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014B1 -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014B1
KR102301014B1 KR1020210054831A KR20210054831A KR102301014B1 KR 102301014 B1 KR102301014 B1 KR 102301014B1 KR 1020210054831 A KR1020210054831 A KR 1020210054831A KR 20210054831 A KR20210054831 A KR 20210054831A KR 102301014 B1 KR102301014 B1 KR 102301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module
angle
lase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준테크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준테크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준테크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5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defects or foreign mat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03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by transmission
    • G01N2223/04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by transmission and measuring ab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1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1N2223/1016X-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 G01N2223/330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object fixed; source and detector mo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X선을 이용하여 항공기 등을 비파괴 검사함에 있어 검사지점을 향한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여 검사 준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검사대상물의 검사지점을 향해 X-선을 조사하여 검사지점에 X-선이 투과되도록 하는 엑스레이기를 포함하는 검사모듈; 상기 검사모듈의 높이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엑스레이기가 검사지점을 향하도록 하는 위치조절모듈; 상측에 구비된 상기 검사모듈 및 위치조절모듈을 검사대상물 인근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모듈은, 전후좌우 이동과 수평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portable x-ray apparatus for non-destructive inspection}
본 발명은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X선을 이용하여 항공기 등을 비파괴 검사함에 있어 용이하게 이동가능하여 검사 준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파괴 검사는 검사대상물의 외형이나 기능을 변화시키지 않고 검사대상물 내부의 성질, 상태, 구조 등을 확인하는 것을 말하며,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비파괴 검사가 활용되는 분야 중 하나는 항공 분야로, 항공기 기체에 조그만 균열이라도 존재한다면 치명적인 사고로 이러질 수 있는바, 항공기 기체 표면과 내부의 이상여부를 찾고자 비파괴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항공기의 결함을 알아내는 비파괴 검사 방법에는, 방사선 검사, 형광침투 검사, 자기탐상 검사, 초음파 검사, 전자기 검사 등이 있으며, 그 중 방사선 검사는, 비행기 부품에 물질을 잘 투과하는 방사선(X-선과 감마선)을 비추어 밀도와 두께에 따라 달라지는 투과량을 확인하는 검사방법으로, 물체 내부에 결함이나 이물질이 있으면 밀도가 작아져 많은 양의 X-선이 투과되어 촬영사진에 검은 부분으로 나타나게 된다.
특히, 항공기의 취약 부분인 동체와 날개의 접점 부위에 대한 방사선 검사를 주로 실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사선 검사를 위한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04738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소개되고 있다.
인용발명은, 항공기용 이동식 비파괴 검사장치의 상측에 설치되어 항공기를 비파괴 검사하는 검사부와, 상기 검사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항공기용 이동식 비파괴 검사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항공기용 이동식 비파괴 검사장치의 하측에 설치되어 항공기용 이동식 비파괴 검사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동하면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이동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항공기의 여러 지점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실시하거나 여러 대의 항공기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실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고정식 비파괴 검사장치에 비해 줄일 수 있고 편의성이 증대되기는 하나, 이동부는 통상의 자동차와 같이 이동되기에, 일 검사지점에서 다른 검사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복잡한 조향이 이루어져야 하며, 정확한 검사지점을 맞추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04738호 '항공기용 이동식 비파괴 검사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X선을 이용하여 항공기 등을 비파괴 검사함에 있어 검사지점을 향한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여 검사 준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는, 검사대상물의 검사지점을 향해 X-선을 조사하여 검사지점에 X-선이 투과되도록 하는 엑스레이기를 포함하는 검사모듈; 상기 검사모듈의 높이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엑스레이기가 검사지점을 향하도록 하는 위치조절모듈; 상측에 구비된 상기 검사모듈 및 위치조절모듈을 검사대상물 인근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모듈은, 전후좌우 이동과 수평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모듈은, 상측에 검사모듈 및 위치조절모듈이 구비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전단부 양측과 후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바퀴와, 각 바퀴를 회전시켜 이동몸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모터와, 각 바퀴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바퀴의 각도를 결정하여 각도조절모터를 제어하는 대차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 바퀴는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끔 이동몸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대와 힌지결합되되, 상기 대차제어부는, 이동몸체 상에 회전중심을 설정하고, 각 바퀴가 힌지결합된 결합중심과 회전중심 간을 잇는 가상의 조절라인에 대하여 각 바퀴가 직교하게끔 각도조절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차제어부는, 각 바퀴가 지지대와 나란하게끔 각도조절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몸체는, 적어도 전방 또는 후방 측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범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모듈은, 엑스레이기에 의한 촬영 전, 검사지점 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정확한 검사지점을 표시하는 레이저포인터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포인터는, 검사지점 내에서 직교하게 교차하도록 레이저가 표시되게끔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 레이저포인터 및 제2 레이저포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모듈은, 제1 레이저포인터 및 제2 레이저포인터에 의해 레이저가 교차된 지점을 중심으로 검사지점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비전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레이기는, 제1 레이저포인터 및 제2 레이저포인터에 의해 레이저가 교차된 지점을 중심으로 X-선에 의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모듈은, 이동모듈의 상측에 좌우회전가능하게 세워지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결합되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붐대를 포함하되, 상기 검사모듈은, 붐대의 타단에 상하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붐대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검사모듈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모듈이 전후로 이동되거나 좌우로 이동가능함은 물론, 수평회전이 가능하므로 항공기 등과 같은 검사대상물이 배치되어 형성된 좁은 이동통로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일직선의 이동 경로를 가질 수 있는바 정확한 검사지점을 신속히 맞출 수 있어 검사 준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에 적용된 붐대의 길이가 늘어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검사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검사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이동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인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바퀴가 각도 조절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인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가 검사대상물 사이를 이동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X선을 이용하여 항공기 등을 비파괴 검사함에 있어 검사지점을 향한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여 검사 준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검사대상물의 검사지점을 향해 X-선을 조사하여 검사지점에 X-선이 투과되도록 하는 엑스레이기를 포함하는 검사모듈; 상기 검사모듈의 높이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엑스레이기가 검사지점을 향하도록 하는 위치조절모듈; 상측에 구비된 상기 검사모듈 및 위치조절모듈을 검사대상물 인근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모듈은, 전후좌우 이동과 수평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모듈(100), 위치조절모듈(200) 및 이동모듈(300)을 포함하여, 항공기 등과 같은 검사대상물(10)에서 취약 부분에 해당되는 검사지점(11)에 대하여 결함이나 이물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검사모듈(100)은, 검사대상물(10)의 검사지점(11)을 향해 X-선을 조사하여 검사지점(11)에 X-선이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검사지점(11) 내부에 대하여 X-선을 이용한 촬영을 하는 엑스레이기(110)를 포함한다. 이때, 엑스레이기(110)에 의한 촬영중심이 검사지점(11)의 중심과 일치될 수 있게끔 후술할 레이저포인터(120)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모듈(100)은, 엑스레이기(110)에 의한 촬영 전, 검사지점(11) 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정확한 검사지점(11)을 표시하는 레이저포인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포인터(120)는 하나가 구비되어 검사지점(11)의 중심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할 수도 있으나, 검사지점(11) 상의 중심과 엑스레이기(110)에 의한 촬영중심이 정확히 일치되도록 하기 어려운바, 해당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끔 레이저포인트(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이저포인터(121) 및 제2 레이저포인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이저포인터(121)와 제2 레이저포인터(122)는, 검사지점(11) 내에서 직교하게 교차하도록 레이저가 표시되게끔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레이저포인터(121)는 검사지점(11)의 X축을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고, 제2 레이저포인터(122)는 검사지점(11)의 Y축을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1 레이저포인터(121)가 조사하는 레이저와, 제2 레이저포인터(122)가 조사하는 레이저가 검사지점(11) 상에서 직교하며 교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엑스레이기(110)는, 제1 레이저포인터(121) 및 제2 레이저포인터(122)에 의해 레이저가 교차된 지점을 중심으로 X-선에 의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검사지점(11) 내의 내부 결함이나 이물질이 용이하게 확인되도록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검사모듈(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지점(11)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비전카메라(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전카메라(130)는 검사지점(11)에 대한 외부 상황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비전카메라(130)를 통해 제1 레이저포인터(121) 및 제2 레이저포인터(122)에 의해 레이저가 검사지점(11)에 조사되어 교차되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젼카메라(130)로 촬영된 영상으로 보았을 때, 레이저포인터(120)에 의해 교차되는 지점이 검사지점(11)의 중심에 일치되지 않을 경우, 일치되도록 검사모듈(100)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레이저포인터(121) 및 제2 레이저포인터(122)에 의해 레이저가 교차된 지점이 검사지점(11)의 중심에 위치되는 경우, 비전카메라(130)는 레이저가 교차된 지점을 중심으로 검사지점(11)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비전카메라(1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A)에 구비된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보유한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위치조절모듈(200)은, 상술한 검사모듈(100)의 높이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엑스레이기(110)가 검사지점(11)을 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위치조절모듈(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모듈(300)의 상측에 좌우회전가능하게 세워지는 회전체(210)와, 회전체(210)에 일단이 결합되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붐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210)는 이동모듈(300)의 일단 측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으며, 상단에 붐대(220)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끔 결합될 수 있다. 붐대(220)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길이가 신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유압에 의해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210)와 붐대(220)를 포함하는 위치조절모듈(200)에서, 검사모듈(100)은 붐대(220)의 타단에 결합된다. 이때, 검사모듈(100)은 붐대(220)의 타단에 상하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끔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모듈(100)은 1차적으로 회전체(210)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됨과 더불어 붐대(220)의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어 검사지점(11)의 인근 상측에 위치된 후, 2차적으로 붐대(220)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측 또는 하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어 엑스레이기(110)가 검사지점(11)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대상물(10)의 인근에 위치된 본 발명은, 위치조절모듈(200)을 이용하여 다양한 검사지점(11)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붐대(220)의 타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검사모듈(100)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레버(230)는 위치조절모듈(200)에 의한 검사모듈(100)의 위치 이동 및 조절이 이루어지기 전, 검사대상물(10) 및 검사지점(11)을 고려하여 붐대(220)와 검사모듈(100) 간의 각도를 사용자가 사전에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유압모터 등에 의해 검사모듈(100)의 상하좌우 각도가 조절되는 것보다 미세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이동모듈(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모듈(100) 및 위치조절모듈(200)이 상측에 구비되고, 상측에 구비된 검사모듈(100) 및 위치조절모듈(200)을 검사대상물(10) 인근으로 이동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이동모듈(300)은, 전후 이동은 물론,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이동모듈(30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검사모듈(100) 및 위치조절모듈(200)이 구비되는 이동몸체(310)와, 이동몸체(310)의 전단부 양측과 후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바퀴(320)와, 각 바퀴(320)를 회전시켜 이동몸체(310)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모터(330)와, 각 바퀴(320)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모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모듈(3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각 바퀴(320)는 개별적으로 동작하게끔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각 바퀴(320)는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끔 이동몸체(3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대(350)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각 바퀴(320)로 인해, 이동모듈(30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320)가 이동몸체(3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하여 이동몸체(3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320)가 이동몸체(310)의 폭방향과 나란하도록 하여 이동몸체(3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 양측에 구비된 바퀴(320)가 대칭되도록 하면서, 후단부 양측에 구비된 바퀴(320)가 대칭되도록 하고, 4개의 바퀴(320)에 의해 움직일 가상의 궤적이 원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이동몸체(310)는 수평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A)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대의 항공기 등과 같은 검사대상물(10)이 배치되어 형성된 좁은 이동통로를 일직선의 이동 경로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상물(10)의 길이와 나란하게 검사대상물(10)의 인근에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A)가 배치되어 검사지점(11)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한 후, 일직선으로 이동하여 회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동한 다음, 수평회전하여 검사대상물(1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상물(10)의 길이와 나란하게 검사대상물(10)의 인근에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A)가 배치되어 검사지점(11)에 대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한 후, 일직선으로 이동한 다음 바퀴(320)가 이동몸체(310)의 폭방향을 나란하도록 하여 이동몸체(3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검사대상물(1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바퀴(320)의 각도를 결정하여 각도조절모터(340)를 제어하는 대차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대차제어부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바퀴(320)가 지지대(250)와 나란하게끔 각도조절모터(3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차제어부는, 이동모듈(300)이 수평회전하고자 할 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몸체(310) 상에 회전중심을 설정하고, 각 바퀴(320)가 힌지결합된 결합중심과 회전중심 간을 잇는 가상의 조절라인에 대하여 각 바퀴(320)가 직교하게끔 각도조절모터(3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중심이 이동몸체(310)의 중심에 위치되는 경우, 각 바퀴(320)의 결합중심과 회전중심을 잇는 가상의 조절라인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고, 회전중심을 지나도록 이동몸체(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어지는 길이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조절라인이 대칭을 이루게 되며, 각 바퀴(320)가 이러한 조절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대차제어부는 각도조절모터(3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중심이 이동몸체(310)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각 바퀴(320)의 결합중심과 회전중심을 잇는 가상의 조절라인의 길이는 일부 상이할 수 있고, 회전중심을 지나도록 이동몸체(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어지는 길이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조절라인이 대칭을 이루거나 대칭을 이루지 않게 될 수 있으며, 각 바퀴(320)가 이러한 조절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대차제어부는 각도조절모터(34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몸체(310)는 이동몸체(310)의 중심과 회전중심이 일치되지 않아도 수평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몸체(31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전방 또는 후방 측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범퍼(360)가 구비되어, 이동하는 과정이나 검사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가피한 충돌로부터 검사모듈(100), 위치조절모듈(200) 및 이동모듈(300)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몸체(310)의 상측에는 발전기, 배터리, 충전기, 유압유닛, 쿨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모듈(300)이 전후로 이동되거나 좌우로 이동가능함은 물론, 수평회전이 가능하므로 항공기 등과 같은 검사대상물(10)이 배치되어 형성된 좁은 이동통로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일직선의 이동 경로를 가질 수 있는바 정확한 검사지점을 신속히 맞출 수 있어 검사 준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A :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
10 : 검사대상물 11 : 검사지점
100 : 검사모듈 110 : 엑스레이기
120 : 레이저포인터 121 : 제1 레이저포인터
122 : 제2 레이저포인터 130 : 비전카메라
200 : 위치조절모듈 210 : 회전체
220 : 붐대 230 : 조절레버
300 : 이동모듈 310 : 이동몸체
320 : 바퀴 330 : 구동모터
340 : 각도조절모터 350 : 지지대
360 : 범퍼

Claims (10)

  1. 검사대상물(10)의 검사지점(11)을 향해 X-선을 조사하여 검사지점(11)에 X-선이 투과되도록 하는 엑스레이기(110)를 포함하는 검사모듈(100);
    상기 검사모듈(100)의 높이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엑스레이기(110)가 검사지점(11)을 향하도록 하는 위치조절모듈(200);
    상측에 검사모듈(100) 및 위치조절모듈(200)이 구비되고 전방과 후방 측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범퍼(360)가 구비되는 이동몸체(310)와, 상기 이동몸체(310)의 전단부 양측과 후단부 양측에 구비되고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끔 이동몸체(3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대(350)와 힌지결합된 바퀴(320)와, 각 바퀴(320)를 회전시켜 이동몸체(310)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모터(330)와, 각 바퀴(320)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모터(340)를 포함하면서, 전후좌우 이동과 수평회전이 가능하여, 상측에 구비된 상기 검사모듈(100) 및 위치조절모듈(200)을 검사대상물(10) 인근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300);
    상기 각 바퀴(320)의 각도를 결정하여 각도조절모터(340)를 제어하는 대차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사모듈(100)은, 상기 엑스레이기(110)에 의한 촬영 전, 검사지점(11) 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정확한 검사지점(11)을 표시하기 위해, 검사지점(11) 내에서 직교하게 교차하도록 레이저가 표시되게끔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 레이저포인터(121) 및 제2 레이저포인터(122)를 포함하는 레이저포인터(120)와,
    상기 제1 레이저포인터(121) 및 제2 레이저포인터(122)에 의해 레이저가 교차된 지점을 중심으로 검사지점(11)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비전카메라(130)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레이기(110)는, 제1 레이저포인터(121) 및 제2 레이저포인터(122)에 의해 레이저가 교차된 지점을 중심으로 X-선에 의한 촬영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위치조절모듈(200)은, 이동모듈(300)의 상측에 좌우회전가능하게 세워지는 회전체(210)와, 상기 회전체(210)에 일단이 결합되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붐대(220)를 포함하고,
    상기 붐대(220)의 타단에는 검사모듈(100)이 상하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끔 결합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검사모듈(100)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230)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대차제어부는, 이동몸체(310)의 중심에 위치되거나 이동몸체(310)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끔 이동몸체(310) 상에 회전중심을 설정하고 각 바퀴(320)가 힌지결합된 결합중심과 회전중심 간을 잇는 가상의 조절라인에 대하여 각 바퀴(320)가 직교하게끔 각도조절모터(340)를 제어하거나, 각 바퀴(320)가 지지대(350)와 나란하게끔 각도조절모터(3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54831A 2021-04-28 2021-04-28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 KR10230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831A KR102301014B1 (ko) 2021-04-28 2021-04-28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831A KR102301014B1 (ko) 2021-04-28 2021-04-28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014B1 true KR102301014B1 (ko) 2021-09-10

Family

ID=7777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831A KR102301014B1 (ko) 2021-04-28 2021-04-28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0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3963A (ja) * 1995-01-18 1996-07-30 Hitachi Denshi Ltd 検査装置の視野位置表示装置
KR20140108989A (ko) * 2013-03-04 2014-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형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0171A (ko) * 2013-06-24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의료 장비 및 의료 장비의 이동 제어 방법
KR20150137325A (ko) * 2014-05-29 2015-12-09 (주)디알젬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KR20200086438A (ko) * 2019-01-09 2020-07-1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용 이동식 비파괴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3963A (ja) * 1995-01-18 1996-07-30 Hitachi Denshi Ltd 検査装置の視野位置表示装置
KR20140108989A (ko) * 2013-03-04 2014-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형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0171A (ko) * 2013-06-24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의료 장비 및 의료 장비의 이동 제어 방법
KR20150137325A (ko) * 2014-05-29 2015-12-09 (주)디알젬 단일센서 기반 광각 충돌감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형 엑스선 촬영장치
KR20200086438A (ko) * 2019-01-09 2020-07-1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용 이동식 비파괴 검사장치
KR102204738B1 (ko) 2019-01-09 2021-01-19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용 이동식 비파괴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530B1 (ko) X선 ct 장치 및 x선 ct 방법
US9702688B2 (en) Shape measuring apparatus
CN107170499A (zh) 一种核燃料检测装置和方法
WO2018121079A1 (zh) 安检设备及方法
KR101800088B1 (ko) 카메라 모듈의 검사장치
KR100975417B1 (ko) 디지털 방사선 투과 검사 시스템 및 방법
JP2009505083A (ja) 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用測定装置および方法
EP3032288B1 (en) Align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ainer or vehicle inspection system
JP2007029353A (ja) X線撮影装置
CN108827604A (zh) 一种视场角测量装置和测量方法
KR102301014B1 (ko) 비파괴 검사용 이동식 엑스레이 장치
JP3703888B2 (ja) 弧状プレート組立体検査用装置
KR102204738B1 (ko) 항공기용 이동식 비파괴 검사장치
JPWO2020080025A1 (ja) 非破壊自動検査システム
JP2008298509A (ja) モバイル放射線検査装置
KR101041840B1 (ko) 불량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9999175U (zh) 侦查装置及自动侦查设备
CN108549111B (zh) 一种移动式车内全景x射线背散射扫描安检装置
CN114018960B (zh) 一种基于x射线探伤图像的缺陷分析装置
JP2021050992A (ja) 非破壊検査装置
CN108415095A (zh) 车辆检查系统
CN110290380B (zh) 全自动镜头杂光测试机
JP6805200B2 (ja) 移動制御装置、移動制御方法および移動制御プログラム
JP2009036575A (ja) X線検査装置およびx線検査方法
CN105445295A (zh) 检验系统及检验系统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