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565B1 - 의료용 가온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용 가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565B1
KR101586565B1 KR1020140056481A KR20140056481A KR101586565B1 KR 101586565 B1 KR101586565 B1 KR 101586565B1 KR 1020140056481 A KR1020140056481 A KR 1020140056481A KR 20140056481 A KR20140056481 A KR 20140056481A KR 101586565 B1 KR101586565 B1 KR 101586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eating unit
heating
press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470A (ko
Inventor
기호윤
Original Assignee
기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호윤 filed Critical 기호윤
Priority to KR1020140056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56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4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devices or media
    • A61M5/445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devices or media the media being heated in the reservoir, e.g. warming blood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가온 시스템은, 적어도 일 면에 히터가 배치되는 히팅 부재와, 상기 히터가 배치된 상기 히팅 부재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어, 유체와 히터 간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체 흐름 통로를 구비하는 가온 유닛; 및 내부에 상기 가온 유닛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 상기 가온 유닛의 인출입을 위한 슬릿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가온 시스템{Warming system for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의료용 가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료 분야에서 치료를 위하여 수액이나 혈액을 인체에 주입할 때, 환자의 쇼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액이나 혈액이 체온과 유사한 온도로 따뜻하게 한 뒤 주입하여야 한다.
공개특허 제10-2010-0010395호에 의료용 가온 시스템에 대한 일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개특허에 개시된 의료용 가온 시스템에 의하면, 가온 시스템, 즉 히팅 장치는 전원 공급을 위한 부품이 내장된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히팅 장치의 전원 단자가 케이스에 구비된 전원 커넥터에 연결되면, 전원이 상기 히팅 장치로 공급되어 가온 기능이 구현된다. 그리고, 히팅 장치의 교체 또는 수리를 위해서는 상기 전원 단자가 전원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다음, 상기 히팅 장치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팅 장치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부 케이스를 회전시켜 케이스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온 시스템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혈액 공급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곳이 병원 응급실이며, 응급실에서는 긴급 조치가 필요한 환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히팅 장치의 장착과 가온 시스템의 조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다.
그러나, 종래의 가온 시스템는, 히팅 장치를 장착하기 위해서, 한 손으로 가온 시스템의 본체를 잡고 한 손으로 상부 케이스를 개방한 다음, 다시 히팅 장치를 파지하여 가온 시스템에 장착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히팅 장치를 가온 시스템의 케이스에 탈부착 하는 과정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면, 환자에게 수액이나 혈액을 공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가온 시스템은, 적어도 일 면에 히터가 배치되는 히팅 부재와, 상기 히터가 배치된 상기 히팅 부재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어, 유체와 히터 간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체 흐름 통로를 구비하는 가온 유닛; 및 내부에 상기 가온 유닛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 상기 가온 유닛의 인출입을 위한 슬릿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가온 유닛을 구속하거나, 상기 가온 유닛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도록 밀어내는 분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 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조작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부가 상기 조작 부재의 타단부에 접촉되며, 타단부가 상기 가온 유닛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 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속 부재의 타단부에 의한 상기 가온 유닛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가온 유닛의 측면을 밀어내는 푸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가온 시스템에 의하면, 의사 또는 간호사가 한 손으로는 가온 시스템의 케이스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히팅 장치를 파지하여, 히팅 장치를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시키는 동작만으로 히팅 장치의 장착이 가능하게 되어, 조작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팅 장치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에 부착된 분리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히팅 장치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므로 조작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세히, 혈액 및 수액 가온기는 주로 응급 상황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온기의 분리 및 장착을 위한 조작 횟수를 최소화할 필요성이 크다. 이에, 본 발명은 가온기의 분리 및 장착을 위한 조작 횟수를 종래의 가온기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줄였으며, 조작 방식에 있어서도 편의성이 증대되어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안전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히팅 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버튼이 커버에 의하여 보호되고, 분리 버튼을 누르기 위해서는 먼저 커버를 개방하여야 하므로, 조작자의 의사에 관계없이 분리 버튼이 눌러져서 히팅 장치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수술실 등에서 혈액 및 수액 가온기를 오조작하는 경우 오염의 문제 등이 야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가온 시스템은, 조작자가 실수로 분리 버튼을 누르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어, 응급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가온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히팅 장치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시스템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커버의 전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프런트 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들 커버의 전면 사시도.
도 7은 상기 미들 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시스템에 구비되는 보호 커버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시스템를 구성하는 가온 유닛의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0은 상기 가온 유닛의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유닛 내부에서 유체가 흐르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유닛이 분리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유닛 분리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도 8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로서, 가온 유닛이 분리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가온 유닛과 분리 장치의 연결 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가온 유닛이 분리 장치에 구속된 상태에서 푸쉬 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은 가온 유닛이 분리 장치로부터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푸쉬 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후크 부재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부재를 구성하는 이동 부재를 구성하는 이동 부재의 사시도.
도 20은 누름 날개와 이동 부재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가온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으나 상기 공개 특허에는 개시되어 있는 구성들 중 일부 - 예컨대 필터 또는 에어홀 - 는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아니하더라도 본 발명에도 동일하게 채택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가온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히팅 장치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가온 시스템(10)은, 환자의 몸 속에 주입되는 유체(혈액,수액 등)를 체온과 유사한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가 내장된 가온 유닛(40)과; 상기 가온 유닛(40)이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20)는, 전면부(201), 배면부(202), 제 1 측면부(203), 제 2 측면부(204), 상면부(205) 및 하면부(206)로 이루어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시된 육면체 형상이 아닌 다른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측면부(203)에는 상기 가온 유닛(40)의 인출입을 위한 가온 유닛 수용부(207)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온 유닛 수용부(207)를 통하여 상기 가온 유닛(40)이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상기 가온 유닛(40)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온 유닛 수용부(207)는 상기 가온 유닛(40)의 두께보다 약간 더 넓은 폭을 가지는 슬릿(slit)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201)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윈도우(28)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28) 중 어느 하나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51)이 장착되어, 상기 윈도우(28)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1)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는 주입되는 유체의 온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윈도우(28)가 상기 전면부(201)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윈도우와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단일의 윈도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윈도우(28) 중 다른 하나에는 상태 표시부(218)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태 표시부(218)의 후방에는 발광 부재(K : 도 3 참조)가 장착되어, 혈액 또는 수액이 주입되는 상태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201)의 대략 중앙부에는 전원 버튼(27)이 삽입되는 가이드 슬리브(213)가 돌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슬리브(213)가 상기 전원 버튼(27)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조작자가 무심코 상기 조작 버튼(27)을 누르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213)가 상기 전면부(201)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됨으로써, 상기 전원 버튼(27)을 소정 깊이 눌러야 전원 인가 명령이 입력되기 때문에, 조작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전원 인가 명령이 입력되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버튼(27)은, 적어도 상기 전면부(201)의 폭방향으로 중앙부 또는 상기 제 1 측면부(203)에 더 가까운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조작자가 상기 케이스(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왼손 엄지 손가락으로 상기 전원 버튼(27)을 누를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버튼(27)의 측방에는 온도 설정 버튼(21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설정 버튼(2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상승 버튼과 온도 하강 버튼이 한 쪽에 모여서 상측과 하측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 버튼(27)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가온 유닛 수용부(207)가 형성된 상기 제 1 측면부(203)의 어느 지점에는 파지 안내홈(219,23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 안내홈(219,231)이 형성됨으로써, 조작자가 오른손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상기 가온 유닛(40)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 안내홈(219,231)은, 상기 케이스(20)의 프런트 커버(21 : 도 3 참조)와 리어 커버(23 : 도 3 참조)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부(201)의 일측 가장자리,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 측면부(204) 에 가까운 지점에 보호 커버(29)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보호 커버(29)는, 상기 가온 유닛(40)을 분리하기 위한 누름 버튼(51 : 도 8 참조)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이는, 상기 분리 버튼(51)이 조작자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게 눌러져서 상기 가온 유닛(40)이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호 커버(29)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2 측면부(20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홈 또는 돌기 구조(2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204)가 라운드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조작자가 한 손으로 상기 케이스(20)를 부드럽게 감싸면서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홈 또는 돌기 구조(216)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0)를 파지한 손이 미끄러져서 상기 케이스(20)를 떨어뜨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시스템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온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케이스(20)는, 프런트 케이스(21)와,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의 후면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23)와,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3) 사이에 개입되고,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의 배면에 고정되는 미들 케이스(22)와,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와 미들 케이스(2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놓이는 메인 피시비(main Printed Circuit Borad)(25)와, 상기 메인 피시비(25)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와 미들 케이스(22)가 접하는 부분에 둘러지는 실링 부재(24)와, 상기 케이스(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데코 부재(26)와, 상기 가온 유닛(40)의 탈부착을 위하여 제공되는 분리 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의 전면에 상기 보호 커버(29)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전원 버튼(27)이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에 장착되며, 상기 발광 부재(K)가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의 배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버튼(27)은 버튼 하우징(271)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버튼 하우징(271)에는 O-링과 같은 실링 부재가 장착되기 위한 실링 부재 안착홈(27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코 부재(26) 중 상기 케이스(20)의 상측에 결합되는 데코 부재에는 전선이 삽입되기 위한 전선 삽입홀(2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 삽입홀(261)은 비원형, 구체적으로는 마주보는 면이 일직선으로 연장된 트랙(track) 형태로 제공되어, 전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피시비(25)의 전면 상측에는 주입되는 혈액 또는 수액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51)이 장착될 수 있고, 배면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가온 유닛(40)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연결 단자(후술함)가 삽입되기 위한 커넥터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사각 기둥 형태로 상기 메인 피시비(25)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사각 기둥의 일 측면에 상기 연결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온 유닛(40)이 탈부착될 때, 상기 연결 단자가 상기 커넥터에 탈부착된다.
상기 실링 부재(24)는 상기 미들 케이스(22)의 전면과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의 배면이 맞닿는 곳에 개입되는 제 2 실링 부재(241)와, 상기 메인 피시비(25)의 후면에 돌출되는 커넥터(미도시)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제 2 실링 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와 상기 리어 케이스(23)의 측면에는 파지홈(219,23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 장치(20)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커버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프런트 커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의 전면에는 상부 윈도우 안착부(211)와 하부 윈도우 안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윈도우 안착부(211)와 하부 윈도우 안착부(213)에 윈도우(28)가 각각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 안착부(211)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수용홀(211a)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이 상기 윈도우(28)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은 88세그먼트 형태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윈도우 안착부(211)와 하부 윈도우 안착부(213) 사이에는 파워 버튼 장착을 위한 가이드 슬리브(21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의 측면에는 상기 분리 장치(50)의 분리 버튼(51)이 수용되는 버튼 수용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 수용홀(210)의 상측과 하측으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 구조(2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의 배면에는 피시비 안착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피시비 안착부(212)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 월(guide wall)(214)이 연장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월(214)에 상기 제 1 실링 부재(241)가 밀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들 커버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미들 커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미들 케이스(22)는 상기 메인 피시비(25)의 후방을 덮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 피시비(25)의 파손을 방지도록 기능한다.
상세히, 상기 미들 케이스(22)의 전면에는 상기 메인 피시비(25)를 수용하는 피시비 안착부(224)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케이스(2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1 실링 부재(241)가 끼워지는 실링 부재 안착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실링 부재 안착홈(221)은, 상기 미들 케이스(22)의 가장자리에서 한 쌍의 리브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피시비(25)의 형상을 따라 연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링 부재(241)는 상기 한 쌍의 리브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의 가이드 월(214)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 케이스(22)가 상기 프런트 케이스(21)의 후면에 고정되면, 상기 제 1 실링 부재(241)는 상기 가이드 월(214)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메인 피시비(25)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 케이스(22)의 상측과 하측에는 커넥터 수용부(222)가 각각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넥터 수용부(222)는, 상기 메인 피시비(25)의 배면에 돌출되는 커넥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미들 케이스(22)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함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수용부(222)에 상기 커넥터가 삽입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수용부(222)의 일 측면에는 단자 삽입구(223)가 형성되어, 상기 가온 유닛(40)의 연결 단자가 상기 단자 삽입구(223)를 통하여 상기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20) 전면부 쪽 내부에는, 주기판(main PCB)(30)이 장착되고, 상기 주기판(30)에는 상기 전원 버튼(27) 및 상기 가온 유닛(4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후술함) 및 각종 전장 부품이 실장된다. 그리고, 상기 주기판(30)의 전방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8)이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8)에는, 상기 가온 유닛(40)의 온도 정보, 작동 시간 정보 및 각종 메뉴 또는 모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시스템에 구비되는 보호 커버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 커버(29)는, 힌지축(291)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 커버(29)는 래치/후크 또는 자석 등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0)에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 커버(29)의 하측에는 상기 분리 버튼(51)이 배치되고, 상기 보호 커버(29)를 회동하면 상기 분리 버튼(51)이 외부로 노출되어, 조작자가 상기 분리 버튼(51)을 눌러서 상기 가온 유닛(40)을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 버튼(51)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자석에 붙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밀착부(292a)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 커버(29)의 저면에는 자석(292)이 장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보호 커버(29)가 닫히면 상기 자석(292)과 상기 밀착부(292a)가 자력에 의하여 밀착되어, 상기 보호 커버(29)가 저절로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분리 버튼(51) 자체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분리 버튼(51)의 상면에 금속 플레이트가 부착되는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인 조작 방법을 설명하면, 조작자의 오른 손으로 상기 케이스(20)의 전면부(201)와 배면부(202)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자의 왼손으로 상기 보호 커버(29)를 개방하여 상기 분리 버튼(51)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가온 유닛(40)이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분리되어 튀어 나오게 된다. 이때, 튀어나오는 상기 가온 유닛(40)은 조작자의 오른 손 손바닥에 의하여 막혀서 아래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자는 왼손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상기 가온 유닛(40)을 파지하여 상기 케이스(2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 커버(29)와 상기 분리 버튼(51)은 상기 제 2 측면부(204)에 가까운 지점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상기 위치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보호 커버(29)와 분리 버튼(51)이 상기 제 1 측면(23)에 가까운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커버(29)와 상기 분리 버튼(51)이 상기 파지 안내홈(231)으로부터 상기 전면부(201)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조작자가 왼손으로 상기 케이스(20)를 파지하고, 오른 손 엄지 손가락이 상기 보호 커버(29) 위에 위치하며, 나머지 네 손가락이 상기 배면부(202)에 위치한 상태에서, 오른 손 엄지 손가락으로 상기 보호 커버(29)를 개방하여 상기 분리 버튼(51)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가온 유닛(40)이 조작자의 오른 손 손바닥 쪽으로 튀어 나오고, 조작자는 오른 손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으로 상기 가온 유닛(40)을 분리시킨다. 이때, 조작자의 오른 손 손바닥에 의하여 상기 가온 유닛(40)이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 버튼(51)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호 커버(28)를 열어야 하는 동작이 선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리 버튼(51)이 임의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가온 유닛(40)이 상기 케이스(2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시스템를 구성하는 가온 유닛의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가온 유닛의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유닛(40)은, 프런트 커버(41)와, 히팅 부재(42)와, 유동 가이드(43) 및 리어 커버(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커버(41)의 상면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포트(411)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에는 수액 또는 혈액과 같은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 포트(41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유입 포트(411) 및 토출 포트(412)는 상기 리어 커버(4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입 포트(411)와 토출 포트(412)에는 상기 유체가 흐르는 튜브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커버(41)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걸림 돌기(41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416)는 후술하게 될 분리 장치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커버(41)의 배면에는 다수의 유동 가이드 리브들(413)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인접하는 유동 가이드 리브(413) 사이에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4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커버(41)의 배면에는 체결 보스(4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커버(41)의 전면 측방,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입 포트(411) 및 토출 포트(412)가 구비되는 측방 가장자리에는 파지부로서 기능하는 파지 돌기(417)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파지 돌기(417)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상기 가온 유닛(40)을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빼낼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돌기 형태 이외에 함몰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히팅 부재(42)는, PCB 기판을 포함하는 절연 기판(421)에 일정한 저항값을 가지는 회로 패턴 형태의 히터(4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423)는 미앤더 라인(meander line)을 형성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 기판(421)에는 상기 가온 유닛(40) 내부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425)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 기판(421)의 일 측면 상측과 하측에는 한 쌍의 연결 단자(429)가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429)는, 상측의 제 1 연결 단자(427)와 하측의 제 2 연결 단자(4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히터(423)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전원 전극(422)과, 상기 온도 센서(425)와 연결되는 센싱 전극(424)이 상기 제 1 연결 단자(427)와 상기 제 2 연결 단자(428)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온 유닛(40)이 상기 케이스(20)에 장착되면, 상기 연결 단자(429)는 상기 메인 피시비(25)의 배면 상측과 하측에 구비된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피시비(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히팅 부재(42)의 구조는, 공개특허 제10-2003-0064400호에 개시된 히터와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전원 전극(422)과 상기 센싱 전극(424)의 위치만 다르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유닛(40)은, 상기 공개 특허 제10-2003-0064400호와 비교하여, 상기 유입 포트(411)와 상기 토출 포트(412)가 상기 가온 유닛(40)의 측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과, 상기 전원 전극(422) 및 센싱 전극(424)이 상기 유입 포트(411) 및 토출 포트(412)가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 쪽 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 단자(429)가 상기 가온 유닛(40)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상기 가온 유닛(40)이 상기 케이스(2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가온 유닛(40)을 상기 케이스(20)의 측면에서 삽입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입 포트(411) 및 토출 포트(412)가 상기 연결 단자(429)가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 쪽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온 유닛(40)을 상기 케이스(20)에 완전히 삽입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20)의 상면과 하면을 깊이 절개할 필요가 없게 된다. 만일, 상기 유입 포트(411) 및 토출 포트(412)가 상기 가온 유닛(40)의 상면과 하면 중심부에 돌출된다면, 상기 가온 유닛(40)을 상기 케이스(20)에 완전히 삽입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20)의 상면과 하면의 중심부까지 절개하여야 한다. 상기 절개 부위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상기 절개 부위를 통하여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20)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 기판(421)에는 상기 체결 보스(414)가 관통하는 체결홀(42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 가이드(43)는 상기 리어 커버(44)의 내주면에 안착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다수의 구획 리브들(432)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인접하는 구획 리브들(432) 사이에는 가이드 홀(43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431)은 상기 유체의 이동 통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구획 리브들(432)은 상기 프런트 커버(41)에 형성되는 상기 유동 가이드 리브들(413)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획 리브(432)에는 체결홀(433)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커버(44)에도 체결홀(441)이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커버(41)의 체결 보스(414)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는 상기 히팅 부재(42)의 체결홀(426)과, 상기 유동 가이드(43)의 체결홀(433) 및 상기 리어 커버(44)의 체결홀(441)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프런트 커버(41), 히팅 부재(42), 유동 가이드(43) 및 상기 리어 커버(44)를 한 몸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하여, 상기 프런트 커버(41)의 배면 가장자리와 상기 리어 커버(44)의 전면 가장자리가 접촉하는 부분에 O-링과 같은 실링 부재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유동 가이드(43)가 별도로 제공되어, 상기 히팅 부재(42)의 배면에 유체 흐름 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리어 커버(44)의 내주면에 유동 가이드 리브들이 돌출되는 방법으로 유체 흐름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런트 커버(41)에 유로가 형성되는 것과 동일하게, 상기 리어 커버(44)의 내면에 유동 가이드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유닛 내부에서 유체가 흐르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도 2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고, (b)는 가온 유닛(40) 내부에서 일어나는 유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유동 가이드(43)의 가이드 홀들(431) 중 어느 하나의 입구단은 상기 프런트 커버(41)의 유로들(415) 중 어느 하나의 출구단과 연통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홀(431)의 출구단은, 상기 어느 하나의 유로(415)의 하측에 형성되는 또다른 유로(415)의 입구단과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유로들(415)은 상기 히팅 부재(42)의 전면부와 마주하고, 상기 가이드 홀들(431)은 상기 히팅 부재(42)의 배면부와 마주한다. 따라서, 상기 유입 포트(411)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유로(415)와 상기 가이드 홀(431)을 따라 흐르게 되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 부재(42)를 나선 형태로 휘감으면서 하측으로 흘러 상기 토출 포트(412)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유로는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히팅 부재(42)의 전면, 즉 상기 히터(423)가 배치된 면에만 구불구불한 미앤더 라인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유닛이 분리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유닛 분리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온 유닛 분리 장치(50)는 상기 리어 케이스(23)에 안착되며, 상기 분리 장치(50)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기 메인 피시비(25)의 배면에 돌출된 커넥터가 배치된다. 상기 커넥터는 각각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단자(429)의 단자부와 접촉하는 전극부(252a,252b)가 각각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가온 유닛(40)이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장착되면, 상기 히팅 부재(42)의 측면에 돌출된 상기 연결 단자(429)의 단자부가 상기 커넥터의 전극부(252a,252b)에 각각 접촉된다.
상세히, 상기 분리 장치(50)는, 조작자에 의하여 눌러지는 분리 버튼(51)과, 상기 가온 유닛(40)의 걸림 돌기(416)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후크 부재(52)와, 상기 가온 유닛(40)의 측면을 밀어주는 푸쉬 부재(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스(23)에는 상기 푸쉬 부재(53)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벽(232)이 형성되어, 상기 푸쉬 부재(53)의 전방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조작자가 상기 보호 커버(29)를 회동시켜 상기 분리 버튼(51)을 누르면, 상기 후크 부재(52)의 단부가 들어올려지고, 그 결과 상기 후크 부재(52)와 상기 걸림 돌기(416)와의 연결이 해제된다. 그러면, 상기 푸쉬 부재(53)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가온 유닛(40)의 측면을 밀어주어, 상기 가온 유닛(40)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 상기 가온 유닛(40)의 돌출 부분을 잡아 당겨 상기 가온 유닛(40)을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분리 장치(50)의 상세한 구조와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도 12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로서, 가온 유닛이 분리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가온 유닛과 분리 장치의 연결 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 장치(50)를 구성하는 상기 분리 버튼(51)은, 조작자에 의하여 눌러지는 누름부(511)와, 상기 누름부(511)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512) 및 상기 연장부(51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탄성 부재(5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부재(52)는, 상면에 누름 홈(525)이 형성되는 누름단(521)과, 상기 누름단(521)으로부터 연장되는 아암부(arm portion)(522)와, 상기 아암 부(522)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단(524)과, 상기 아암부(522)의 어느 지점에 형성되는 힌지부(523) 및 상기 누름단(521)의 저면에 돌출되는 지지 돌기(527)와, 상기 지지 돌기(527)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탄성 부재(5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512)의 단부는 상기 누름 홈(525)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걸림단(524)은 상기 가온 유닛(40)의 걸림 돌기(416)에 걸린 상태로 유지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조작자가 상기 누름부(511)를 누르면 상기 연장부(512)가 하강하고, 누름부(511)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 부재(513)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511)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후크 부재(52)는, 상기 분리 버튼(51)을 누르면 상기 힌지부(52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단(524)이 상기 걸림 돌기(416)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홈(525)을 가압하면 상기 탄성 부재(526)가 축소되고, 상기 누름홈(525)을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 부재(526)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후크 부재(52)는 원위치로 회전하여 복귀한다.
도 16은 가온 유닛이 분리 장치에 구속된 상태에서 푸쉬 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가온 유닛이 분리 장치로부터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푸쉬 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50)를 구성하는 푸쉬 부재(54)는,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서 체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 부재(541)와, 상기 고정 부재(54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이동 부재(542) 및 상기 이동 부재(54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54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탄성 부재(5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543)는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하여 길이 변화가 가능한 모든 형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함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길이 변형이 가능한 막대 형태의 탄성 부재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세히, 도 1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단(524)이 상기 걸림 돌기(416)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543)가 축소되어 상기 이동 부재(542)가 후퇴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단(524)이 상기 걸림 돌기(416)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 부재(543)는 복원력에 의하여 신장되고, 그 결과 상기 이동 부재(542)가 전진하여 상기 가온 유닛(40)의 측면을 밀어낸다. 그러면, 상기 가온 유닛(40)의 측면 일부가 상기 케이스(20)의 제 1 측면(23)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러면, 조작자는 돌출된 상기 가온 유닛(40)의 측면을 손으로 잡고 빼낸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543)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가온 유닛(40)이 밀리면서, 사용자가 미처 상기 가온 유닛(40)을 파지하지 못하여 상기 가온 유닛(40)이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분리되면서 바닥으로 낙하하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 부재(543)의 탄성 계수를 적절히 조절하는 방법 외에, 상기 한 쌍의 이동 부재(542)에 끼워지는 상기 탄성 부재들(543)의 탄성 계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한 쌍의 탄성 부재(543) 중 어느 하나의 탄성 계수가 다른 하나의 탄성 계수보다 작거나 크게 하여, 상기 가온 유닛(40)이 비스듬히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탄성 계수가 큰 탄성 부재(543)에 의하여 밀려서 이동하는 상기 가온 유닛(40) 부분이 상기 케이스(20) 내부에서 걸려서 상기 케이스(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온 유닛(40)이 상기 케이스(20)의 측면을 통하여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고, 분리 장치(50)의 분리 버튼(51)을 눌렀다 떼는 동작 만으로 상기 가온 유닛(40)을 분리할 수 있어, 가온 유닛(4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후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후크 부재(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단(521)와, 암부(522)와, 걸림단(524)과, 힌지부(523) 및 지지 돌기(52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단(521)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누름 날개(528)가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누름 날개(528)는, 상기 누름단(521)의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에서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동일 선상에 일자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누름 날개(528)는 각각 하측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태로 연장되는 가압부(528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부재를 구성하는 이동 부재를 구성하는 이동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 부재(54)를 구성하는 이동 부재(5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내부가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동 부재(542)의 일단에는 상기 탄성 부재(543)가 삽입되는 개구부(542a)가 형성되고, 타단은 막혀있는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스(23)에 돌출되는 이동 제한 벽(232)에 걸리는 이동 제한 리브(542c)가 상기 이동 부재(542)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542)의 외주면에는 상기 후크 부재(52)의 가압부(528a)에 접촉하는 캠면(542b)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캠면(542b)은, 상기 이동 부재(542)의 어느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부드럽게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부재(52)의 누름단(521)이 눌러지면, 가압부(528a)가 상기 캠면(542b)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이동 부재(542)를 전방으로 밀어준다.
상기 누름 날개(528)와 상기 캠면(542b)은, 상기 이동 부재(542)의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 부재(543)가 노화되어 복원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거나 파손되어 상기 이동 부재(542)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이동 부재(542)를 사용자의 힘으로 밀어주기 위하여 제공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캠면(542b)이 상기 이동 부재(542)의 일 측면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누름 날개(528)에 구비된 가압부(528a)와 각각 접촉하는 구조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압부(528a)와 상기 캠면(542b)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누름 날개와 이동 부재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가온 유닛(40)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누름 버튼(51)을 누르면, 상기 후크 부재(52)의 누름단(521)으로 힘이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후크 부재(52)의 암부(522)가 상기 힌지부(52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단(524)이 상기 가온 유닛(40)의 걸림단(416)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누름 날개(528)의 가압부(528a)가 상기 이동 부재(542)의 캠면(542b)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상기 캠면(542b)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이동 부재(542)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이동 부재(542)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탄성 부재(543)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이동 부재(542)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온 유닛(40)을 상기 케이스(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5)

  1. 적어도 일 면에 히터가 배치되는 히팅 부재와, 상기 히터가 배치된 상기 히팅 부재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어, 유체와 히터 간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체 흐름 통로를 구비하는 가온 유닛; 및
    내부에 상기 가온 유닛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 상기 가온 유닛의 인출입을 위한 슬릿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가온 유닛을 구속하거나, 상기 가온 유닛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도록 밀어내는 분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 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조작자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조작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부가 상기 조작 부재의 타단부에 접촉되며, 타단부가 상기 가온 유닛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 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속 부재의 타단부에 의한 상기 가온 유닛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가온 유닛의 측면을 밀어내는 푸쉬 부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조작자에 의하여 눌러져서 상기 가온 유닛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버튼은,
    조작자에 의하여 눌러지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를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분리 버튼이 하강하고,
    상기 누름부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분리 버튼이 원위치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부재는 후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가 놓이는 누름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누름단과,
    상기 누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단과,
    상기 암부의 어느 일 지점에 형성되는 힌지부 및
    상기 누름단의 저면에 놓이는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누름단과 상기 걸림단 사이의 어느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 유닛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단이 상기 분리 버튼에 의하여 가압되면, 상기 걸림단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 돌기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수축되며,
    상기 누름단을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단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 3 탄성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외측에 끼워져서, 상기 제 3 탄성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를 수용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 유닛이 상기 케이스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3 탄성 부재가 압축되어 상기 이동 부재가 후퇴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걸림단이 상기 걸림 돌기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 3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가온 유닛의 측면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는,
    상기 누름단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하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누름 날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캠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상기 이동 부재의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부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조작 부재의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노출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의 저면에 부착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형성되는 측면부의 반대 쪽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의 타 측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타 측면에는 다수의 홈 또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 유닛은,
    측면 가장자리에 상기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프런트 커버와,
    상기 프런트 커버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와,
    상기 프런트 커버와 리어 커버에 의하여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히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커버와 리어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는 가온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포트가 연장되며,
    상기 프런트 커버와 리어 커버 중 어느 하나의 하면에는 가온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 포트가 연장되고,
    상기 유입 포트와 토출 포트는, 상기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 쪽 측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부재는,
    일 측면에 연결 단자가 돌출되는 PCB 기판과,
    상기 PCB 기판의 표면에 패턴 형태로 제공되며,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히터와,
    상기 PCB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어, 상기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와,
    상기 히터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전극 및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을 전송하기 위한 센싱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전극 및 상기 센싱 전극은 상기 연결 단자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PCB 기판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프런트 케이스와,
    전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 단자가 삽입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는 메인 피시비와,
    상기 프런트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피시비를 덮는 미들 케이스와,
    상기 미들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런트 케이스와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케이스와 상기 미들 케이스가 밀착되는 부위에 둘러지는 제 1 실링 부재와,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 2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케이스의 전면에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외부로 보이도록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케이스의 어느 지점에 장착되는 파워 버튼과,
    상기 파워 버튼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서 상기 파워 버튼보다 더 높이 돌출되는 가이드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버튼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 어느 지점에 제공되는 온도 조절 버튼을 더 포함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 쪽 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프런트 커버의 표면에 형성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돌기 또는 함몰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통로는 상기 히팅 부재를 휘감아 도는 나선 형태의 유로를 포함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흐름 통로는 상기 히터를 따라 구불구불하게 배치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이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파지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장착되는 데코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장착되는 데코 부재에는 전선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 삽입홀은 비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온 시스템.
KR1020140056481A 2014-05-12 2014-05-12 의료용 가온 시스템 KR101586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481A KR101586565B1 (ko) 2014-05-12 2014-05-12 의료용 가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481A KR101586565B1 (ko) 2014-05-12 2014-05-12 의료용 가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470A KR20150129470A (ko) 2015-11-20
KR101586565B1 true KR101586565B1 (ko) 2016-01-18

Family

ID=5484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481A KR101586565B1 (ko) 2014-05-12 2014-05-12 의료용 가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629B1 (ko) * 2019-02-21 2020-06-29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매용 포셉 가열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437B1 (ko) 2017-05-15 2019-12-0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혈액 또는 수액 가온 기구
CN115970087A (zh) * 2023-02-07 2023-04-18 杭州医享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输液加温监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440A (ko) * 2002-12-21 2004-06-26 군 박 탈착 가능한 의료용 수액 정온기
KR101012535B1 (ko) * 2008-07-22 2011-02-07 박재상 의료용 가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629B1 (ko) * 2019-02-21 2020-06-29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매용 포셉 가열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470A (ko) 201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19557B (zh) 电外科装置
KR101586565B1 (ko) 의료용 가온 시스템
US5254083A (en) Suction and irrigation apparatus
CN110841135B (zh) 医疗管组件
JP2002028246A (ja) 留置針の安全装置
WO2004110524A2 (en) Fluid-flow cassette for an ophthalmic surgical instrument
WO2010056300A2 (en) Oximeter device
KR20160119103A (ko) 환자의 피부 절개 장치용 차단 기구 및 차단 기구에 의한 피부 절개 장치의 제어 방법
US11324563B2 (en) Protective coverings for hand-held medical devices
US8308748B2 (en) Collapsible lancing device
US10189038B2 (en) Inductively heatable fluid reservoir for various fluid types
JP4014493B2 (ja) 輸液装置
JP2007236597A (ja) 輸液装置
JP4410870B2 (ja) ニードルホルダ
JP5735129B2 (ja) 生体情報測定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た測定装置
CA2977683A1 (en) Pull tab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CA2966439A1 (en) Automatic heated fluid dispenser
KR102410439B1 (ko) 물티슈 가열 장치
JP4710618B2 (ja) チューブクランプ装置
JP4475938B2 (ja) ローラーポンプ装置
JP2000225110A (ja) 穿刺具
KR102414083B1 (ko) 다양한 유체 유형들을 위한 유도 가열 가능한 유체 저장소
JP2013132377A (ja) シリンジポンプ
CN210205495U (zh) 针头防护组件、防针刺输液针以及输液器
KR200345636Y1 (ko) 의료용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