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478B1 -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478B1
KR101874478B1 KR1020170150449A KR20170150449A KR101874478B1 KR 101874478 B1 KR101874478 B1 KR 101874478B1 KR 1020170150449 A KR1020170150449 A KR 1020170150449A KR 20170150449 A KR20170150449 A KR 20170150449A KR 101874478 B1 KR101874478 B1 KR 101874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proofing agent
supplying
waterproof agen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형
최동훈
Original Assignee
유재형
최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형, 최동훈 filed Critical 유재형
Priority to KR102017015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20Arrangements for agitat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e.g. for stirring, mixing or homogenising
    • B05B15/25Arrangements for agitat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e.g. for stirring, mixing or homogenising using moving elements, e.g. rota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제를 도포하여 방수막을 형성하는 스프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수제를 공급하는 방수제공급수단,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수단, 상기 방수제를 구조물을 향하여 분사시키면서 상기 방수제의 분사시 압축공기를 토출시키고 상기 세정액을 통하여 방수제 분사 유로를 세정하는 분사기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기는, 관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공기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공기조절밸브가 장착되며, 선단에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공기 분사구가 형성되는 압축공기 공급부; 관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의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에는 상기 방수제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방수제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방수제 조절밸브와 세정액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세정액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세정액 조절밸브가 장착되며, 선단에는 방수제를 구조물을 향해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방수제 분사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방수제를 혼합 및 이송시키기 위한 교반기가 장착되는 방수제 공급부; 및 상기 방수제 공급부에 기포공급장치에서 발생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Two-component type of liquid fast-acting water repellent spraying device}
본 발명은 방수제를 도포하여 방수막을 형성하는 스프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사기의 구조적 변경을 통하여 교반성을 향상시키고 분사 작업시 폴리우레아 방수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분에 의한 부식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코팅 처리를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코팅 처리는 일반적으로 고분자 수지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이루어지며, 등록특허 10-690208호 등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방수제 등을 분사하는 '방수제 스프레이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방수제 스프레이 장치(등록특허 10-690208호)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의 방수제 스프레이 장치는, 방아쇠(12a) 및 손잡이(12)를 가지는 본체(10)에 외부로부터 이종의 액상 방수제 및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이때, 방수제 및 압축공기는 본체(10)에 장착된 방수제 공급관(14) 및 에어공급관(16)을 통해 본체(10)로 공급되며, 방수제유로(1) 및 공기유로(2)를 통해 본체(10)의 단부로 안내된 후, 본체(10)의 단부에 설치된 관형태의 혼합기(20)를 지나서 분사노즐(30)을 통해 분사된다.
여기서, 상기 이종의 방수제는, 폴리우레아 수지 및 경화액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수제는, 방수제 유로(1)를 통해 혼합기(20)로 각각 이송된 후 상온의 저압 상태에서 일체로 혼합된다.
한편, 혼합기(20)는 확대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제유로(1)로부터 이종의 방수제를 제각기 공급받는 스크류(23)가 내장된 내관(21) 및 내관(21)의 외주면에 이격상태로 설치되어 내관(21)과 이중으로 중첩된 형태를 이루는 외관(25)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혼합기(20)로 이송된 이종의 방수제는 스크류(23)를 따라 이동 및 혼합되면서 분사노즐(30)로 공급된다.
또한, 혼합기(20)는 내관(21) 및 외관(25)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 (SP)을 통해 본체(10)의 공기유로(2)에서 안내되는 압축공기를 분사노즐(30)로 공급하여,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혼합된 방수제가 분사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수제 스프레이 장치는, 스크류(23)가 한 방향을 향하는 형태로 트위스트되어 형성됨에 따라 이종의 방수제를 상반시키면서 교반할 수 없어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혼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종의 방수제가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혼합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구조물에 분사되어 방수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난연성 시함인 수직연소시험시 불똥이 떨어지고 10초가 넘는 시간 동안 화염이 지속되는 등 난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제 교반된 방수제의 경우 중심부의 입자는 크고 외륜부의 입자는 작은 상태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압축공기를 통해 구조물에 분사되는 경우 구조물에 균일하게 분사되지 못하고 주위로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539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29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분사기의 구조적 변경을 통하여 교반성을 향상시키고, 분사 작업시 압축공기를 통해 폴리우레아 방수제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방수제에 기포를 공급하여 짧은 시간에 방수제를 경화시킬 수 있는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는 방수제를 공급하는 방수제공급수단,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수단, 상기 방수제를 구조물을 향하여 분사시키면서 상기 방수제의 분사시 압축공기를 토출시키고 상기 세정액을 통하여 방수제 분사 유로를 세정하는 분사기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기는, 관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공기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공기조절밸브가 장착되며, 선단에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공기 분사구가 형성되는 압축공기 공급부; 관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의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에는 상기 방수제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방수제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방수제 조절밸브와 세정액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세정액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세정액 조절밸브가 장착되며, 선단에는 방수제를 구조물을 향해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방수제 분사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방수제를 혼합 및 이송시키기 위한 교반기가 장착되는 방수제 공급부; 및 상기 방수제 공급부에 기포공급장치에서 발생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부;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공기 분사구는 상·하부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분사구에는 개별적으로 공기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기방향 조절구가 장착되되, 상기 공기방향 조절구는 중앙에 내부에서 외부를 향할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수평가이드가 돌출형성되며, 외면에는 고무 패킹이 끼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제 공급부는 선단 부분 또는 전면에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포 공급부는 관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방수제 공급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선단이 차단되며, 후단에는 기포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기포를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기포 조절밸브가 장착되고, 내면은 후단에서 선단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기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트위스트 윙; 상기 트위스트 윙과 트위스트 윙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메쉬 형태의 다수개의 혼합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는 다수개의 믹서구를 순차적으로 장착하여 구성되되, 상기 믹서구는 양측에 간격을 두고 동일한 폭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믹서 바를 30°~ 45°각도 경사지게 배치하여 교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제 공급부의 선단에는 압력센서가 장착되고, 내주면에는 외면이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압력센서를 통한 신호 전달시 공기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통해 단면적이 조절되는 원통 형상의 단면적 조절 튜브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는 분사기의 구조적 변경을 통하여 교반성을 향상시키고 분사 작업시 폴리우레아 방수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제의 교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수제에 기포를 공급하여 짧은 시간에 방수제를 경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수제 스프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구성하는 분사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구성하는 분사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레우레아 방수제 스프레이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구성하는 교반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8(a)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의 다른 실시 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8(b)은 교반기를 구성하는 믹서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를 통해 방수제의 혼합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구성하는 기포 공급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1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구성하는 분사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구성하는 분사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레우레아 방수제 스프레이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구성하는 교반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8(a)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의 다른 실시 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8(b)은 교반기를 구성하는 믹서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를 통해 방수제의 혼합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며,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를 구성하는 기포 공급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100)는 방수제를 공급하는 방수제공급수단(200),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300),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수단(400), 상기 방수제를 구조물을 향하여 분사시키면서 상기 방수제의 분사시 압축공기를 토출시키고 상기 세정액을 통하여 방수제 분사 유로를 세정하는 분사기(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100)를 구성하는 방수제공급수단(200)과 공기공급수단(300) 및 세정액공급수단(400)은 공지된 구성을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제공급수단(200)을 통해 공급되는 방수제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방수제는 폴리우레아와 경화제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원발명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100)는 분사기(400)의 구조변경을 통해 교반성을 향상시키고, 분사 작업시 폴리우레아 방수제의 비산을 방지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기(500)는 압축공기 공급부(520), 방수제 공급부(540), 기포 공급부(5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기(500)를 구성하는 압축공기 공급부(520)는 도시된 도면과 같은 원통관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분사기(50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압축공기 공급부(520)를 일체 또는 다수개수로 구성하여 균일하게 방수제를 분사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520)는 분사기(500)의 외부에 위치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520)는 관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내부에 통로(521)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공기공급수단(30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공기조절밸브(522)가 장착되며, 선단에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공기 분사구(52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520)는 공기공급수단(30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조절밸브(522)를 통해 조절하여 공급받은 후, 상기 통로(521)를 통해 선단에 위치하는 공기 분사구(523)를 통해 외부로 압축된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520)를 구성하는 공기 분사구(523)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방수제 분사구(543)를 중심으로 간격을 두고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방수제가 압축공기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게 된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520)의 공기 분사구(523)는 도시된 도 5(a)와 5(b)와 같이 수평 또는 상·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방수제 분사구(543)를 중심으로 배출되는 방수제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도포되는 구획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52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방수제가 균일 또는 선택된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도시된 도 6 (a) 및 6(b)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 분사구(523)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분사구(523)에는 개별적으로 공기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기방향 조절구(70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방향 조절구(700)는 내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중앙에 위치하면서 내부에서 외부를 향할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공기 배출공(710)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수평가이드(720)가 돌출형성되며, 외면에는 고무 패킹(730)이 끼움 장착된다.
즉, 상기 공기방향 조절구(700)는 공기 분사구(523)에 끼움 장착된 후, 상기 수평가이드(720)를 통해 공기방향 조절구(700)의 상하 및 좌우방향을 조절하여, 공기 배출공(71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방수제 공급부(540)는 압축공기 공급부(520)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제 공급부(540)는 관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520)의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에는 상기 방수제 공급수단(200)을 통해 공급되는 방수제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방수제 조절밸브(521)와 세정액공급수단(400)을 통해 공급되는 세정액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세정액 조절밸브(522)가 장착되며, 선단에는 방수제를 구조물을 향해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방수제 분사구(543)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방수제를 혼합 및 이송시키기 위한 교반기(544)가 장착된다.
즉, 상기 방수제 공급부(540)는 방수제 공급수단(200)을 통해 공급되는 방수제를 방수제 조절밸브(521)를 통해 조절하여 공급받은 후, 내부에 장착되는 교반기(544)를 통해 방수제를 선단으로 이동시킨 다음, 방수제 분사구(543)를 통해 고압으로 구조물에 방수제를 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수제 공급부(540)는 기포 공급부(560)에 따라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수제 공급부(540)는 후방으로 기포 공급부(560)를 통해서 기포가 공급될 경우에는 현재의 형상을 유지하고, 선단 부분 또는 전면에 기포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선단 부분 또는 전면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관통공(5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방수제 공급부(540)는 방수제를 균일하게 경화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면 또는 후단에 기포를 공급하고, 방수제를 단시간에 급격하게 경화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선단 부분에 기포를 집중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545)은 교반기(544)를 따라 이동하는 방수제가 기포 공급부(560)에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교반기(544)는 회전축(544a), 상기 회전축(544a)에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트위스트 윙(544b), 상기 트위스트 윙(544b)과 트위스트 윙(544b)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메쉬 형태의 다수개의 혼합망(544c)로 구성된다.
즉, 상기 교반기(544)는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회전축(544a)에 간격을 두고 트위스트 윙(544b)을 일체로 구성하여, 방수제를 고압으로 혼합하면서 방수제 분사구(523)로 이동시키고, 상기 트위스트 윙(544b)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혼합망(544c)은 폴리우레아와 경화제의 용이하게 혼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혼합망(544c)은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심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기(544)는 도시된 도 8(a)와 같이 다수개의 믹서구(544d)를 순차적으로 장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믹서구(544d)는 양측에 간격을 두고 동일한 폭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믹서 바를 30°~ 45°각도 경사지게 배치하여 교차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교반기(544)는 내부에 유입되는 방수제를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교차되게 형성되는 믹서구(544d)를 통해 도시된 도 9와 같이 혼합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믹서구(544d)를 구성하는 믹서 바의 경사각도와 폭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제 공급부(540)에는 방수제 공급부(540)에서 분사는 방수제의 압력을 측정하여 내주면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582)와 단면적 조절 튜브(58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수제 공급부(540)의 선단 부분에 압력센서(582)를 장착하고, 내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하며, 공기공급수단(30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통해 단면적이 조절되는 단면적 조절 튜브(580)를 장착하여, 상기 압력센서(582)를 통해 전달되는 측정 값에 따라 단면적 조절 튜트(580)의 팽창 또는 수축시키게 된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압력센서(582)의 측정값이 설정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단면적 조절 튜브(580)를 수축시키고, 상기 압력센서(582)의 측정값이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단면적 조절 튜브(580)를 팽창시켜, 일정하게 방수제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포 공급부(560)는 방수제 공급부(540)의 외부에 위치하고 기포공급장치(600)에서 발생된 기포를 방수제 공급부(540)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포 공급부(560)는 관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선단이 차단되고, 후단에는 기포공급장치(600)에서 공급되는 기포를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기포 조절밸브(561)가 장착되며, 내면(562)은 후단에서 선단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기포 공급부(560)는 기포공급장치(600)에서 공급되는 기포를 기포조절밸브(561)를 통해 조절하여 공급받은 후 공기통로(563)를 따라 이동하면서 방수제 공급부(540)에 형성되는 관통공(545)를 통해 방수제 공급부(54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내부에 통로(521)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공기공급수단(30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공기조절밸브(522)가 장착되며, 선단에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공기 분사구(523)가 형성되는 압축공기 공급부(5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520)의 내부에 관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520)의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에는 상기 방수제 공급수단(200)을 통해 공급되는 방수제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방수제 조절밸브(521)와 세정액공급수단(400)을 통해 공급되는 세정액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세정액 조절밸브(522)가 장착되며, 선단에는 방수제를 구조물을 향해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방수제 분사구(543)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방수제를 혼합 및 이송시키기 위한 교반기(544)가 장착되는 방수제 공급부(54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방수제 공급부(540)의 후단으로 기포공급장치(600)에서 발생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부(560)를 장착하면, 분사기(5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기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후, 방수제를 공급하는 방수제공급수단(200),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300),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수단(400), 상기 방수제를 구조물을 향하여 분사시키면서 상기 방수제의 분사시 압축공기를 토출시키고 상기 세정액을 통하여 방수제 분사 유로를 세정하는 상기 분사기(500)를 포함하는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상기 분사기(500)에 방수제공급수단(200)을 통해 방수제와 공기공급수단(300)을 통해 압축공기 및 기포공급장치(600)를 통해 기포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방수제는 방수제 조절밸브(541), 압축공기는 공기조절밸브(521), 기포는 기포 조절밸브(561)를 통해 유입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분사기(500)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기(500)에 공급된 방수제는 교반기(544) 및 기포를 통해 혼합되면서 방수제 분사구(543)를 통해 구조물에 도포된다.
이때, 상기 방수제 분사구(543)에서 도포되는 방수제는 압축공기 공급부(520)의 공기 분사구(523)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비산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이고 방수제에 혼합된 기포를 통해 빠른 속도로 경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는 분사기의 구조적 변경을 통하여 교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사 작업시 폴리우레아 방수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200 : 방수제공급수단 300 : 공기공급수단
400 : 세정액공급수단 500 : 분사기
520 : 압축공기 공급부 521 : 통로
522 : 공기조절밸브 523 : 공기 분사구
540 : 방수제 공급부 541 : 방수제 조절밸브
542 : 세정액 조절밸브 543 : 방수제 분사구
544 : 교반기 560 : 기포 공급부
561 : 기포 조절밸브 562 : 내면
563 : 공기통로 600 : 기포공급장치

Claims (7)

  1. 방수제를 공급하는 방수제공급수단,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수단, 상기 방수제를 구조물을 향하여 분사시키면서 상기 방수제의 분사시 압축공기를 토출시키고 상기 세정액을 통하여 방수제 분사 유로를 세정하는 분사기를 포함하는 스프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는,
    관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공기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공기조절밸브가 장착되며, 선단에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공기 분사구가 형성되는 압축공기 공급부;
    관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에는 상기 방수제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방수제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방수제 조절밸브와 세정액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세정액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세정액 조절밸브가 장착되며, 선단에는 방수제를 구조물을 향해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방수제 분사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방수제를 혼합 및 이송시키기 위한 교반기가 장착되는 방수제 공급부; 및
    상기 방수제 공급부에 기포공급장치에서 발생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분사구는 상·하부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분사구에는 개별적으로 공기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기방향 조절구가 장착되되,
    상기 공기방향 조절구는 중앙에 내부에서 외부를 향할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수평가이드가 돌출형성되며, 외면에는 고무 패킹이 끼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제 공급부는 선단 부분 또는 전면에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포 공급부는 관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방수제 공급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선단이 차단되며, 후단에는 기포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기포를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기포 조절밸브가 장착되고, 내면은 후단에서 선단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트위스트 윙;
    상기 트위스트 윙과 트위스트 윙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메쉬 형태의 다수개의 혼합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다수개의 믹서구를 순차적으로 장착하여 구성되되,
    상기 믹서구는 양측에 간격을 두고 동일한 폭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믹서 바를 30°~ 45°각도 경사지게 배치하여 교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제 공급부의 선단에는 압력센서가 장착되고,
    내주면에는 외면이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압력센서를 통한 신호 전달시 공기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통해 단면적이 조절되는 원통 형상의 단면적 조절 튜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KR1020170150449A 2017-11-13 2017-11-13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KR10187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49A KR101874478B1 (ko) 2017-11-13 2017-11-13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49A KR101874478B1 (ko) 2017-11-13 2017-11-13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478B1 true KR101874478B1 (ko) 2018-07-04

Family

ID=6291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449A KR101874478B1 (ko) 2017-11-13 2017-11-13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881A (ko)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Voc 제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445A (ja) * 1999-05-19 2000-11-28 Denki Kagaku Kogyo Kk 気泡モルタル連続製造用のミキサポ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気泡モルタルの連続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7445A (ja) * 1999-05-19 2000-11-28 Denki Kagaku Kogyo Kk 気泡モルタル連続製造用のミキサポ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気泡モルタルの連続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881A (ko)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Voc 제거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313B1 (ko) 에어 충돌방식 및 스태틱 방식을 채택한 복합형 분사장치
FI95216C (fi) Menetelmä ja laite polyuretaanikerroksen aikaansaamiseksi pinnalle suihkuttamalla
KR100578274B1 (ko) 주제와 경화제 혼합장치를 갖춘 이액형 스프레이 건
CA2760056A1 (en) Fluid through needle for applying multiple component material
KR101874478B1 (ko)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KR20130028708A (ko) 스프레이 건, 분사 시공 장치 및 분사 시공 방법
JP5302561B2 (ja) 多液塗装用塗料供給装置の混合装置
US20100307408A1 (en) Coating device
EP2524786B1 (en) Self-cleaning high-pressure mixing apparatus for composite material and associated method
KR102073293B1 (ko) 휴대용 2액형 폴리우렌탄 발포 건
JP2001321701A (ja) スプレーガン
KR101132326B1 (ko) 스프레이시스템
RU236354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оркретирования огнеупо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опло для торкретирования
KR101505596B1 (ko) 스프레이시스템용 분사장치
JP5773808B2 (ja) 塗料用スプレーガン
KR100827366B1 (ko) 콘크리트 배쳐플랜트 믹서부의 에어공급 살수장치
KR101419045B1 (ko) 난연성이 향상되는 폴리우레아 방수제 스프레이 장치
WO2021132351A1 (ja) 塗装液混合装置及び塗装液の混合方法
KR101586017B1 (ko) 고정밀 디스펜서의 디스펜서액 공급장치
KR101666448B1 (ko) 방수도막용 조성물 분사기
JP4834861B2 (ja) 流体混合機構
KR20180037702A (ko) 방수조성물 분사기용 노즐
JPH11276939A (ja) 吹付ノズル
KR20170032535A (ko) 도장용 회전식 분사노즐과 이를 이용한 파이프의 내부 도장방법
JP4373398B2 (ja) 噴射分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