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322B1 -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322B1
KR101581322B1 KR1020140130144A KR20140130144A KR101581322B1 KR 101581322 B1 KR101581322 B1 KR 101581322B1 KR 1020140130144 A KR1020140130144 A KR 1020140130144A KR 20140130144 A KR20140130144 A KR 20140130144A KR 101581322 B1 KR101581322 B1 KR 101581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ody
drain
deck
plat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4013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32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선박은 배수구가 형성된 데크를 가지는 선체 및 데크 상의 오수를 배수구를 통해 배수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되, 배수 유닛은 배수판, 지지판, 회전체 및 이동체를 가진다. 배수판은 회전체 및 이동체의 결합에 의해 데크에 결합된다. 회전체는 배수판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데크 상으로 사람 또는 물건 이동시의 방해를 방지하고, 이동체는 지지판의 내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제동됨으로써, 배수판이 배수구로부터 제거된 경우, 이동체가 배수구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배수구 내부 청소 등을 위한 접근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SHIP INCLUDING DRAINING UNIT}
본 발명은 빗물, 오수 등을 배수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수 유닛 및 데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볼트 및 체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선박의 데크(1)에는 오수(Bilge)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2)가 형성된다. 선박의 데크(1)에 형성된 배수구(2)를 덮는 배수판(3)은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해 데크(1)와 결합된다. 이 경우, 볼트(4)가 상부로 돌출되어 데크(1) 상에서 사람 또는 물체의 이동 시 방해가 되며,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부(5)가 데크(1)로부터 배수구(2)를 향해 돌출되게 제공됨으로써, 배수구 청소 등의 작업 시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데크 상에서 사람 또는 물체의 이동시의 방해를 방지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구에 대한 작업 시 접근이 용이한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선박은, 바닥판; 배수구가 형성된 데크(Deck)를 가지는 선체; 상기 데크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를 통해 상기 데크 상의 오수(Bilge)를 배수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 유닛은,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를 덮는 배수판; 상기 배수구에 인접한 상기 데크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배수구를 향해 돌출되고,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이동체; 상기 배수판에 제공되고,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도록 제공된 회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축부; 및 상기 축부의 하단에 제공된 피니언(Pinion);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도록 제공된 래크(Rack)를 가진다.
상기 이동체는,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배수구를 향해 돌출되게 제공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래크는,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배수구를 향해 상기 고정부보다 길게 돌출되게 제공된다.
상기 래크 및 상기 고정부는,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고,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제공된다.
상기 이동체는,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배수구를 향해 돌출되게 제공된 메인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판의 일 측부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래크를 향해 연장되도록 제공된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래크는, 상기 메인판의 타 측부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되게 제공된다.
상기 이동체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간에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이동체가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피니언과 중첩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머리부는, 나비 너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수판의 내부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은 데크 상에서 사람 또는 물체의 이동시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은 배수구에 대한 작업 시 접근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수 유닛 및 데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볼트 및 체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닛 및 데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수 유닛 및 데크를 A-A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이동체가 제 1 위치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이동체가 제 2 위치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에 대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닛 및 데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수 유닛 및 데크를 A-A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선박은 선체 및 배수 유닛(2000)을 포함한다.
선체는 배수구(1100)가 형성된 데크(1000)를 가진다.
데크(1000)에는 기관실 등에서 새어 나온 연료 기름이나 윤활류 등이 빗물 또는 바닷물 등과 혼합된 오수(Bilge)가 고일 수 있다. 데크(1000)에 고인 오수는 배수구(1100)를 통해 배수된다.
배수 유닛(2000)은 데크(1000)에 설치된다. 배수 유닛(2000)은 배수구(1100)를 통해 데크(1000) 상의 오수(Bilge)를 배수한다. 배수 유닛(2000)은 배수판(2100), 지지판(2200), 이동체(2300) 및 회전체(2400)를 포함한다.
배수판(2100)은 배수구(1100)를 덮는다. 배수판(2100)에는 복수개의 홀(2110)이 형성된다. 홀(2110)들은 배수구(1100)의 입구에 비해 그 직경이 작게 제공되어 오수 내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 걸러냄으로써, 배수구(1100)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판(2100)에는 지지부(2120)가 제공된다. 지지부(2120)는 배수판(2100)의 하단으로부터 피니언(2430)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게 제공된다. 지지부(2120)는 축부(2420)를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면, 지지부(2120)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120)는 배수판(2100)이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피니언(243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지지판(2200)은 배수구(1100)에 인접한 데크(1000)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다. 이동체(2300)는 지지판(2200)을 관통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지지판(2200)은 이동체(2300)가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이동체(2300)를 지지한다.
도 5는 도 3의 이동체가 제 1 위치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이동체가 제 2 위치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이동체(2300)는 지지판(2200)으로부터 배수구(1100)를 향해 돌출된다. 이동체(2300)는 그 길이 방향으로 제 1 위치(2300a)와 제 2 위치(2300b) 간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또한, 이동체(2300)는 전체가 지지판(220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판(2100)이 배수구(1100)로부터 분리된 경우, 이동체(2300)가 배수구(1100)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배수구(1100) 내부의 청소 등을 위한 접근이 용이하다. 제 1 위치(2300a)는 피니언(2430)이 래크(2310)에 맞물리도록 메인판(2330) 상에 제공되는 이동체(2300)의 위치이다. 제 2 위치(2300b)는 회전체(2400)가 상하 방향에 대해 고정되는 위치이다. 이동체(2300)는 래크(2310, Rack), 고정부(2320), 메인판(2330) 및 이탈 방지부(2340)를 포함한다.
래크(2310)는 지지판(2200)으로부터 배수구(1100)를 향해 고정부(2320)보다 길게 돌출되게 제공된다. 래크(2310)는 메인판(2330)의 타 측부(2332)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되게 제공된다. 래크(2310)는 피니언(2430)과 맞물리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회전체(2400)의 회전에 의해 이동체(2300)는 그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고정부(2320)는 이동체(2300)가 제 2 위치(2300b)에 위치된 경우, 회전체(2400)를 상하 방향에 대해 고정시킨다. 고정부(2320)는 지지판(2200)으로부터 배수구(1100)를 향해 래크(2310)보다 짧게 돌출되게 제공된다. 고정부(2320)는 측판(2321) 및 상판(2322)을 포함한다.
측판(2321)은 메인판(2330)의 일 측부(2331)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된다. 측판(2321)은 메인판(2330)과 상판(2322)을 연결하고 상판(2322)을 지지한다.
상판(2322)은 측판(2321)의 상단으로부터 래크(2310)를 향해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상판(2322)은 이동체(2300)가 제 2 위치(2300b)에 위치하는 경우, 회전체(2400)가 상하 방향에 대해 고정되도록 피니언(2430)의 상면과 중첩되도록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판(2322)을 가지는 고정부(2320)가 래크(2310)에 비해 짧게 제공됨으로써, 이동체(2300)가 제 1 위치(2300a)에 위치한 경우, 피니언(2430)은 상판(2322)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메인판(2330)상에 제공될 수 있고, 이동체(2300)가 제 2 위치(2300b)에 위치한 경우, 피니언(2430)의 상면이 상판(2322)의 하면과 중첩됨으로써, 회전체(2400)가 상하 방향에 대해 고정되고, 따라서, 배수판(2100)이 상하 방향에 대해 고정된다.
래크(2310) 및 고정부(2320)는 각각의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제공된다. 래크(2310) 및 고정부(232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각각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제공된다.
메인판(2330)은 지지판(2200)으로부터 배수구(1100)를 향해 돌출되게 제공된다. 메인판(2330)은 그 상면으로부터 연장되게 제공된 고정부(2320) 및 래크(2310)를 지지한다. 메인판(2330)은 그 상면에 놓인 회전체(2400)를 지지한다.
이탈 방지부(2340)는 이동체(2300)의 데크(1000) 내측에 위치한 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동체(2300)가 일정 거리 이상 배수구(1100)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지지판(2200)에 걸리도록 제공됨으로써, 이동체(2300)가 배수구(1100) 방향으로 지지판(2200)으로부터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체(2400)는 축부(24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이동체(2300)를 이동체(2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전 운동 시킨다. 회전체(2400)는 배수판(2100)에 제공된다. 회전체(2400)는 이동체(2300)에 결합되도록 제공된다. 회전체(2400)는 머리부(2410), 축부(2420) 및 피니언(2430, Pinion)을 포함한다.
머리부(2410)는 배수판(2100)의 내부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배수판(210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홈(2130)이 제공된다. 홈(2130)은 그 깊이가 머리부(2410)의 전체 높이와 같거나 깊게 제공되며, 머리부(2410)는 홈(2130)의 내부에 제공된다. 따라서, 배수 유닛(2000)이 데크(1000)에 설치되는 경우, 머리부(2410)가 배수판(210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데크(1000) 상에서 사람 또는 물체의 이동시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홈(2130), 회전체(2400) 및 이동체(2300)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홈(2130), 회전체(2400) 및 이동체(2300)는 동일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머리부(2410)는 사람의 손으로 파지 가능한 나비 너트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인력에 의해 회전체(240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축부(2420)는 머리부(2410)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게 제공된다. 축부(2420)는 홈(2130)의 바닥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머리부(2410) 및 피니언(2430)과 연결된다. 축부(2420)는 머리부(2410)에 제공된 회전력을 피니언(2430)으로 전달한다.
피니언(2430)은 축부(2420)의 하단에 제공된다. 피니언(2430)은 원판의 기어 형상으로 제공된다. 피니언(2430)은 래크(2310)와 맞물리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피니언(2430)은 축부(242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래크(2310)로 전달시킴으로써, 이동체(2300)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1000; 데크 1100: 배수구
2000: 배수 유닛 2100: 배수판
2200: 지지판 2300: 이동체
2310: 래크 2320: 고정부
2330: 메인판 2400: 회전체
2410: 머리부 2420: 축부
2430: 피니언

Claims (7)

  1. 배수구가 형성된 데크(Deck)를 가지는 선체;
    상기 데크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를 통해 상기 데크 상의 오수(Bilge)를 배수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 유닛은,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를 덮는 배수판;
    상기 배수구에 인접한 상기 데크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배수구를 향해 돌출되고,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이동체;
    상기 배수판에 제공되고,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도록 제공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축부; 및
    상기 축부의 하단에 제공된 피니언(Pinion);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는,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도록 제공된 래크(Rack)를 가지는 선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배수구를 향해 돌출되게 제공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래크는,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배수구를 향해 상기 고정부보다 길게 돌출되게 제공되는 선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 및 상기 고정부는,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고,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제공된 선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배수구를 향해 돌출되게 제공된 메인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판의 일 측부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래크를 향해 연장되도록 제공된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래크는,
    상기 메인판의 타 측부로부터 윗방향으로 연장되게 제공되는 선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간에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이동체가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피니언과 중첩되도록 제공되는 선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나비 너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수판의 내부에 제공되는 선박.
KR1020140130144A 2014-09-29 2014-09-29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KR101581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144A KR101581322B1 (ko) 2014-09-29 2014-09-29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144A KR101581322B1 (ko) 2014-09-29 2014-09-29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322B1 true KR101581322B1 (ko) 2016-01-04

Family

ID=5516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144A KR101581322B1 (ko) 2014-09-29 2014-09-29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0728A (zh) * 2021-08-11 2021-11-16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化学品油船甲板残液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5180A (ja) * 1998-03-13 1999-09-21 Niikura Kogyo Kk 甲板排水口などの封栓装置
KR20130007203U (ko) * 2012-06-07 2013-12-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주방용 후드 배수관의 기름찌꺼기 분리구조
KR20140001786U (ko) * 2012-09-18 2014-03-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갑판 배수구용 배수장치
KR20140003468U (ko) * 2012-11-30 2014-06-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5180A (ja) * 1998-03-13 1999-09-21 Niikura Kogyo Kk 甲板排水口などの封栓装置
KR20130007203U (ko) * 2012-06-07 2013-12-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주방용 후드 배수관의 기름찌꺼기 분리구조
KR20140001786U (ko) * 2012-09-18 2014-03-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갑판 배수구용 배수장치
KR20140003468U (ko) * 2012-11-30 2014-06-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50728A (zh) * 2021-08-11 2021-11-16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化学品油船甲板残液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970B1 (ko) 유수분리장치
CA2960049A1 (en) Submerged clarifier launder
KR101581322B1 (ko)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KR101692990B1 (ko) 유수분리 기능을 구비한 드레인 박스
EP2532795A2 (en) Reduced height drainage chute with built-in drain trap
JP5386206B2 (ja) 雨水ます
CA29264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spilled oil in ice infested waters
KR101672442B1 (ko) 쓰레드 드레인 스커퍼
KR20140003514U (ko) 해양구조물의 드레인 장치
JP5319900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20130125989A (ko) 거품포집장치
CN207633448U (zh) 下水器
US20070138080A1 (en) Bilge water barrier and pollution prevention system
KR101799872B1 (ko) 항만 시설용 친환경 모서리 보호공
CN208632161U (zh) 一种新型烟囱油污水处理装置
CN215454779U (zh) 一种乡村振兴建设用鱼塘防漏鱼装置
JP2013248390A (ja) 水面に浮遊している汚れを集結して除去する装置
KR200471208Y1 (ko) 선박 주방용 후드 배수관의 기름찌꺼기 분리구조
JPS6349436Y2 (ko)
KR20150001553U (ko) 헬리데크 배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1291154B1 (ko) 선박용 배수 가이드 장치
KR200489759Y1 (ko) 선박용 빌지해트
KR102060459B1 (ko)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JP7055735B2 (ja) 油脂分阻集器
DE20213596U1 (de) Teichablasssystem mit Schlammabsetz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