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586B1 -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586B1
KR101587586B1 KR1020140064998A KR20140064998A KR101587586B1 KR 101587586 B1 KR101587586 B1 KR 101587586B1 KR 1020140064998 A KR1020140064998 A KR 1020140064998A KR 20140064998 A KR20140064998 A KR 20140064998A KR 101587586 B1 KR101587586 B1 KR 101587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moving
moving plate
collision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325A (ko
Inventor
김장우
변민수
Original Assignee
(주)디알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알젬 filed Critical (주)디알젬
Priority to KR1020140064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58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58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시 장애물과의 충돌을 감지할 수 있는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베이스 프레임과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며, 이동부가 원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이동부의 상대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Mobile X-ray system with wide angle collision detection mechanism by single sensor}
본 발명은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시 장애물과의 충돌을 감지할 수 있는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X-ray)을 이용하여 인체 또는 물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로서,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인체 내부의 상해나 질병, 또는 물건의 내부 구조 등을 검사하기 위해 의료용 내지는 산업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 또는 수술 도중에 엑스선 촬영이 필요한 경우, 환자가 엑스선 촬영실에 직접 가지 않고,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를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서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의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2397호(특허문헌 1)는 '소아의 촬영을 위한 엑스선 검사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5460호(특허문헌 2)는 '이동식 베이스 및 이와 같은 이동식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X선 기계'를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는 배터리 등으로 인해 그 전체 장비 무게(약 300kg 이상)가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인력만으로 먼 거리를 이동시키는 것은 매우 힘들고, 전기모터 등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의 이동 중에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 충돌에 따른 예기치 못한 방향 전환 때문에 장비가 주변의 물체에 연쇄적으로 충돌하여 손상되는 등 고장 발생의 문제가 있다.
또한, 사람이 부딪혀 넘어졌을 때, 쓰러진 사람 쪽으로 계속 이동하면서 2차 상해를 입히게 될 위험이 있는데, 특히 유아 등 체격이 작은 사람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장비의 무게로 인해 생명이 위협받을 정도의 위험이 있다.
KR 10-2011-0062397 A (2011.06.10 공개) KR 10-2012-0095460 A (2012.08.28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충돌감지장치를 구비하여 충돌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그 자리에 정지하게 되는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전방 충돌뿐만 아니라, 대각선 방향이나 측방에서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즉시 그 충돌을 감지할 수 있도록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하나의 센서만으로 정확하게 충돌을 감지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서 제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원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상대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상대 이동 감지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범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V'자형 모서리를 가진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는 가이드 핀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홀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 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기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복수 개의 탄성부재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절개홀을 통해 돌출되는 기준 센싱부와, 상기 기준 센싱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상측에 구비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에 의하면, 장비의 일측 단부에 범퍼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충돌시 이 범퍼의 이동을 센서에 의해 감지함으로써 충돌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즉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범퍼의 일단에 센서가 구비된 이동 플레이트가 일체로 결합되고, 이 이동 플레이트는 양측에 대칭으로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전방뿐만 아니라 측방이나 대각선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므로, 하나의 센서만으로도 범퍼의 위치 이동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탄성부재에서 제공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충돌상황 해제시 이동 플레이트가 원위치로 신속히 복귀하게 되므로 다음 충돌상황에서도 충돌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플레이트의 원위치 복귀시, 베이스 프레임의 가이드 핀이 이동 플레이트의 가이드 홀 모서리를 따라 이동하여 기준홈에 수용되므로, 센서를 정확한 지점으로 원위치시켜 충돌감지의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에 충돌감지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감지 장치의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의 충돌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이하, '엑스선 촬영장치')(100)는, 몸체(210)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200)과,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부에 몸체(210)와 이격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지대(220)와, 지지대(22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아암(230)과, 아암(230)의 단부에 구비되는 엑스선 조사기구(24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200)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전륜(250)과 후륜(260)이 각각 구비되며, 전륜(250)은 선회가 자유로운 캐스터(caster)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륜(260)은 베이스 프레임(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몸체(210) 상단에는 촬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자동 프로그램화된 원터치 식의 디스플레이(211)가 설치되며, 몸체(210)의 후방에는 이동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핸들(212)이 구비된다. 몸체(210) 내부에는 배터리와 변압기 및 커패시터 등의 전원장치(미도시)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미도시)가 구비된다.
아울러,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방에는 엑스선 촬영장치(100)의 충돌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범퍼(410)가 설치되는데, 이 범퍼(410)는 필요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200)의 후방이나 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에 충돌감지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0)은 전륜(250) 및 후륜(260)과 함께 이동대차를 구성한다. 베이스 프레임(200)의 일측에는 후륜(260)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가 장착되며,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방에는 충돌시 이를 감지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거나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감속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충돌감지 장치(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충돌감지 장치(300)가 베이스 프레임(200)의 후방 또는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하에서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방에 충돌감지 장치(300)가 구비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돌감지 장치(300)는, 충돌시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이동부(400)와, 충돌상황 해제시 이동부(400)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500)와, 이동부(400)의 상대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600)와, 감지부(600)로부터 전달된 충돌신호에 따라 엑스선 촬영장치(100)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어부(70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200)은 구동모터에 의한 후륜(260)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며, 사용자는 핸들(212)을 조작하여 이동중 진행 방향을 전환한다. 이동중에 엑스선 촬영장치(100)가 장애물과 충돌하게 되면, 그 충격력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한 이동부(400)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부(400)의 위치변화는 감지부(600)에 의해 감지되어 충돌신호가 제어부(700)로 전송된다.
이동부(400)를 구성하는 범퍼(410)의 양단은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방 양측 코너 부분을 감싸면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소정 길이 연장된다. 따라서, 이동부(400)는 베이스 프레임(200) 전방으로부터의 충격뿐만 아니라, 전방 코너 부분에 대해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대각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서도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충돌감지 장치(300)는 충돌 감지 범위가 넓게 형성된다.
충돌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700)는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거나 구동모터의 출력을 제어하여 엑스선 촬영장치(100)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속도를 '0(zero)'까지 감속시켜 엑스선 촬영장치(100)를 완전히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소정 거리 혹은 소정 시간동안 후진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경고음이나 경광등을 통해 사용자와 주변의 사람들에게 충돌 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
충돌 후 장애물이 치워지거나, 핸들(212) 조작에 의해 장애물을 피해서 엑스선 촬영장치(100)의 이동이 재개되는 등 이동부(40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이동부(400)는 탄성부재(5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감지부(600)는 이동부(400)가 원위치로 돌아왔음을 감지하게 된다.
감지부(600)로부터 이동부(400)의 원위치 복귀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700)는, 브레이크를 해제하거나 구동모터의 출력을 제어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다시 후륜(260)으로 전달되게끔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돌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감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동부(400)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방에 설치되는 범퍼(410)와, 범퍼(410)의 후단에 결합되는 이동 플레이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범퍼(410)는 장애물과의 충돌시 베이스 프레임(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충격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양단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소정 길이 연장된다.
이동 플레이트(420)는 전단이 하향 절곡된 'ㄱ'자형 단면을 가지며, 하향 절곡된 일면에 범퍼(410)의 중앙부 후단이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다. 즉, 범퍼(410)와 이동 플레이트(420)는 일체로 조립된다.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방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가이드 브래킷(270)이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측에 결합된다. 가이드 브래킷(270)은 내부에 공간부(271)가 형성되도록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이동 플레이트(42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양쪽 가이드 브래킷(270)의 공간부(271)로 이동 플레이트(420)의 양측이 삽입된다. 이동 플레이트(420)의 양측에는 소정 두께를 가진 'ㄴ'자형 단면 형상의 레일부(421)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플레이트(420) 양측의 레일부(421)와 가이드 브래킷(270)의 측벽(272)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유격이 형성되며, 따라서 이동 플레이트(420)는 가이드 브래킷(270)에 양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 간격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소정 각도 회전할 수도 있다.
레일부(421)는 가이드 브래킷(270)과 함께 이동 플레이트(42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한편, 이동 플레이트(420)와 공간부(271) 천정면 사이의 유격을 줄여 이동 플레이트(420)의 상하 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때, 레일부(421)의 저면이 가이드 브래킷(270)의 공간부(271) 바닥면에 지지됨으로써 범퍼(410)가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하여 수평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마찰계수가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레일부(421)를 제작하는 경우, 이동 플레이트(420)의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충돌 감지를 위해 이동 플레이트(420)의 일측에 감지부(600)가 구비된다. 이 감지부(600)는 충돌시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한 이동 플레이트(420)의 상대 이동을 감지하며, 이를 위해 베이스 프레임(200)에 기준 센싱부(610)가 마련되고, 이동 플레이트(420)에는 기준 센싱부(610)와 대향하도록 그 상부에 센서(620)가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플레이트(420)의 일측에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절개홀(422)이 절개 형성된다. 기준 센싱부(610)는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200)에 고정되며 상단이 절개홀(422)을 통해 이동 플레이트(420)의 상부로 노출된다. 이때, 이동 플레이트(420)의 이동시 기준 센싱부(610)가 절개홀(422)의 모서리에 부딪혀 손상되거나, 이동 플레이트(42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절개홀(422)의 규격은 이동 플레이트(420)의 상대 이동 거리에 따라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620)는 비접촉식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 플레이트(4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절개홀(422)을 통해 노출되는 기준 센싱부(610) 상단의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 충돌 전에는 기준 센싱부(610)를 감지한 센서(620)로부터 정상신호가 제어부(700)에 전송되나, 충돌시에는 이동 플레이트(420)와 함께 센서(620)가 이동하여 기준 센싱부(610)를 벗어남에 따라 충돌신호가 제어부(700)에 전송된다. 충돌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700)는 브레이크 또는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엑스선 촬영장치(100)의 이동을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게 된다.
장애물이 범퍼(410)에 충돌하면, 그 충격력에 의해 범퍼(410)와 이동 플레이트(420)가 함께 충돌 반대 방향으로 밀려서 이동하게 되며, 범퍼(410)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이동 플레이트(420)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동 플레이트(42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해, 베이스 프레임(200)과 이동 플레이트(420) 사이에 탄성부재(500)가 구비된다. 즉, 충돌시 이동 플레이트(420)가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때 탄성부재(500)가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변형시 탄성부재(500)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420)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탄성부재(500)의 일 예로서 코일스프링이 도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플레이트(420)의 이동에 따라 이동 플레이트(420)와 베이스 프레임(200)에 탄성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탄성부재(500)의 일단은 이동 플레이트(42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 프레임(200)의 일측에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탄성부재(500)의 일단이 이동 플레이트(420)의 후단 테두리 부분에 결합된다. 또한, 탄성부재(500)의 타단은 가이드 브래킷(270)의 전방 내측에 결합되는 지지 브래킷(510)의 일측에 결합된다.
탄성부재(500)는 이동 플레이트(420)와 지지 브래킷(510)을 외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벌어진 사선 형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00)의 타단은 이동 플레이트(420)의 후단 모서리 부분에 결합된 일단으로부터 전방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 브래킷(510)에 결합된다. 이처럼 탄성부재(500)를 비스듬하게 사선으로 설치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420)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뿐만 아니라, 대각선 방향으로도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500)는 이동 플레이트(420)의 폭 방향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충돌 방향에 따른 이동부(400)의 이동 거리에 편차가 없도록 하여 충돌감지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동 플레이트(420)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이동 플레이트(420)의 중앙부에 가이드 홀(423)이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200)에는 가이드 홀(423)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가이드 핀(280)이 결합된다.
가이드 홀(423)은 이동 플레이트(420)의 이동시 가이드 핀(280)이 이동 플레이트(42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홀(423)의 후단은 서로 대칭인 한 쌍의 경사 모서리(424)에 의해 중간부가 후방으로 돌출된 'V'자 형태로 형성되며, 한 쌍의 경사 모서리(424)가 서로 맞닿는 후단 모서리 중간부에는 후술하는 가이드 핀(280)의 베어링(281)을 수용하도록 원호 형태의 기준홈(425)이 형성된다.
가이드 핀(280)은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200)에 고정되고 상단이 가이드 홀(423)을 관통하여 이동 플레이트(420)의 상부로 노출되며, 가이드 홀(423)의 모서리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베어링(28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플레이트(420)의 복귀시, 이동 플레이트(420)의 가이드 홀(423)은 경사 모서리(424)가 가이드 핀(280)의 베어링(281)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 핀(280)이 가이드 홀(423)의 경사 모서리(424)를 따라 이동하여 기준홈(425)에 정확히 수용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420)의 원위치 복귀가 완료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의 충돌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410)의 전방에서 충돌이 가해지면, 범퍼(410)와 함께 이동 플레이트(420)가 후방으로 밀리고, 탄성부재(500)는 신장된다. 이때, 기준 센싱부(610)는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 센서(62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센서(620)는 제어부(700)에 충돌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700)는 충돌신호를 전송받아 브레이크 또는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엑스선 촬영장치(100)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킨다.
충돌상황이 해제되어 범퍼(41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5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범퍼(410)와 함께 이동 플레이트(420)가 전방으로 원위치된다. 이때, 기준홈(425)을 벗어났던 가이드 핀(280)이 가이드 홀(423)의 경사 모서리(424)에 의해 안내되어 기준홈(425)에 신속하고 정확히 수용됨에 따라, 이동 플레이트(420)의 원위치 복귀 동작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410)의 일측 대각선 방향에서 충돌이 가해지면, 탄성부재(500)가 사선으로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범퍼(410)와 함께 이동 플레이트(420)의 일측이 충격에 의해 밀리면서 소정 각도 회전하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500)가 압축, 또는 신장된다. 이때, 기준 센싱부(610)는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 센서(620)로부터 이탈하며, 제어부(700)에 충돌신호가 전송된다. 제어부(700)는 충돌신호를 전송받아 브레이크 또는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엑스선 촬영장치(100)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킨다.
충돌상황이 해제되어 범퍼(41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5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범퍼(410)와 함께 이동 플레이트(420)가 원위치된다. 이때, 가이드 핀(280)이 가이드 홀(423)의 경사 모서리(424)를 따라 이동하여 기준홈(425)에 신속하고 정확히 수용됨에 따라, 이동 플레이트(420)의 원위치 복귀 동작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무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엑스선 촬영장치
200 : 베이스 프레임
210 : 몸체
270 : 가이드 브래킷
280 : 가이드 핀
300 : 충돌감지 장치
400 : 이동부
410 : 범퍼
420 : 이동 플레이트
500 : 탄성부재
600 : 감지부
700 : 제어부

Claims (8)

  1.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원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상대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범퍼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V'자형 모서리를 가진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는 가이드 핀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상대 이동 감지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 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기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복수 개의 탄성부재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폭 방향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8.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이동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가 원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상대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범퍼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절개홀을 통해 돌출되는 기준 센싱부와, 상기 기준 센싱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상측에 구비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KR1020140064998A 2014-05-29 2014-05-29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KR101587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998A KR101587586B1 (ko) 2014-05-29 2014-05-29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998A KR101587586B1 (ko) 2014-05-29 2014-05-29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325A KR20150137325A (ko) 2015-12-09
KR101587586B1 true KR101587586B1 (ko) 2016-01-21

Family

ID=5487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998A KR101587586B1 (ko) 2014-05-29 2014-05-29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5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659A (ko) * 2017-01-04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3502B1 (ko) * 2016-12-30 2024-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 로봇
KR102683928B1 (ko) * 2017-01-04 2024-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 로봇
KR102664917B1 (ko) * 2017-01-04 2024-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 로봇
KR102301014B1 (ko) * 2021-04-28 2021-09-10 주식회사 준테크솔루션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3119B1 (fr) 2009-12-01 2012-07-27 Gen Electric Base mobile et appareil a rayons x monte sur une telle base mobile
KR20110062397A (ko) 2009-12-03 2011-06-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아의 촬영을 위한 엑스선 검사 장치
KR101311296B1 (ko) * 2011-07-06 2013-09-25 주식회사 유진로봇 이동 로봇의 범퍼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659A (ko) * 2017-01-04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 로봇
KR102666634B1 (ko) * 2017-01-04 202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325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586B1 (ko)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JP4852425B2 (ja) 自動移動可能な床塵収集装置
KR102666634B1 (ko) 청소 로봇
KR20180074393A (ko) 안내 로봇
JP2016110601A (ja) 状態検出方法、ロボット及び移動装置
US20230332934A1 (en) Autonomous mobile device
US10918255B2 (en) Cleaning robot
CN109311609A (zh) 用于装载月台的行人车辆警告系统
JP2009106572A (ja) 医療装置
US20230277146A1 (en) Mobile medical image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tomosynthesi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8153375A (ja) 電気機器、電気機器としての自律走行型掃除機、及び、電気機器とベースとを有するシステム
US11116370B2 (en) Cleaning robot
CN106859689B (zh) 一种扫描床
US20230277140A1 (en) Mobile medical image apparatus for including slidable arm along colu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10100151A (ko) 더러운 표면을 청소하기 위한 장치
KR20180080658A (ko) 청소 로봇
JP6846692B2 (ja) 電動車いす
CN210620166U (zh) 一种防挤压装置及高空作业平台
KR101574437B1 (ko) 차량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US10414290B2 (en) Occupant support for a vehicle
JP2005177131A (ja) 安全機構を備えた歯科用チェアユニット
KR20190115777A (ko) 의료 영상 촬영 장치용 테이블 제어 시스템
CN113474127B (zh) 带有传感器装置的自主车辆
JP6583726B2 (ja) 昇降装置および移動車両
JP4985484B2 (ja) X線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