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514B1 -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514B1
KR101582514B1 KR1020140007320A KR20140007320A KR101582514B1 KR 101582514 B1 KR101582514 B1 KR 101582514B1 KR 1020140007320 A KR1020140007320 A KR 1020140007320A KR 20140007320 A KR20140007320 A KR 20140007320A KR 101582514 B1 KR101582514 B1 KR 101582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material
concrete
plate
heat insulat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991A (ko
Inventor
이용우
이은학
존 헤셀 죠슈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테크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테크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테크월
Priority to KR102014000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5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벽체로서 부착되는 프리캐스트(precast) 콘크리트 내, 외장 판상 단열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제 마감재의 내부에 단열성 판체인 단열판(20)이 매입(埋入)되고 마감재의 전면(前面)에는 콘크리트 피복층(10)이 형성되되, 마감재의 일 단부에는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의 판체로서 단열판(20)을 관통하여 전면의 피복층(10)에 두부가 매입되는 입상체결판(31)이 설치되고, 판상 단열 마감재의 타 단부에는 단열판(20)을 관통하여 전면의 피복층(10)에 매입되는 체결선재(32)가 설치되어, 부착대상 건축물에 마감재의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 말단부가 체결됨으로써, 마감재의 자중을 입상체결판(31)이 효과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마감재의 신축변형은 체결선재(32)가 변형되면서 수용하여 마감재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의 부착 구조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마감재와 부착 대상물간 체결점을 감축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마감재의 제조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해당 마감재 적용 공사의 공기를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온습도 변화 등으로 인한 콘크리트 마감재의 신축변형을 체결선재(32)가 흡수함으로써, 콘크리트 마감재의 미관은 물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PLATE SUSPENSION TYPE CONCRETE INSUL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건축물에 벽체로서 부착되는 프리캐스트(precast) 콘크리트 내, 외장 판상 단열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제 마감재의 내부에 단열성 판체인 단열판(20)이 매입(埋入)되고 마감재의 전면(前面)에는 콘크리트 피복층(10)이 형성되되, 마감재의 일 단부에는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의 판체로서 단열판(20)을 관통하여 전면의 피복층(10)에 두부가 매입되는 입상체결판(31)이 설치되고, 판상 단열 마감재의 타 단부에는 단열판(20)을 관통하여 전면의 피복층(10)에 매입되는 체결선재(32)가 설치되어, 부착대상 건축물에 마감재의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 말단부가 체결됨으로써, 마감재의 자중을 입상체결판(31)이 효과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마감재의 신축변형은 체결선재(32)가 변형되면서 수용하여 마감재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 외부 벽체에는 미관은 물론 건축물의 내식성(耐蝕性) 및 내후성(耐朽性)을 확보하기 위하여 마감재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축물용 마감재는 석재, 목재, 콘크리트, 유리 또는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중 콘크리트는 여타 소재에 비하여 강도가 우수할 뿐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한 몰드(mold)를 통하여 성형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식으로 제조될 경우 규격화는 물론 대량생산을 통하여 품질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 건축물용 마감재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마감재는 여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이 재사용이 가능한 거푸집 즉, 프리캐스트 몰드에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 및 탈형(脫型)하여 완성하게 되는데, 마감재의 치수, 용도, 설치위치 및 소요강도를 고려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골재, 시멘트 및 물의 혼합비를 결정하게 되며, 마감재의 특성상 표면의 평활도 및 윤택성을 확보하여야 할 경우 조골재(粗骨材) 및 세골제(細骨材)의 입도 또는 비율을 조정하거나 조골재를 생략하는 등의 조정이 가능하다.
특히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마감재는 제조 공정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가압양생 또는 보온양생 등을 통한 강도 확보가 가능하여 박형(薄形)이면서도 소요 강도를 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시공 후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前面部)에 콘크리트 층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층의 배면에 판상의 단열재를 부착하거나, 몰드내 콘크리트의 타설시 판상 단열재를 매설하는 등의 방식으로 단열재와 복합된 콘크리트제 마감재를 구성함으로써 단열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단열성 콘크리트 판상 마감재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099036호를 들 수 있다.
특허 제1099036호를 비롯한 종래의 단열성 콘크리트 판상 마감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시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에 콘크리트층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단열재가 노출되거나 전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콘크리트층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돌출된 나사 등의 체결부재가 설치되어 부착대상 건축물에 마감재가 체결된다.
즉, 체결부재의 일단은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에 결속되고 타단은 건축물과 체결되는 방식으로 마감재가 설치되는데, 경우에 따라 마감재의 배면에 강철제 격자상(格子狀) 프레임이 설치되어 마감재를 보강하고 마감재와 건축물간 일층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체결부재가 콘크리트 마감재에 매입되어 마감재 본체와 배면 프레임을 상호 결속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마감재의 세부 배면 구조를 막론하고, 콘크리트 마감재는 기본적으로 마감재에 일단이 매입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지지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 마감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의 일단부는 마감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건축물에 체결되는 바, 마감재의 자중 전체가 체결부재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재하될 수 밖에 없으므로, 체결부재와 건축물간 체결부위에 과도한 휨응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피복층(10) 중량이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 자중의 대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피복층(10)은 콘크리트 마감재의 전면에 형성되고 체결부재의 건축물 체결점은 마감재의 배면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바, 자중의 작용점과 체결부재의 지지점은 상당 수준의 거리를 가질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체결부재의 휨응력을 유발하는 모멘트가 증폭될 수 밖에 없고, 이는 콘크리트 마감재의 부착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었다.
이렇듯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에 있어서 체결부재에는 마감재의 부착 안정성을 위협하는 휨응력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종래 마감재의 체결부재로는 단순한 원단면을 가지는 나사가 적용되고 있는 바, 충분한 기하학적 강성을 확보할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 마감재에는 여타의 경량 마감재에 비하여 체결부재가 증설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체결부재의 증설은 마감재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킬 뿐 아니라, 소요 체결 지점의 수(數) 또한 증가시킬 수 밖에 없으므로, 공기를 연장하고 공사비용을 증액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마감재는 단순한 직육면체 형태로서, 마감재의 설치시 인접한 상, 하 마감재간 연결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바, 연결부위를 통한 기류 및 열유통이 발생되어, 연결부위가 단열성 확보상 취약부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내부에 단열성 판체인 단열판(20)이 매입되고 노출측 전면(前面)에는 콘크리트 피복층(10)이 형성되어 건축물에 부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에 있어서,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의 일 단부에는 단열판(20)을 관통하여 일단이 피복층(10)에 매입되고 타단은 단열판(20) 외측으로 노출되어 건축물에 체결되는 입상체결판(31)이 설치되되, 입상체결판(31)은 수직으로 기립된 장방형 횡단면을 가지는 판체로서 피복층(10)에 매입되는 두부(頭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확대매입부(35)가 형성되고;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의 타 단부에는 단열판(20)을 관통하여 일단이 피복층(10)에 매입되고 타단은 단열판(20) 외측으로 노출되어 건축물에 체결되는 체결선재(32)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이다.
또한, 상기 단열판(20) 피복층(10)측 면의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 결합부위에는 요입수용부(21)가 형성되어,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의 일단이 요입수용부(21)내에 위치하고, 요입수용부(21)의 전면에는 다수의 선재(線材)가 망상(網狀)으로 조합된 지지망체(40)가 설치되되, 지지망체(40)의 측단에는 마감재의 배면측으로 절곡된 압입절곡부(41)가 형성되고, 이 압입절곡부(41)가 요입수용부(21) 주변 단열판(20)에 압입되어 지지망체(40)가 고정되며, 요입수용부(21)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되 요입수용부(21)에 충전된 콘크리트가 지지망체(40)를 통과하여 피복층(10)의 콘크리트와 일체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이자, 상기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의 배면 상단에는 상단돌출부(11)가 형성되고 전면(前面) 상단에는 상단하강부(12)가 형성되어, 마감재의 상단부가 전면 상단보다 배면 상단이 높은 계단형으로 구성되고, 마감재의 전면 하단에는 하단돌출부(13)가 형성되고 배면 하단에는 하단상승부(14)가 형성되어, 마감재의 하단부가 전면 하단보다 배면 하단이 높은 계단형으로 구성되어, 마감재의 설치시 인접한 상측 마감재의 하단돌출부(13) 및 하단상승부(14)가 각각 하측 마감재의 상단하강부(12) 및 상단돌출부(11)에 밀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이다.
또한, 상기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열판(20)의 요입수용부(21)에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를 압입하여 단열판(20) 배면측으로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의 말단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삽입단계(S11)와, 요입수용부(2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지지망체(40)를 결합하는 충전단계(S12)와, 외곽부에 측면몰드(52)가 설치된 하부몰드(51)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S20)와, 하부몰드(51) 상측의 콘크리트 타설면에 단열판(20)을 결합하되 요입수용부(21)가 하부몰드(51)의 콘크리트 타설면에 접하도록 결합하여 피복층(10)을 형성하는 결합단계(S30)와, 피복층(10)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양생단계(S41)와, 하부몰드(51) 및 측면몰드(52)로부터 피복층(10)이 양생된 마감재를 취출하는 탈형단계(S4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의 부착 구조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감재와 부착 대상물간 체결점을 감축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마감재의 제조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해당 마감재 적용 공사의 공기를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온습도 변화 등으로 인한 콘크리트 마감재의 신축변형을 체결선재(32)가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마감재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콘크리트 마감재의 미관은 물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대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대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 설명도
도 6은 확폭 입상체결판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설명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의 외관 및 기본 구조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복합 판체로서, 전면의 콘크리트제 피복층(10)과 배면의 단열판(2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건축물에 부착시 노출되는 전면은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배면은 단열판(20)이 구성되는 판체로서, 본 발명이 외장재로 적용될 경우 피복층(10)이 건물 외벽의 노출면을 형성하게 되고, 내장재로 적용될 경우 피복층(10)이 실내 벽면을 구성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에는 건축물과 마감재간 연결을 위한 체결부재로서 일단부가 마감재에 매입된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가 설치되는데, 여기서 입상(立狀)체결판(31)은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마감재를 건축물에 체결함에 있어서 종래의 나사를 탈피하여 판체를 적용하되 판체는 수직으로 기립된 장방형 횡단면을 가지는 것이며, 따라서 종래의 나사에 비하여 콘크리트 마감재의 자중에 저항하는 단면계수 즉, 기하학적 강성이 월등하게 향상되고, 체결선재(32)는 휨변형 및 복원 특성이 양호한 소직경 봉상(棒狀) 부재로서 콘크리트 마감재의 팽창 및 수축시 변형을 수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의 일 단부에는 단열판(20)을 관통하여 일단이 피복층(10)에 매입되고 타단은 단열판(20) 외측으로 노출되어 건축물에 체결되는 입상체결판(31)이 설치되되, 입상체결판(31)은 수직으로 기립된 장방형 횡단면을 가지는 판체이고, 타 단부에는 단열판(20)을 관통하여 일단이 피복층(10)에 매입되고 타단은 단열판(20) 외측으로 노출되어 건축물에 체결되는 체결선재(32)가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마감재에 있어서,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는 콘크리트 마감재 일 단부에 입상체결판(31)이 설치되면 타 단부에는 입상체결판(31)이 아닌 체결선재(32)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입상체결판(31)과 체결선재(32)가 혼재되지 않고, 서로 격리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마감재의 하단부에는 입상체결판(31)이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체결선재(32)가 설치되었으나, 반대로 상단부에 입상체결판(31)이 설치되고 하단부에 체결선재(32)가 설치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는 도 4에서와 같이, 슬래브(91) 또는 보(92) 등의 건축물 구조체에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가 결속됨으로써 부착, 고정되는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상체결판(31)과 체결선재(32)가 상호 격리되어 구성됨으로써 입상체결판(31)은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의 자중 및 기타 외력에 저항하여 콘크리트 마감재의 견고한 부착상태를 유지하고, 체결선재(32)는 온습도의 변화 등으로 인한 콘크리트 마감재의 신축변형을 수용함으로써, 콘크리트 마감재의 견고한 건축물 부착이 가능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마감재에 발생될 수 있는 균열을 예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상체결판(31)은 종래의 체결부재에 비하여 월등하게 향상된 강성을 발현하는 바, 만일 콘크리트 마감재의 전체 체결부재에 입상체결판(31)이 적용된다면 온습도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마감재의 신축변형이 과도하게 억제되고, 이로 인하여 피복층(10) 등 마감재의 콘크리트 구조에 균열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마감재의 부착구조 유지와 변형수용을 입상체결판(31)과 체결선재(32)가 분담하도록 함으로써 금속체 체결부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취성체(脆性體)라 할 수 있는 콘크리트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의 일단 즉, 전면측 단부는 단열판(20)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제 피복층(10)에 매입되는데, 이때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와 피복층(10) 콘크리트간 부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열판(20) 피복층(10)측 면의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 결합부위에는 배면측으로 요입된 요입수용부(21)가 형성된다.
즉, 단열판(20) 피복층(10)측 면의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 결합부위에 요입수용부(21)를 형성하되,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의 일단이 요입수용부(21)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요입수용부(21)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와 피복층(1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듯, 요입수용부(21)를 형성하고, 요입수용부(21)에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부위의 피복층(10) 콘크리트 체적을 충분히 확보하고, 이로써 피복층(10) 콘크리트와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간의 부착력을 증대할 수 있다.
도 3의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요입수용부(21)로 노출되는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의 전단에는 외측으로 돌출 전개된 확대매입부(35)를 형성함으로써 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확대매입부(35)는 도 2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입상체결판(31)의 경우 상단 및 하단에 V자형의 확대매입부(35)를 대칭으로 형성하고, 체결선재(32)의 경우 전단부에 방사상(放射狀)의 확대매입부(35)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요입수용부(21)의 전면에는 철사 또는 와이어 메쉬 등의 선재(線材)가 망상(網狀)으로 조합된 지지망체(40)가 설치되는데, 여기서 지지망체(40)는 해당 부위의 피복층(10)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역할과 함께 후술할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요입수용부(21)에 충전된 양생전 콘크리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지망체(40)는 철사 등의 선재가 격사상으로 접합 배치된 평면상 장방형의 망체로서, 양 측단부가 절곡되어 압입절곡부(41)를 형성하고, 이 압입절곡부(41)가 단열판(20)에 압입됨으로써 고정된다.
즉, 도 3의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지지망체(40)의 측단에는 마감재의 배면측으로 절곡된 압입절곡부(41)가 형성되고, 이 압입절곡부(41)가 요입수용부(21) 주변 단열판(20)에 압입되어 지지망체(40)가 고정되며, 요입수용부(21)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되 요입수용부(21)에 충전된 콘크리트가 지지망체(40)를 통과하여 피복층(10)의 콘크리트와 일체로 성형됨으로서, 피복층(10), 지지망체(40), 요입수용부(21) 및 입상체결판(31)이 견고한 결착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의 상단 및 하단은 계단형으로 형성되는데, 상, 하로 인접한 마감재의 접합면이 마감재 내, 외부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단순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마감재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높아지는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도 4의 상측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마감재 내, 외부간 기류(氣流) 또는 열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즉,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의 배면 상단에는 상단돌출부(11)가 형성되고 전면(前面) 상단에는 상단하강부(12)가 형성되어, 마감재의 상단부가 전면 상단보다 배면 상단이 높은 계단형으로 구성되고, 마감재의 전면 하단에는 하단돌출부(13)가 형성되고 배면 하단에는 하단상승부(14)가 형성되어, 마감재의 하단부가 전면 하단보다 배면 하단이 높은 계단형으로 구성되어, 마감재의 설치시 인접한 상측 마감재의 하단돌출부(13) 및 하단상승부(14)가 각각 하측 마감재의 상단하강부(12) 및 상단돌출부(11)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계단형의 접합면을 형성하고, 단열성을 제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하측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피복층(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에는 강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의 섬유체(19)를 혼합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피복층(10)의 두께를 축소하고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를 일층 경량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몰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과정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의 제조방법은 우선 단열판(20)의 요입수용부(21)에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를 압입하여 단열판(20) 배면측으로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의 말단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삽입단계(S11)로 개시된다.
즉, 삽입단계(S11)는 주형내 매입물 조립 공정으로서, 도 5의 최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판(20)에는 도면상 상면으로 도시된 전면(前面)에 요입수용부(21)가 요입(凹入) 형성될 뿐 아니라, 입상체결판(31)의 정확한 관통 설치를 위하여, 입상체결판(31)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사전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면상 양 측단으로 도시된 기립시의 단열판(20) 상, 하단부는 추후 피복층(10)의 성형 완료시 전술한 상단돌출부(11), 상단하강부(12), 하단돌출부(13) 및 하단상승부(14)를 형성할 수 있도록 계단형으로 가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의 일단에 확대매입부(35)가 형성되었으며, 이 확대매입부(35)가 요입수용부(21)내부에 위치하도록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가 단열판(20)에 결합된다.
삽입단계(S11)가 완료되면 요입수용부(21)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요입수용부(21) 상부에 지지망체(40)를 결합하는 충전단계(S12)가 수행되는데, 여기서 지지망체(40)는 도 5의 하측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철사 등의 선재가 격사상으로 접합 배치된 평면상 장방형의 망체로서, 양 측단부가 절곡되어 압입절곡부(41)를 형성하고, 이 압입절곡부(41)가 단열판(20)에 압입됨으로써 고정되며, 지지망체(40)가 결합됨으로써 후술할 결합단계(S30)에서 요입수용부(21)가 하측을 향하도록 단열판(20)을 뒤집어도 요입수용부(21)내 타설된 양생전 콘크리트가 즉각 이탈되지 않고 충전상태를 일시 유지하게 된다.
이후, 외곽부에 측면몰드(52)가 설치된 하부몰드(51)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S20)의 수행 직후, 하부몰드(51) 상측의 콘크리트 타설면에 단열판(20)을 결합하되 요입수용부(21)가 하부몰드(51)의 콘크리트 타설면에 접하도록 결합하여 피복층(10)을 형성하는 결합단계(S30)가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입수용부(21)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하부몰드(51)의 콘크리트 타설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양측 콘크리트 즉, 요입수용부(21)에 충전된 콘크리트와 하부몰드(51) 상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지지망체(40)를 통과하여 상호 융합되면서 일체로 성형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몰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층(10) 전면을 성형하는 하부몰드(51)와 마감재의 측면을 성형하는 측면몰드(52)가 조합되어 구성되는데, 도 5의 도면상 표시된 측면몰드(52)는 계단형으로 성형되는 마감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성형하는 측면몰드(52)로서,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측면몰드(52) 내측 하단부에는 잠식턱(53)이 형성되어 마감재의 상단하강부(12)를 성형하게 되고,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측면몰드(52)의 내측 상단부에는 잠식봉(54)이 결합되어 마감재의 하단상승부(14)를 성형하게 된다.
결합단계(S30)가 완료된 후에는 피복층(10)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양생단계(S41)가 수행되며, 양생이 완료되면 하부몰드(51) 및 측면몰드(52)로부터 피복층(10)이 양생된 마감재를 취출하는 탈형단계(S42)가 수행됨으로써, 본 발명을 통한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의 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도 6은 입상체결판(31)을 구성함에 있어서 입상체결판(31)의 내부에 확폭부(36)를 형성하여 입상체결판(31)의 폭을 확대함으로써 입상체결판(31)의 강성 및 지지력을 높힘과 동시에,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내 입상체결판(31)의 결합강도 또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입상체결판(31)의 확폭부(3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상체결판(31) 내부 폭이 도면상 상, 하측으로 확대된 형태로 형성되어 입상체결판(31)의 단면계수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확폭부(36)의 내부에는 다수의 개구부(37)가 절개 형성되어 확폭부(36) 형성으로 인한 입상체결판(31)의 중량 증대를 억제하게 된다.
10 : 피복층
11 : 상단돌출부
12 : 상단하강부
13 : 하단돌출부
14 : 하단상승부
19 : 섬유체
20 : 단열판
21 : 요입수용부
31 : 입상체결판
32 : 체결선재
35 : 확대매입부
36 : 확폭부
37 : 개구부
40 : 지지망체
41 : 압입절곡부
51 : 하부몰드
52 : 측면몰드
53 : 잠식턱
54 : 잠식봉
91 : 슬래브
92 : 보
S10 : 삽입단계
S12 : 충전단계
S20 : 타설단계
S30 : 결합단계
S41 : 양생단계
S42 : 탈형단계

Claims (4)

  1. 내부에 단열성 판체인 단열판(20)이 매입되고 노출측 전면(前面)에는 콘크리트 피복층(10)이 형성되어 건축물에 부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에 있어서,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의 일 단부에는 단열판(20)을 관통하여 일단이 피복층(10)에 매입되고 타단은 단열판(20) 외측으로 노출되어 건축물에 체결되는 입상체결판(31)이 설치되되, 입상체결판(31)은 수직으로 기립된 장방형 횡단면을 가지는 판체로서 피복층(10)에 매입되는 두부(頭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확대매입부(35)가 형성되고;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의 타 단부에는 단열판(20)을 관통하여 일단이 피복층(10)에 매입되고 타단은 단열판(20) 외측으로 노출되어 건축물에 체결되는 체결선재(32)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열판(20) 피복층(10)측 면의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 결합부위에는 요입수용부(21)가 형성되어,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의 일단이 요입수용부(21)내에 위치하고;
    요입수용부(21)의 전면에는 다수의 선재(線材)가 망상(網狀)으로 조합된 지지망체(40)가 설치되되, 지지망체(40)의 측단에는 마감재의 배면측으로 절곡된 압입절곡부(41)가 형성되고, 이 압입절곡부(41)가 요입수용부(21) 주변 단열판(20)에 압입되어 지지망체(40)가 고정되며;
    요입수용부(21)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되 요입수용부(21)에 충전된 콘크리트가 지지망체(40)를 통과하여 피복층(10)의 콘크리트와 일체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의 배면 상단에는 상단돌출부(11)가 형성되고 전면(前面) 상단에는 상단하강부(12)가 형성되어, 마감재의 상단부가 전면 상단보다 배면 상단이 높은 계단형으로 구성되고;
    마감재의 전면 하단에는 하단돌출부(13)가 형성되고 배면 하단에는 하단상승부(14)가 형성되어, 마감재의 하단부가 전면 하단보다 배면 하단이 높은 계단형으로 구성되어;
    마감재의 설치시 인접한 상측 마감재의 하단돌출부(13) 및 하단상승부(14)가 각각 하측 마감재의 상단하강부(12) 및 상단돌출부(11)에 밀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열판(20)의 요입수용부(21)에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를 압입하여 단열판(20) 배면측으로 입상체결판(31) 및 체결선재(32)의 말단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삽입단계(S11)와;
    요입수용부(2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지지망체(40)를 결합하는 충전단계(S12)와;
    외곽부에 측면몰드(52)가 설치된 하부몰드(51)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단계(S20)와;
    하부몰드(51) 상측의 콘크리트 타설면에 단열판(20)을 결합하되 요입수용부(21)가 하부몰드(51)의 콘크리트 타설면에 접하도록 결합하여 피복층(10)을 형성하는 결합단계(S30)와;
    피복층(10)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양생단계(S41)와;
    하부몰드(51) 및 측면몰드(52)로부터 피복층(10)이 양생된 마감재를 취출하는 탈형단계(S4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
KR1020140007320A 2014-01-21 2014-01-21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2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320A KR101582514B1 (ko) 2014-01-21 2014-01-21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320A KR101582514B1 (ko) 2014-01-21 2014-01-21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991A KR20150086991A (ko) 2015-07-29
KR101582514B1 true KR101582514B1 (ko) 2016-01-06

Family

ID=5387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320A KR101582514B1 (ko) 2014-01-21 2014-01-21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5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904A (ja) 2000-04-03 2001-10-10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性壁材および断熱性壁の工法
JP2003056115A (ja) 2001-08-20 2003-02-26 Hyakunen Jutaku Shijo:Kk 住宅建築用パネル材
JP2011063982A (ja) 2009-09-16 2011-03-31 Nippon Aaku Kaihatsu Kk 外壁断熱ボード
KR101101930B1 (ko) 2011-04-19 2012-01-02 김용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경량 판상 마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904A (ja) 2000-04-03 2001-10-10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性壁材および断熱性壁の工法
JP2003056115A (ja) 2001-08-20 2003-02-26 Hyakunen Jutaku Shijo:Kk 住宅建築用パネル材
JP2011063982A (ja) 2009-09-16 2011-03-31 Nippon Aaku Kaihatsu Kk 外壁断熱ボード
KR101101930B1 (ko) 2011-04-19 2012-01-02 김용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경량 판상 마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991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25860B1 (ru) Блочная форма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бетонных покрытий
US20150217478A1 (en) Precast Concrete Wall and Method
KR101018411B1 (ko)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0800536B1 (ko) 탈형이 용이한 대형거푸집,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과벽체철근의 긴결구조 및 벽체시공방법
JP7098646B2 (ja) 気泡コンクリート複合建材
KR101061015B1 (ko) 조적벽체 단열 및 보강 공법
KR101582514B1 (ko) 판체 지지형 콘크리트 단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24021B1 (ko) 집수정의 하부 구조물
KR20180131929A (ko) Rc용 기둥 스틸 거푸집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rc용 기둥 스틸 거푸집
KR101758596B1 (ko) 단열 하프피씨 슬래브
CN213539399U (zh) 一种外墙保温免拆复合模板
CN214353235U (zh) 叠合板装配式预制构件的钢筋抗浮固定装置
JP5443193B2 (ja) 格子体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体の施工方法
KR101440556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KR101582518B1 (ko) 배면 지지형 콘크리트 판상 단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93548B1 (ko) 조립식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 시공 방법
KR101234614B1 (ko) 조립식 건축물의 경량복합 바닥판 시공방법
KR101176551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JP2010240905A (ja) リブ付きセメント系パネルの製造方法、リブ付きセメント系パネル、および構造物の製造方法
JP2011074565A (ja) 型枠目地材のジョイント部材、目地付床および目地付床の施工方法
JP2000104392A (ja) 床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746781B2 (ja) 建物の外断熱建築工法
JP6710855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を成形する外断熱の隣地あき無し透明仮枠構造
KR101263765B1 (ko) 다층 경량 단열 판재의 제조방법
CN216475806U (zh) 一种单向叠合板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