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230B1 -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230B1
KR101586230B1 KR1020140158729A KR20140158729A KR101586230B1 KR 101586230 B1 KR101586230 B1 KR 101586230B1 KR 1020140158729 A KR1020140158729 A KR 1020140158729A KR 20140158729 A KR20140158729 A KR 20140158729A KR 101586230 B1 KR101586230 B1 KR 101586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fixing plate
plate
shaf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만승
김하윤
전봉수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23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심점에서 수직방향으로 스크류형 축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형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로 지지관과 축 이탈 방지판 및 스프링 하단 고정판을 설치하고,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상면 주연부에는 복수의 가이드 봉을 설치하되, 상기 스크류형 축과 가이드 봉 상에는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을 스크류형 축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에 대응하여 가이드 봉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쇼트 피링장치에 투입될 코일 스프링을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의 저면과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상면 사이에 위치시킨 후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를 통해 코일 스프링의 상,하단부를 고정시킨 다음 공구나 핸들을 이용하여 스크류형 축을 회전시키는 방식을 통해 코일 스프링의 인장 강도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쇼트 피링 작업에 투입되는 코일 스프링의 인장 강도 및 높이를 원하는 강도 및 높이로 정확히 조절할 수 있어 쇼트 피닝을 통한 코일 스프링의 피로 강도 및 내부 응력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쇼트 피닝한 코일 스프링 자체의 신뢰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쇼트 피닝을 통해 코일 스프링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Shot peening when tension applying apparatus of the coil spring}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등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의 제조시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함과 동시에 잔류 압축력을 발생시켜 표면을 딱딱하게 함으로써 피로 강도 및 내부 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쇼트 피닝(shot peening)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 스프링(suspension spring)은 차량의 차고를 유지하고 차량의 무게를 지탱하며 차량이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현가장치의 하나로, 프레임과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주행 중 노면 출력과 진동 발생 시 구부러지는 형태로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가 스프링으로는 판스프링(leaf spring), 코일 스프링(coil spring), 토션 바 스프링(torsion bar) 등의 금속 스프링과 고무 스프링(rubber spring), 공기 스프링(air spring) 등의 비금속 스프링이 있으며, 또한 스프링용 강의 화학 성분은 JIS G3565∼G3567, JIS G4801 등에 규정되어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코일 스프링은 압축 응력을 반복적으로 받는 것으로서 내부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쇼트 피닝 처리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내부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 표면에 쇼트 피닝 처리를 하는 종래의 쇼트 피닝 장치를 회전되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코일 스프링을 올려놓아 상기 한 쌍의 롤러의 회전력이 코일 스프링에 전달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롤러와 연결된 롤러 이동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한 쌍의 롤러와 코일 스프링을 쇼트 룸 내부를 통과하게 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 표면을 쇼트 피닝 처리를 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코일 스프링에 대한 쇼트 피닝 처리를 할 시 대부분 코일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에서 쇼트 피닝 처리를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에서 쇼트 피닝을 하게 되면, 쇼트 피닝 처리되는 코일 스프링의 내부 응력이 더욱 향상된다.
그런데, 종래의 쇼트 피닝장치에 의해서는 쇼트 피닝 처리될 코일 스프링을 압축하지 않은 원형 그대로 단순히 회전만 시키면서 쇼트 피닝 처리를 하게 됨으로써 내부 응력이 향상된 양질의 코일 스프링을 제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쇼트 피닝장치는 코일 스프링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하지 않고 상기 코일 스프링을 한 쌍의 롤러 상부에서 자유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단순히 원통 형태로 형성된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은 표면 전체에 걸쳐 골고루 쇼트 피닝 처리를 할 수 있으나, 양측 끝단부에서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코일 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사이드 로드형 코일 스프링 같은 경우에는 센터가 정렬된 상태로 일정하게 회전되지 않고 양측 끝단부가 상승되었다 하강되는 불규칙적인 시소 운동을 반복하면서 회전됨으로써 코일 스프링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쇼트 피닝 처리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에서보다는 인장시킨 상태에서 쇼트 피닝 처리할 경우 코일 스프링에 대한 피로 강도 및 내부 응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은 코일 스프링은 원활히 인장시킨 상태에서 쇼트 피링장치에 투입시킬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지않아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31155호(2009년 12월 0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33059호(2014년 08월 1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51604호(2013년 05월 21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중심점에서 수직방향으로 스크류형 축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형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로 지지관과 축 이탈 방지판 및 스프링 하단 고정판을 설치하고,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상면 주연부에는 복수의 가이드 봉을 설치하되, 상기 스크류형 축과 가이드 봉 상에는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을 스크류형 축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에 대응하여 가이드 봉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쇼트 피링장치에 투입될 코일 스프링을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의 저면과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상면 사이에 위치시킨 후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를 통해 코일 스프링의 상,하단부를 고정시킨 다음 공구나 핸들을 이용하여 스크류형 축을 회전시키는 방식을 통해 코일 스프링의 인장 강도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쇼트 피링 작업에 투입되는 코일 스프링의 인장 강도 및 높이를 원하는 강도 및 높이로 정확히 조절할 수 있어 쇼트 피닝을 통한 코일 스프링의 피로 강도 및 내부 응력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신뢰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중심점에 스크류형 축의 저단부가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는 축 결합공이 천공된 형태를 갖는 원판형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작은 직경을 가짐은 물론 상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공구 삽입홈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과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저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소정높이의 지지관과; 중앙의 축 통과공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이 방사형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상기 지지관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스크류형 축과 복수의 가이드 봉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 및 고정시켜 줌은 물론 "∩"형 고리가 상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에 끼워진 후 너트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들을 통해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원판형의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과;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 외측에서 방사 형태를 갖고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해 주는 복수의 가이드 봉과; 중앙의 나선식 축 결합공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과 가이드 봉 통과공들이 정해진 거리를 두고 방사형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스크류형 축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에 대응하여 가이드 봉들과 상기 스크류형 축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며 "∪"형 고리가 저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에 끼워진 후 너트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들을 통해 상단부가 고정된 형태를 갖는 코일 스프링의 인장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과; 봉 형상을 갖는 하단 일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축 통과공을 통해 끼워져 저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축 결합공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고 상부 나선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에 형성된 나선식 축 결합공에 나사 결합된 형태를 갖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을 직접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며 코일 스프링에 인장력을 조절해 주는 스크류형 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스크류형 축의 상단부에는 공구 또는 핸들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사각봉 형상의 공구 또는 핸들 결합돌기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된 상기 스크류형 축의 외면에는 이탈 방지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는 중심점에 상기 이탈 방지판 결합홈의 외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반원형의 축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반원판형 축 이탈 방지판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지지관 및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 사이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과 복수의 가이드 봉 및, 상기 지지관과 축 이탈 방지판 사이는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을 스크류형 축 및 가이드 봉들로부터 분리한 다음,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저단부가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상면에 위치할 때까지 가이드 봉들 사이로 삽입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을 회전시켜 하단부가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에 설치되어 있는 걸고리형 볼트의 고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후,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부를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에 설치되어 있는 걸고리형 볼트의 고리에 각각 걸어 고정시킨 다음 공구 또는 핸들을 이용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을 승강하도록 스크류형 축을 회전시켜 코일 스프링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에 의하면, 중심점에서 수직방향으로 스크류형 축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형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로 지지관과 축 이탈 방지판 및 스프링 하단 고정판을 설치하고,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상면 주연부에는 복수의 가이드 봉을 설치하되, 상기 스크류형 축과 가이드 봉 상에는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을 스크류형 축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에 대응하여 가이드 봉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쇼트 피링장치에 투입될 코일 스프링을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의 저면과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상면 사이에 위치시킨 후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를 통해 코일 스프링의 상,하단부를 고정시킨 다음 공구나 핸들을 이용하여 스크류형 축을 회전시키는 방식을 통해 코일 스프링의 인장 강도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쇼트 피링 작업에 투입되는 코일 스프링의 인장 강도 및 높이를 원하는 강도 및 높이로 정확히 조절할 수 있어 쇼트 피닝을 통한 코일 스프링의 피로 강도 및 내부 응력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쇼트 피닝한 코일 스프링 자체의 신뢰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쇼트 피닝을 통해 코일 스프링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정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정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중심점에 스크류형 축(6)의 저단부가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는 축 결합공(11)이 천공된 형태를 갖는 원판형의 베이스 플레이트(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짐은 물론 상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공구 삽입홈(21)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상면과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저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소정높이의 지지관(2)과;
중앙의 축 통과공(31)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32)이 방사형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상기 지지관(2)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스크류형 축(6)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도록 하고 복수의 가이드 봉(4)은 고정시켜 줌은 물론 "∩"형 고리(331)가 상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32)에 끼워진 후 너트(34) 결합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33)를 통해 코일 스프링(8)의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원판 형상의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과;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32) 외측에서 방사 형태를 갖고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해 주는 복수의 가이드 봉(4)과;
중앙의 나선식 축 결합공(51)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52)과 가이드 봉 통과공(55)들이 정해진 거리를 두고 방사형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스크류형 축(6)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에 대응하여 가이드 봉(4)들과 상기 스크류형 축(6)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며 "∪"형 고리(531)가 저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52)에 끼워진 후 너트(54) 체결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53)를 통해 상단부가 고정된 형태를 갖는 코일 스프링(8)의 인장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과;
봉 형상을 갖는 하단 일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축 통과공(31)을 통해 끼워져 저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축 결합공(11)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고, 상부 나선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에 형성된 나선식 축 결합공(51)에 나사 결합된 형태를 갖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을 직접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며 코일 스프링(8)에 인장력을 조절해 주는 스크류형 축(6);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스크류형 축(6)의 상단부에는 공구 또는 핸들(9)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스크류형 축(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각봉 형상의 공구 또는 핸들 결합돌기(61)를 더 형성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과 베이스 플레이트(1) 사이에 위치된 상기 스크류형 축(6)의 외면에는 이탈 방지판 결합홈(62)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2)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는 중심점에 상기 이탈 방지판 결합홈(62)의 외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반원형의 축 결합공(71)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반원판형 축 이탈 방지판(7)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와 지지관(2) 및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 사이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과 복수의 가이드 봉(4) 및, 상기 지지관(2)과 축 이탈 방지판(7) 사이는 볼트(10)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8)은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을 스크류형 축(6) 및 가이드 봉(4)들로부터 분리한 다음, 상기 코일 스프링(8)의 저단부가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상면에 위치할 때까지 가이드 봉(4)들 사이로 삽입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8)을 회전시켜 하단부가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에 설치되어 있는 걸고리형 볼트(33)의 고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후, 상기 코일 스프링(8)의 상단부를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에 설치되어 있는 걸고리형 볼트(53)의 고리에 각각 걸어 고정시킨 다음, 공구 또는 핸들(9)을 이용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을 승강하도록 상기 스크류형 축(6)을 회전시켜 코일 스프링(8)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 플레이트(1)와 지지관(2),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 복수의 가이드 봉(4),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 및 스크류형 축(6)을 포함하는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는 소정두께를 갖는 철판 등을 이용하여 소정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성형하여 본 발명 장치의 맨 하단부에 설치한 것으로, 중심점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류형 축(6)의 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축 결합공(11)이 천공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지지관(2)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파이프를 소정높이로 절단하되, 상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고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에 설치되는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33)에 체결되는 너트(34)를 풀고 조이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홈(21)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상면과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저면 사이에 위치시키고 도 1 및 도 2와 같이 수개의 볼트(10)를 통해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도 3과 같이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은 소정두께를 갖는 철판 등을 이용하여 소정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중심점에는 스크류형 축(6)이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축 통과공(31)이 천공되고, 상기 축 통과공(31)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의 원주를 따라서는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32)이 방사형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은 상기 지지관(2)의 상면에 올려진 후 복수의 볼트(10)나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어 후술하는 스크류형 축(6)이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도록 하는 기능과, 복수의 가이드 봉(4)을 고정시켜 주는 기능은 물론 "∩"형 고리(331)가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32)에 끼워진 후 너트(34) 결합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33)를 통해 코일 스프링(8)의 하단부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복수의 가이드 봉(4)은 소정지름을 갖는 긴 봉을 정해진 높이로 절단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32) 외측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의 원주 상에 방사형을 갖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한 후, 볼트(10)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거나 용접을 통해 일체로 통해 고정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 봉(4)은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에 천공된 가이드 봉 통과공(55)들에 각각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스크류형 축(6)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에 대응하여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이 승강 또는 하강할 때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며 원활히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안내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은 소정두께를 갖는 철판 등을 이용하여 소정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중심점에는 스크류형 축(6)이 나사 결한되는 나선식 축 결합공(51)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식 축 결합공(51)의 외측으로 각각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53)가 각각 결합되는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52)과 가이드 봉(4)들이 각각 통과하는 가이드 봉 통과공(55)들이 정해진 각도를 방사형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은, 작업자에 의해 스크류형 축(6)이 회전될 때, 상기 스크류형 축(6)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에 대응하여 가이드 봉(4)들과 상기 스크류형 축(6)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며, "∪"형 고리(531)가 저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52)에 끼워진 후 너트(54) 체결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53)를 통해 상단부가 고정된 형태를 갖는 코일 스프링(8)의 인장 길이를 가변시켜 주며 코일 스프링 자체에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스크류형 축(6)은 저부 일부간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장 볼트 형상을 갖는 것으로, 봉 형상을 갖는 하단 일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축 통과공(31)을 통해 끼워져 저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축 결합공(11)에 회동 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축지되고, 상부 나선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에 형성된 나선식 축 결합공(51)에 나사 결합된 형태를 가짐은 물론 상기 스크류형 축(6)의 상단부에는 공구 또는 핸들(9)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각봉 형상의 공구 또는 핸들 결합돌기(61)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크류형 축(6)의 상단부에 형성된 공구 또는 핸들 결합돌기(61)에 스페너 등과 같은 공구나 손잡이가 구비된 핸들을 결합시켜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형 축(6)의 나선부에 나선식 축 결합공(51)이 나사 결합된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이 복수의 가이드 봉(4)의 안내를 따라 승강하거나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상단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의 걸고리형 볼트(53)에 걸려진 상태를 갖고 하단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걸고리형 볼트(33)에 걸려진 상태를 갖는 상기 코일 스프링(8)이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의 승강 또는 하강 높이에 대응하여 인장 또는 수축되며 코일 스프링 자체의 인장력이 조절되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 및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 상에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8)의 상,하단부를 각각 결속 또는 고정시키는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33)(53)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봉(4)은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3개 또는 4개를 120도 또는 90도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크류형 축(6)을 단순히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 중앙에 형성된 나선식 축 결합공(51)에만 나사 결합하고 하단부를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축 통과공(31)을 통해 끼워져 저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축 결합공(11)에 회동 가능하도록 축지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을 복수의 가이드 봉(4) 및 상기 스크류형 축(6)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상기 스크류형 축(6) 자체가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축 통과공(31)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축 결합공(11)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과 베이스 플레이트(1) 사이에 위치된 상기 스크류형 축(6)의 외면에 이탈 방지판 결합홈(62)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2)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는 중심점에 상기 이탈 방지판 결합홈(62)의 외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반원형의 축 결합공(71)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반원판형 축 이탈 방지판(7)을 더 설치하여 주었다.
그러므로 상기 스크류형 축(6)이 상기 한 쌍의 반원판형 축 이탈 방지판(7)에 걸려진 상태에서 아이들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스크류형 축(6) 자체가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축 통과공(31)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축 결합공(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장치에 쇼트 피닝 작업을 하고자 하는 코일 스프링(8)을 장착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기 스크류형 축(6)을 회전시켜 상기 스크류형 축(6)과 나사 결합된 상태를 갖는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을 스크류형 축(6) 및 가이드 봉(4)들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어서 쇼트 피닝 작업에 투입할 코일 스프링(8)의 가이드 봉(4)들 사이로 삽입시켜 저단부가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코일 스프링(8)을 어느 일방형으로 회전시켜 하단부가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에 설치되어 있는 걸고리형 볼트(33)들의 고리(331)와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의 상면 사이 틈새를 통해 순차적으로 끼워져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33)에 의해 코일 스프링(8)의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스크류형 축(6)과 복수의 가이드 봉(4) 상부에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을 위치시켜 상호 대략 결합시킨 다음, 상기 스크류형 축(6)의 상단부에 공구 또는 핸들(9)을 결합하여 일정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 회전시키는 방식을 통해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을 어느 정도 하강(즉,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의 저면이 코일 스프링(8)의 상단부에 근접되게 하강)시킨다.
이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8)의 상단부를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에 설치되어 있는 걸고리형 볼트(53)의 고리(531)에 각각 걸어 고정시킨 다음(도 2 및 도 3의 실선 참조), 다시 공구 또는 핸들(9)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류형 축(6)을 상기의 반대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을 도 2 및 도 3의 가상선과 같이 승강시키면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5)과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3) 사이에 각각 상,하단부가 고정된 형태를 갖는 상기 코일 스프링(8)이 상기 스크류형 축(6)을 회전수에 대응하는 만큼 인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하여 쇼트 피링 작업에 투입하고자 하는 코일 스프링(8)의 인장 강도 및 높이를 원하는 강도 및 높이로 정확하고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쇼트 피닝을 통한 코일 스프링의 피로 강도 및 내부 응력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쇼트 피닝한 코일 스프링 자체의 신뢰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쇼트 피닝을 통해 코일 스프링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베이스 플레이트 11 : 축 결합공
2 : 지지관 21 : 공구 삽입홈
3 :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
31 : 축 통과공 32 :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
33 : 걸고리형 볼트 331 : 고리
34 : 너트
4 : 가이드 봉
5 :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
51 : 나선식 축 결합공 52 :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
53 : 걸고리형 볼트 531 : 고리
54 : 너트 55 : 가이드 봉 통과공
6 : 스크류형 축
61 : 공구 또는 핸들 결합돌기 62 : 이탈 방지판 결합홈
7 : 반원판형 축 이탈 방지판 71 : 반원형의 축 결합공
8 : 코일 스프링
9 : 공구 또는 핸들
10 : 볼트

Claims (5)

  1. 중심점에 스크류형 축의 저단부가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는 축 결합공이 천공된 형태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과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저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소정높이의 지지관과;
    중앙의 축 통과공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이 방사형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상기 지지관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스크류형 축과 복수의 가이드 봉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 및 고정시켜 줌은 물론 "∩"형 고리가 상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에 끼워진 후 너트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들을 통해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과;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 외측에서 방사 형태를 갖고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해 주는 복수의 가이드 봉과;
    중앙의 나선식 축 결합공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과 가이드 봉 통과공들이 정해진 거리를 두고 방사형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스크류형 축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에 대응하여 가이드 봉들과 상기 스크류형 축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며 "∪"형 고리가 저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고리형 볼트 통과공에 끼워진 후 너트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 복수의 걸고리형 볼트들을 통해 상단부가 고정된 형태를 갖는 코일 스프링의 인장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과;
    봉 형상을 갖는 하단 일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축 통과공을 통해 끼워져 저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축 결합공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고 상부 나선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에 형성된 나선식 축 결합공에 나사 결합된 형태를 갖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을 직접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며 코일 스프링에 인장력을 조절해 주는 스크류형 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형 축의 상단부에는 공구 또는 핸들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사각봉 형상의 공구 또는 핸들 결합돌기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된 상기 스크류형 축의 외면에는 이탈 방지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는 중심점에 상기 이탈 방지판 결합홈의 외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반원형의 축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반원판형 축 이탈 방지판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지지관 및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 사이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과 복수의 가이드 봉 및, 상기 지지관과 축 이탈 방지판 사이는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을 스크류형 축 및 가이드 봉들로부터 분리한 다음, 상기 코일 스프링의 저단부가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의 상면에 위치할 때까지 가이드 봉들 사이로 삽입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을 회전시켜 하단부가 코일 스프링 하단 고정판에 설치되어 있는 걸고리형 볼트의 고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후,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부를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에 설치되어 있는 걸고리형 볼트의 고리에 각각 걸어 고정시킨 다음 공구 또는 핸들을 이용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 상단 고정판을 승강하도록 스크류형 축을 회전시켜 코일 스프링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
KR1020140158729A 2014-11-14 2014-11-14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 KR101586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729A KR101586230B1 (ko) 2014-11-14 2014-11-14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729A KR101586230B1 (ko) 2014-11-14 2014-11-14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230B1 true KR101586230B1 (ko) 2016-01-19

Family

ID=5530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729A KR101586230B1 (ko) 2014-11-14 2014-11-14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2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866B1 (ko) 2016-06-09 2016-12-09 (주)대코 코일 스프링의 연속 쇼트 피닝 장치 및 방법
WO2021192911A1 (ja) * 2020-03-24 2021-09-30 日立Astemo株式会社 コイルばね用治具、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及び、コイルばねの試験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1375A (ja) * 1994-03-15 1995-10-03 Fried Krupp Ag Hoesch Krupp 圧縮コイルばねのためのボールショットピーニング装置
JP2003117830A (ja) * 2001-10-17 2003-04-23 Nhk Spring Co Ltd ショットピーニング装置
KR20090114777A (ko) * 2008-04-30 2009-11-04 대원강업주식회사 코일 스프링의 스트레스 쇼트피닝 장치
JP2012016803A (ja) * 2010-07-09 2012-01-26 Chuo Spring Co Ltd ショットピーニング方法、ショットピーニング装置およびコイルばね
KR20130051604A (ko) 2011-11-10 2013-05-21 대원강업주식회사 코일스프링의 표면처리방법
KR101433059B1 (ko) 2012-09-28 2014-08-25 주식회사화신 쇼트피닝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1375A (ja) * 1994-03-15 1995-10-03 Fried Krupp Ag Hoesch Krupp 圧縮コイルばねのためのボールショットピーニング装置
JP2003117830A (ja) * 2001-10-17 2003-04-23 Nhk Spring Co Ltd ショットピーニング装置
KR20090114777A (ko) * 2008-04-30 2009-11-04 대원강업주식회사 코일 스프링의 스트레스 쇼트피닝 장치
KR100931155B1 (ko) 2008-04-30 2009-12-11 대원강업주식회사 코일 스프링의 스트레스 쇼트피닝 장치
JP2012016803A (ja) * 2010-07-09 2012-01-26 Chuo Spring Co Ltd ショットピーニング方法、ショットピーニング装置およびコイルばね
KR20130051604A (ko) 2011-11-10 2013-05-21 대원강업주식회사 코일스프링의 표면처리방법
KR101433059B1 (ko) 2012-09-28 2014-08-25 주식회사화신 쇼트피닝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866B1 (ko) 2016-06-09 2016-12-09 (주)대코 코일 스프링의 연속 쇼트 피닝 장치 및 방법
US10335921B1 (en) 2016-06-09 2019-07-02 Daewon Applied Eng. Co. Continuous shot pee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il spring
WO2021192911A1 (ja) * 2020-03-24 2021-09-30 日立Astemo株式会社 コイルばね用治具、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及び、コイルばねの試験方法
JP2021152376A (ja) * 2020-03-24 2021-09-30 日立Astemo株式会社 コイルばね用治具、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及び、コイルばねの試験方法
TWI770887B (zh) * 2020-03-24 2022-07-11 日商日立安斯泰莫股份有限公司 線圈彈簧用治具、線圈彈簧之製造方法、以及線圈彈簧之試驗方法
CN115135899A (zh) * 2020-03-24 2022-09-30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螺旋弹簧夹具、螺旋弹簧的制造方法和螺旋弹簧的测试方法
JP7379233B2 (ja) 2020-03-24 2023-11-14 日立Astemo株式会社 コイルばね用治具、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及び、コイルばねの試験方法
CN115135899B (zh) * 2020-03-24 2024-01-23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螺旋弹簧夹具、螺旋弹簧的制造方法和螺旋弹簧的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420565U (zh) 一种钢筋弯曲试验机
KR101586230B1 (ko) 코일 스프링의 쇼트 피닝시 인장력 부여장치
KR20190007640A (ko) 볼트와 너트 체결 시험장치
CN104440056B (zh) 减震器拧接装置的顶压机构
CN108254270B (zh) 一种冲击试验装置
CN102507352A (zh) 一种扭簧疲劳试验机
RU169580U1 (ru) Подъемник труб при сварочных и монтажных работах
EP2735405A1 (en) An improved press for the reversible disassembling of car shock absorbers
CN108992897A (zh) 一种自行车训练台
CN104411461B (zh) 固定式弹簧拉紧器
US9272372B2 (en) Welding spinners, and related methods and devices
CN111085964B (zh) 一种带自冲击机构的轴承紧定套松动装置
KR20140003381U (ko) 관 취부용 장치
JP2013180868A (ja) 省スペースエレベータ
CN207465218U (zh) 一种多角度可调式智能化机械手固定机构
CN105212236B (zh) 一种用于青枣顺位的装置
KR101997352B1 (ko) 동작 소음이 감소되는 동바리
CN205709138U (zh) 一种电磁线轴立式转动支架
CN202393661U (zh) 一种扭簧疲劳试验机
CN209430862U (zh) 一种无缝钢管定位管支撑装置
CN219870673U (zh) 一种钢筋试样夹持装置
CN213106612U (zh) 拆卸装置
CN110296896A (zh) 一种用于元器件线状引出端抗拉抗弯测试的装置
CN215179494U (zh) 一种立式金属波纹管弯曲抗渗漏性能试验装置
CN110293489A (zh) 一种电子产品的固定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