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017B1 -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017B1
KR101586017B1 KR1020140154340A KR20140154340A KR101586017B1 KR 101586017 B1 KR101586017 B1 KR 101586017B1 KR 1020140154340 A KR1020140154340 A KR 1020140154340A KR 20140154340 A KR20140154340 A KR 20140154340A KR 101586017 B1 KR101586017 B1 KR 101586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rew
hole
dispens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환
Original Assignee
이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환 filed Critical 이구환
Priority to KR102014015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01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의 분사 동작 시 공급되는 디스펜서액이 일정한 압력으로 또 균일한 입자 혼합 상태를 유지하며 공급되도록 하여, 디스펜싱 품질을 향상시킨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구동장치에 연동하여 진동 동작되는 태핏이 하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저면에 장착되고 유입된 디스펜서액을 태핏의 동작에 의해 외부로 분사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실린지로부터 유입되는 디스펜서액을 스크루의 회전동작과 함께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결합부의 내부로 이송시켜주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 및 결합부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어 회전 구동하는 스크루부와; 상기 이송부를 상기 결합부에 고정시키며 상기 스크루부를 모터구동부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루부를 일정속도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 내부로 일정한 압력으로 디스펜서액을 주입하는 실린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DISPENSER-LIQUID SUPPLY DEVICE OF HIGH-PRECISION DISPENSER}
본 발명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펜서의 분사 동작 시 공급되는 디스펜서액이 일정한 압력으로 또 균일한 입자 혼합 상태를 유지하며 공급되도록 하여, 디스펜싱 품질을 향상시킨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고정밀 디스펜서는 공급되는 디스펜서액을 노즐을 통해 일정량 분사시켜 목표물의 해당 위치에 정확하게 또 설정된 양 만큼 도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 반도체 제조공정 등 정밀한 접합이나 가공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디스펜서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는, 구동부(10)와, 상기 구동부(10)의 저면에 장착되는 결합부(20)와, 상기 결합부(20)의 하방에 설치되는 노즐부(30)와, 상기 결합부(20)의 측면에 장착되는 실린지(4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0)는 하단 일측으로 진동(전후진 동작) 운동하는 태핏(11)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태핏(11)이 센터링피스(12)와 실링부재(13)를 통해 상기 결합부(20)의 유입공(21)에 삽입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결합부(20)는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10)의 태핏(11)이 삽입되는 유입공(21)과, 일측에 형성되어 실린지(40)의 제1연결구(41)가 장착되는 장착공(22)과, 저면에 형성되어 노즐부(30)가 장착 결합되는 체결부(23)와, 상기 장착공(22)으로부터 유입되는 디스펜서액을 상기 유입공(21)으로 안내하는 이송공(24)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20)는 실린지(40)를 통해 공급되는 디스펜서액이 이송공(24)을 통해 유입공(21)으로 유입되는 내부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노즐부(30)는 상기 결합부(20)의 체결부(23) 내측으로 오링(34)을 통해 삽입되는 가이던스(31)와, 상기 가이던스(31)의 저면에 삽입 장착되는 노즐(32)과, 상기 가이던스(31) 및 노즐(32)을 커버하며 상기 결합부(20)의 체결부(21)에 체결 고정되는 덮개부(33)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은(32)은 깔때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중앙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 디스펜서액을 토출 분사하게 된다.
상기 실린지(40)는 제1연결구(41)를 통하여 상기 결합부(20)의 장착공(22)에 체결되며, 타단에는 밀봉덮개(42)를 통하여 제1호스(43)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호스(43)의 타단에는 미 도시된 압력제어장치가 더 연결되어 설정된 압력으로 실린지(40)에 충전된 디스펜서액이 상기 결합부(20)의 유입공(21)으로 주입되도록 하여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펜서의 노즐 분사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실린지(40)를 제1연결구(41)를 통해 결합부(20)의 장착공(22)에 장착하고, 압력제어장치를 통해 소정의 압력을 제1호스(43)를 통해 실린지(40)에 가해주면, 상기 실린지(40)에 충전된 디스펜서액은 결합부(20)의 이송공(24)을 지나 유입공(21)으로 유입되고, 태핏(11)이 관통되고 있는 가이던스(31)의 내부공간을 통해 노즐(32)의 내부에 고이게 된다.
여기서 압력제어장치를 통한 실린지(40)의 압력제어는 충전된 디스펜서액의 종류에 따라 노즐 분사 시 그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노즐 분사구동을 위하여 상기 구동부(10)의 전원라인(15)으로부터 소정의 전원(주파수를 가지는 펄스파형)이 공급되면, 상기 구동부(10) 내부의 구동장치(14)가 동작하여 이에 연결된 태핏(11)이 전후 왕복 운동, 즉 미세한 진동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에 의해, 상기 태핏(11)이 하방으로 순간 이동하면, 상기 태핏(11)의 선단부는 노즐(32) 내부에 고여 있던 디스펜서액을 분사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태핏(11)이 상방으로 후퇴하면 분사는 중지되며, 이와 같은 진동 동작을 반복하여 디스펜서액을 일정한 간격으로 분사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사동작에 있어서, 디스펜서액을 살펴보면 디스펜서액은 디스펜싱의 목적에 따라 종류가 다르게 되는 데, 대개 특정성분의 입자(알갱이)들을 포함하는 혼합액의 형태를 이루고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펜서액이 충전된 실린지(40)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유입공(21) 내부로 공급하여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디스펜서액의 분사 후 디스펜싱 품질을 좌우하게 된다.
그런데 디스펜서의 종류에 따라서 결합부(20)의 이송공(24), 관로의 길이가 다양한 형태로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설계되는 데, 이송공(24) 관로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관계없지만, 관로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설계상 이송공(24)의 길이가 길어지면, 압력제어장치를 통해 실린지(40)에 충전된 디스펜서액을 아무리 일정한 압력으로 제어하여 유입공(21) 내부로 이송시키더라도, 디스펜서액을 이루는 성분 중 액이 먼저 이송되고 입자(알갱이)는 비중에 의해 상대적으로 천천히 이송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유입공(21)에 유입되는 디스펜서액의 내부 성분 비율에 불균형을 초래하며, 이와 같이 유입된 디스펜서액을 분사 도포 시 디스펜싱 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펜서의 분사 동작 시 공급되는 디스펜서액이 일정한 압력으로 또 균일한 입자 혼합 상태를 유지하며 공급되도록 하여, 디스펜싱 품질을 크게 향상시킨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의 구동장치에 연동하여 진동 동작되는 태핏이 하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저면에 장착되고 유입된 디스펜서액을 태핏의 동작에 의해 외부로 분사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실린지로부터 유입되는 디스펜서액을 스크루의 회전동작과 함께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결합부의 내부로 이송시켜주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 및 결합부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어 회전 구동하는 스크루부와; 상기 이송부를 상기 결합부에 고정시키며 상기 스크루부를 모터구동부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루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루부를 일정속도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 내부로 일정한 압력으로 디스펜서액을 주입하는 실린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결합부는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의 태핏이 삽입되는 유입공과,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부의 선단부가 삽입 장착되는 제1장착공과, 저면에 형성되어 노즐부가 장착 결합되는 노즐체결부와, 상기 제1장착공)의 내측에서 유입공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이송부는 실린지부의 제1연결구가 체결되는 제2장착공과, 상기 제2장착공의 내측으로 디스펜서액이 유입되도록 제3관통공과 연결되는 제2관통공과, 스크루부의 스크루가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공과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의 제1관통공에 연결되는 제3관통공과, 상기 결합부의 제1장착공에 삽입되는 선단부와, 고정부의 관통부에 삽입되며 내측으로 스크루부의 제1고정부가 체결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스크루부는 상기 이송부의 제3관통공에 삽입되는 스크루와, 상기 이송부의 제2체결부에 체결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스크루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축공을 통해 모터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결합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송부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양측으로 상기 이송부를 결합부에 고정시켜 주는 지지부와, 상기 안착부의 내측으로 상기 이송부의 제2체결부가 삽입되는 관통공과, 모터구동부의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모터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일정속도로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모터구동부를 고정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스크루부의 결합축부의 축공에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펜서의 분사 동작 시 공급되는 디스펜서액이 일정한 압력으로 또 균일한 입자 혼합 상태를 유지하며 공급되도록 하여, 디스펜싱 품질을 크게 향상시킨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디스펜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결합구성도의 주요부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정밀 디스펜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4의 결합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정밀 디스펜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4의 결합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는,
내부의 구동장치에 연동하여 진동 동작되는 태핏(111)이 하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110)와, 상기 구동부(110)의 저면에 장착되고 유입된 디스펜서액을 태핏(111)의 동작에 의해 외부로 분사하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실린지(170)로부터 유입되는 디스펜서액을 스크루의 회전동작과 함께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결합부(120)의 내부로 이송시켜주는 이송부(130)와, 상기 이송부 및 결합부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어 회전 구동하는 스크루부(140)와, 상기 이송부(130)를 상기 결합부(120)에 고정시키며 상기 스크루부(140)를 모터구동부(160)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부(150)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루부(140)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루부(140)를 일정속도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구동부(160)와, 상기 이송부(130)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130) 내부로 일정한 압력으로 디스펜서액을 주입하는 실린지(17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부(120)는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110)의 태핏(111)이 삽입되는 유입공(121)과,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부(130)의 선단부(134)가 삽입 장착되는 제1장착공(122)과, 저면에 형성되어 노즐부가 장착 결합되는 노즐체결부(123)와, 상기 제1장착공(122)의 내측에서 유입공(121)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공(12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120)는 고정부(150)의 지지부(152)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제1체결부(125)와, 이송부(130)의 고정돌기(131)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공(12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130)는 실린지부(170)의 제1연결구(171)가 체결되는 제2장착공(131)과, 상기 제2장착공(131)의 내측으로 디스펜서액이 유입되도록 제3관통공(133)과 연결되는 제2관통공(132)과, 스크루부(140)의 스크루(141)가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공(132)과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120)의 제1관통공(124)에 연결되는 제3관통공(133)과, 상기 결합부(120)의 제1장착공(122)에 삽입되는 선단부(134)와, 고정부(150)의 관통부(153)에 삽입되며 내측으로 스크루부(140)의 제1고정부(142)가 체결되는 제2체결부(13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130)는 결합부(120)의 고정공(126)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37)와, 상기 고정부(150)의 지지부(152)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38)(139)가 더 형성된다.
상기 스크루부(140)는 상기 이송부(130)의 제3관통공(133)에 삽입되는 스크루(141)와, 상기 이송부(130)의 제2체결부(136)에 체결 고정되는 제1고정부(142)와, 상기 스크루(141)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축공(144)을 통해 모터구동부(160)의 회전축(164)에 연결되는 결합축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이송부(130)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151)와, 상기 안착부(151)의 양측으로 상기 이송부(130)를 결합부(120)에 고정시켜 주는 지지부(152)와, 상기 안착부(151)의 내측으로 상기 이송부(130)의 제2체결부(136)가 삽입되는 관통공(153)과, 모터구동부(160)의 고정부재(163)가 고정되는 결합공(15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154)의 둘레에는 상기 고정부재(164)를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55)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모터구동부(160)는 모터(161)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일정속도로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162)와, 상기 감속기(162)의 일측에 형성되어 모터구동부(160)를 고정부(15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63)와, 상기 스크루부(140)의 결합축부(143)의 축공(144)에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164)을 포함한다.
또한 모터구동부(160)는 상기 고정부재(163)의 둘레에 상기 고정부(150)의 체결공(155)에 대응되는 나사공(165)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실린지(170)는 상기 이송부(130)의 제2장착공(131)에 체결되는 제1연결구(171)와, 타단에 장착되며 압력호스(173)가 연결되는 밀봉덮개(17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린지(170)는 내부에 디스펜서액이 충전되며, 상기 압력호스(173)에 연결된 압력제어장치를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디스펜서액을 이송부(130)로 공급하여 준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소정 디스펜서액이 충전된 실린지(170)를 제1연결구(171)를 통해 이송부(130)의 제2장착공(131)에 체결한다.
그런 다음, 모터구동부(160)의 모터(161)를 구동시켜준다.
상기 모터(161)의 구동으로 회전축(164)는 감속기(162)를 통해 일정한 속도로 감속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164)에 연결된 스크루부(140)의 결합축부(143) 및 스크루(141)는 이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크루(141)는 이송부(130)의 제3관통공(133)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실린지(170)의 압력호스(173)를 통해 일정한 압력이 실린지 내부로 가해지면 실린지(170)의 내부에 충전된 디스펜서액은 이송부(130)의 제2관통공(132)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2관통공(132)으로 유입된 디스펜서액은 제3관통공(133)으로 유입된다.
상기 이송부(130)의 제3관통공(133)으로 유입된 디스펜서액은 스크루(141)의 회전동작과 함께 일정한 압력으로 이송되며 결합부(120)의 제1관통공(124)을 통해 유입공(121) 내부로 유입되어 진다.
이때 상기 결합부(120)의 유입부(121)로 유입된 디스펜서액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태핏(111)이 관통되고 있는 노즐부의 노즐 내부에 유입되고 이어서 태핏의 동작으로 분사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분사동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실린지(170)를 통해 유입되는 디스펜서액이 결합부(120)의 유입공(121)으로 이송되기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스크루(141)의 회전동작과 함께 디스펜서액이 이송됨으로써, 디스펜서액을 이루고 있는 입자(알갱이)와 액이 스크루(141)의 날개 간격에 의해 균일하게 또 동시에 이송됨으로써, 디스펜서액의 내부 성분 비율에 불균형을 방지하여 디스펜싱 품질이 저하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110: 구동장치 120: 결합부
121: 유입공 122: 제1장착공
123: 노즐체결부 124: 제1관통공
130: 이송부 131: 제2장착공
132: 제2관통공 133: 제3관통공
134: 고정공 135: 밀폐링
136: 제2체결부 140: 스크루부
141: 스크루 142: 제1고정부
143: 결합축부 144: 축공
150: 고정부 151: 안착부
152: 지지부 153: 관통공
154: 결합공 155: 체결공
160: 모터구동부 161: 모터
162: 감속기 163: 고정부재
164: 회전축 170: 실린지

Claims (6)

  1. 내부의 구동장치에 연동하여 진동 동작되는 태핏(111)이 하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110);
    상기 구동부(110)의 저면에 장착되고 유입된 디스펜서액을 태핏(111)의 동작에 의해 외부로 분사하는 결합부(120);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실린지(170)로부터 유입되는 디스펜서액을 스크루의 회전동작과 함께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결합부(120)의 내부로 이송시켜주는 이송부(130);
    상기 이송부 및 결합부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어 회전 구동하는 스크루부(140);
    상기 이송부(130)를 상기 결합부(120)에 고정시키며 상기 스크루부(140)를 모터구동부(160)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부(150);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루부(140)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루부(140)를 일정속도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구동부(160); 및
    상기 이송부(130)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130) 내부로 일정한 압력으로 디스펜서액을 주입하는 실린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0)는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110)의 태핏(111)이 삽입되는 유입공(121)과,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부(130)의 선단부(134)가 삽입 장착되는 제1장착공(122)과, 저면에 형성되어 노즐부가 장착 결합되는 노즐체결부(123)와, 상기 제1장착공(122)의 내측에서 유입공(121)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공(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30)는 실린지부(170)의 제1연결구(171)가 체결되는 제2장착공(131)과, 상기 제2장착공(131)의 내측으로 디스펜서액이 유입되도록 제3관통공(133)과 연결되는 제2관통공(132)과, 스크루부(140)의 스크루(141)가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공(132)과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120)의 제1관통공(124)에 연결되는 제3관통공(133)과, 상기 결합부(120)의 제1장착공(122)에 삽입되는 선단부(134)와, 고정부(150)의 관통부(153)에 삽입되며 내측으로 스크루부(140)의 제1고정부(142)가 체결되는 제2체결부(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부(140)는 상기 이송부(130)의 제3관통공(133)에 삽입되는 스크루(141)와, 상기 이송부(130)의 제2체결부(136)에 체결 고정되는 제1고정부(142)와, 상기 스크루(141)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축공(144)을 통해 모터구동부(160)의 회전축(164)에 연결되는 결합축부(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이송부(130)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151)와, 상기 안착부(151)의 양측으로 상기 이송부(130)를 결합부(120)에 고정시켜 주는 지지부(152)와, 상기 안착부(151)의 내측으로 상기 이송부(130)의 제2체결부(136)가 삽입되는 관통공(153)과, 모터구동부(160)의 고정부재(163)가 고정되는 결합공(1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부(160)는 모터(161)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일정속도로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162)와, 상기 감속기(162)의 일측에 형성되어 모터구동부(160)를 고정부(15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63)와, 상기 스크루부(140)의 결합축부(143)의 축공(144)에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KR1020140154340A 2014-11-07 2014-11-07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KR101586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340A KR101586017B1 (ko) 2014-11-07 2014-11-07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340A KR101586017B1 (ko) 2014-11-07 2014-11-07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017B1 true KR101586017B1 (ko) 2016-01-15

Family

ID=5517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340A KR101586017B1 (ko) 2014-11-07 2014-11-07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302A (ko) * 2017-05-08 2019-07-16 창저우 밍실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유체 미량 분사 장치 및 그 유로 어셈블리
KR20190084301A (ko) * 2017-05-08 2019-07-16 창저우 밍실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유체 미량 분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259A (ko) * 2000-04-21 2001-11-08 서경석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정량 토출 장치
KR20110024540A (ko)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씨이텍 실리콘 액체의 토출 정밀도가 향상된 디스펜서 장치
KR101165555B1 (ko) * 2012-01-17 2012-07-16 이구환 실링기능을 보강한 디스펜서
KR20140027244A (ko) * 2011-06-16 2014-03-0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사출 성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259A (ko) * 2000-04-21 2001-11-08 서경석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정량 토출 장치
KR20110024540A (ko) * 2009-09-02 2011-03-09 주식회사 씨이텍 실리콘 액체의 토출 정밀도가 향상된 디스펜서 장치
KR20140027244A (ko) * 2011-06-16 2014-03-0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사출 성형 방법
KR101165555B1 (ko) * 2012-01-17 2012-07-16 이구환 실링기능을 보강한 디스펜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302A (ko) * 2017-05-08 2019-07-16 창저우 밍실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유체 미량 분사 장치 및 그 유로 어셈블리
KR20190084301A (ko) * 2017-05-08 2019-07-16 창저우 밍실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유체 미량 분사 장치
KR102269324B1 (ko) * 2017-05-08 2021-06-25 창저우 밍실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유체 미량 분사 장치 및 그 유로 어셈블리
KR102282239B1 (ko) * 2017-05-08 2021-07-27 창저우 밍실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유체 미량 분사 장치
US11148162B2 (en) 2017-05-08 2021-10-19 Changzhou Mingseal Robot Technology Co., Ltd. Fluid micro-injection device and flow channel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5706B1 (ko) 다액 혼합 도료의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다액 혼합 도료의 공급 방법
CN101511491B (zh) 一种用于将粘性材料分配在基板上的方法及设备
KR101020779B1 (ko) 에어나이프 장치
US20170151541A1 (en) Sprayer system
JP2018507005A5 (ko)
JP6452147B2 (ja) 液体材料吐出装置
KR101586017B1 (ko)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KR101588017B1 (ko) 고압력 분사용 디스펜서노즐
EP03532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internal cavities
JP2014151223A (ja) 水柱形成方法および水柱形成装置
CN206104257U (zh) 一种自动注胶装置
JP7064657B2 (ja) 塗装液混合装置及び塗装液の混合方法
KR102293040B1 (ko) 액상물질 토출장치
KR20100033559A (ko) 유압을 이용한 페인트 분사시스템
KR100839655B1 (ko) 촉매슬러리 분사장치
KR101666448B1 (ko) 방수도막용 조성물 분사기
JP2014004573A (ja) 液噴霧装置
KR101874478B1 (ko)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CN106591932B (zh) 用于深孔电镀的电镀制具及电镀方法
KR20090086378A (ko) 숏크리트 타설장비의 건식급결제 혼합장치.
KR20200124169A (ko) 액상 물질 토출 장치
KR101754792B1 (ko) 노즐 및 도금전극판 일체구조를 갖는 도금장치
CN217857022U (zh) 胶体输出装置
KR100671088B1 (ko) 실러 도포용 스월건 장치
KR101588094B1 (ko) 대용량 분사용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