호 형상의 지지부; 상기 전선관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전선관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구비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는 전선관에 전선을 삽입할 때, 전선관의 단부에 전선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장치가 전선관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이드장치를 전선관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관의 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전선관에 가이드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관에 전선을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는 전선관에서 전선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가이드장치와 전선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장치의 파지 또는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전선관과 지지부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선관은 콜게이트튜브를 일예로 설명한다. 이때, 콜게이트튜브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배가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선은 절연을 위한 피복이 도체를 감싸는 하나의 단위전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선은 단위전선의 묶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는 전선관(P)에 삽입되는 호 형상의 지지부(10)와, 전선관(P)에서 돌출되도록 지지부(10)에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20)와, 지지부(10)와 날개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지지부(10)의 삽입 한계를 형성하는 경계턱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0)는 호 형상에 따른 곡률이 변경되도록 탄성을 가짐으로써, 전선관(P)의 직경에 편리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20)는 지지부(10)로부터 자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도록 하여 전선(C)의 삽입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날개부(20)에는 자유단에서 둥글게 연장되는 만곡부(21)가 구비되도록 하여 날개부(20)의 자유단에 의해 전선(C)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계턱부(30)는 복수 개가 지지부(10)와 날개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경계턱부(30)는 지지부(10)와 날개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경계돌부(31)와, 전선관(P)이 삽입되는 고정홈(32)을 형성하도록 경계돌부(31)에서 전선관(P)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파지돌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경계턱부(30)는 고정홈(32)에 돌출되도록 파지돌부(33)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는 지지부(10)와 날개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40)는 파지를 위한 것으로, 가이드장치의 파지와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손잡이부(40)는 전선관(P)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는 배가름부에 삽입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선관(P)의 직경이 지지부(10)의 직경보다 큰 경우, 지지부(10)는 별도의 탄성 변형없이 전선관(P)에 삽입된다. 이때, 복수의 경계턱부(30) 중 어느 하나는 전선관(P)의 단부에 지지되거나 경계턱부(30)에 형성된 고정홈(32)에 전선관(P)이 삽입되거나 전선관(P)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는 배가름부에 삽입됨으로써, 가이드장치를 전선관(P)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40)가 전선관(P)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는 배가름부에 삽입됨으로써, 가이드장치를 전선관(P)에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0)는 탄성 변형을 통해 벌어질 수 있고, 전선관(P)이 복수의 경계턱부(30)는 전선관(P)에 모두 지지될 수 있다. 일예로, 경계턱부(30)에 형성된 모든 고정홈(32)에 전선관(P)이 삽입될 수 있다.
전선관(P)의 직경이 지지부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 지지부(10)는 탄성 변형을 통해 곡률이 작아짐으로써, 지지부(10)를 전선관(P)에 삽입할 수 있다.
경계턱부(30) 또는 손잡이부(40)에 의해 가이드장치가 전선관(P)에 지지되면, 작업자는 전선(C)을 간편하게 전선관(P)에 삽입할 수 있다. 작업이 완료되면, 전선관(P)에서 가이드장치를 분리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는 전선관(P)에 삽입되는 호 형상의 지지부(10)와, 전선관(P)에서 돌출되도록 지지부(10)에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20)와, 지지부(10)와 날개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되 전선관(P)이 삽입되는 고정홈(32)이 구비되는 손잡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는 호 형상에 따른 곡률이 변경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날개부(20)는 중공의 함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날개부(20)는 지지부(10)로부터 자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도록 하여 전선(C)의 삽입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날개부(20)는 곡률이 변경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개부(20)에는 자유단에서 둥글게 연장되는 만곡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20)에는 전선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절개부(23)에 따라 날개부(20)가 탄성 변형되면서 날개부(20)를 관통하는 전선(C)이 날개부(20)에서 이탈될 수 있다.
손잡이부(40)는 전선관(P)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는 배가름부에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부(40)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고, 집게의 양단부가 각각 지지부(10)와 날개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게 형상인 손잡이부(40)를 쥐었다 피는 동작에서 지지부(10)를 간편하게 탄성 변형시키고, 전선관(P)에 지지부(10)가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홈(32)에는 측부에서 전선관(P)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에 기재된 경계턱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에 따르면, 전선관(P)에 전선(C)을 삽입할 때, 전선관(P)의 단부에 전선(C)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선(C)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장치가 전선관(P)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이드장치를 전선관(P)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선관(P)의 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전선관(P)에 가이드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선관(P)에 전선(C)을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전선관(P)에서 전선(C)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가이드장치와 전선(C)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장치의 파지 또는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전선관(P)과 지지부(1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P: 전선관 C: 전선
10: 지지부 20: 날개부
21: 만곡부 23: 절개부
30: 경계턱부 31: 경계돌부
32: 고정홈 33: 파지돌부
34: 고정돌부 40: 손잡이부

Claims (11)

  1. 전선관에 삽입되는 호 형상의 지지부; 상기 전선관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날개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삽입 한계를 형성하는 경계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턱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경계돌부;
    상기 전선관이 삽입되는 고정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경계돌부에서 상기 전선관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파지돌부; 및
    상기 고정홈에 돌출되도록 상기 파지돌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관의 직경이 상기 지지부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 상기 지지부는 탄성 변형을 통해 곡률이 작아짐으로써 상기 전선관에 삽입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호 형상에 따른 곡률이 변경되도록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자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중공의 함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전선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는,
    자유단에서 둥글게 연장되는 만곡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9.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날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전선관이 삽입되는 고정홈;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11. 삭제
KR1020140091333A 2014-07-18 2014-07-18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KR101587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333A KR101587626B1 (ko) 2014-07-18 2014-07-18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333A KR101587626B1 (ko) 2014-07-18 2014-07-18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626B1 true KR101587626B1 (ko) 2016-01-22

Family

ID=5530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333A KR101587626B1 (ko) 2014-07-18 2014-07-18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6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599Y1 (ko) * 2000-02-09 2000-07-15 한국미부주식회사 전선 포설용 전선 안내관
KR200445548Y1 (ko) * 2009-05-13 2009-08-11 백순례 전선관 커넥터
KR200461194Y1 (ko) * 2012-05-22 2012-06-29 최정훈 곡물용 깔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599Y1 (ko) * 2000-02-09 2000-07-15 한국미부주식회사 전선 포설용 전선 안내관
KR200445548Y1 (ko) * 2009-05-13 2009-08-11 백순례 전선관 커넥터
KR200461194Y1 (ko) * 2012-05-22 2012-06-29 최정훈 곡물용 깔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9406B2 (ja) 絶縁カバー装置
JP5497130B2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
US9698580B2 (en) Screwdriver having cable-stripping structure
KR20090045144A (ko) 케이블 가이드
EP2763252B1 (en) Tool for installing wires in a wire harness conduit
JP5797592B2 (ja) 間接活線用先端工具
CA2919284C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related methods
US5787574A (en) Method for processing the end of a shielded cable
US20030178086A1 (en) Cable protection sleeve and cable insertion device for inserting cables therein
KR101587626B1 (ko) 전선보호용 가이드장치
JP2013192302A (ja) 伸縮式絶縁防護具
JP2015186430A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及び当該クリップを用いた作業方法
KR101169933B1 (ko) 케이블 안내유닛
JP6751925B2 (ja) スリーブカバー保持具
JP2008079405A (ja) 電線管
JP2008178181A (ja) 高圧絶縁カバー
JP5563115B1 (ja) 電線絶縁保護カバー及びその取付方法
KR101792666B1 (ko) 요비선용 전선 고정유닛과 이를 구비한 요비선
JP5960205B2 (ja) 間接活線工事用端末キャップ
US10411445B2 (en) Clamping device
JP6683501B2 (ja) 電線作業治具及び作業ライン
JP2009158311A (ja) 電線分岐用圧縮スリーブ
JP2009158311A5 (ko)
JP2016119176A (ja) ワイヤハーネス製造装置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19155560A (ja) ケーブル挿抜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