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262B1 -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262B1
KR101582262B1 KR1020150098615A KR20150098615A KR101582262B1 KR 101582262 B1 KR101582262 B1 KR 101582262B1 KR 1020150098615 A KR1020150098615 A KR 1020150098615A KR 20150098615 A KR20150098615 A KR 20150098615A KR 101582262 B1 KR101582262 B1 KR 101582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amera module
rotation
driving forc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에스
Priority to KR1020150098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와, 카메라 모듈 지지부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카메라 모듈 지지부를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 구동부 및 제1 회전 구동부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제1 회전 구동부를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Support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카메라 모듈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내장형 카메라 모듈은 자동 초점(Auto Focusing)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카메라 렌즈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카메라 렌즈 구동 방식은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 스테핑 모터 방식, 초음파 모터 방식이 있다. 이 중,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방식은 영구 자석과 코일로 구성되고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영구 자석에 의한 자기장으로 직선 운동을 구현하는 간단한 구동 원리로서 미세 조정이 가능하고 긴 수명을 가진다는 장점을 가지므로 내장형 카메라 모듈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카메라 모듈(10)은, 카메라 렌즈(11), 카메라 하우징(12), 하우징 커버(13), 회로 기판(14) 및 회로 배선(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하우징(12)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카메라 하우징(12)의 상단부에는 카메라 렌즈(11)가 결합되며, 카메라 하우징(12)의 내부에는 회로 패턴이 인쇄된 회로 기판(14)과, 회로 기판(14)의 상면에 접합되는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회로 기판(14)은 카메라 하우징(12)의 하단부를 통해 카메라 하우징(12)과 결합되며, 회로 배선(15)은 카메라 하우징(12)의 일측에 형성된 접속 단자(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회로 기판(14) 상의 회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로는 CIS(CMOS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회로 기판(14)으로는 인쇄 회로 기판(14)(Printed Circuit Board, PCB)을 사용할 수 있으며, 회로 배선(15)으로는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의 박판 필름에 미세 회로가 인쇄된 유동 가능한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1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회로 패턴이 인쇄된 회로 기판(14)에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실장하는 공정, 회로 기판(14) 위에 카메라 하우징(12)을 어태칭하는 공정, 카메라 하우징(12)에 카메라 렌즈(11)를 결합하는 공정, 카메라 하우징(12) 위에 하우징 커버(13)를 어태칭하는 공정 등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10)을 제조하는 공정을 수행할 때에는 카메라 모듈(10)의 특정 모서리 등에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의 일측 모서리에 디스펜서(Dispenser)(D)를 이용하여 수지(R)를 도포하는 공정(디스펜싱 공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모듈 제조 공정 장치는, 카메라 모듈(10)의 특정 모서리 등에 디스펜싱 공정 등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디스펜서(D)와 같은 공정 유닛을 해당 모서리를 향하도록 회전시켜야 하는데, 카메라 모듈(10)의 특정 모서리를 향하도록 디스펜서(D)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펜서(D)를 구동시키는 장치의 구조 및 제어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카메라 모듈(10)의 다수의 모서리에 대해 디스펜싱 공정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스펜서(D)를 특정 모서리를 향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공정을 수행한 후, 나머지 모서리를 향해 번갈아 이동해하면서 디스펜싱 공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펜서(D)를 구동시키는 장치의 구조 및 제어가 더욱더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구조로 카메라 모듈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카메라 모듈 지지부를 제1 회전 구동부 및 제2 회전 구동부를 이용하여 제1 축 및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카메라 모듈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 지지부를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제1 회전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회전 구동부를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1 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 지지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고, 상기 제2 축은 상기 제1 축과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 지지부는, 상부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 홈과, 상기 안착 홈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지지 블록과,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상하 관통된 진공 공급 홀이 형성된 제2 지지 블록 및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하부를 통해 상기 진공 공급 홀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흡착하기 위한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 피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1 지지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종류, 개수 및 배치 형태에 따라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회전 구동부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제1 회전 블록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통해 상기 제1 회전 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 블록으로 상기 제2 지지 블록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1 회전 블록은, 상단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며, 중앙부에 상기 진공 피팅이 배치되도록 상하 관통된 제1 수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1 회전 블록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며, 중앙부에 상기 진공 피팅이 배치되도록 상하 관통된 제2 수용 홀이 형성된 제1 기어 및 상기 제1 액츄에이터의 구동 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의 외주면에 치차 결합되며, 상기 제1 액츄에이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회전 구동부는, 상기 제1 회전 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축과 수직한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회전 구동부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 블록과, 상기 제2 회전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블록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제2 회전 블록의 회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제2 회전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블록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의 경우, 상기 제2 회전 블록은, 상단에 상기 제1 회전 구동부의 하부가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지지부가 상기 제2 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힌지 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에 형성된 제2 힌지 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력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을 상기 제1 힌지 홀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제2 회전 블록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액츄에이터의 구동 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액츄에이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 및 상기 구동력 전달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 회전 블록의 하부에서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제2 회전 블록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회전 블록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제2 회전 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 블록은, 상기 이동 블록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이동 블록에 형성된 가이드 면에 맞닿은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에 의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의 경우, 상기 제2 회전 블록은, 상단에 상기 제1 회전 구동부의 하부가 결합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일측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지지부가 상기 제2 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힌지 홀과, 상기 제2 구동력 제공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힌지 홀이 형성된 회전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제2 회전 블록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액츄에이터의 구동 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액츄에이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 및 일측은 상기 제2 구동력 전달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힌지 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력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 회전 블록의 하부에서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회전 아암을 회전시키는 이동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력 제공부는, 일단은 상기 제2 힌지 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 블록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동 블록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 방향 및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제2 회전 블록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 블록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가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회전 샤프트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리니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카메라 모듈 지지부를 제1 회전 구동부 및 제2 회전 구동부를 이용하여 제1 축 및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카메라 모듈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 지지부를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 구동부와, 제1 회전 구동부를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 구동부로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의 구조 및 제어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을 진공 흡착하기 위해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 피팅을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제1 지지 블록 및 제2 지지 블록과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모듈 지지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 없이 회전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에 구비된 제1 지지 블록을 카메라 모듈의 종류 등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 모듈을 지지한 상태로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에 따르면,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제1 회전 구동부에 전달하도록 제2 회전 구동부를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의 구조 및 제어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와 제1 회전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와 제1 회전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의 제1 지지 블록이 교체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2 회전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2 회전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2 회전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2 회전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2 회전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1)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 제1 회전 구동부(200) 및 제2 회전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는 특정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이 안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이 안착된 상태에서 후술할 제1 회전 구동부(200) 및 제2 회전 구동부(300)에 의해 회전하여, 특정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에 1 개의 카메라 모듈(10)이 개별적으로 안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카메라 모듈(10)이 동시에 안착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1 회전 구동부(200)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를 제1 축(A)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 구동부(300)는 제1 회전 구동부(200)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제1 회전 구동부(200)를 제2 축(B)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는 제1 회전 구동부(200) 및 제2 회전 구동부(300)에 의해 2 개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안착된 카메라 모듈(10)을 특정 공정이 수행되기 위한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1)의 경우,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가 회전하는 중심인 제1 축(A)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이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의 바닥면에 수직하고, 제1 회전 구동부(200)가 회전하는 중심인 제2 축(B)은 제1 축(A)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이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에 안착될 때)에서, 제1 축(A)은 대략 수직(도 2의 Z 방향)하게 형성되고, 제2 축(B)은 제1 축(A)과 수직한 좌우 방향(도 2의 X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1)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와 제1 회전 구동부(200)의 구조 및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와 제1 회전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와 제1 회전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는 제1 지지 블록(110), 제2 지지 블록(120) 및 진공 피팅(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블록(110)은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이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 홈(111)과, 안착 홈(111)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블록(110)은 대략 얇은 원판 형태의 몸체를 가지고, 몸체의 상부면에 오목한 홈 형태의 안착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카메라 하우징(12), 회로 기판(14) 및 회로 배선(15)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안착 홈(111)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 지지 블록(110)은 안착 홈(111)에 놓여진 카메라 모듈(10)의 하부면(도 1에서 회로 기판(14)의 하부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관통 홀(112)은 진공 피팅(130)과 진공 공급 홀(121)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진공압에 의해 안착 홈(111)에 놓여진 카메라 모듈(10)을 흡착 고정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지지 블록(110)의 안착 홈(111)에 4 개의 관통 홀(112)이 정사각형 형태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관통 홀(112)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카메라 모듈(10)의 종류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제2 지지 블록(120)은 제1 지지 블록(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112)에 연통하도록 상하 관통된 진공 공급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 블록(120)은 제1 지지 블록(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판 형태의 몸체를 가지고, 체결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제1 지지 블록(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블록(120)은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된 진공 공급 홀(121)이 형성되며, 진공 공급 홀(121)은 상부에 결합된 제1 지지 블록(1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112)과 하부에 결합된 진공 피팅(130)에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 블록(120)의 상부면에는 1 개의 진공 공급 홀(121)로부터 공급되는 진공압을 4 개의 관통 홀(112)로 공급하기 위해 오목한 홈 형상의 버퍼 구간(121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진공 피팅(130)은 제2 지지 블록(120)의 하부를 통해 진공 공급 홀(121)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을 흡착하기 위한 진공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피팅(130)은 제2 지지 블록(1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진공 공급 홀(121)에 연결되어 제2 지지 블록(120)이 제1 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제2 지지 블록(120)과 함께 제1 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을 진공 흡착하기 위해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 피팅(130)을 카메라 모듈(10)이 안착된 제1 지지 블록(110) 및 제2 지지 블록(120)과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공 흡착에 의해 카메라 모듈(10)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진공 피팅(130)과 이에 연결된 진공 공급 라인(도시되지 않음)이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 없이 회전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1)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의 제1 지지 블록(110)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의 종류, 개수 및 배치 형태에 따라 교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의 제1 지지 블록이 교체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와는 달리, 카메라 모듈(10)이 개별적으로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카메라 모듈(20)이 한꺼번에 안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블록(1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 지지 블록(110)과는 달리,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이 개별적으로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카메라 모듈(21)이 구비된 기판 또는 수용 지그(22)의 형태로 안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 모듈(21)이 구비된 기판 또는 수용 지그(22)를 안착하기 위한 제1 지지 블록(110)은 기판 또는 수용 지그(22)의 크기에 대응하는 판상 형태의 몸체를 가지고, 몸체의 상부면에 오목한 홈 평태의 안착 홈(111)과, 복수의 카메라 모듈(21)이 놓여지는 안착 홈(111)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카메라 모듈(21)이 4 개씩 9 개의 열로 배열된 경우, 4 개의 카메라 모듈(21)이 동시에 안착되는 안착 홈(111)이 9 개의 열로 형성되고, 각 안착 홈(111)에 4 개의 카메라 모듈(21)에 대응하는 4 개의 관통 홀(112)이 형성된 제1 지지 블록(110)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지지 블록(110)의 형태, 안착 홈(111)의 개수 및 배치 형태, 관통 홀(112)의 개수 및 배치 형태 등은 카메라 모듈(10)의 종류, 개수 및 배치 형태 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회전 구동부(200)는 하우징(210), 제1 회전 블록(220) 및 제1 구동력 제공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내부에 수용 공간(210a)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제1 회전 블록(220)은 제2 지지 블록(1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제1 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210)의 수용 공간(210a)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력 제공부(230)는 하우징(210)의 일측을 통해 제1 회전 블록(220)에 연결되며, 제1 회전 블록(220)으로 제2 지지 블록(120)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블록(220)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단이 하우징(21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노출되어 제2 지지 블록(120)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단이 제1 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210)의 수용 공간(210a)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 블록(220)은 제1 구동력 제공부(23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제공 받아 제2 지지 블록(120)을 제1 축(A)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 블록(220)은 중앙부에 진공 피팅(130)이 배치되도록 상하 관통된 제1 수용 홀(220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 블록(120)에 연결된 진공 피팅(130)이 제2 지지 블록(120)과 함께 회전하더라도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 없이 회전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력 제공부(230)는 제1 액츄에이터(231)와 기어 구동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액츄에이터(231)는 하우징(210)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고, 기어 구동체는 제1 회전 블록(210)에 연결되며 제1 액츄에이터(231)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제1 회전 블록(2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구동체는 한 쌍의 제1 기어(232) 및 제2 기어(233)로 구성되는데, 제1 기어(232)는 제1 회전 블록(210)의 하단에 결합되고 제1 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210a)에 삽입되고, 제2 기어(233)는 제1 액츄에이터(231)의 구동 축에 연결되고 제1 기어(232)의 외주면에 치차 결합되며, 제1 액츄에이터(231)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1 기어(2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기어(232)는 중앙부에 진공 피팅(130)이 배치되도록 상하 관통된 제2 수용 홀(23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 블록(120)에 연결된 진공 피팅(130)이 제2 지지 블록(120)과 함께 회전하더라도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 없이 회전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제1 회전 블록(220)이 기어 구동체에 의해 회전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회전 블록(220)의 회전 구동 방식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1)를 구성하는 제2 회전 구동부(300)의 구조 및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2 회전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 구동부(300)는 제2 회전 블록(310), 적어도 하나의 회전 지지부(320) 및 제2 구동력 제공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회전 블록(310)은 제1 회전 구동부(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제1 축(A)과 수직한 제2 축(B)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회전 구동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지지부(320)는 제2 회전 블록(310)에 연결되고, 제2 회전 블록(310)이 제2 축(B)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제2 회전 블록(31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 블록(310)은 상단에 제1 회전 구동부(200)의 하부가 결합되는 판상 형태의 고정판(311), 고정판(311)의 일측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312) 및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3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아암(312)의 중앙부에는 회전 지지부(320)가 제2 축(B)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힌지 홀(312a)이 형성되고, 회전 아암(312)의 끝단에는 회전체(31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힌지 홀(31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313)는 제2 구동력 제공부(33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여 회전 아암(312)을 제1 힌지 홀(312a)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체(313)는 캠 팔로워(Cam follower) 형태인 소형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2 개의 회전 아암(312)이 제2 회전 블록(310)의 양측에 형성되고, 각각의 회전 아암(312)에 2 개의 회전체(313)이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회전 블록(310)의 일측에 1 개의 회전체(313)이 연결된 1 개의 회전 아암(312)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320)는 제2 회전 블록(310)의 회전 아암(312)에 형성된 제1 힌지 홀(312a)에 삽입되는 샤프트(321), 샤프트(321)가 삽입되며 샤프트(321)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322) 및 제2 회전 블록(310)의 회전 아암(31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베어링(322)가 삽입 고정되는 서포트 블록(3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2 회전 블록(310)의 양측에 2 개의 회전 지지부(320)가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회전 블록(310)의 일측에 1 개의 회전 지지부(320)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구동력 제공부(330)는 제2 회전 블록(310)에 연결되고, 제2 회전 블록(310)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력 제공부(330)는, 제2 회전 블록(31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액츄에이터(331), 제2 액츄에이터(331)의 구동 축에 연결되며, 제2 액츄에이터(331)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332), 구동력 전달부(332)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구동력에 의해 제2 회전 블록(310)의 하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블록(3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액츄에이터(331)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사용할 수 있고, 구동력 전달부(332)는 제2 액츄에이터(331)의 구동 축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볼 스크류(Ball screw) 조립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동력 전달부(332)는 커플링(331a)을 통해 제2 액츄에이터(331)의 구동 축에 연결되고, 일단 또는 양단이 베어링 조립체(332a)로 지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2 액츄에이터(331)와 구동력 전달부(332)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구조라면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블록(333)은 구동력 전달부(332)에 연결되며, 구동력 전달부(332)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구동력에 의해 제2 회전 블록(310)의 하부에서 왕복 이동할 때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31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블록(333)은 제2 회전 블록(310)의 하부에서 볼 스크류 조립체에 결합되어 볼 스크류 조립체의 직선 구동력에 의해 볼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체(313)가 맞닿는 가이드 면(333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블록(333)은 구동력 전달부(332)에 의해 왕복 이동할 때에 가이드 면(333a)에 맞닿은 회전체(313)를 이동시켜 제2 회전 블록(3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블록(333)은 일측 또는 하단에 결합된 가이드(333b)에 의해 제2 회전 블록(310)의 하부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구동력 제공부(330)는, 제2 회전 블록(310)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2 회전 블록(310)이 제2 축(B)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제2 회전 블록(3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34)는 일단이 회전 지지부(320)와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회전 블록(3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전 블록(310)은, 이동 블록(333)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이동 블록(333)에 형성된 가이드 면(333a)에 맞닿은 상태로 이동하는 회전체(313)에 의해 제2 축(B)을 중심으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동 블록(333)이 제1 방향과 반대로 이동할 때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334)에 의해 제2 축(B)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2 회전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의 (a)에서는 제2 구동력 제공부(330)의 구동력 전달부(332)에 의해 이동 블록(333)이 제1 방향(도 8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2 회전 블록(310)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의 (b)에서는 구동력 전달부(332)에 의해 이동 블록(333)이 제1 방향과 반대 방향(도 8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2 회전 블록(310)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블록(333)이 구동력 전달부(332)에 의해 제1 방향(도 8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동 블록(333)은 가이드 면(333a)에 맞닿은 회전체(313)를 이동시켜 제2 회전 블록(310)을 제2 축(B)을 중심으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도 8의 우측 방향,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블록(333)이 구동력 전달부(332)에 의해 제1 방향과 반대 방향(도 8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탄성 부재(334)는 복귀력에 의해 제2 회전 블록(310)을 제2 축(B)을 중심으로 제1 방향(도 8의 좌측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회전 블록(310)에 형성된 회전 아암(312)의 끝단에 연결된 회전체(313)는 이동 블록(333)의 가이드 면(333a)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 부재(334)는 복귀력에 의해 제2 회전 블록(310)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것은 물론, 제2 회전 블록(310)이 회전할 때에 제2 회전 블록(310)에 완충력을 제공하므로, 제2 회전 블록(310)을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7에서는 2 개의 탄성 부재(334)가 제2 회전 블록(310)의 양측에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 부재(334)의 개수 및 연결 위치는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 7에서는 탄성 부재(334)로 인장 스프링을 사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탄성 부재(334)의 종류는 제2 회전 블록(310)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형태라면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에서 카메라 하우징(12)과 회로 배선(15)이 맞닿는 모서리에 디스펜서(Dispenser)(D)를 이용하여 수지(R)를 도포하는 디스펜싱(Dispensing) 공정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에는 카메라 모듈(10)의 카메라 하우징(12)과 회로 배선(15)이 맞닿는 모서리에 디스펜서(D)를 이용한 디스펜싱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을 고정한 상태에서 디스펜서(D)를 해당 모서리를 향하도록 회전시켜 디스펜싱 공정을 수행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1)를 이용하는 경우, 제1 회전 구동부(200)와 제2 회전 구동부(300)에 의해 카메라 모듈(10)이 안착된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를 제1 축(A)과 제2 축(B)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 하우징(12)과 회로 배선(15)이 맞닿는 모서리가 디스펜서(D)를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므로, 디스펜서(D)를 회전시키기 위한 복잡한 구조 및 제어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의 제조 공정 장치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제1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1)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 제1 회전 구동부(200) 및 제2 회전 구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1)의 구성요소 중 제2 회전 구동부(400)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지지부(100)와 제1 회전 구동부(200)의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1)를 구성하는 제2 회전 구동부(400)의 구조 및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2 회전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2 회전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 구동부(400)는 제2 회전 블록(410), 적어도 하나의 회전 지지부(420) 및 제2 구동력 제공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회전 블록(410)은 제1 회전 구동부(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제1 축(A)과 수직한 제2 축(B)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회전 구동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지지부(420)는 제2 회전 블록(410)에 연결되고, 제2 회전 블록(410)이 제2 축(B)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제2 회전 블록(41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 블록(410)은 상단에 제1 회전 구동부(200)의 하부가 결합되는 판상 형태의 고정판(411)와, 고정판(411)의 일측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회전 아암(4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아암(412)의 중앙부에는 회전 지지부(420)가 제2 축(B)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힌지 홀(4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아암(412)의 끝단에는 직선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력 제공부(4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힌지 홀(412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420)는 제2 회전 블록(410)의 회전 아암(412)에 형성된 제1 힌지 홀(412a)에 삽입되는 샤프트(421), 샤프트(421)가 삽입되며 샤프트(421)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422) 및 제2 회전 블록(410)의 회전 아암(41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베어링(422)가 삽입 고정되는 서포트 블록(4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제2 회전 블록(410)의 양측에 2 개의 회전 지지부(420)가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회전 블록(410)의 일측에 1 개의 회전 지지부(420)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구동력 제공부(430)는 제2 회전 블록(410)에 연결되고, 제2 회전 블록(410)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력 제공부(430)는, 제2 회전 블록(41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액츄에이터(431), 제2 액츄에이터(431)의 구동 축에 연결되며, 제2 액츄에이터(431)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432), 구동력 전달부(432)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구동력에 의해 제2 회전 블록(410)의 하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블록(4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액츄에이터(431)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사용할 수 있고, 구동력 전달부(432)는 제2 액츄에이터(431)의 구동 축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볼 스크류(Ball screw) 조립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동력 전달부(432)는 풀리(Pulley) 및 타이밍 벨트(Timing belt) 조립체(431a)를 통해 제2 액츄에이터(431)의 구동 축에 연결되고, 일단 또는 양단이 베어링 조립체(432a)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제2 액츄에이터(431)와 구동력 전달부(432)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구조라면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블록(433)은 일측이 구동력 전달부(432)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힌지 홀(412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구동력 전달부(432)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구동력에 의해 제2 회전 블록(410)의 하부에서 왕복 이동할 때에 제2 회전 아암(4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블록(433)은 제2 회전 블록(410)의 하부에서 볼 스크류 조립체에 결합되어 볼 스크류 조립체의 직선 구동력에 의해 볼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있다.
한편, 제2 구동력 제공부(430)는, 일단이 제2 힌지 홀(412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 블록(433)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 블록(433)의 왕복 이동에 따라 이동 블록(433)의 이동 방향 및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434)와, 제2 회전 블록(410)을 향하도록 이동 블록(433)의 일측에 결합되며, 회전 샤프트(434)가 이동 블록(433)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에 회전 샤프트(434)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434)는 일단이 볼 베어링(434a)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아암(412)의 끝단에 형성된 제2 힌지 홀(412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샤프트 고정 블록(435b)에 삽입된 상태로 리니어 가이드(435)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리니어 가이드(435)는 이동 블록(433)의 제2 회전 블록(410)을 향하는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리니어 가이드(435)가 가이드 고정 블록(435a)을 통해 이동 블록(433)에 결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리니어 가이드(435)는 직접 이동 블록(433)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2 회전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의 (a)에서는 제2 구동력 제공부(430)의 구동력 전달부(432)가 초기 위치(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이 안착될 때의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의 (b)에서는 구동력 전달부(432)에 의해 이동 블록(433)이 제1 방향(도 15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2 회전 블록(410)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의 (a)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서, 이동 블록(433)이 구동력 전달부(432)에 의해 제1 방향(도 15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 블록(433)에 결합된 회전 샤프트(434)도 제1 방향(도 15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 샤프트(434)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 제2 회전 블록(410)은 제2 축(B), 즉, 제1 힌지 홀(412a)을 중심으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도 15의 좌측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 블록(410)이 제2 축(B), 즉, 제1 힌지 홀(412a)을 중심으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도 15의 좌측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샤프트(434)는 제2 회전 블록(410)의 회전에 따라 제1 힌지 홀(412a)과 제2 힌지 홀(412b)을 반경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제1 방향(도 15의 우측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리니어 가이드(435)는 이동 블록(433)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도 15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 샤프트(434)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니어 가이드(435)는 제2 회전 블록(410)이 회전할 때에 제2 회전 블록(410)에 형성된 회전 아암(412)의 끝단에 결합된 회전 샤프트(434)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제2 회전 블록(410)을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10: 카메라 모듈
100: 카메라 모듈 지지부 110: 제1 지지 블록
120: 제2 지지 블록 130: 진공 피팅
200: 제1 회전 구동부 210: 하우징
220: 제1 회전 블록 230: 제1 구동력 제공부
300: 제2 회전 구동부 310: 제2 회전 블록
320: 회전 지지부 330: 제2 액츄에이터
340: 제2 구동력 제공부
400: 제2 회전 구동부 410: 제2 회전 블록
420: 회전 지지부 430: 제2 액츄에이터
440: 제2 구동력 제공부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
    상기 카메라 모듈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 지지부를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제1 회전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회전 구동부를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 지지부는,
    상부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 홈과, 상기 안착 홈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지지 블록;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상하 관통된 진공 공급 홀이 형성된 제2 지지 블록; 및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하부를 통해 상기 진공 공급 홀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흡착하기 위한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 피팅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 구동부는,
    상기 제1 회전 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축과 수직한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회전 구동부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 블록;
    상기 제2 회전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블록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제2 회전 블록의 회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제2 회전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블록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 블록은,
    상단에 상기 제1 회전 구동부의 하부가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측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지지부가 상기 제2 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힌지 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에 형성된 제2 힌지 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력 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아암을 상기 제1 힌지 홀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제2 회전 블록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액츄에이터;
    상기 제2 액츄에이터의 구동 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액츄에이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 및
    상기 구동력 전달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 회전 블록의 하부에서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 지지부의 바닥면에 수직하고, 상기 제2 축은 상기 제1 축과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종류, 개수 및 배치 형태에 따라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구동부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제1 회전 블록;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통해 상기 제1 회전 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 블록으로 상기 제2 지지 블록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블록은,
    상단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며, 중앙부에 상기 진공 피팅이 배치되도록 상하 관통된 제1 수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액츄에이터;
    상기 제1 회전 블록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며, 중앙부에 상기 진공 피팅이 배치되도록 상하 관통된 제2 수용 홀이 형성된 제1 기어; 및
    상기 제1 액츄에이터의 구동 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의 외주면에 치차 결합되며, 상기 제1 액츄에이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제2 회전 블록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회전 블록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제2 회전 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 블록은,
    상기 이동 블록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이동 블록에 형성된 가이드 면에 맞닿은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에 의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이동 블록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12. 삭제
  13.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 지지부;
    상기 카메라 모듈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 지지부를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제1 회전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의 일측이 공정이 수행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회전 구동부를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 지지부는,
    상부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이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 홈과, 상기 안착 홈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지지 블록;
    상기 제1 지지 블록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에 연통하도록 상하 관통된 진공 공급 홀이 형성된 제2 지지 블록; 및
    상기 제2 지지 블록의 하부를 통해 상기 진공 공급 홀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흡착하기 위한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 피팅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 구동부는,
    상기 제1 회전 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축과 수직한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회전 구동부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 블록;
    상기 제2 회전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블록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제2 회전 블록의 회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제2 회전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블록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 블록은,
    상단에 상기 제1 회전 구동부의 하부가 결합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일측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지지부가 상기 제2 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힌지 홀과, 상기 제2 구동력 제공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힌지 홀이 형성된 회전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제2 회전 블록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액츄에이터;
    상기 제2 액츄에이터의 구동 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액츄에이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 및
    일측은 상기 구동력 전달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힌지 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제공되는 직선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 회전 블록의 하부에서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회전 아암을 회전시키는 이동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력 제공부는,
    일단은 상기 제2 힌지 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 블록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동 블록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 방향 및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제2 회전 블록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 블록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가 상기 이동 블록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회전 샤프트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리니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KR1020150098615A 2015-07-10 2015-07-10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KR101582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615A KR101582262B1 (ko) 2015-07-10 2015-07-10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615A KR101582262B1 (ko) 2015-07-10 2015-07-10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262B1 true KR101582262B1 (ko) 2016-01-04

Family

ID=5516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615A KR101582262B1 (ko) 2015-07-10 2015-07-10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826B1 (ko) 2015-12-30 2018-01-16 염동호 렌즈 조립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415Y1 (ko) * 2004-08-18 2004-11-20 (주)엠텍코리아 소형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및 본딩을 위한 장치 및 소형카메라 모듈 지지용 지그조립체
KR100998433B1 (ko) * 2010-09-09 2010-12-03 정세라 카메라 모듈 어태칭 장치
KR101169568B1 (ko) * 2012-05-07 2012-07-31 주식회사 엠피에스 카메라 모듈 제조를 위한 솔더링 장치
KR101183022B1 (ko) * 2012-05-30 2012-09-14 주식회사 엠피에스 카메라 모듈 제조를 위한 디스펜싱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415Y1 (ko) * 2004-08-18 2004-11-20 (주)엠텍코리아 소형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및 본딩을 위한 장치 및 소형카메라 모듈 지지용 지그조립체
KR100998433B1 (ko) * 2010-09-09 2010-12-03 정세라 카메라 모듈 어태칭 장치
KR101169568B1 (ko) * 2012-05-07 2012-07-31 주식회사 엠피에스 카메라 모듈 제조를 위한 솔더링 장치
KR101183022B1 (ko) * 2012-05-30 2012-09-14 주식회사 엠피에스 카메라 모듈 제조를 위한 디스펜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826B1 (ko) 2015-12-30 2018-01-16 염동호 렌즈 조립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7698B2 (en) Lens mo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WO2020135466A1 (zh) 镜头致动装置、潜望式拍摄模组及拍摄设备
KR101141722B1 (ko) 보이스 코일 모듈
CN113204089A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光学设备
JP2017037306A (ja) レンズ駆動装置
CN110579926B (zh) 光阑模块及包括该光阑模块的相机模块
WO2006035435A2 (en) Camera modules with lens drive device
KR100982266B1 (ko) 렌즈 구동 모듈
CN110308605B (zh) 便携式电子设备及相机模块
CN211509161U (zh) 防抖机构、摄像模组及电子设备
GB2458905A (en) Omni-directional camera system
KR101118127B1 (ko) 회전형의 전자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용의 노광조건절환장치
KR20100103297A (ko) 보이스 코일 모듈
KR101664849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582262B1 (ko) 카메라 모듈 지지 장치
KR101573725B1 (ko) 카메라 모듈 제조용 디스펜싱 장치
US20130016962A1 (en) Actuator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CN112558289A (zh) 光学元件以及光扫描装置
JP597271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114911025A (zh) 一种潜望式镜头驱动装置、摄像装置及移动终端
CN117616764A (zh) 转动机构及其摄像模组、驱动装置及其电子设备
KR100782793B1 (ko) Vcm 방식 렌즈 이송장치
JP2019002972A (ja) レンズ駆動装置
CN112954162A (zh) 一种磁力驱动组件及防抖驱动装置
KR101680261B1 (ko) 카메라 모듈 제조용 픽앤플레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