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994B1 -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 외장형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 외장형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994B1
KR101586994B1 KR1020140104852A KR20140104852A KR101586994B1 KR 101586994 B1 KR101586994 B1 KR 101586994B1 KR 1020140104852 A KR1020140104852 A KR 1020140104852A KR 20140104852 A KR20140104852 A KR 20140104852A KR 101586994 B1 KR101586994 B1 KR 101586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terrestrial
broadcast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희
양재모
박명관
Original Assignee
김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희 filed Critical 김대희
Priority to KR102014010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외장형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에 내장된 내장형 안테나부; 상기 내장형 안테나부에서 수신한 지상파 신호 중 특정 범위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대역통과필터(BPF); 상기 대역통과필터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대역통과필터에서 출력한 신호를 보상 및 안정적 신호 전송을 위해 증폭하는 증폭기(AMP); 및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한 신호 또는 광동축혼합(HFC)망을 통해 입력되는 유선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방송 시청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방송신호출력부;를 포함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외장형 수신장치에 의하면, 시청자가 유선(케이블) 방송과 지상파 방송을 모두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청자가 불필요하게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 개별적으로 수신 설비를 갖추지 않아도 되며, 신호품질을 저해하는 잡음의 과다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 외장형 수신장치{A internal/external receiving apparatus for terminal of watching cable and terrestrial broadcasting}
본 발명은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 외장형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지상파 수신용 안테나를 분기기, 셋톱박스(set-top box) 등에 내장하거나 또는 외장형으로 결합시켜 가입자가 유선(케이블) 방송과 지상파 방송을 모두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외장형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TV는 PP(Program Provider; 프로그램 공급자), SO(System Operator; 종합유선방송국), N0(Network Operator; 전송망 사업자)의 3분할 체제로 운영되는데, PP가 만든 프로그램이 지역의 SO를 통해 NO가 설치한 케이블을 타고 가입자에게 전송된다.
이러한, 현재의 케이블 TV 전송망에 대부분 광동축혼합(Hybrid Fiber Coaxial, HFC)망을 사용하고 있다. 즉 하나의 유선방송 지역을 여러 단위 셀(Cell)로 나누며, 방송국에서 해당 단위 셀까지는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고, 해당 단위 셀에서 각 개별 가입자들까지는 동축케이블을 사용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광동축혼합망은 광섬유 케이블(Fiber Cable)과 동축케이블(Coaxial Cable)을 혼합한 망으로서, 케이블 티비망(CATV망)에 광케이블을 도입한 양방향 CATV 형태의 망을 일컫는다. 즉, 방송국에서 광분배점(Fiber Node)까지 광케이블로 연결하고, 광분배점에서 가입자까지의 선로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형태의 망을 사용한다.
이는 광섬유 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의 장점을 결합시켜 전송 속도와 대역폭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케이블망으로 양방향 특성이 뛰어나고 유지비용 및 설치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HFC망을 이용한 케이블 방송(또는 및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신호 분배계통에 대하여 임피던스의 변화없이 신호의 일부를 나누어 쓰기 위하여 분기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분기기는 4가입자용, 8가입자용 혹은 16가입자용으로 고정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선 또는 간선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그 입력과 출력 단자 간에는 일반적으로 전류가 통과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분기기 또는 셋톱박스는 유선(케이블) 방송(또는 인터넷 서비스)을 이용하는데 만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시청자가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으로 수신 설비를 갖춰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지상파 수신용 안테나를 분기기, 셋톱박스(set-top box) 등을 포함한 단말기에 내장하거나 또는 외장형으로 결합시켜 가입자가 유선(케이블) 방송과 지상파 방송을 모두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 외장형 수신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장형 수신장치는, 지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에 내장된 내장형 안테나부; 상기 내장형 안테나부에서 수신한 지상파 신호 중 특정 범위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대역통과필터(BPF); 상기 대역통과필터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대역통과필터에서 출력한 신호를 보상 및 안정적 신호 전송을 위해 증폭하는 증폭기(AMP); 및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한 신호 또는 광동축혼합(HFC)망을 통해 입력되는 유선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방송 시청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방송신호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역통과필터(BPF)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증폭기는 상기 대역통과필터가 복수 개인 경우 일대일 매칭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분기기(tapoff) 또는 셋톱박스(set-top box) 중 어느 하나이고, 방송시청자의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송신호출력부는 상기 광동축혼합(HFC)망의 단자와 상기 방송신호의 전송을 위한 가입자 인입선이 각각 장착가능한 고정홈을 지니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2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외장형 수신장치는, 지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에서 수신한 지상파 신호와 분기기(tapoff)를 경유해 입력되는 유선 신호의 특정 범위 신호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대역통과필터(BPF)와, 상기 대역통과필터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대역통과필터에서 출력한 신호를 보상 및 안정적 신호 전송을 위해 증폭하는 증폭기(AMP)를 구비하여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한 신호(유선 및 지상파)를 방송시청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방송신호출력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송신호출력부는 상기 분기기의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와 상기 방송신호의 전송을 위한 가입자 인입선이 각각 장착가능한 고정홈을 지니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2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송출력부는 상기 분기기에 연결시 분기기의 종류(4way, 8way 또는 16way)에 따른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에 일대일 매칭이 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송시청자의 단말은 셋톱박스(set-top box)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외장형 수신장치는, 분기기(tapoff)의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가 관통하는 홀이 다수개 형성된 지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에서 수신한 지상파 신호와 분기기(tapoff)를 경유해 입력되는 유선 신호의 특정 범위 신호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대역통과필터(BPF)와, 상기 대역통과필터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대역통과필터에서 출력한 신호를 보상 및 안정적 신호 전송을 위해 증폭하는 증폭기(AMP)를 구비하여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한 신호(유선 및 지상파)를 방송시청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방송신호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송신호출력부는 상기 안테나부의 관통 홀을 관통한 분기기의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와 상기 방송신호의 전송을 위한 가입자 인입선이 각각 장착가능한 고정홈을 지니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2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 외장형 수신장치에 의하면, 시청자가 유선(케이블) 방송과 지상파 방송을 모두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청자가 불필요하게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 개별적으로 수신 설비를 갖추지 않아도 되며, 신호품질을 저해하는 잡음의 과다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한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장형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장형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외장형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외장형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 요소들은 상기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한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국적으로 이미 구축되어 있는 광동축혼합(HFC)망은 하나의 유선방송 지역을 다수의 단위 구역(cell)으로 구분하는 것을 기본으로, 상기 해당 단위 셀까지는 광섬유 케이블(Fiber Cable)이 구축되고, 상기 단위 셀에서 가입자까지는 동축케이블(Coaxial Cable)이 구축된다.
상기 광동축혼합(HFC)망을 구성하는 광섬유 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은 종합유선방송국(SO; System Operator)의 분배센터에서 각 개별 가입자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각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전봇대 등의 연결대에 의해 고정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광섬유 케이블과 동축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영상 또는 음성의 데이터 정보는 가입자까지 전달되기 위해 그 신호를 증폭 또는 분기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전봇대에는 필요에 따라 광송수신기(ONU; Optical Network Unit)와, 무정전전원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간선분기 증폭기(TBA; Trunk Bridge Amplifier)가 설치되어 있으며, 분기기(TAP-OFF)가 설치되어 종합유선방송국에서 개별가입자까지 광동측혼합(HFC)망의 기본적인 유선 케이블방송과 인터넷 연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단말기 내,외장형 수신장치는 상기 분기기(또는 가입자의 셋톱박스 등)에 내장 설치하거나, 필요에 따라 상기 분기기(또는 가입자의 셋톱박스 등)에 직접 외장 설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장형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장형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내장형 수신장치(100)는 내장형 안테나부(110), 대역통과필터(BPF, 120), 증폭기(AMP, 130) 및 방송신호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내장형 안테나부(110)는 지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분기기(tapoff) 또는 셋톱박스(set-top box))에 내장된다.
상기 대역통과필터(BPF, 120)는 상기 내장형 안테나부(110)에서 수신한 지상파 신호 중 특정 범위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데, 이를 통해 신호품질을 저해하는 잡음의 과다한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증폭기(AMP, 130)는 상기 대역통과필터(120)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대역통과필터(120)에서 출력한 신호를 보상 및 안정적 신호 전송을 위해 증폭하는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역통과필터(BPF, 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증폭기(230)는 상기 대역통과필터(220)가 복수 개인 경우 일대일 매칭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한다.
상기 방송신호출력부(140)는 상기 증폭기(130)에서 출력한 신호 또는 광동축혼합(HFC)망을 통해 입력되는 유선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방송 시청자의 단말(예를 들어 TV, PC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방송신호출력부(140)는 상기 광동축혼합(HFC)망의 단자와 상기 방송신호의 전송을 위한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가 각각 장착가능한 고정홈(미도시)을 지니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2 연장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외장형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310)와; 상기 안테나부(310)에서 수신한 지상파 신호와 분기기(tapoff)를 경유해 입력되는 유선 신호의 특정 범위 신호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대역통과필터(BPF, 320)와, 상기 대역통과필터(320)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대역통과필터(320)에서 출력한 신호를 보상 및 안정적 신호 전송을 위해 증폭하는 증폭기(AMP, 330)를 구비하여 상기 증폭기(330)에서 출력한 신호(유선 및 지상파)를 방송시청자의 단말(셋톱박스(set-top box)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방송신호출력부(340);를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방송신호출력부(340)는 상기 분기기(10)의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와 상기 방송신호의 전송을 위한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가 각각 장착가능한 고정홈(미도시)을 지니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2 연장부(341, 342)가 형성되며, 상기 분기기(10)에 연결시 분기기(10)의 종류(4way, 8way 또는 16way)에 따른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에 일대일 매칭이 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외장형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기(tapoff)의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가 관통하는 홀(P1 ~ P8)이 다수개 형성된 지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410)와; 상기 안테나부(410)에서 수신한 지상파 신호와 분기기(tapoff)를 경유해 입력되는 유선 신호의 특정 범위 신호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대역통과필터(BPF, 420)와, 상기 대역통과필터(420)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대역통과필터(420)에서 출력한 신호를 보상 및 안정적 신호 전송을 위해 증폭하는 증폭기(AMP, 430)를 구비하여 상기 증폭기(430)에서 출력한 신호(유선 및 지상파)를 방송시청자의 단말(셋톱박스(set-top box)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방송신호출력부(4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송신호출력부(440)는 상기 안테나부(410)의 관통 홀(P1 ~ P8)을 관통한 분기기(10)의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와 상기 방송신호의 전송을 위한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가 각각 장착가능한 고정홈(미도시)을 지니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2 연장부(441, 44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분기기
100, 200 : 내장형 수신장치
110, 210, 310, 410 : 안테나부
120, 220, 320, 420 : 대역통과필터
130, 230, 330, 430 : 증폭기
140, 240, 340, 440 : 방송신호출력부
300, 400 : 외장형 수신장치
341, 441 : 제1 연장부
342, 442 : 제2 연장부
P1 ~ P8 : 관통 홀

Claims (10)

  1. 지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에 내장된 내장형 안테나부;
    상기 내장형 안테나부에서 수신한 지상파 신호 중 특정 범위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대역통과필터(BPF);
    상기 대역통과필터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대역통과필터에서 출력한 신호를 보상 및 안정적 신호 전송을 위해 증폭하는 증폭기(AMP); 및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한 신호 또는 광동축혼합(HFC)망을 통해 입력되는 유선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방송 시청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송신호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신호출력부는, 상기 광동축혼합(HFC)망의 단자와 상기 방송신호의 전송을 위한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를 각각 장착가능한 고정홈을 지니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2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장형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통과필터(BPF)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증폭기는 상기 대역통과필터가 복수 개인 경우 일대일 매칭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장형 수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분기기(tapoff) 또는 셋톱박스(set-top box) 중 어느 하나이고, 방송시청자의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장형 수신장치.
  4. 삭제
  5. 삭제
  6. 지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에서 수신한 지상파 신호와 분기기(tapoff)를 경유해 입력되는 유선 신호의 특정 범위 신호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대역통과필터(BPF)와 상기 대역통과필터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대역통과필터에서 출력한 신호를 보상 및 안정적 신호 전송을 위해 증폭하는 증폭기(AMP);를 구비하여,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한 신호(유선 및 지상파)를 방송시청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방송신호출력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방송신호출력부는,
    상기 분기기의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와 상기 방송신호의 전송을 위한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가 각각 장착가능한 고정홈을 지니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2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외장형 수신장치.
  7. 지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에서 수신한 지상파 신호와 분기기(tapoff)를 경유해 입력되는 유선 신호의 특정 범위 신호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대역통과필터(BPF)와 상기 대역통과필터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대역통과필터에서 출력한 신호를 보상 및 안정적 신호 전송을 위해 증폭하는 증폭기(AMP);를 구비하여,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한 신호(유선 및 지상파)를 방송시청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방송신호출력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방송신호출력부는,
    상기 분기기에 연결시 분기기의 종류(4way, 8way 또는 16way)에 따른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에 일대일 매칭이 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외장형 수신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송시청자의 단말은 셋톱박스(set-top box)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외장형 수신장치.
  9. 분기기(tapoff)의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가 관통하는 홀이 다수개 형성된 지상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에서 수신한 지상파 신호와 분기기(tapoff)를 경유해 입력되는 유선 신호의 특정 범위 신호만을 통과시켜 출력하는 대역통과필터(BPF)와, 상기 대역통과필터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대역통과필터에서 출력한 신호를 보상 및 안정적 신호 전송을 위해 증폭하는 증폭기(AMP)를 구비하여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한 신호(유선 및 지상파)를 방송시청자의 단말에 전송하는 방송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외장형 수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출력부는
    상기 안테나부의 관통 홀을 관통한 분기기의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와 상기 방송신호의 전송을 위한 가입자 인입선용 단자가 각각 장착가능한 고정홈을 지니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2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외장형 수신장치.
KR1020140104852A 2014-08-13 2014-08-13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 외장형 수신장치 KR101586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852A KR101586994B1 (ko) 2014-08-13 2014-08-13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 외장형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852A KR101586994B1 (ko) 2014-08-13 2014-08-13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 외장형 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994B1 true KR101586994B1 (ko) 2016-01-21

Family

ID=5530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852A KR101586994B1 (ko) 2014-08-13 2014-08-13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 외장형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9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446B1 (ko) * 2005-11-22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복합 텔레비젼 방송 수신장치
JP2009081568A (ja) * 2007-09-25 2009-04-16 Sony Corp アンテナスイッチ及びチュー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446B1 (ko) * 2005-11-22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복합 텔레비젼 방송 수신장치
JP2009081568A (ja) * 2007-09-25 2009-04-16 Sony Corp アンテナスイッチ及びチュー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8039B2 (en) External pass-through filters for optical micronod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CN101944955A (zh) 承载数据和视频信号的融合网络传输系统
US7486892B2 (en) Multiport optical amplifier with narrowcast power equalization
KR101586994B1 (ko) 유선 및 지상파 방송의 시청을 위한 단말기 내, 외장형 수신장치
JP5400918B2 (ja) ノード装置、信号伝送システム、及び、信号伝送システムの変更方法
US20230275658A1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transmission quality monitoring method
JP5349154B2 (ja) Catvシステム
JP5661450B2 (ja) Catvシステム
KR100678662B1 (ko) 멀티 채널 다이플렉서를 이용한 간선분기 증폭기
KR20160061038A (ko) 광 분기 내장 통합형 광수신 분배장치를 활용한 위성방송 공동설비 송출시스템
JP4691330B2 (ja) 放送と通信の融合配信システム
JP5428092B2 (ja) 光端末ユニットおよび光伝送システム
JP5314446B2 (ja) 混合器内蔵型受信機及び受信システム
WO2020158846A1 (ja) 光伝送システム、及び出力調整装置
CA3017061A1 (en) Aggregator-based cost-optimized communications topology for a point-to-multipoint network
JP4347001B2 (ja) Catv監視システムおよびcatv監視方法
KR200475491Y1 (ko) 광동축 혼합망의 광 수신분배 장치 및 이를 포함한 광동축 혼합망의 광 수신분배 확장모듈
JP2011030253A (ja) 送信装置
KR101256458B1 (ko) 위성방송 광 수신 장치의 원격 상태 정보 감시 방법 및 감시 장치
KR20160045427A (ko) 통합형 광수신 분배장치를 활용한 위성방송 공동설비 송출시스템
JP2016025589A (ja) Catvシステムおよび加入者光受信装置
JP5376518B2 (ja) 光端末ユニットおよび光伝送システム
JP5727840B2 (ja) Catvシステム
JP4477993B2 (ja) 集合住宅用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
KR200434028Y1 (ko) 방송 통신 통합형 광수신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